KR101869519B1 -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519B1
KR101869519B1 KR1020160119993A KR20160119993A KR101869519B1 KR 101869519 B1 KR101869519 B1 KR 101869519B1 KR 1020160119993 A KR1020160119993 A KR 1020160119993A KR 20160119993 A KR20160119993 A KR 20160119993A KR 101869519 B1 KR101869519 B1 KR 10186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gateway
network
devices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414A (ko
Inventor
오승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컴엠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컴엠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컴엠디에스
Priority to KR102016011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5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3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구성시 서버의 부하부담을 경감시키고, 다양한 장치를 용이하게 참여시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장치에 대한 자동인덱싱 및 이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기기; 복수의 상기 사물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서버; 및 네트워크에 참여한 상기 사물기기를 등록하여 등록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사물기기와 상기 서버를 중계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사물기기에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INTERNET OF THINGS SYSTEM INCLUDING SMART GATEWAY}
본 발명은 사물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구성시 서버의 부하부담을 경감시키고, 다양한 장치를 용이하게 참여시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장치에 대한 자동인덱싱 및 이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은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각종 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은 컴퓨터 단말뿐만 아니라, 센서 장치들, 생활환경의 각종 장치들을 모두 네트워크에 포함시켜 인터넷상에서 이들의 제어와 관리,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의 구성을 위해 최근에는 이러한 장치들이 모두 고유의 주소(IP ADDRESS)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28비트의 주소체계인 IPv6가 제시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IP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사물 인터넷의 구성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이 많은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들의 생활환경 주변의 다양한 장치들을 모두 IP를 부여하여 네트워크에 참여시킴으로 인해, 이들을 관리하는 서버의 부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서버의 구성을 위한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실정이다.
또한, IP가 각 장치에 부여된다 하더라도 가전제품의 경우 IP를 이용하는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성해야하며 이로 인한 제품의 생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기존에 IP를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간의 연결 및 제어가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에 소규모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유무선 통신장치를 네트워크에 참여시키는 경우 이러한 장치를 서버에서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1453364(등록일 2014.10.1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구성시 서버의 부하부담을 경감시키고, 다양한 장치를 용이하게 참여시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장치에 대한 자동인덱싱 및 이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기기; 복수의 상기 사물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서버; 및 네트워크에 참여한 상기 사물기기를 등록하여 등록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사물기기와 상기 서버를 중계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사물기기에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제1프로토콜과 다른 제2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사물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물기기는 상기 제2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되는 고유의 노드 유알엘(URL)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물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경우 상기 고유의 노드 유알엘에 대응되는 가상의 노드 유알엘을 생성하고, 상기 사물기기와 상기 가상의 노드 유알엘을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가상의 노드 유알엘을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물기기에 전달할 상기 제어명령을 제공받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지정하는 상기 가상의 노드 유알엘을 확인하고, 상기 가상의 노드 유알엘에 대응되는 상기 사물기기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프로토콜은 인터넷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의 구성시 서버의 부하부담을 경감시키고, 자동인덱싱 및 이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장치를 용이하게 참여시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기기의 네트워크 참여와 이를 위한 인덱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이러한 맵핑 데이터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사물장치들이 각각 IP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형태의 네트워크를 도시한 예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의해 네트워크가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시스템은 서버(10), 게이트웨이(20) 및 사물장치(30 : 30a 내지 30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버(10)는 네트워크에서 일반적인 서버(10)의 역할과 함께 사물장치(30)를 제어하고, 사물장치(30)의 제어에 따른 결과를 외부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서버(10)는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하거나 제어하며, 메임프레임이나 공중말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서버(10)는 사용자가 유저단말(5)을 통해 요청하는 사물장치(30)의 제어를 실행하고, 실행결과를 유저단말(5)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서버(10)는 유저단말(5)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사물장치(30)의 제어 및 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버(10)는 자신과 직접 연결되는 사물장치가 있는 경우 이를 직접제어하며, 게이트웨이(20)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경우 게이트웨이(20)에 제어를 위한 명령을 전달하고,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전달되는 결과 또는 정보를 