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085A -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085A
KR20220168085A KR1020210077663A KR20210077663A KR20220168085A KR 20220168085 A KR20220168085 A KR 20220168085A KR 1020210077663 A KR1020210077663 A KR 1020210077663A KR 20210077663 A KR20210077663 A KR 20210077663A KR 20220168085 A KR20220168085 A KR 20220168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tp
user
locking device
modu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현
Original Assignee
김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현 filed Critical 김남현
Priority to KR102021007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085A/ko
Priority to PCT/KR2022/008434 priority patent/WO2022265370A1/ko
Publication of KR2022016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1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system having a variable access-code, e.g. varied as a function of ti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TP(One Time Password)를 활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OTP 잠금장치는 OTP생성부, 제어부, 잠금부 등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상기 OTP 잠금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서비스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에는 상기 잠금장치에 저장된 '비밀키와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함수'가 동일하게 설치되어 OTP 상기 잠금장치와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기간동안만 유효한 OTP를 생성하는 서버OTP생성부, 서버 제어부, DB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OTP장치와 상기 단말기, 상기 애플리케이션, 상기 서버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특정 장소(집, 사무실, 주차장 등) 또는 특정 기기(자동차, 전동킥보드, 자전거 등)의 소유자는 불특정 제3자에게 자신이 사용하고 있지 않은 장소 또는 기기를 공유하며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불특정 제3자, 즉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하지 않은 장소와 기기에 보다 쉽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잠금장치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상기 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을 통해 상기 소유자 및 사용자 상기 에게 높은 수준의 편리성과 공유성, 보안성, 경제성을 제공하는 방법 또한 개시한다.

Description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Locking de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one-time password}
본 발명은 OTP를 이용한 잠금장치(이하 OTP잠금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OTP 잠금장치' 및 '인터넷에 상호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는 특정기간동안 사용가능한 일회용패스워드를 동일시간에 상기 OTP잠금장치와 동일하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와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를 이용하여, 상기 OTP 잠금장치를 단일 사용자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인터넷 결제를 비롯한 인터넷 뱅킹 등을 이용시 인증 수단으로써 사용되었던 보안카드는 해당 카드의 일련번호 및 1~30여개의 순차적 리스트에 4자리 숫자 암호가 기록되어 있는 형태로 제공되었다. 이는 복사가 매우 용이했고 사용자가 한번 사용한 번호가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혹은 온라인 상에서 해킹됨으로써 실제 사용자외 다른 사용자에 의해 악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단점이 있었다. 사용자 단말기가 온라인상에서 해킹되는 위험 뿐만 아니라 보안카드 그 자체가 사용자 또는 제 3자에 의해 복사, 스캔, 촬영되어 제 3자에게 노출될 위험도 매우 컸다.
이러한 보안카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미국의 벨통신 연구소에서 일회용 인증번호 생성기라는 의미의 OTP(One Time Password) 기기가 고안되었다. 이 OTP 생성기는 비밀키와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함수를 이용해 고정된 인증번호 대신 무작위로 생성되는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증방식의 기기이다. OTP의 장점은 사용할 때마다 매번 인증번호가 변경되기 때문에 현재의 인증번호로부터 다음번 인증번호의 유추가 수학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n번째 생성, 인증기간 동안 사용한 인증번호를 해커가 입수했다 하더라도 상기 인증번호를 n+m 번째 생성, 인증기간에 재사용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된다(n과 m은 자연수).
이와 같이 보안카드에 이어 OTP가 등장하게 된 이유는 인터넷의 폭발적인 보급이라고 할 수 있다. OTP 원리의 핵심은 OTP단말기와 목적하는 서비스가 동기화되어 특정시간에 생성된 인증번호로 짧은 기간동안 유효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거래하는 은행에서 예금 이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은행의 서버에는 '사용자 OTP 단말기에 저장된 비밀키와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함수'와 동일한 암호함수가 내장되어 있어야 하고 이를 통해 인증번호를 생성하며 이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모듈(혹은 서버)을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을 통해 은행의 서버는 사용자 OTP단말기와 동일시간 내에서 특정 기간내에만 사용이 가능한 인증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OTP와 동일한지 비교, 검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한다. 물론, OTP의 이름이 갖는 의미처럼 해당 인증번호는 매 특정 기간이 지난 후엔 항상 다른 번호를 생성해야 한다. 또한 위 과정이 사용자의 눈과 손 등과 같은 수단이 아닌 통신수단을 이용할 때는 상기 생성된 OTP는 암호화되어 전송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OTP의 기능이 각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변형되어 응용되어 지고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휴대 전화기와 같은 단말기에 탑재된 OTP 애플리케이션은 설치과정에서 해당 단말기를 특정해 서버에 인증한 후 단말기의 보안영역에 설치된다. 이후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OTP번호를 요청하되 굳이 사용자에게 해당 숫자를 보여주지 않고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사용자가 OTP를 직접보고 입력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생락하기도 한다. 또 다른 예로 디지털도어락에 OTP가 도입기도 하였다. 일반적인 디지털도어락은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바꿔주지 않은 한, 매번 동일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출입을 하는 데 이 과정에서 해당 비밀번호가 쉽게 노출되어 범죄로 이어지는 경우도 상당 수 존재해 왔다. 이러한 기존 디지털 도어락의 비밀번호 인증방식에 OTP가 도입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OTP번호를 확인하여 이를 입력 후 출입을 하거나, 디지털도어락에 표시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기 설정한 위치에 생성된 번호를 비밀번호로 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후자방식의 도어락에 대한 약간의 설명을 덧붙이면, 특정 시간에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할 경우, 앞서 언급한 디지털 도어락의 표시부에는 OTP원리에 기반한 22343671이라는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기 설정한 위치가 첫번째, 세번째, 네번째, 여덟번째 였다면,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비밀번호는 2341이 되는 원리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OTP 기술을 활용한 기존 잠금장치들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거주하는 공간에서만 그 사용의 효용이 있고 사용자의 거주지가 아닌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공유, 대여하여 사용하는 공간이나, 전동킥보드, 자전거와 같이 이동하는 기기들을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공유, 대여하는 시스템에 적합한 잠금장치가 되지는 못하였다. 한편,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공유, 대여하여 활용하는 공간 혹은 이동기기에는 상기에 언급한 OTP기술이 아닌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장비를 갖춘 값비싼 잠금장치(전자적, 또는 물리적 잠금장치)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잠금장치가 전동킥보드, 자전거와 같은 이동기기에 사용될 경우에는 매월 통신비를 지출해야 하는 부담이 따르기도 한다. 또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공유, 대여하고자 하는 공간이나 기기의 잠금장치를 페어링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과정을 단순화하면 보안 수준이 매우 낮아져 해킹의 위험이 따르고, 이 과정이 복잡하면 사용자가 쉽게 사용하기 어렵거나 페어링 자체가 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중요한 일정에 상기 공유, 대여하고자 하는 공간이나 기기의 잠금장치를 해정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부담으로 인해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의 보안성 또는 공유성을 갖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자물쇠와 같은 물리적 잠금장치를 사용하거나 비밀번호 자체를 공유하는 방식도 사용되어지고 있다.
