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945B1 -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 Google Patents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945B1
KR101559945B1 KR1020150046674A KR20150046674A KR101559945B1 KR 101559945 B1 KR101559945 B1 KR 101559945B1 KR 1020150046674 A KR1020150046674 A KR 1020150046674A KR 20150046674 A KR20150046674 A KR 20150046674A KR 101559945 B1 KR101559945 B1 KR 101559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lumn
wall
smart glass
colum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호
정명효
김성수
김창영
김영성
Original Assignee
(주)넥스트글라스
주식회사 트랜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트글라스, 주식회사 트랜하우 filed Critical (주)넥스트글라스
Priority to KR102015004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시야 확보가 가능하며, 커튼이나 블라인드 등의 외장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는 제1 판재, 제2 판재 및 스마트 글라스를 포함하는 가벽; 상기 가벽의 일측에 결합되며, 실내 바닥과 천장 사이에 고정되는 제1 지지 기둥; 및 상기 제1 지지 기둥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가벽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지지 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 기둥은 상기 가벽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지지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기둥은 상기 가벽의 타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지지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포함된 투명전도성 필름은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스마트 글라스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마다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가 배치되며, 상기 스마트 글라스는 상기 센서부에 의한 터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별로 투명 상태가 제어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A prefabricated wall with a built-in smart glass}
조립식 벽체가 개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가 개시된다.
벽체(壁體)는 벽을 이루는 구조 부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벽체의 재료로는 콘크리트, 철제 판넬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벽체 시공이 쉽지 않으며, 벽체 설치 후 변경이나 이동이 용이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이들 벽체는 친환경적 특징이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친환경 트렌드에 맞추어, 최근에는 목재 소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가 소비자들로부터 각광받고 있다. 조립식 벽체는 소비자가 직접 부품을 조립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부품 분해나 조립이 자유롭기 때문에 이미 설치된 벽체를 분해하여 다른 곳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목재 소재의 조립식 벽체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시야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시야 확보를 위해 조립식 벽체에 창호를 마련할 수도 있지만, 빛 차단이나 사생활 보호를 위해서는 창호 주변에 커튼이나 블라인드 등의 외장재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불편함이 따른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14385호 (발명의 명칭: 액정소자를 이용한 블라인드, 공개일: 2004년 2월 14일)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3584호 (발명의 명칭: 조립식 가구의 기둥, 공개일: 2014년 4월 10일)
시야 확보가 가능하며, 커튼이나 블라인드 등의 외장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가 개시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는 제1 판재, 제2 판재 및 스마트 글라스를 포함하는 가벽; 상기 가벽의 일측에 결합되며, 실내 바닥과 천장 사이에 고정되는 제1 지지 기둥; 상기 제1 지지 기둥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가벽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지지 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 기둥은 상기 가벽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지지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기둥은 상기 가벽의 타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지지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포함된 투명전도성 필름은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스마트 글라스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마다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가 배치되며, 상기 스마트 글라스는 상기 센서부에 의한 터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별로 투명 상태가 제어된다.
상기 제1 지지 기둥 및 상기 제2 지지 기둥은 상기 실내 바닥에 접촉되는 하부 기둥, 상기 천장에 접촉되는 상부 기둥, 및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을 연결하는 중간 기둥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하부 기둥의 밑면과 상기 상부 기둥의 윗면에는 각각 탄성 재질의 탄성 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중간 기둥의 길이는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2 지지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기둥을 구성하는 측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판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1 판재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제2 판재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 기둥, 상기 제2 지지 기둥, 상기 제1 판재 및 상기 제2 판재 중 적어도 하나는 목재, 합성목재,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경금속부재로 만들어지며, 상기 경금속부재는 스테인레스 스틸 및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글라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글라스를 투명 상태 또는 불투명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마트 글라스 상의 제1 위치에 배치되는 적외선 송신부; 및 상기 제1 위치의 반대쪽인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글라스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조립식 벽체에 내장된 스마트 글라스를 투명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조립식 벽체에 내장된 스마트 글라스를 불투명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커튼이나 블라인드 등의 외장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조립식 벽체의 주변에 커튼이나 블라인드 등의 외장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외장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외장재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복수의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스마트 글라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가 실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 조립식 벽체에 내장된 스마트 글라스의 전체 영역이 투명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가 실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 조립식 벽체에 내장된 스마트 글라스의 전체 영역이 불투명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가 실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 조립식 벽체에 내장된 스마트 글라스의 일부 영역들이 불투명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출입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100)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100)는 제1 지지 기둥(110), 제2 지지 기둥(120), 및 가벽(13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기둥(110)과 제2 지지 기둥(12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지지 기둥(110)과 제2 지지 기둥(120)의 사이에는 가벽(130)이 배치된다. 가벽(130)은 제1 판재(131), 제2 판재(132) 및 스마트 글라스(133)를 포함한다.