전달받아 유저단말(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서버(10)는 제1프로토콜과 이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장치 및 프로그램에 의해 유저단말(5), 자신과 직접 연결된 사물장치 또는 게이트웨이(20)와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IP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20)는 사물장치(30)와 서버(10)의 연결을 중계하고, 사물장치(30)가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게이트웨이(20)는 게이트웨이(20) 자신과 서버(10)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사물장치(30)의 구분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사물장치(30) 각각에 대해 인덱싱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사물장치(30)의 연결을 관리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20)는 사물장치(30)와 서버(10)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인덱싱에 의해 사물장치(30)와 서버(10)를 중계하여, 데이터교환 및 명령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20)는 서버(10)와의 통신을 위해 제1프로토콜을 이용하며, 사물장치(30)와의 통신을 위해 제2프로토콜 및 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사물장치(30)는 게이트웨이(20)를 통해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전달되는 요청에 따라 특정 동작을 실행하고, 동작의 실행에 따른 결과를 게이트웨이(20)에 전달한다. 이러한 사물장치(30)는 게이트웨이(20)와 유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며, 다양한 통신 방식, 예를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ART(Universan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CAN(Controller Area Network)와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에 의해 게이트웨이(20)에 접속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사물장치(30)는 제1프로토콜에서 이용되는 주소체계 또는 아이디(ID)를 가진 장치일 수도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사물장치(30)는 게이트웨이(20)를 통한 네트워크 참여시, 별도의 ID, 노드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같은 사항의 변동 없이 게이트웨이(20)에 접속하게 된다. 일례로 사물장치(30)는 전등, 전자조리기, 소형 가전제품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기기의 네트워크 참여와 이를 위한 인덱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여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서버(10)과의 사이에 게이트웨이(20)가 위치하여, 사물기기(30)와 서버(10)의 연결 및 통신을 중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서버(10)가 사물기기(30)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경우 서버(10)는 제어명령의 전달을 게이트웨이(20)에 요청하게 되고, 게이트웨이(20)는 서버(10)가 전달하고자 하는 사물기기(30)를 확인하여 제어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명령, 요청, 데이터와 같은 대상을 전달하기 위해 게이트웨이(20)는 사물기기(30)를 네트워크에 참여시키고, 각각 구분하여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사물기기 시스템은 주거, 사무공간 또는 사용자의 일상공간에서 이용되는 소형장치를 네트워크에 참여시킬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시계, 전등, 주방에서 사용되는 전자제품과 같은 작은 장치들까지도 네트워크에 참여시키게 된다.
특히, 이러한 장치들이 용이하게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서버(10)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소정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프로토콜과 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프로토콜이란 용어는 통신규약뿐만 아니라, 통신방식, 해당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로그램 및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또한, 제어명령은 장치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와 같은 교환대상의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즉, 게이트웨이(20)는 제2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물기기(30)와 통신을 수행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 이 제2프로토콜은 LWM2M(Light-weight Machine To Machine)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CoAP(Constrained Applicaion Protocol),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와 같은 규약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2프로토콜은 소형장치를 위해 낮은 대역폭, 느린 속도, 통신 안정성이 낮은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자원제약이 많은 장치들을 위한 통신규약 및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즉, 게이트웨이(20)는 서버(10)의 요청 또는 제어명령이 발생되는 경우 서버(10)의 요청 또는 제어명령은 제2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거나, 제2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물기기(30)에 전달하게 된다. 이를 통해 게이트웨이(20)는 제1프로토콜을 이용하지 못하는 장치들을 서버(10)를 대신하여 네트워크에 참여시킬 수 있게 하며, 서버(10)가 이들 장치들을 직접 관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부하 증가를 분담하여 서버(10)의 부하부담을 경감시키게 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20)는 이와 같은 사물기기(30)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물기기의 정보를 서버(10)에 전달하여, 서버(10)가 네트워크에 포함된 장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물기기(30)의 네트워크 참여와 서버(10)가 네트워크에 구성된 사물기기(30)를 구분할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20)는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사물기기(30)의 노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대응되는 인덱싱을 수행하고, 인덱싱에 의해 생성된 맵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물기기(30)의 연결을 관리하게 된다.
도 3은 이러한 맵핑 데이터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20)는 사물기기(30)의 연결을 관리하고, 사물기기(30) 각각을 구분하기 위해 사물기기(30)에 대해 인덱싱을 수행하여 사물기기(30)의 노드 URL에 대응되는 새로운 노드 URL을 생성한다. 여기서, 사물기기(300)에 부여되는 노드 URL은 LWM2M에서 정의된 노드 URL을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제2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사물기기(30a, 30b, 30c, 30d)에는 노드 URL이 부여된다. 이 노드 URL은 3가지 항목으로 구분되며 a1/b1/c1과 같이 구분된다. a1은 오브젝트 아이디(Object ID)로 장치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b1은 인덱스(Index 또는 instance)로 해당 장치 종류에서 몇 번째 장치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값이다. 또한 c1은 리소스 아이디(Resource ID)로 해당 장치의 제어를 위한 명령 코드가 입력되는 코드값이다. 이러한 노드 URL은 공장에서 장치를 생산하는 경우 부여되며, 서버(10) 또는 게이트웨이(20)에 의해서는 리소스 ID의 값을 변경하여 사물기기(30a 내지 30d)를 제어하게 된다.