등록번호 10-1814719 (등록일자 2017년12월27일) 이동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는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잠금장치가 사용된 공간 또는 기기를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편리하게 공유, 대여를 하면서 높은 수준의 공유성, 보안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잠금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본 발명과 유사한 수준의 편리성, 공유성, 보안성을 갖는 잠금장치 대비 생산적인 측면과 서비스 유지비용적인 측면에서 비용을 낮춤으로써 경제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산업적 이용 가능성)
또한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와 같이 대여, 공유 가능한 전동식 이동기기의 사용자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비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대여, 공유하면서 분실없이 이동식 기기와 함께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금장치의 배터리, 전원, 데이터저장 등을 관리하는 관리모듈,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 및 인증하는 일회용 패스워드 모듈, 상기 일회용 패스워드 모듈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출력하고, 서버 또는 애플리케션과 같은 외부의 기기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모듈, 잠금 장치 기능의 주요부분이라 할 수 있는 잠금모듈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잠금장치를 해결 수단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의 식별번호를 구축하고 있으며, 상기 장금장치의 상기 잠금장치에 저장된 '비밀키와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함수'가 동일하게 설치되어 상기 잠금장치와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기간동안만 유효한 OTP를 생성 및 인증하는 서버측 일회용 패스워드 모듈, 상기 서버와 통신으로 접속 가능한 단말기, 상기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측에 전송하고, 서버측으로 부터 데이터를 받아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기 위한 서버측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한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잠금장치 사용 내역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 상기 데이터들을 통해 사용자를 관리하고 인증, 결제를 수행해내는 특징을 가진 OTP장금장치 시스템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의 출입 또는 기기의 활용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잠금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잠금장치와 수학적으로 동기화된 OTP 생성부를 갖는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결제수단을 저장하고 인증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공간의 출입구 또는 기기에 설치된 OTP 잠금장치의 식별번호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상기 식별번호를 상기 서버가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서버에서 생성된 OTP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서버측 OTP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OTP를 사용자가 상기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의 입력수단을 이용해 상기 잠금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OTP를 상기 잠금장치가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모듈이 해정되는 단계 및 제1 결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잠금장치 제어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모듈은 상기 잠금장치내에 포함되어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추가되는 과정으로, 상기 해정과정을 거친 후 사용자가 대여, 사용한 자산(공간 또는 기기)을 반납하기 위해 상기 잠금모듈을 괘정하는 단계, 상기 괘정 단계 시 상기 OTP 잠금장치 메인 모듈에서 생성된 OTP가 상기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의 출력부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출력된 OTP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고 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OTP와 상기 서버에서 생성한 OTP를 비교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자산(공간 또는 기기)의 반납을 승인하며, 사용시간을 계산하고 비용을 청구, 결제하는 제2 결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잠금장치 제어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OTP 잠금장치 시스템과 전자적으로 연동된 안전장비 보관부, 상기 안전장비 보관부 내 헬멧, 상기 안전장비 보관부의 잠금장치, 상기 안전장비 보관부 내 헬멧이 존재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단으로써의 감지 밴드, 헬멧을 소독하기 위한 UV 램프, 환기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비 잠금장치 및 그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잠금장치가 인터넷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OTP 잠금장치가 사용된 공간 또는 기기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유, 대여가 가능하며 높은 수준의 편리성과 공유성,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본 발명과 유사한 수준의 편리성과 공유성, 보안성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인 잠금장치 및 시스템에 비해 잠금 장치의 제조 단가가 낮아지고 매월 통신비용을 부담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 및 시스템의 유지비용도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블루투스로 연동되는 시스템에 비해 높은 수준의 편리성과 공유성, 안정성, 보안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체증이 상시로 존재하는 도심에서, 전동킥보드를 공유하는 사업이 상당히 각광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헬멧과 같은 안전장비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공유하면서 분실없이 제공하기 어려웠던 문제 및 위생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TP 잠금장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TP 잠금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 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 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OTP 잠금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5의 전동킥보드에 본 발명에 따른 OTP 잠금장치가 설치된 예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메인모듈이 전동킥보드의 핸들 측에 설치된 예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잠금모듈이 전동킥보드의 바퀴측에 설치된 예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잠금모듈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잠금모듈을 일측에서 투시한 투상도1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자물쇠부를 일측에서 투시한 투상도2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잠금모듈을 일측에서 투시한 투상도3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잠금모듈이 도8에서 처럼 전동킥보드의 바퀴 측에서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면을 투시한 투상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잠금모듈을 일측에서 투시한 투상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잠금모듈이 도13에서 처럼 전동킥보드의 바 퀴측에서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면을 투시한 투상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잠금모듈을 일측에서 바라본 상태도1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잠금모듈을 일측에서 바라본 상태도2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OTP 잠금장치의 잠금모듈이 도13에서 처럼 전동킥보드의 뒷바퀴측에서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면을 투시한 투상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OTP 잠금장치의 메인모듈을 도시한 예시도1 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도시한 도면1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OTP 잠금장치의 메인모듈의 예시도2 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도시한 도면2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OTP 잠금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보관함이 전동킥보드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보관함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보관함의 제1 부을 도시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보관함의 제1 부에 헬멧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헬멧보관밴드의 일측면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보관함의 제1 부에 헬멧이 보관된 상태에서의 헬멧보관밴드의 일측면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1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보관함의 제1 부에 헬멧이 보관된 상태에서의 헬멧보관밴드의 일측면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2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보관함의 잠금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1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보관함의 잠금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2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보관함의 잠금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3이다.