제1 판재(131)의 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홀(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홀(131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재(131)의 너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홀(131a)은 제1 판재(13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홀(131a)의 단면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홀(131a)의 단면의 모양은 원형, 삼각, 사각, 또는 오각일 수 있다. 이러한 홀(131a)에는 선반 등이 결합될 수 있다(도 5a 내지 도 5c 참조).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마트 글라스(133)의 모서리에는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으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결합 부재가 배치된다.
가벽(130)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으로, 제1 판재(131), 스마트 글라스(133) 및 제2 판재(132)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그러나 배치 순서가 예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된 배치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으로, 제1 판재(131), 제2 판재(132) 및 스마트 글라스(133)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으로, 제2 판재(132), 스마트 글라스(133) 및 제1 판재(131)의 순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지지 기둥(110)과 제2 지지 기둥(120)은 원 기둥 또는 다각 기둥일 수 있다. 다각 기둥으로는 삼각 기둥, 사각 기둥, 오각 기둥, 및 육각 기둥을 예로 들 수 있다. 제1 지지 기둥(110)과 제2 지지 기둥(120)은 목재, 합성목재,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경금속부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경금속부재로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및 알루미늄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제1 지지 기둥(110)과 제2 지지 기둥(120)의 소재가 예시된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기둥(110)은 하부 기둥(111), 중간 기둥(112), 및 상부 기둥(113)을 포함한다. 하부 기둥(111)은 실내 바닥에 고정되며, 상부 기둥(113)은 실내 천장(天障)에 고정된다. 중간 기둥(112)은 하부 기둥(111)과 상부 기둥(113)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 기둥(111)과 상부 기둥(113)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기둥(111)의 밑면은 실내 바닥에 접촉된다. 하부 기둥(111)의 밑면에는 탄성 재질의 탄성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탄성 부재를 배치하면, 하부 기둥(111)의 밑면이 실내 바닥에 밀착되므로, 제1 지지 기둥(1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기둥(111)에 의해 바닥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기둥(111)의 윗면에는 결합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다. 이 결합 부재에는 중간 기둥(112)의 밑면이 결합된다. 결합 부재의 단면은 하부 기둥(111)의 윗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하부 기둥(111)의 윗면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는 결합 홈이거나 결합 돌기일 수 있다. 결합 돌기는 예를 들어, 막대 형상 또는 스크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 기둥(112)은 하부 기둥(111)과 상부 기둥(113)을 연결한다. 중간 기둥(112)의 길이는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중간 기둥(112)의 밑면은 하부 기둥(111)의 윗면과 결합되고, 중간 기둥(112)의 윗면은 상부 기둥(113)의 밑면과 결합된다. 중간 기둥(112)의 밑면과 윗면에는 각각 결합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다. 중간 기둥(112)의 밑면과 윗면에 각각 배치되는 결합 부재의 형상은 하부 기둥(111)의 윗면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기둥(111)의 윗면에 결합 홈이 배치된 경우라면, 중간 기둥(112)의 밑면에는 결합 돌기가 배치된다. 만약, 하부 기둥(111)의 윗면에 결합 돌기가 배치된 경우라면, 중간 기둥(112)의 밑면에는 결합 홈이 배치된다.
상부 기둥(113)의 밑면은 중간 기둥(112)의 윗면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부 기둥(113)의 밑면에는 결합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다. 상부 기둥(113)의 밑면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의 형상은 중간 기둥(112)의 윗면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기둥(112)의 윗면에 결합 돌기가 배치된 경우라면, 상부 기둥(113)의 밑면에는 결합 홈이 배치된다. 만약, 중간 기둥(112)의 윗면에 결합 홈이 배치된 경우라면, 상부 기둥(113)의 밑면에는 결합 돌기가 배치된다.
상부 기둥(113)의 윗면은 실내 천장에 접촉된다. 상부 기둥(113)의 윗면에는 탄성 재질의 탄성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탄성 부재를 배치하면, 상부 기둥(113)의 윗면이 실내 천장에 밀착되므로, 제1 지지 기둥(1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기둥(113)에 의해 천장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부 기둥(111), 중간 기둥(112) 및 상부 기둥(113)의 제1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기둥들(111, 112, 113)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는 결합 홈일 수 있다. 이 때, 결합 홈은 각 기둥들(111, 112, 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 홈은 각 기둥들(111, 112, 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기둥들(111, 112, 113)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는 결합 돌기일 수 있다. 이 때, 결합 돌기는 각 기둥들(111, 112, 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 돌기는 각 기둥들(111, 112, 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각 기둥들(111, 112, 113)의 제1 측면에 배치된 결합 부재에는 제1 판재(131)의 모서리에 마련된 결합 부재, 제2 판재(132)의 모서리에 마련된 결합 부재 및 스마트 글라스(133)의 프레임에 마련된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다.
