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324B1 -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324B1
KR101558324B1 KR1020140016727A KR20140016727A KR101558324B1 KR 101558324 B1 KR101558324 B1 KR 101558324B1 KR 1020140016727 A KR1020140016727 A KR 1020140016727A KR 20140016727 A KR20140016727 A KR 20140016727A KR 101558324 B1 KR101558324 B1 KR 101558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ght
fare
segment
information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188A (ko
Inventor
김도균
김성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루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루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루메이트
Priority to US15/028,70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260183A1/en
Priority to PCT/KR2014/009089 priority patent/WO2015053502A1/ko
Publication of KR20150043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06Q10/025Coordination of plural reservations, e.g. plural trip segments, transportation combined with accommod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7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using item spec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소정의 마켓-상기 마켓은 출발도시와 목적도시의 쌍을 의미함-을 위한 목적 항공편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제공방법은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마켓에 상응하는 항공사의 라우트 맵-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항공사의 운임과 규정이 허용하는 상기 출발도시에서 목적도시까지의 경로들의 모음이며, 어느 하나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됨-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라우트 맵에 기초하여 제1선택 세그먼트-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는 어느 하나의 단일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연결된 단일 세그먼트들의 집합일 수 있음-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제1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제1결정항공편으로 결정하고,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나머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Method and system for heuristic airline searching}
본 발명은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권을 조회 및/또는 예약하고자 할 때, 항공권 예약을 위한 다양한 옵션(예를 들면 운임과 그에 따른 운임 규정, 이용 가능한 항공 스케줄, 좌석현황 정보 등)을 단계별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각 단계에서 선택 가능한 옵션을 자신의 기호 및 여행 계획을 감안하여 휴리스틱하게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항공권을 예약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공권은 그 속성상 사용하지 않으면 없어지는 가치이다. 때문에 항공사들은 어떻게 하면 고객들에게 비싼 돈을 지불하게 하면서도 좌석을 채울 수 있는가를 끊임없이 연구하고 그에 따라 매우 복잡한 가격구조로 항공권을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항공권의 복잡한 운임구조에 따라 동일한 항공편에 동일한 등급의 좌석을 이용하는 고객들 간에 비행기 안에서의 서비스는 조금의 차이도 없지만, 예약 또는 구매한 방식에 따라 많게는 5배 이상의 요금을 내는 경우도 있는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설령 고객의 항공권을 조회 및/또는 예약하는 업무를 위탁받아 대행하는 것이 직업인 자(예컨대, 여행사 직원)라 하더라도 항공권의 운임구조를 이해하고 효율적인 예약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오랜 기간의 교육과 업무 경험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복잡한 항공권의 운임 구조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직접 항공권을 예약하도록 하는 웹 서비스가 대두되어 널리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제공되는 웹 서비스는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를 만족할 수 있도록 복잡한 운임 구조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단순 왕복 위주의 서비스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항공권 조회(또는 예약)을 수행하는 웹 서비스의 형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운임 기초(fare driven)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은 종래의 운임 기초 방식에 의한 항공권 조회(예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여정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예컨대, 출발지, 목적지, 출발일 등)이 입력되면(S10),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은 조건에 해당하는 운임을 조회하고 조회된 운임 리스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한다(S11, S12).
사용자가 운임 리스트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S12), 서비스 시스템은 규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항공 스케줄(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항공편의 묶음)들 중 미리 선택해 놓은 몇 개의 스케줄에 대해서만 해당 운임으로 예약이 가능한지의 여부 또는 가능한 항공편 또는 좌석 여부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S13).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운임정보에 상응하는 항공편/좌석이 예약 가능한 것이면(S14), 이를 선택하여 예약을 할 수 있게 된다(S15).