도 33은 상기 헬멧보관 제2 부의 일측에 1회용 헬멧 시트함을 구비하고 이에 1회용 헬멧 시트가 복수장 적층되어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1회용 헬멧 시트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OTP 잠금장치가 설치된 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유자라고 함은 집, 상가, 연습실, 주차장 등의 공간 및 자동차, (전동)자전거, (전동)킥보드, 오토바이 등 이동 기기 등의 자산을 소유한 사람을 일컫는다. 사용자는 타인의 상기 자산들을 일정 금액을 지불하거나 사용에 따른 반대급부(시간당 특정 일을 수행)를 지급하면서 이용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소유자는 자신이 소유한 자산을 그 스스로 이용할 수도 있고, 타 소유자의 자산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될 수도 있다. 물론 대다수의 사용자는 자산의 등록없이, 등록된 타인의 자산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일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유자의 자산들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을 위주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것처럼 소유자 또한 본원 발명의 잠금장치 및 시스템을 적용한 자신의 자산을 이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와 유사하거나 보다 간소화된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공유경제라 일컫는 시장에서 특히 숙박시설,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먼저 전동킥보드를 위주로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 공유 숙박시설과 관련된 실시예를 후술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도면의 순서는 무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OTP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인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과정에서는 OTP 잠금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에 관한 도면인 도 23를 함께 참고하는 것이 훨씬 더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OTP잠금장치의 각 구성의 리스트만을 인지하는 것보다 각 구성부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이어지는 지 이해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부인 OTP잠금장치 메인부(1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모두 같은 도면부호인 100을 사용할 것이다. 이는 상기 OTP잠금장치 메인부(100)와 함께 OTP잠금장치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잠금모듈이 각 실시예에서 200, 700, 800, 900 로 달라진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잠금모듈이 906과 908의 조합으로 표현된 것과 비교하면 그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장 주요한 부분은 OTP 잠금장치 메인부(100)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S100, S10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혼동하지 않게 하기 위함일 뿐 각 용어가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작동 순서 등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에 결합, 연결, 접속된다는 표현은 그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 결합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중요한 요소들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발명의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부차적인 다른 구성요소가 생략되었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TP 잠금장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TP 잠금장치 시스템은 전동킥보드(500)와 같은 이동기기 또는 공유 숙박시설의 출입구(600)에 설치 될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100)와 잠금부(200, 700),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100)와 통신 등의 수단으로 직접 연결되지는 않지만 상기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에 저장된 '비밀키와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함수'가 동일하게 설치되어 상기 잠금장치와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기간동안만 유효한 OTP를 생성하고 인증하는 모듈이 포함된 서버(400), 그리고 상기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100)에서 생성된 OTP를 상기 서버측에 전송하기 위한 입력수단 또는 상기 서버(400) 측에서 전송받은 OTP를 상기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100)에 입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될 수단으로써의 애플리케이션(331)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331)에 표시된(서버측으로 부터 전달받은) OTP를 사용자의 눈(20)과 같은 수단을 통해 확인하고, OTP잠금장치의 메인모듈에 존재하는 입력장치를 사용자의 손(30)과 같은 수단으로 눌러 입력을 하거나(해정과정), 사용자의 눈(20)과 같은 수단을 통해 OTP잠금장치의 메인모듈에 생성된 OTP 를 확인하고 손(30)과 같은 수단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331)에 입력한 후 서버측으로 전송할 할 수 있다(괘정과정). 이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서버(400)는 인터넷으로 상호 연결되어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OTP 잠금장치의 메인모듈(100)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50)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통신 모듈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예컨대 블루투스, 와이파이(WIPI), ZIGBEE, RFI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50)을 활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유니캐스트 방식(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에 자신의 MAC 주소와 목적지의 MAC 주소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식)의 통신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TP 잠금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OTP잠금장치는 타이머부(112)와 OTP생성부(114), OTP제어부(116) 등으로 구성된 OTP모듈(110), 자물쇠부(202)와 고정부(206), 열쇠부(214)로 구성된 잠금모듈(200), 입력부(132)와 출력부(134), 통신부(136) 등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모듈(130), 그리고 배터리부(142)와 전원제어부(144), 외부전력연결부(146), 저장부(148) 등으로 구성된 관리모듈(140) 및 고유번호표시부(104), 메인모듈 고정부(10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유번호표시부(104)는 QR코드, NFC 등의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와 서비스서버(400)의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331)이 최소한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한다면 도 3의 인터페이스모듈(330)만으로도 본 발명의 시스템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애플리케이션(331)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부로써 입력장치, 출력장치, 통신장치로만 활용될 수도 있으나, 근래의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과 같이 고도화된 기기로 발전하였기 때문에 상기 서버(400)에서 수행하는 대다수의 기능을 어려움없이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고도화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하여금 상기 서버(4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도 3과 도4에 도시된 각각의 블록도는 동일하게 도시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300)와 서비스 서버(400)는 타이머부(312, 412)와 OTP생성부(314, 414), OTP제어부(316, 416) 등을 포함하는 OTP모듈(310, 410), 사용자관리부(322, 422)와 인증부(324, 424), 결제부(326,426)등으로 구성된 제어모듈(320, 420), 입력부(332, 432)와 출력부(334, 434), 통신부(336, 436) 등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모듈(330,430), 기기목록저장부(342, 442)와 사용자목록저장부(344, 444), 사용내역저장부(346, 446)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모듈(340, 4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300)와 서비스서버(400)가 분리된 상태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할 경우 상기 각 모듈과 각 부는 시스템 설계에 따라 최대의 효용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최소한의 기능, 즉 인터페이스 모듈의 역할만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331)을 설치하고 나머지는 모두 서비스 서버(400)에서 구현함으로써 모든 사용자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분석함으로써 추후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유리한 정책을 만들거나 결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책 및 결정에 있어서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었다면, 서비스서버(400)측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부 모듈 및 일부 부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OTP 잠금장치의 경우 기본적으로 도2와 같은 블록도에서 잠금모듈을 제외한 상태(OTP 잠금장치 메인모듈(100))으로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잠금모듈은 기존 잠금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전기적으로 전동킥보드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전동킥보드의 조향장치를 제어하거나, 전동킥보드의 동력생성부인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잠금모듈을 제외한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만으로도 OTP잠금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응용할 수 있는 기존 기술로는 단순 전원차단 스위치용 릴레이, 단극전자석, 양혹은 다극 전자석이 활용되어 질 수 있다.