이상, 제1 지지 기둥(11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제2 지지 기둥(1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 기둥(120)은 하부 기둥(121), 중간 기둥(122) 및 상부 기둥(123)을 포함한다. 제2 지지 기둥(120)의 하부 기둥(121), 중간 기둥(122) 및 상부 기둥(123)은 제1 지지 기둥(110)의 하부 기둥(111), 중간 기둥(112) 및 상부 기둥(113)과 각각 대응된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 기둥(120)에 포함된 기둥들(121, 122, 123)의 제1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 부재가 배치된다. 각 기둥(121, 122, 123)의 제1 측면에 배치된 결합 부재에는 제1 판재(131)의 모서리에 구비된 결합 부재, 제2 판재(132)의 모서리에 구비된 결합 부재, 및 스마트 글라스(133)의 프레임에 구비된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 기둥(120)에 포함된 기둥들(121, 122, 123)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결합 부재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2 측면은 각 기둥(121, 122, 123)을 이루는 측면들 중에서 제1 측면과 다른 측면을 말한다. 일 예로, 제2 측면은 제1 측면과 인접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2 측면은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측면이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인 경우, 제2 측면에 배치된 결합 부재에 다른 가벽(150)을 이루는 제1 판재(151), 제2 판재(152) 및 스마트 글라스(153) 등을 결합시키고, 해당 가벽(150)에 제3 기둥(140)을 결합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100)를 수평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글라스(133)는 전기적으로 온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가 되고,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에서 불투명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스마트 글라스(133)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133)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선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마트 글라스(133)는 고분자분산액정 디스플레이 소자(10, 20a, 20b, 21a, 21b), 고분자분산액정 디스플레이 소자(10, 20a, 20b, 21a, 21b)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제1 접합 필름(30a)과 제2 접합 필름(30b), 제1 접합 필름(30a)과 제2 접합 필름(30b) 위에 각각 배치된 제1 글라스(50a)와 제2 글라스(50b), 제2 글라스(50b)의 일면에 배치된 적외선 터치센서(601, 602)를 포함한다.
고분자분산액정 디스플레이 소자(10, 20a, 20b, 21a, 21b)는 고분자분산액정 복합막(10), 제1 투명전도성 필름(20a, 21a) 및 제2 투명전도성 필름(20b, 21b)를 포함한다.
고분자분산액정 복합막(10)은 제1 투명전도성 필름(20a, 21a) 위에 고분자분산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을 균일하게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고분자분산액정 복합막(10)은 0V~120V까지의 교류 전압(AC)을 인가할 수 있도록 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고분자분산액정 복합막(10)의 두께가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분자분산액정 복합막(10)의 두께는 고분자분산액정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제1 투명전도성 필름(20a, 21a)은 제1 베이스 필름(20a)과 제1 투명전도성 박막(21a)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투명전도성 필름(20b, 21b)는 제2 베이스 필름(20b)과 제2 투명전도성 박막(21b)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 필름(20a)과 제2 베이스 필름(20b)으로는, PET 필름, COP 필름, COC 필름, PEN 필름, 또는 PES 필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50㎛ 이하의 두께로 하드코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의 양면은 하드코팅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투명전도성 박막(21a)과 제2 투명전도성 박막(21b)으로는 인듐-주석-산화물(ITO) 박막 또는 아연-산화물(ZnO)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투명전도성 박막(21b)에는 소정 모양을 나타내기 위한 패턴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2 투명전도성 박막(21b)을 에칭함으로써,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투명전도성 박막(21b)을 패터닝하면, 제2 투명전도성 박막(21b)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투명전도성 필름(20a, 21a)과 패터닝된 제2 투명전도성 필름(200b, 201b)의 각 영역에는 전기를 인가할 수 있는 전기단자가 배치된다. 전기단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스마트 글라스(133)는 전기적으로 온 상태가 되어 투명 상태가 된다. 반대로, 전기단자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스마트 글라스(133)는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가 되어, 불투명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마트 글라스(133)는 제어 장치(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장치(100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 글라스(133)의 전기적인 상태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 장치(10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제어 장치(10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0)는 센서부(600), 통신부(500), 제어부(400), 인터페이스부(300), 및 전원부(200)를 포함한다.