여기서 모든 스케줄에 대해서 보여주지 않고 일부만을 보여주는 이유는 장거리 항공편 같은 경우 항공사에 따라서는 수 만개의 스케줄이 가능한 경우도 있는데 이를 모두 검색한다는 것은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고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운임 기초 방식에서 한 걸음 나아가 사용자의 조건 입력 이후에 한 번에 각 운임 리스트 별 스케줄과 좌석 예약 가능 여부를 보여주는 방식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운임 리스트를 기준으로 그 운임 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는 스케줄과 그 스케줄이 그 운임으로 예약 가능한지 보여준다는 점에서는 본질적으로 같은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운임 기초 방식은 매우 제한된 검색 결과만을 제공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대륙을 이동하는 장거리 항공권의 경우(예컨대 서울<->로마 항공권) 일반적으로 수십 개의 항공사가 수십 개의 운임에 따른 항공권을 팔고 있고 각각의 운임이 이용할 수 있는 스케줄은 경우에 따라서는 수만 개에 이른다. 또한 각각의 운임은 서로 다른 수백 개의 규정을 가지고 있고 이 규정을 모두 만족할 수 있어야 해당 스케줄에 해당 운임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모든 케이스를 다 검색해서 고객에게 보여준다는 것은 불가능 할 수밖에 없기에 제한된 운임 리스트, 제한된 스케줄, 제한된 규정만을 검색해서 단순한 여정의 항공권만을 판매할 수 있을 뿐이다.
또 하나의 종래의 항공권 조회(또는 예약) 방식은 스케줄 기초(schedule driven) 방식일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 기초 방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다.
도 2는 종래의 스케줄 기초 방식의 항공권 조회(예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여정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을 입력하면(S20), 서비스 시스템은 입력된 조건에 맞는 항공권을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스케줄 별로 예약 가능 여부(예컨대, 예약 가능 항공권/좌석, 가격 등)과 함께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S21). 사용자는 예약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S22), 예약 가능항공권이 있다면 해당 항공권을 선택하여 예약하는 방식이다(S23). 여기서 항공권 추출 알고리즘은 수많은 항공사별 운임과 그 규정, 가능한 스케줄, 각 항공편들의 좌석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선이라고 판단되는 제한된 개수의 항공권을 추출한다.
이처럼 스케줄 기초 방식의 경우에는 적어도 검색 범위의 제약 없이 알고리즘이 판단한 최선의 항공편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정답을 줄 수 있는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2003년에 공지된 선행기술(http://www.demarcken.org/carl/papers/ITA-software-travel-complexity/ITA-software-travel-complexity.pdf)에도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본 발명의 레퍼런스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중 일부 용어의 정의는 상기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선행기술에도 공지된 바와 같이 주어진 검색 조건하에 가장 이상적인(예컨대, 가장 저렴한) 항공권을 도출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조건에 따라 NP-hard 또는 EXPSPACE-hard problem임이 증명되어 있음). 이 것이 불가능한 이유는 항공권의 검색에는 고려해야 할 파라미터(예컨대, 경유지 및 경유지의 수, 항공사, 페어(fare), 페어 룰(fare rule), 페어 컴포넌트(fare component), PU(Priceable unit) 등)가 매우 많이 존재하며, 고려해야 할 파라미터가 하나 증가할 때마다 가능한 결과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스케줄 기초 방식은 해당 서비스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알고리즘에서 검색할 수 있는 근사치의 결과를 도출해줄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종래의 스케줄 기초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더 좋은 검색결과(예컨대, 더 저렴한 항공권 또는 더 경유지가 적은 항공권 등)가 존재할 가능성이 존재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가 신뢰성이 없을 수밖에 없다.
둘째, 개별 운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각 스케줄 별로 좌석현황을 반영한 최저 운임을 적용한 항공권 가격을 보여주기 때문에, 날짜를 바꾸거나 목적지 도시를 인근의 다른 도시로 변경하면 더 싸게 갈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정보 자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복수의 세그먼트들이 존재하는 항공권(예컨대, 다구간(multi segment) 항공권)을 검색하는 경우에 더욱 큰 문제점으로 대두된다. 즉, 복수 구간의 경우, 주어진 조건에 맞는 항공권을 검색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파라미터가 많아짐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검색시간이 많아지게 되므로, 어쩔 수 없이 일부 파라미터는 무시하거나 단순화하여 처리할 수밖에 없고, 그 결과 편도, 단거리, 또는 단순 왕복에 비해 형편없는 검색결과가 도출될 수밖에 없다. 즉, 스케줄 기초 방식은 서비스 시스템에서 모든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상기 서비스 시스템이 동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그리고 순수하게 상기 알고리즘에 의해, 결과가 도출되므로 고려해야 할 파라미터가 증가될 때마다 그 결과는 질적으로 매우 나빠질 수밖에 없게 된다.