OTP모듈(110)에서는 타이머부(112)의 시간과 내재된 수학적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OTP 생성부(114)가 특정 시간대에 동일한 기간동안만 유효한 OTP 번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OTP번호는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출력부(134)에 표시된다.
이제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을 함께 참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OTP잠금장치로 해정되거나 괘정되어 사용여부가 가려지는 자산의 사용자(1)은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331)을 통해 서버(400)에 접속한 후(S100), 사용하고자 하는 자산에 장착되어 있는 OTP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의 고유번호(104)를 확인(S102)한다. 이는 도 19에 잘 도시되어 있다(도 19에 도시된 OTP잠금장치 메인모듈(100)에는 고유번호(104), 출력부(134), 입력부(132)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유번호(104)를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한다(S104). 상기 입력된 고유번호(104)는 서버(400)측으로 전송되어진다(S106). 이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300)기의 애플리케이션(331)에는 도 20과 같이 출력되고 상기 고유번호(104)가 입력될 입력부(332), 상기 입력된 값을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버튼(334)이 마련되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서버(400)측에서는 상기 입력된 고유번호(104)가 서버(400)에 기 저장된 고유번호 리스트에 존재하는 비교한 후, 상기 고유번호(104)가 존재할 경우, 해당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100)과 동일한 암호기반으로 OTP를 생성(A)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상기 OTP를 전송한다(S108). 이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336), 상기 사용자(1)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처음 이용하는 경우, 서버(400)에서 OTP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기 전 결제수단을 입력, 저장, 인증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서버에서 OTP를 전송함과 동시에 제1차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1)는 상기 애플리케이션(331)을 통해 상기 OTP를 확인하고(S110), 이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30)의 입력부(132)를 통해 입력한다. 상기 사용자(1)가 입력한 OTP 번호는 특정 기간 내에 유효하다.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자가 입력을 완료하였다면(S112), 상기 유효 기간 내 상기 OTP모듈(110)의 상기 OTP 생성부(114)가 생성한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상기 OTP모듈(110)의 제어부(116)가 판단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입력한 OTP 값과 상기 OTP 생성부(114)에서 생성된 OTP가 동일할 경우 잠금모듈(200)의 자물쇠부(202)가 해정되어(B) 사용자는 상기 자산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S200).
상기 OTP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은 도 5에 도시된 일반적인 전동킥보드(500)의 핸들부(50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조향축(504)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잠금모듈(200)은 상기 전동킥보드(500)의 본체부(510)가 고정되는 뒷바퀴축(540)에 설치되어질 수 있다. 도 6은 상기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100) 및 상기 잠금모듈(200)이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는 도 7과 도8은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뒷바귀축(510)에 설치된 상기 잠금모듈(200)은 상기 전동킥보드(500)의 디스크브레이크(530)의 일부에 삽입되거나 빠지는 자물쇠부(202)에 의해 괘정 또는 해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 도 11, 도 12에는 상기 잠금모듈(20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잠금모듈(200)은 전원연결부(201),자물쇠부(202), 실린더부(204), 고정부(206), 걸쇠부(208), 걸쇠스프링부(210), 걸쇠홈부(212), 자물쇠스프링부(214), 열쇠부(216), 전동자부(217), 전자석부(218), 괘정센서부(219) 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잠금모듈(200)은 소유주가 가지고 있는 열쇠로 해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상기 S100~S120, B 과정을 거쳐 해정하여 상기 전동킥보드(500)를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상기 전동킥보드(500)가 사용이 불가할 정도로 전원이 소모되었거나 전기장치의 불량으로 상기 전동킥보드(500) 또는 상기 잠금모듈(200)의 해정과정이 작동되지 않는다면, 소유자는 열쇠를 통해 상기 전동킥보드(500)의 잠금모듈을(200) 해정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각 도면은 전통적인 제도법을 따르기보단,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보며 본 발명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수준내에서 도시되었다. 일례로 도 11과 도12에서 상단에 도시된 자물쇠부(202)는 그 아래 도시된 잠금장치(200)의 구서부중 자물쇠부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별도로 도시한 것임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전동킥보드(500)의 디스크브레이크(530)가 있고, 잠금모듈(200)이 상기 디스크브레이크(530)의 우측 일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작동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내용은 본원에 도시된 다른 내용과 마찬가지로 본원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조 또는 구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개별적인 사항들, 예를들어 잠금모듈과 같은 각 개별 모듈의 모든 구조, 구성의 상세 사항을 다루지는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잠금모듈(200)이 해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자물쇠부(202)가 실린더부(204)의 좌측 일면이 아닌 우측 일면에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걸쇠부(208)는 자물쇠부(202)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사용자가 손으로 손쉽게 눌러 괘정할 수 있다(S202). 사용자가 괘정을 하는 행위는 사용자가 대여한 자산, 여기서는 상기 전동킥보드(500)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이 도 23의 S202 단계이다. 이렇게 괘정된 상태가 도 12이다. 괘정시 상기 괘정센서부(219)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고 괘정되었다는 신호가 OTP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의 관리모듈(140)로 전달된다. 