즉, 사물기기(30a 내지 30d)가 네트워크에 가입되는 경우 장치의 종류가 같으면 모두 같은 노드 URL을 가지고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된다. 제2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 서버(10)가 특정 사물기기(30a 내지 30d)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이 노드 URL을 이용해서 사물기기(30a 내지 30d)에 제어명령을 전달해야 하는데, 모두 같은 노드 URL을 가지고 있는 경우 서버(10)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때문에 서버(10)가 각 사물기기(30a 내지 30d)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다만, 현재는 사물기기(30a 내지 30d)에 부여된 노드 URL을 변경하는 과정이 번거로우며, 공장에서 대체를 위해 노드 URL의 인덱스를 여러 가지로 구분하여 생산하는 것도 또한 현실적으로 곤란한 사항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웨이(20)가 각 사물기기(30a 내지 30d)를 구분하고, 이를 통해 서버(10)에서 발생되는 제어명령을 사물기기(30a 내지 30d)에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20)는 사물기기(30a 내지 30d)가 네트워크에 참여하면, 각 사물기기(30a 내지 30d)를 구분하고, 사물기기(30a 내지 30d)별로 가상 노드 URL(Gra)을 부여한다. 게이트웨이(20)는 가상 노드 URL(Gra)의 부여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핑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버(10)와 사물기기(30a 내지 30d)를 중계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물기기(30a 내지 30d)가 오브젝트 아이디가 1인 두 개의 램프(30a, 30b), 오브젝트 아이디가 2인 두 개의 팬(30c, 30d)가 네트워크에 참여한 경우, 게이트웨이(20)는 각 사물기기(30a 내지 30d)를 우측의 매핑테이블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램프(ramp1, ramp2)와 팬(fan1, fan2)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해 가상 노드 URL(Gra)를 부여하게 된다. 즉, 램프2(30b)의 경우 원래의 노드 URL은 1/0/0이었으나, 게이트웨이(20)는 이 램프2(30b)를 가상의 노드 URL인 1/1/0으로 구분하여 제어명령을 중계하게 된다. 또한, 게이트웨이(20)는 부여된 가상의 노드 URL 정보를 서버(10)에 통지하여 서버(10)가 각각의 사물기기(30a 내지 30d)를 구분하여 제어명령을 생성 및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 서버(10)에서 램프2(30b)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경우 1/1/c1을 대상으로하는 제어명령을 게이트웨이(20)에 전달하게 된다. 게이트웨이(20)는 전달된 제어명령의 대상을 확인하고 가상의 노드 URL을 확인하여 사물기기(30b)에 제어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실제로 램프2(30b)의 노드 URL은 변경되지 않은 초기의 노드 URL이며, 가상의 노드 URL은 게이트웨이(20)가 네트워크에 참여한 사물기기(30a 내지 30d)를 서버(10)와 같은 장치들이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물기기(30a 내지 30d)별로 부여한 값이다. 즉, 게이트웨이(20)는 이 가상의 노드 URL을 통해 서버(10)와 같은 장치가 제어명령을 전달하면, 맵핑 테이블과 부여된 가상의 노드 URL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전달하고자 하는 대상기기를 확인하고, 해당 대상기기에 제어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사물기기 시스템은 다양하고 많은 양의 사물기기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경우에도 서버(10)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게이트웨이(20)를 통해 분산이 가능하며, 사물기기 각각에 부여된 노드 URL을 개별적으로 모두 설정하지 않고도 기기를 구분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게이트웨이(20)가 사물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제2프로토콜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제1프로토콜로 네트워크의 통신방법을 통일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네트워크의 호환성, 확장성, 가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기기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써, 도 4는 사물장치들이 각각 IP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형태의 네트워크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의해 네트워크가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와 같이 사물기기들이 모두 IP를 부여받고, 제1프로토콜에 의해 서버(50)의 관리를 받는 경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사물기기(60 : 60a 내지 60n)의 수가 증가할 수록 부담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을 하기 위해서는 사물기기(60)들에 모두 제1프로토콜에 의한 운영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장치의 성능과 무관하게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처리회로를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일부 통신방식의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될 수 있다.
