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046B1 -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046B1
KR102289046B1 KR1020190056605A KR20190056605A KR102289046B1 KR 102289046 B1 KR102289046 B1 KR 102289046B1 KR 1020190056605 A KR1020190056605 A KR 1020190056605A KR 20190056605 A KR20190056605 A KR 20190056605A KR 102289046 B1 KR102289046 B1 KR 102289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mpanion animal
smart
animal storage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690A (ko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이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호 filed Critical 이광호
Priority to KR102019005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04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8Floor hea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54Bag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은 내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전면에 위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잠기도록 하는 잠금 부재; 상기 하우징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온도를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온도 조절 부재; 및 상기 잠금 부재 및 상기 온도 조절 부재를 제어하고,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Smart companion animal storage and companion animal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원격으로 효과적인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가정에서 키우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으나, 이러한 반려동물과 함께 외출하는 경우에는 쇼핑센터나 영화관, 식당, 놀이 공원, 고속도로 휴게소 등 공공장소에서 애완동물을 동반하고 입장하는 것이 금지되거나 제한되어서 반려동물과 함께 외출하여 활동하는데 많은 제약과 불편이 따르게 된다. 또한, 반려동물과 함께 외출한 후, 반려동물만을 차량 등 제3의 장소에 남겨두는 경우 실종 및 유기, 동물학대의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으로 효과적인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위치되는 수용공간이 쾌적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관리될 수 있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전면에 위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잠기도록 하는 잠금 부재; 상기 하우징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온도를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온도 조절 부재; 및 상기 잠금 부재 및 상기 온도 조절 부재를 제어하고,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펠티어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면 일 측에 위치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송신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게 제공되는 램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과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으로 제어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은, 내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전면에 위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잠기도록 하는 잠금 부재; 상기 하우징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온도를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온도 조절 부재; 및 상기 잠금 부재 및 상기 온도 조절 부재를 제어하고, 관리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원격으로 효과적인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반려동물이 위치되는 수용공간이 쾌적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관리될 수 있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복수의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은 하우징(100), 잠금 부재(110), 온도 조절 부재(120), 카메라(130), 램프 부재(140) 및 제어기(150)를 포함한다.
이하, 도어(101)가 위치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도어(101)가 위치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하우징(100)은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골격을 제공하고, 내측에 반려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은 6면체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체결부(103)가 제공되어,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들은 서로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0)의 외측 상면에는 제1 체결부(103)가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외측 하면에는 제1 체결부(103)과 결합될 수 있는 제2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제1 체결부(103) 및 제2 체결부 중 하나는 돌기 구조로 제공되고, 다른 하나는 돌기 구조와 끼움 결합되는 홈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좌우 방향 양측은 개방된 구조로 제공되고, 탈착 가능한 격벽(105)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격벽(105)은 스마트 글라스로 제공되고, 하우징(100)에는 격벽(105)과 체결되는 부분에 격벽(105)에 전력 공급을 위한 연결부(106)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도어(101)가 제공된다. 일 예로, 도어(101)는 일측 단부가 하우징(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101)는 스마트 글라스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101)는 연결부(106)와 연결되어, 연결부(106)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투명 상태, 불투명 상태, 반투명 상태 사이에 가변될 수 있다.
잠금 부재(110)는 도어(101)에 제공되어, 도어(101)가 하우징(100)에 대해 잠기도록 한다. 일 예로, 잠금 부재(110)는 비밀 번호를 통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게 제공될 수 있다.
온도 조절 부재(12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의 온도를 조절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온도 조절 부재(120)는 하우징(100)의 후방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부재(120)는 하우징(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온도 조절 부재(120)는 펠티어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조절 부재(120)는 전원이 공급되면, 일측면에서 열을 흡수한 후 타측면으로 열을 방출하여, 수용 공간에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100)이 내측에는 온도 센서(125)가 제공되어, 수용 공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하우징(100)의 내면 일 측에 위치되어, 수용 공간을 촬영한다. 일 예로, 카메라(130)는 하우징(100)의 내면 상부 모서리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을 전체를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면 일측에는 스피커(135)가 위치될 수 있다.