이후 상기 관리 모듈의 제어부(144)는 OTP 모듈(110)이 OTP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명령에 의해 OTP 모듈(110)의 OTP생성부(114)는 OTP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출력부(134)를 통해 상기 OTP를 출력한다(C).이 예시는 도 21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후 사용자(1)는 상기 출력된 OTP를 확인하고(S204) 사용자 단말기(300)의 애플리케이션(331)을 통해 상기 OTP를 입력하여(S206) 서버(400)측으로 전송한다(S208). 이 예시는 도2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버(400)는 상기 OTP가 전동된 시점에 OTP모듈(410)의 OTP생성부를 통해 OTP를 생성하고(상기 서버에서 OTP는 항상 생성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생성된 OTP와 상기 전송받은 OTP를 OTP제어부(416)을 통해 비교한다(D). 상기 비교 결과 상가 두 OTP가 일치하면 일치여부를 통지하면서 상기 자산의 이용에 따른 요금 과금을 중단하며(S216), 사용자(1)가 상기 자산을 사용한 시간동안의 요금을 계산하고, 이를 결제하여 통지함으로써 일련의 과정이 완료된다(S218). 이렇게 제2차 결제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제1차 결제가 생략되고 상기 제2차 결제 과정에 전체 비용을 청구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시간은 서버(400)측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사용자에게 OTP를 전송 시점부터 계산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자(1)가 상기 OTP를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에 입력하는 시간을 1분 이내로 잡고 이를 차감하는 등의 사항도 고려할만한다. 이렇게 계산된 시간은 약 F기간 동안이 될 것이다. 여기서 S102 과정에 제1차 결제가 이루어졌다면 해당부분을 제하고 사용요금이 계산되어져야 할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전송한 OTP와 서버측에서 특정기간 내에 생산한 OTP가 서로 다를 경우 OTP 불일치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210). 이 과정은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알람으로 통지함이 보다 바람직 할 것이다. 그후 서버(400)는 다시 사용자 단말기로 부터 OTP가 전송되기를 기다린다(E', S212). 상기 불일치 결과를 전송받은 사용자 단말기(300)는 해당 내용을 애플리케이션(331)에 출력한다.상기 사용자(1)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OTP 불일치 여부를 확인하고(E, S214) 상기 자물쇠부가 제대로 괘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생성된 OTP를 재확인하여 S204이하의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사용자(1)의 상기 자산 이용 요금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1)의 결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 이용요금을 회수하는 과정이 상당히 까다로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1)가 상기 자산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331)에 접속한 초기에 요금 결제 가능한 수단(예를들어 신용카드, 직불카드, 통장)이 제대로 설정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산, 즉 전동킥보드(500)의 소유자라면 상기 과정에서 결제관련 과정이 생략될 수 있고, 상기 소유자의 설정에 따라 잠금모듈을 괘정한 후 별도의 사후처리 없이 사용을 종료할 수도 있다. 또한 소유자가 상기 자산을 계속 사용해야할 상황이라면 다른 사용자의 OTP요청을 무시하거나 자산의 고유번호(104)를 입력할 경우 사용 불가한 자산임을 통지해 주거나, 더 나아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331)에 해당 자산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2와 같이 괘정된 상태에서 걸쇠부(208)은 걸쇠홈부(212)에 삽입되어져 열쇠나 전자적 신호로 해정을 하지 않는 이상 괘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괘정된 상태에서 소유자는 열쇠를 이용하여 해정할 수 있다. 또는 소유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S100~S120, B 과정을 거쳐 OTP잠금장치 메인모듈(100)로 부터 전자적 신호를 일으킴으로써, 전원연결부(201)를 통해 전자석부(218)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동자부(217)는 걸쇠부(208)를 자물쇠부(202)내부로 밀어내고 자물쇠 스프링부(2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자물쇠부(202)가 실린더부(204)의 우측면으로 돌출되게 이동함으로써 상기 잠금모듈(200)의 해정 과정이 전자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는 S202 단계에서 직접 자물쇠부(202)를 눌러 걸쇠부(208)가 걸쇠홈부(212)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괘정할 수도 있지만,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의 입력부(132)의 특정 버튼(예를 들어 * 버튼 또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자물쇠부(202)를 전자적인 힘으로 이동시켜 걸쇠부(208)를 걸쇠홈부(212)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괘정 과정이 전자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잠금모듈(200)이 괘정됨으로써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은 OTP 모듈로 OTP 생성을 요청하고 이를 출력부(134)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를 위해서 상기 자물쇠부(2020)에도 전동자부 및 전자석부가 구성되어야 한다.
도 13에는 해정된 상태에서 괘정된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물쇠부(202)가 이동하는 거리 L이 표기되어 있다. 도 13은 도 8을 뒷바퀴 방향에서 앞바퀴 방향을 바라보는 시점에서의 투영도이다. 도 13을 통해 상기 잠금모듈(200)이 상기 전동킥보드(500)에 어떻게 설치되어지는 지를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잠금모듈(800)의 또 다른 실시예 이다. 상기 잠금모듈(800)은 도 15에서 처럼 보다 튼튼하게 전동킥보드(500)의 뒷바퀴축(54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 설명한 잠금모듈(200)과 같이 전원연결부(810),자물쇠부(802), 실린더부(804), 고정부(806, 808)가 존재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잠금모듈(200)을 참고하면 걸쇠부, 걸쇠스프링부, 걸쇠홈부, 자물쇠스프링부, 열쇠부, 전동자부, 전자석부로 구성됨은 자명하다. 또한 잠금모듈(200)과 비교하면 괘정센서부(812, 814)가 약간 다르게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은 동일하다. 도 15를 통해 전동킥보드(500)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잠금모듈(800)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도 16처럼 보여질 것이다. 상기 잠금모듈(800)은 도 17에서와 같이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모듈은 또 다른 예로 도 18과 같이 구성된 잠금모듈(850)일 수도 있다. 상기 잠금모듈(850)은 외형적인 형태, 크기만 달라졌을 뿐 잠금모듈(200, 800)과 마찬가지로 자물쇠부(852) 및 고정부(858)를 포함한 구성은 거의 유사하다.