센서부(600)는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한다. 센서부(600)는 예를 들어, 적외선 터치센서(601, 60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터치센서(601, 602)는 적외선 송신부(601) 및 적외선 수신부(60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송신부(601)는 제2 글라스(50b)의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적외선 수신부(602)는 제1 위치와 반대쪽인 제2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적외선 터치센서(601, 602)는 손가락이나 물체에 의한 터치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송신부(601)와 적외선 수신부(602) 사이로 손가락이나 물체가 지나가면, 적외선 송신부(601)에서 나와 적외선 수신부(602)로 들어가는 적외선이 손가락이나 물체에 의해 차단된다. 그 결과, 적외선 터치센서(601, 602)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 터치센서(601, 602)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는, 제어부(400)로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터치센서(601, 602)는 제2 투명전도성 박막(21)의 패터닝된 영역마다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영역에 배치된 적외선 터치센서(601, 602)를 이용하여, 스마트 글라스(133)를 부분적으로 투명 상태로 만들거나, 부분적으로 불투명 상태로 만들 수 있다.
통신부(50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스마트 글라스(133)의 전기적인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500)는 유선 통신 방식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무선 유에스비(Wireless USB),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무선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RF), 및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을 예로 들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센서부(600)의 터치 감지 결과 또는 통신부(500)로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스마트 글라스(133)의 전기적인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고분자분산액정 디스플레이 소자(10, 20a, 20b, 21a, 21b)가 온 상태(투명 상태)일 때 터치가 감지되었다면, 제어부(400)는 디스플레이 소자(10, 20a, 20b, 21a, 21b)를 오프 상태(불투명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소자(10, 20a, 20b, 21a, 21b)가 오프 상태(불투명 상태)일 때 터치가 감지되었다면, 제어부(400)는 디스플레이 소자(10, 20a, 20b, 21a, 21b)를 온 상태(투명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4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는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스마트 글라스(133)로 제공된다.
인터페이스부(300)는 스마트 글라스(133)의 전기 단자들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어부(4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는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스마트 글라스(133)의 각 전기 단자로 제공된다.
전원부(200)는 제어 장치(1000) 내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10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1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지지 기둥(110)의 하부 기둥(111), 중간 기둥(112), 상부 기둥(113)을 결합하여 제1 지지 기둥(110)을 조립한다. 그리고 제2 지지 기둥(120)의 하부 기둥(111), 중간 기둥(112), 상부 기둥(113)을 결합하여 제2 지지 기둥(120)을 조립한다.
그 다음, 제1 지지 기둥(110)과 제2 지지 기둥(120) 사이에 가벽(130)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판재(131)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돌기)를 제1 지지 기둥(110)의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홈)와 제2 지지 기둥(120)의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홈)에 각각 결합시킨다.
그 다음, 제1 판재(131)의 상측 모서리에 구비된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홈)에 스마트 글라스(133)의 프레임의 하측 모서리에 구비된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돌기)를 결합시킨 다음, 스마트 글라스(133)의 프레임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돌기)를 제1 지지 기둥(110)의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홈)와 제2 지지 기둥(120)의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홈)에 각각 결합시킨다.
그 다음, 스마트 글라스(133)의 프레임의 상측 모서리에 구비된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돌기)에 제2 판재(132)의 하측 모서리에 구비된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홈)을 결합시킨 다음, 제2 판재(132)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돌기)를 제1 지지 기둥(110)의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홈)와 제2 지지 기둥(120)의 결합 부재(예를 들어, 결합 홈)에 각각 결합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100)를 실내에 설치할 수 있다.