결국, 종래의 항공권 조회 및/또는 예약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항공권을 조회 및/또는 예약하는 데에는 불편한 점이 있고, 이러한 불편함을 감수하고 항공권을 예약하더라도 더 좋은 검색결과가 존재할 확률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복수의 구간이 선택되어야 하는 항공권의 경우 매우 심각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항공권의 조회 및/또는 예약을 위한 방법 또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판단이 개입될 수 있도록 휴리스틱하게 항공권을 조회 및/또는 예약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휴리스틱한 방식 즉, 사용자가 항공권을 조회 및/또는 예약할 때 고려해야 할 일부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에서 고려해야 할 파라미터가 줄어들 수 있고, 이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검색시간이 줄어들 수 있어서 보다 양질의 검색결과(예컨대, 보다 저렴한 항공권)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항공권을 구성하는 운임과 규정, 스케줄을 자신의 의사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서, 단순히 주어진 항공권 리스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여정을 설계하는 수동적인 입장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여정을 설계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항공권을 조회 및/또는 예약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소정의 마켓-상기 마켓은 출발도시와 목적도시의 쌍을 의미함-을 위한 목적 항공편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마켓에 상응하는 항공사의 라우트 맵-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항공사의 운임과 규정이 허용하는 상기 출발도시에서 목적도시까지의 경로들의 모음이며, 어느 하나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됨-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라우트 맵에 기초하여 제1선택 세그먼트-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는 어느 하나의 단일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연결된 단일 세그먼트들의 집합일 수 있음-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제1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제1결정항공편으로 결정하고,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나머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연관 세그먼트-상기 연관 세그먼트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출발도시 또는 목적도시를 포함하거나,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세그먼트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라우트맵에 포함된 세그먼트로 정의함-에 상응하는 연관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상기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소정의 방식으로 추천 세그먼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추천 세그먼트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추천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 세그먼트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로 선택받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항공사가 운영하는 메리드 세그먼트(married segment)의 일부 세그먼트가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메리드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기준 출발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여유일 내에 출발하는 상기 제1항공편들 각각의 예약 가능한 부킹 클래스의 기초 운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제1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제1선택항공편에 대한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1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을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제1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제1선택항공편에 대한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선택항공편이 결정항공편으로 결정될 경우의 상기 목적 항공편에 상응하는 전체 운임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나머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나머지 세그먼트 중 제2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선택 세그먼트의 제2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제2결정항공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선택 세그먼트의 제2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대한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2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을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은,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제1결정항공편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이 포함되었을 때 적용될 수 있는 기초운임 및 규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경로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2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에 상응하는 기초운임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상응하는 기초운임을 비교하고, 더 높은 기초운임에 상응하는 운임규정을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경로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2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선택항공편의 일정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제2일정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의 규정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일정과 상기 제2일정에 부합하는 운임규정 중 최저 기초운임에 해당하는 운임규정을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결정항공편 또는 상기 제2결정항공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결정취소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결정취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결정항공편 또는 상기 제2결정항공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결정항공편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제2선택항공편이 상기 제1결정항공편과 서로 상응하지 않거나 상기 제2선택항공편과 상기 제1결정항공편의 사이가 일정 기간 이상이면 상기 단말기로 상응하는 노티스(notice)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제1결정항공편의 취소를 요청하는 취소요청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취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상기 제2결정항공편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결정항공편은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결정항공편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선택 세그먼트의 제2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대한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선택항공편이 결정항공편으로 결정될 경우의 상기 목적 항공편에 상응하는 전체 운임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 운임정보는,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조회요청시에 이미 결정된 결정항공편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출발도시에서 상기 목적 도시로의 경로 상에 기 결정된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정 현황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라우트 맵을 이용하여 도달할 수 있는 상기 마켓에 포함되지 않는 제2목적지 또는 상기 라우트 맵을 이용하여 출발할 수 있는 상기 마켓에 포함되지 않는 제2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목적지 또는 상기 제2출발지를 상기 제1목적지 또는 상기 제1출발지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출발도시, 상기 목적도시, 및 상기 경로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 각각이 지도 상에 매핑되어 디스플레이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소정의 마켓-상기 마켓은 