램프 부재(140)는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램프 부재(140)는 복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부재(140)는 하우징(100)의 내측 상면, 내측 하면, 내측 측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램프 부재(140)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용 공간에 대해 살균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제어기(150)는 연결부(106)를 제어하여 격벽(105)의 상태를 조절한다. 일 예로, 제어기(150)는 격벽(105)이 투명한 상태, 불투명한 상태, 반투명한 상태 사이에 가변 되게 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잠금 부재(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기(150)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에 대해 결제가 이루어져,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이 사용 상태일 때, 잠금 부재(110)가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잠금 부재(110)를 제어하여, 도어(101)가 잠금 상태 또는 열림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도어(101)가 잠금 상태인지, 열림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 가능하게 제공된다.
제어기(150)는 온도 조절 부재(120)의 온 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150)는 온도 조절 부재(120)을 통해 수용 공간에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기(150)는 온도 조절 부재(120)로 공급되는 전력의 극성 방향이 변경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조절 부재(120)에서 흡열이 이루어 지는 방향 및 발열이 이루어 지는 방향이 변경되게 하여, 수용 공간에 대해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온도 센서(125)가 감지한 신호, 카메라(13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한다. 제어기(150)는 수신한 음성 신호가 스피커(135)를 통해 방송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음성을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으로 송신한 후 스피커(135)를 통해 출력되게 하여,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을 사용중인 반려동물이 정서적 안정을 갖게 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램프 부재(14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어기(150)는 관리 서버(20)와의 사이에 신호가 송수신되게 한다.
도 3은 복수의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은 복수가 조립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 때, 아래쪽에 위치된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제1 체결부(103)와 위쪽에 위치된 제2 체결부가 서로 결합되어,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은 안정적으로 적층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좌우로 배열된 2개의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은 서로 접하는 방향의 격벽(105)이 제거되어, 수용 공간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1)은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 및 관리 서버(20)를 포함한다.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1)의 구성 요소 사이,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1)과 단말기(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 관리 서버(20), 단말기(30)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관리 서버(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과 연결되어,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제어기(150)로 제어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거나,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금융 기관의 서버에 연결되어, 단말기(30)에서 송신하는 결제 정보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독자적으로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통신부(21), 메모리(22) 및 중앙 처리부(23)를 포함한다. 통신부(21), 메모리(22) 및 중앙 처리부(23)는 물리적으로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처리부(23)는 통신부(21) 및 메모리(22)를 제어할 수 있고,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통신부(21)를 통해 전달받거나 메모리(2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30)를 통해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거나,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상태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30)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을 사용하는 자 또는 사용하려는 자의 스마트폰, 태플릿PC 등일 수 있다. 단말기(30)에는 데이터 송수신, 수신된 데이터의 표시, 송신할 데이터의 입력 보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이 유로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료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 진후, 단말기(30)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제어를 위한 신호 송신하고,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으로 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에는 고유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고유 번호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외면에 바코드, QR코드, 일련 번호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유 번호는 단말기(30)를 통해 관리 서버(20)에 접속한 후, 단말기(30)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관리 서버(20)에 접속한 후,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외면에 위치된 고유 번호를 송신하거나, 단말기(30)의 화면에 표시된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을 선택하고, 결제 정보를 송신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가 이루어 지면, 관리 서버(20)는 사용자의 단말기(30)와 해당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 사이에 신호의 송수신을 중계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는 단말기(30)로부터 연결부(106), 잠금 부재(110), 온도 조절 부재(120), 램프 부재(140)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를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으로 송신하여,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이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되게 한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으로 부터 잠금 부재(110)의 잠금 상태, 카메라(130)가 촬영한 영상, 온도 센서(125)가 감지한 온도에 관한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를 단말기(30)로 송신한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단말기(30)로부터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를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으로 송신하여 스피커(135)를 통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예약, 사용 준비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실제 이용 시간에 앞서, 단말기(30)를 통해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 및 사용 시간을 선택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약이 이루어 지면, 관리 서버(20)는 예약된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사용 개시 시간보다 설정 시간 앞선 시점(예를 들어, 사용 개시 시간보다 10분 앞선 시점)에 온도 조절 부재(120)을 동작 시켜, 사용 개시 시간이 되면 수용 공간의 온도가 반려동물이 안락한 상태로 있을 수 있는 온도가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의 유지 관리를 수행한다. 관리 서버(20)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이 사용되지 않는 상태일 때, 램프 부재(140)를 온 시켜 수용 공간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 서버(20)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10)이 사용된 직 후, 설정 시간동안 램프 부재(140)가 온(ON) 상태가 되게 하여 살균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20: 관리 서버