이렇게 애플리케이션(331)이 서버(400)측으로 받은 OTP를 입력부(132)에 입력되는 과정 및 출력부(134)에서 출력된 OTP를 애플리케이션(331)에 입력하여 서버(400)측으로 전송되는 과정은 통신부(136)을 통해 보다 간소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OTP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은 앞서 언급한 통신(50)하기 위한 수단을 갖춰야 하고 사전 동기화 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300)로 OTP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의 출력부(134)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단순히 화면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글자 또는 이미지와 같은 일반적인 방식일 수도 있지만 음파와 같은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이렇게 다양하게 출력될 수 있는 데이터는 앞서 언급한 통신(50)과는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들어 OTP잠금장치의 출력부(136)에 출력된 글자 또는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 만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331)에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대체할 수 있다. 이런 방식에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이 주로 이용된다. 음파의 경우엔 일측(예를들어 OTP잠금장치 메인모듈의 출력부(134))에서 라디오 웨이브(radio waves 는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진동수 3KHz부터 3THz까지의 전자기파) 혹은 그저 스피커에서 생성되는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출력부(134)는 화면, 소리, 진동, 전파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OTP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의 출력부(136)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OTP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의 입력부(132) 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 또한 화면, 소리, 진동, 전파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렇게 공유 자산의 사용 과정 전반을 이해하고 시스템을 구성하게 될 경우 해당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 부품의 간소화, 또는 보다 저렴하고 단순한 부품을 사용하여 해당 시스템이 요구하는 수준의 보안성과 편리성을 구현해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단기간 사용자가 아닌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일정을 미리 입력하여 장기간 대여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S100~S120, B 과정을 거쳐 해정한 이후 최종 반납시기 까지 자신이 설정한 비밀번호로 해당 공유 장소, 기기 등의 자산을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을 별도로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S100단계에서, 서버(400)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인증 단계 (S101)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의 아이디와 암호가 암호화된 토큰으로 사용자 단말기 및 서버에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토큰은 그 내부 정보(아이디, 암호 등)를 알 수는 없지만 이를 이동통신 데이터가 전송되는 중간에 해커가 탈취할 경우 로그인 및 결제에 상기 암호화된 토큰을 악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 인증단계(S101)에서 생성된 암호화된 토큰으로는 그저 사용자 단말기(300)가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331)에 접속만 가능하고 주요한 사용자 정보 변경은 반드시 이메일, SMS 등 2차 인증을 받은 후에 가능하게 하도록 제약을 걸 수 있다. 또한 결제과정은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100)로 부터 얻은 OTP가 서버에 입력된 후부터 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결제시 상기 암호화된 토큰과 함께 상기 OTP가 반드시 입력되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보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S100 단계부터 S218 단계에 이르기까지 간헐적으로 또는 OTP 데이터를 입력, 전송, 수신, 출력하는 과정에서, 또는 전체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에 GPS가 설치되고 운행내역이 기록되어, 해당 운행기록 내용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서비스서버(4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때 현재 사용자가 해당 공유자산의 n번째 사용자일 경우, n번째 사용자의 데이터와 별도로 n-1번째 사용자의 GPS 기록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서버(400)는 n-1번째 사용자의 사용 당시 기록과 상기 n번째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n-1번째 사용자 기록을 비교하여 기존 데이터의 오차율을 보정하거나, 운행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유, 대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소 등을 선정하여 보다 나은 대여, 공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보관함(900)이 전동킥보드(500)의 조향축(504)에 고정되어 있는 도면이다. 상기 헬멧보관함(900)은 도 25에 보다 상세하게 되어 있다. 상기 헬멧보관함(900)은 헬멧보관 제1 부(902), 헬멧보관 제2 부(904), 잠금 제1 부(906), 잠금 제2 부(908), 전기연결부(910), 상부거치부(912, 914), 하부거치부(916), 헬멧보관밴드(920) 및 조향축고정부(922) 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6에는 헬멧보관 제1 부(902)가 별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잠금 제1 부(906) 및 헬멧보관밴드(920)의 대략적인 구성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제1 부(906)는 상기 헬멧보관 제1 부(902)와 상기 헬멧보관 제2 부(904)가 결합되어 닫힐 경우,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잠금 제2 부(908)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누르거나 약간의 압력을 가해 상기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전동킥보드(500)의 사용을 완료하고 반납한 상태라면 상기 잠금 제1 부(906)과 상기 잠금 제2 부(908)은 괘정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도 30, 도 31, 도 32를 참고로 하여 아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사용자(1)는 상기 전동킥보드를 반납하기 전 먼저 헬멧(950)을 상기 헬멧보관함에 넣어야 한다. 사용자가 헬멧보관함(900)의 헬멧보관 제1 부(902)에 헬멧을 넣을 경우, 헬멧보관밴드(920)는 도 27, 도 28, 도 29와 같이 작동되어 질 수 있다. 상기 헬멧보관밴드(920)는 양측 끝단이 상기 헬멧보관 제1 부(902)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도 27에는 상기 헬멧보관 제1 부(902)에 도시된 헬멧보관밴드(920)의 일측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헬멧보관밴드(920)는 그 일측면에 탄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된 탄성부(924), 상기 탄성부(924)에 부착된 상태로 헬멧보관밴드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노드연결부(926), 상기 헬멧보관밴드에 어떤 하중도 걸리지 않았을 경우 상기 노드 연결부(926)가 상시로 부착되어지는 자성부(930), 상기 헬멧보관밴드에 헬멧(950)이 보관됨으로써 하중이 걸릴 경우 상기 노드 연결부가 부착되어지는 노드부(926, 928)로 구성되어져, 헬멧보관함(900)에 헬멧(950)이 보관되어 있는 지 여부를 어렵지 않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헬멧보관밴드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헬멧보관밴드(920) 및 탄성부(924), 노드 연결부(926), 자성부(930)는 모두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일체형 제작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헬멧보관 제1 부(902) 또는 헬멧보관 제2 부(904) 일측 혹은 양측에 소독기능이 있는 UV 램프를 구성으로 추가하고, 헬멧보관 제1부 또는 제2부에 환기구를 마련함으로써 대여, 공유되었던 헬멧을 소독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환기구는 헬멧보관함에 환기장치를 구비하거나 하방으로 뚫린 구멍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멧보관 제1 부 또는 제2 부는 투명소재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사용을 완료한 후 사용자 단말기(500)를 통해 헬멧보관함(900)과 함께 전동킥보드(500)전체를 촬영하여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헬멧(950)의 분실을 보다 줄이는 방법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부(930)의 역할은 자성부(930)가 끌어당기는 힘과 유사한 수준의 당김힘이 있는 탄성체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는 탄성을 갖는 모든 물체를 의미한다.