조립식 벽체(100)를 설치한 후, 스마트 글라스(133)가 터치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라스(133)가 투명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스마트 글라스(133)가 터치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명령이 수신된 상태라면, 스마트 글라스(133)가 불투명 상태로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라스(133)의 각 영역에서 모두 터치가 감지되었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라스(133) 전체가 불투명 상태로 변하게 된다. 만약, 스마트 글라스(133)의 일부 영역에서만 터치가 감지되었다면, 도 5c와 같이, 터치된 영역들만이 불투명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110: 제1 지지 기둥
120: 제2 지지 기둥
111, 121: 하부 기둥
112, 122: 중간 기둥
113, 123: 상부 기둥
130: 가벽
131: 제1 판재
132: 제2 판재
133: 스마트 글라스

Claims (10)

  1. 제1 판재, 제2 판재 및 스마트 글라스를 포함하는 가벽;
    상기 가벽의 일측에 결합되며, 실내 바닥과 천장 사이에 고정되는 제1 지지 기둥; 및
    상기 제1 지지 기둥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가벽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지지 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 기둥은 상기 가벽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지지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기둥은 상기 가벽의 타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지지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포함된 투명전도성 필름은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스마트 글라스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마다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가 배치되며,
    상기 스마트 글라스는 상기 센서부에 의한 터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별로 투명 상태가 제어되는,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기둥 및 상기 제2 지지 기둥은
    상기 실내 바닥에 접촉되는 하부 기둥, 상기 천장에 접촉되는 상부 기둥, 및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을 연결하는 중간 기둥을 각각 포함하는,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둥의 밑면과 상기 상부 기둥의 윗면에는 각각 탄성 재질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기둥의 길이는 조절 가능한,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기둥을 구성하는 측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측면에 형성되는,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1 판재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제2 판재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기둥, 상기 제2 지지 기둥, 상기 제1 판재 및 상기 제2 판재 중 적어도 하나는 목재, 합성목재,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경금속부재로 만들어지며,
    상기 경금속부재는 스테인레스 스틸 및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글라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글라스를 투명 상태 또는 불투명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마트 글라스 상의 제1 위치에 배치된 적외선 송신부; 및
    상기 제1 위치의 반대쪽인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글라스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KR1020150046674A 2015-04-02 2015-04-02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KR10155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74A KR101559945B1 (ko) 2015-04-02 2015-04-02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74A KR101559945B1 (ko) 2015-04-02 2015-04-02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945B1 true KR101559945B1 (ko) 2015-10-15

Family

ID=5435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674A KR101559945B1 (ko) 2015-04-02 2015-04-02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9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600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20200131690A (ko) * 2019-05-14 2020-11-24 이광호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
KR20210078702A (ko) * 2019-12-19 2021-06-29 (주)혜덕 다기능 가변형 파티션
KR20210103215A (ko) *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와트로직 무선 스마트 창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165Y1 (ko) 2005-07-27 2005-10-11 주식회사 퍼시스 블라인드 유리를 구비한 칸막이
JP2007009634A (ja) * 2005-07-04 2007-01-1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簡易間仕切壁
KR101145902B1 (ko) 2010-12-03 2012-05-15 주식회사 빈우드 조립식 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634A (ja) * 2005-07-04 2007-01-1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簡易間仕切壁
KR200398165Y1 (ko) 2005-07-27 2005-10-11 주식회사 퍼시스 블라인드 유리를 구비한 칸막이
KR101145902B1 (ko) 2010-12-03 2012-05-15 주식회사 빈우드 조립식 가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600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20200131690A (ko) * 2019-05-14 2020-11-24 이광호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
KR102289046B1 (ko) 2019-05-14 2021-08-11 이광호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
KR20210078702A (ko) * 2019-12-19 2021-06-29 (주)혜덕 다기능 가변형 파티션
KR102298446B1 (ko) * 2019-12-19 2021-09-06 (주)혜덕 다기능 가변형 파티션
KR20210103215A (ko) *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와트로직 무선 스마트 창호
KR102418475B1 (ko) * 2020-02-13 2022-07-08 주식회사 와트로직 무선 스마트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945B1 (ko)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US11093087B2 (en) Glass substrates with touchscreen technology
US10413079B2 (en) Voice-activated bed frame illumination with smart phone control and related structures
US10162451B2 (en) Double-sided touch control substrate, double-sided touch control device and double-sided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US20150355371A1 (en) Hvac controller with proximity sensor
JP6655802B2 (ja) 採光システム
US20180283100A1 (en) Retractable privacy system and method
JP201852269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5627219B2 (ja) 画像表示装置
US11268321B2 (en) LED slat device
US20140225867A1 (en) Wall covering element with detection system
TW201917270A (zh) 一種帶顯示功能的窗戶以及使用該窗戶的房子
KR200476917Y1 (ko) 창호 단열구조
CN106408919A (zh) 结构改进型遥控器
KR101958066B1 (ko)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
US11437002B2 (en) Simulation system
KR10211054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케이스
JP3700748B2 (ja) 外壁コーナーにおける化粧壁の取り付け構造
JP2019008213A (ja) タッチ操作機能付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障子及び建具
KR102403824B1 (ko) 조립식 모듈형 이동식 건축물
EP4025758B1 (en) An insulated glazing unit with a memory module
JP4977098B2 (ja) 浴室ユニットと窓との接続部における止水構造
KR101480091B1 (ko) 구조체 기능을 갖는 모듈화된 가변형 기능벽체 세트, 이를 이용한 공간 형성 방법 및 그 구조물
JP2008231895A (ja) 移動式収納ボックス
CN206489486U (zh) 一种公共场合用触摸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