30: 단말기 100: 하우징
101: 도어 110: 잠금 부재
120: 온도 조절 부재 130: 카메라
140: 램프 부재 150: 제어기

Claims (5)

  1. 내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6면체 구조로 제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전면에 위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잠기도록 하는 잠금 부재;
    상기 하우징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온도를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온도 조절 부재; 및
    상기 잠금 부재 및 상기 온도 조절 부재를 제어하고,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면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 하면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 양측은 개방된 구조로 제공되고, 탈착 가능한 격벽에 의해 차폐되되, 상기 격벽은 스마트 글라스로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격벽과 체결되는 부분에 상기 격벽에 전력 공급을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연결부를 제어하여, 상기 격벽의 상태를 조절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펠티어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 일 측에 위치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송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게 제공되는 램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5.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과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으로 제어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은,
    내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6면체 구조로 제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전면에 위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잠기도록 하는 잠금 부재;
    상기 하우징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온도를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온도 조절 부재; 및
    상기 잠금 부재 및 상기 온도 조절 부재를 제어하고, 관리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면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 하면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 양측은 개방된 구조로 제공되고, 탈착 가능한 격벽에 의해 차폐되되, 상기 격벽은 스마트 글라스로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격벽과 체결되는 부분에 상기 격벽에 전력 공급을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연결부를 제어하여, 상기 격벽의 상태를 조절하는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
KR1020190056605A 2019-05-14 2019-05-14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 KR102289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605A KR102289046B1 (ko) 2019-05-14 2019-05-14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605A KR102289046B1 (ko) 2019-05-14 2019-05-14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690A KR20200131690A (ko) 2020-11-24
KR102289046B1 true KR102289046B1 (ko) 2021-08-11

Family

ID=7367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605A KR102289046B1 (ko) 2019-05-14 2019-05-14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0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945B1 (ko) 2015-04-02 2015-10-15 (주)넥스트글라스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KR101922697B1 (ko) * 2018-05-10 2018-11-27 김상길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 및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00B1 (ko) * 2005-10-31 2007-10-26 계룡과학주식회사 원숭이용 케이지
KR200481790Y1 (ko) * 2015-03-16 2016-11-10 주식회사 페트롬 반려동물 하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945B1 (ko) 2015-04-02 2015-10-15 (주)넥스트글라스 스마트 글라스 내장형 조립식 벽체
KR101922697B1 (ko) * 2018-05-10 2018-11-27 김상길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 및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690A (ko)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910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try control
AU2020204422B2 (en) Door locks and assemblies for use in wireless guest engagement systems
ES2836196T3 (es) Administración de visitante móvil
JP6552195B2 (ja) 指向性アンテナおよび無線トークンを用いて構造物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8028009A (zh) 利用声学存在验证的远程警报静音
KR20220058376A (ko) 스마트 빌딩 통합 및 디바이스 허브
US20070293208A1 (en) Wireles switching control system for building automation, lighting, security and appliances
US10395021B2 (en) Security and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ata collection and messaging over a dynamic mesh network with multiple protocols
US20130014219A1 (en) Mesh network security system gateway and method
CN105612564A (zh) 门铃通信系统和方法
CN105264827A (zh) 用于网络计算的便携式平台
ES2899433T3 (es) Método para abrir de manera selectiva una segunda cerradura desde una primera cerradura usando comunicaciones de corto alcance (SRC)
US20200059774A1 (en) Wireless guest engagement system
ES2846849T3 (es) Emparejamiento temporal de un dispositivo móvil con un dispositivo periférico
US10072454B1 (en) Lockable enclosure an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8476239A (zh) 关于可由可磁性互连的电子设备构建的混合电子设备的自动通知
US115467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ce sensing reporting
KR102289046B1 (ko) 스마트 반려동물 보관함 및 반려동물 보관 시스템
JP2007247254A (ja) 施錠管理システムおよび施錠管理方法
US202201301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mises access control
WO2019243316A1 (en) Remote lock unlocking
JP6826405B2 (ja) 自動ドア制御装置
CN205754391U (zh) 智能家庭云中心主机
JP6679766B1 (ja) 住宅利用支援システムおよび住宅利用支援方法
KR20220168085A (ko)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