도 30과 도 31, 도 32는 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보관부의 잠금 모듈(906, 908)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모듈은 크게 잠금 제1 부(906)와 잠금 제2 부(908)로 이루어져 있고, 각 부에는 자물쇠부(960), 상기 자물쇠부가 이동할 수 있는 실린더부(961), 상기 자물쇠부 내의 걸쇠부(962) 및 걸쇠 스프링부(964), 상기 걸쇠가 삽입되어지는 걸쇠홈부(966) 및 전기연결부(910), 전자석부(972), 전동자부(970), 전동자스프링부(974), 괘정센서부(976)가 구성요소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쇠부(962)가 걸쇠홈부(966)에 삽입된 상태가 괘정된 상태이다. 이렇게 괘정된 상태에서, 전기연결부(910)로부터 전자석부(972)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동자부(970)는 상기 걸쇠부를 자물쇠부(960) 내부로 밀어내고, 자물쇠 스프링부(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자물쇠부(960)가 실린더부(961)의 좌측(도 30, 31, 32 기준)으로 이동함으로써 잠금모듈(906, 908)은 해정된다. 이후 사용자는 잠금모듈이 괘정하고 있던 헬멧보관함(900)에서 헬멧(950)을 꺼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을 완료한 후 사용자는 직접 자물쇠부(960)을 우측(도 30, 31, 32 기준)으로 밀어넣어 걸쇠부(962)가 걸쇠홈부(966)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헬멧보관부의 잠금모듈(906, 908)을 괘정시킬 수 있다. 또한, OTP 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의 입력부(132)의 특정 버튼(예를 들어 * 버튼 또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자물쇠부(960)를 전자적으로 이동시켜 걸쇠부(962)가 걸쇠홈부(966)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잠금모듈(906, 908)을 괘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잠금모듈(906, 908)이 괘정되면 상기 괘정센서부(976)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고, 괘정되었다는 신호가 OTP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의 관리모듈(140)로 전달되면, 상기 관리 모듈의 제어부(144)는 OTP 모듈(110)이 OTP를 생성하도록 명령하거나, 잠금모듈(200)에서의 괘정 신호를 기다린 후 상기 잠금모듈(200)로 부터 괘정신호가 도착하면 OTP 생성을 명령한다. 상기 명령에 의해 OTP 모듈(110)의 OTP생성부(114)는 OTP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출력부(134)를 통해 상기 OTP를 출력한다(C).이 예시는 도 21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906, 908) 전자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자물쇠부(960)에도 전동자부 및 전자석부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잠금모듈(200)의 실시예와 매우 비슷하다. 즉, 상기 헬멧보관함의 잠금모듈(906, 908) 또한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인 것이다. 이렇게 OTP잠금장치 메인모듈에는 한개 이상의 잠금모듈이 함께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각각 사람이 손으로 괘정할 수도 있지만, 각각 OTP잠금장치 메인모듈(100)의 입력부(132)를 통해 혹은 상기 메인모듈(100)과 통신(50)으로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애플리케이션(331)을 통해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괘정 및 해정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3은 상기 헬멧보관 제2 부(904)의 일측에 1회용 헬멧 시트함(980)에 1회용 헬멧 시트(982)가 복수장 적층되어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OTP 잠금장치 및 시스템, 방법의 실시예에서 전동킥보드(500)를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황을 고려하였는데, 이렇게 다수의 사용자가 상기 전동킥보드(500)를 이용하면서 상기 헬멧(950)을 이용할 경우, 아무리 상기와 같이 소독 장치를 마련한다 할지라도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한 헬멧(950)을 다시 사용하는 것은 상당한 거부감을 생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헬멧보관함(900)은 사용자들의 이러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추가적으로 1회용 헬멧 시트(982)를 제공한다. 상기 1회용 헬멧 시트(982)는 사용자의 머리 상부와 상기 헬멧(950)의 내측면을 사이에 두고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1회용 헬멧 시트(982)는 한 장의 시트로 구성되지만 사용되는 과정, 즉 사용자 머리 상부와 상기 헬멧(950)의 사이에서는 상기 시트의 일부가 겹쳐지면서 사용자의 머리를 온전히 감싸는 구조가 될 수있도록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잎클로버, 혹은 한 잎의 중간이 제거된 형태의 네잎클로버와 비슷한 모양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1회용 헬멧시트(982)가 헬멧(950)에 잘 안착되게 하기 위해 상기 헬멧(950)에는 상기 1회용 헬멧시트(982)의 안착부가 마련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1회용 헬멧시트(982)의 일면을 헬멧에 끼우거나 고정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상기 1회용 헬멧시트(982)의 재질에 따라 벨크로(Hook And Loop Fastener, 일명 찍찍이)와 같은 부착부를 둘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헬멧시트함(980)에는 상기 적층되어 보관되어지는 상기 1회용 헬멧시트(982)를 사용자가 한장씩 빼갈 때 보관함에 남겨진 1회용 헬멧시트(982)들이 함께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시트보관함 내에서 상기 1회용 헬멧시트면과 수직된 방향에서 상기 적층된 1회용 헬멧시트를 내리누르는 구성부가 1개 이상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부는 상기 적층된 1회용 헬멧시트를 내리누르는 힘이 전달될 크기의 일면을 가지고 있으며,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내리누르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1회용 헬멧시트(982)는 헬멧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어질 수도 있고, 이를 위해 헬멧에 상기 헬멧시트함이 함께 구성되어질 수도 있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OTP 잠금장치가 설치된 출입문이 도시된 도면이다. OTP잠금장치 메인부(100)는 잠금모듈(700)과 손잡이부(702)와 함께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문(6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문에 설치된 OTP잠금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특별하게 다른 부분이 존재한다. 즉,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문이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이 최초 위치한 곳의 GPS 정보만 취득하면 사용자에게 GPS 정보를 요구할 필요가 없다. 