반면, 도 5에서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사물기기(61 : 61a 내지 61n)를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20)에서 관리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물기기(61)를 서버(10)가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사물기기(61)가 연결된 게이트웨이(20)를 확인하고, 게이트웨이(20)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며, 게이트웨이(20)가 다시 사물기기(61)에 제어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서버(10)는 각각의 사물기기(61)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물기기(61)들을 모두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서버(10)와 사물기기(61)가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5 : 유저단말
10 : 서버
20 : 게이트웨이
30 : 사물기기

Claims (7)

  1. 복수의 사물기기;
    복수의 상기 사물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서버; 및
    네트워크에 참여한 상기 사물기기를 등록하여 등록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사물기기와 상기 서버를 중계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사물기기에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웨이는,
    자동 인덱싱을 통해, 초기에 상기 사물기기에 부여된 고유의 노드 URL을, 사물기기의 종류를 구분하는 ID, 같은 종류의 사물기기를 구분하는 구분 값 및 각 사물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명령 코드를 포함하는, 가상의 노드 URL로 맵핑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사물기기를 구별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제1프로토콜과 다른 제2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사물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기기는 상기 제2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되는 고유의 노드 유알엘(URL)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물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경우 상기 고유의 노드 유알엘에 대응되는 가상의 노드 유알엘을 생성하고, 상기 사물기기와 상기 가상의 노드 유알엘을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가상의 노드 유알엘을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물기기에 전달할 상기 제어명령을 제공받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지정하는 상기 가상의 노드 유알엘을 확인하고, 상기 가상의 노드 유알엘에 대응되는 상기 사물기기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토콜은 인터넷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KR1020160119993A 2016-09-20 2016-09-20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KR10186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993A KR101869519B1 (ko) 2016-09-20 2016-09-20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993A KR101869519B1 (ko) 2016-09-20 2016-09-20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414A KR20180031414A (ko) 2018-03-28
KR101869519B1 true KR101869519B1 (ko) 2018-07-19

Family

ID=6190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993A KR101869519B1 (ko) 2016-09-20 2016-09-20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142A (ko) * 2018-07-17 2020-02-06 주식회사 융합아이앤에스 사물의 식별코드 생성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506B1 (ko) * 2019-10-14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기 제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198A (ko) * 2013-08-22 2015-03-05 한국과학기술원 사물 정보의 가상객체 생성을 위한 인스턴스 프로파일 스키마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82743A (ko) * 2014-01-07 2015-07-16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160064853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 간에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364B1 (ko) 2014-04-15 2014-10-22 주식회사 스마티랩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동적 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198A (ko) * 2013-08-22 2015-03-05 한국과학기술원 사물 정보의 가상객체 생성을 위한 인스턴스 프로파일 스키마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82743A (ko) * 2014-01-07 2015-07-16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160064853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 간에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142A (ko) * 2018-07-17 2020-02-06 주식회사 융합아이앤에스 사물의 식별코드 생성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2130968B1 (ko) 2018-07-17 2020-07-08 주식회사 융합아이앤에스 사물의 식별코드 생성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414A (ko)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1195B2 (en) Common device interface framework for IoT/smart device application
US7564804B2 (en) Method of assigning addresses to a plurality of devices on a network and a network system therefor
JP6502330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プロファイル間コミッショニ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458368B1 (ko) 모바일단말의 중계서버 능동 접속을 이용한 통신로 개설방법
KR20150033513A (ko)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3229420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persistent connection between multiple smart devices and server, and smart device
CN106303657A (zh) 一种连麦直播的方法及主播端设备
CN101184063B (zh) 控制非通用即插即用UPnP设备的方法、装置及其系统
CN106027357A (zh) 物联网关及物联平台接纳家居设备的方法和物联网系统
CN104426928A (zh) 一种基于物联网标识服务的异构智能家电互通控制方法
WO2019041962A1 (zh) 基于智能冰箱的组网及控制方式、系统、智能冰箱
KR101869519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Miori et al. Interoperability of home automation systems as a critical challenge for IoT
Shih et al. Out-of-box device management for large scale cyber-physical systems
JP2003308264A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とネットワーク装置制御方法
US20170126489A1 (en) Auto-Commissioning of Lighting Resources
CN111866856A (zh) Mesh设备的控制方法和系统、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20030018703A1 (en) Smart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protocol
CN105635166A (zh) 信息传输方法、装置和系统
CN106332177A (zh) 一种实现成员资源处理的方法及装置
WO2018088604A1 (ko) 토픽 가상화를 통한 매쉬업 콘텐츠를 제공하는 발행/구독 기반의 콘텐츠 전달 플랫폼 시스템, 매쉬업 서버 및 콘텐츠 전달 방법
KR20120070893A (ko) 유피엔피에서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하여 정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JP2017068511A (ja) 機器管理方法及び機器管理装置
Luo et al. Demo Abstract: Towards a Wireless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Minimum Change to the Building Protocols.
CN114172940B (zh) 烹饪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