또한 공유 숙박장소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앞선 실시예서 등장한 전동킥보드(500)와는 다르게 자신이 이용하는 동안에도 일반적으로 문이 닫힌 상태, 즉 출입할 경우를 제외한 거의 모든 상황에서 잠금모듈이 괘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공유숙박장소를 이용하게된 사용자는 반복적으로 문을 해정해야 하고, 이 상황에서 계속 OTP를 서버측에 요청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공유숙박장소를 사용 예약한 기간동안에 사용할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게 비밀번호 설정권한을 허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전동킥보드를 장기간 대여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옵션을 사용자에게 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사용을 중단, 기기를 반납하는 경우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간혹 도시한 상태가 도면을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될 경우엔 글로써 대체하기도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한 궤에서 벗어난 영역들에 대해선 해당 영역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내에서 번잡한 설명은 생략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단어가 의미하는 그대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유사한 수준의 다양한 실시예를 실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잠금장치가 인터넷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OTP 잠금장치가 사용된 공간 또는 기기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유, 대여가 가능하며 높은 수준의 편리성과 공유성,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본 발명과 유사한 수준의 편리성과 공유성, 보안성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인 잠금장치 및 시스템에 비해 잠금 장치의 제조 단가가 낮아지고 매월 통신비용을 부담할 필요가 없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 및 시스템의 유지비용도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블루투스로 연동되는 시스템에 비해 높은 수준의 편리성과 공유성, 안정성, 보안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실제 산업상 이용 가치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체증이 상시로 존재하는 도심에서 전동킥보드를 공유하는 사업이 상당히 각광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헬멧과 같은 안전장비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공유하면서 분실없이 제공하기 어려웠던 문제 및 위생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기에 산업상 이용가치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 : 사용자
10 : 인터넷, 통신수단
20 : 사용자의 눈
30 : 사용자의 손
100 : OTP 잠금장치 메인부
200 : 잠금모듈(전동킥보드용)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서비스)서버
500 : 전동킥보드
600 : 출입문
700 : 잠금모듈(출입문용)
800 : 잠금모듈(전동킥보드용2)
900 : 잠금모듈(전동킥보드용3)
906, 908 : 잠금모듈(보관함용)

Claims (1)

  1. 공유 장소의 출입문 또는 공유 기기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관리 모듈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 모듈,
    외부의 기기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일회용 패스워드 입력부,
    상기 출입문을 괘정하거나 공유 기기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한 자물쇠부가 포함된 잠금모듈,
    상기 입력부로 부터 입력된 일회용 패스워드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가 일치할 경우 상기 잠금모듈의 자물쇠부를 해정하는 제어부,
    상기 해정된 잠금모듈의 자물쇠부가 괘정되면, 상기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표시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KR1020210077663A 2021-06-15 2021-06-15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20168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663A KR20220168085A (ko) 2021-06-15 2021-06-15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CT/KR2022/008434 WO2022265370A1 (ko) 2021-06-15 2022-06-14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663A KR20220168085A (ko) 2021-06-15 2021-06-15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85A true KR20220168085A (ko) 2022-12-22

Family

ID=8452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663A KR20220168085A (ko) 2021-06-15 2021-06-15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68085A (ko)
WO (1) WO20222653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719B1 (ko) 2016-11-01 2018-01-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345B1 (ko) * 2008-12-12 2011-1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전거 대여 관리를 위해 자전거에 탑재되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 및 자전거 대여 정보 관리 방법
KR101218707B1 (ko) * 2010-10-13 2013-01-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임대물용 otp인증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8347B1 (ko) * 2018-01-09 2020-05-29 (주)링크일렉트로닉스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102119528B1 (ko) * 2018-07-27 2020-06-05 세컨드 마이클 디쉐이져 전동 운송 수단,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KR102134921B1 (ko) * 2018-08-01 2020-07-16 주식회사 유무시티 공공자전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719B1 (ko) 2016-11-01 2018-01-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동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370A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89536B (zh) 用于冗余接入控制的锁和方法
US100138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ndant access control systems based on mobile devices
TWI570315B (zh) 一種電子門鎖系統
US11663867B2 (en) Digital certificate and reservation
ES2209408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el encargo, la carga y la utilizacion de billetes de entrada.
US8797138B2 (en) One-time access for electronic locking devices
CN106394487B (zh) 虚拟钥匙的授权方法、服务器及授权系统
ES2326894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obtener el acceso a un objeto o a un servicio.
CN107967741A (zh) 双信道人证合一智能锁控制方法和系统
CN106652135A (zh) 基于云技术及二维码技术的门禁控制方法及其系统
CN103903319A (zh) 基于互联网动态授权的电子锁系统
US20160050191A1 (en) Intelligent delivery system
KR101554959B1 (ko) 고유키 상호교환으로 생성된 기간제 출입키를 이용한 방문자 출입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방법
US20180114384A1 (en) Cloud-based keyless access control system for housing facilities
KR20110038565A (ko) 생체인식 카드를 활용한 공용시설물에 대한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8712389A (zh) 一种智能锁系统
US20190087752A1 (en) Method for monitoring access to electronically controllable devices
CN109711945A (zh) 一种车辆共享方法及相关装置
JP2022093673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4636788B2 (ja)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ロッカーシステム及びそのロッカー扉解錠方法
EP2998940A1 (en) A method for hiring vehicles during a user-defined time frame, and a lock system for hiring of vehicles
KR20220168085A (ko)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1954958B2 (en) Access and use control system
KR20220168116A (ko)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6712365B1 (ja) 鍵開閉制御システムおよび鍵開閉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