출발도시와 목적도시의 쌍을 의미함-을 위한 목적 항공편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마켓에 상응하는 항공사의 라우트 맵-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항공사의 운임과 규정이 허용하는 상기 출발도시에서 목적도시까지의 경로들의 모음이며, 어느 하나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됨-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라우트 맵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 항공편에 포함될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적 항공편에 포함될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항공편의 선택되면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적용 운임규정 및 상기 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전체 운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된 상기 적용 운임규정과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은, 소정의 마켓-상기 마켓은 출발도시와 목적도시의 쌍을 의미함-을 위한 목적 항공편을 선택하기 위한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마켓에 상응하는 항공사의 라우트 맵-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항공사의 운임과 규정이 허용하는 상기 출발도시에서 목적도시까지의 경로들의 모음이며, 어느 하나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됨-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라우팅 모듈, 및 상기 라우트 맵에 기초하여 제1선택 세그먼트-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는 어느 하나의 단일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연결된 단일 세그먼트들의 집합일 수 있음-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제1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으며,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제1결정항공편으로 결정하고,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나머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결정하는 제어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연관 세그먼트-상기 연관 세그먼트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출발도시 또는 목적도시를 포함하거나,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세그먼트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라우트맵에 포함된 세그먼트로 정의함-에 상응하는 연관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기준 출발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여유일 내에 출발하는 상기 제1항공편들 각각의 예약 가능한 부킹 클래스의 기초 운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은, 상기 제1선택항공편에 대한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1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기 위한 운임규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운임규정모듈에 의해 판단된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이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은, 상기 제1선택항공편에 대한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선택항공편이 결정항공편으로 결정될 경우의 상기 목적 항공편에 상응하는 전체 운임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운임규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운임규정 모듈에 의해 판단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나머지 세그먼트 중 제2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선택 세그먼트의 제2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으며,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제2결정항공편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임규정 모듈은,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대한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2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운임규정 모듈에 의해 판단된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이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은,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제1결정항공편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이 포함되었을 때 적용될 기초운임 및 규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임규정 모듈은,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에 상응하는 기초운임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상응하는 기초운임을 비교하고, 더 높은 기초운임에 상응하는 운임규정을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임규정 모듈은, 상기 제1선택항공편의 일정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제2일정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의 규정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일정과 상기 제2일정에 부합하는 운임규정 중 최저 기초운임에 해당하는 운임규정을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결정항공편 또는 상기 제2결정항공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결정취소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결정취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결정항공편 또는 상기 제2결정항공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결정항공편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임규정 모듈은,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대한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선택항공편이 결정항공편으로 결정될 경우의 상기 목적 항공편에 상응하는 전체 운임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판단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선택받으며, 상기 전체 운임정보는,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조회요청시에 이미 결정된 결정항공편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출발도시에서 상기 목적 도시로의 경로 상에 기 결정된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정 현황 정보를 결정현황 UI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은, 상기 라우트 맵에 상응하는 도시 및 상기 경로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 각각을 지도 상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은, 소정의 마켓-상기 마켓은 출발도시와 목적도시의 쌍을 의미함-을 위한 목적 항공편을 선택하기 위한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켓에 상응하는 항공사의 라우트 맵-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항공사의 운임과 규정이 허용하는 상기 출발도시에서 목적도시까지의 경로들의 모음이며, 어느 하나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됨-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라우팅 모듈, 상기 라우트 맵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 항공편에 포함될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제어모듈, 및 운임규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항공편의 선택되면, 상기 운임규정 모듈에 의해 판단되는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적용 운임규정 및 상기 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전체 운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적용 운임규정과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항공편을 선택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항공권의 조회 및/또는 예약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많은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일부(예컨대, 항공사, 라우팅, 경유지 등)가 사용자에게 제공된 복합적인 정보(예컨대, 운임, 운임에 따른 규정, 라우트 맵 등)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기호 및 여행 계획에 맞도록 휴리스틱하게 사용자에 의해 직접 결정되므로, 항공권의 검색을 위해 시스템에서 고려되어야 할 파라미터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고려되어야 할 파라미터가 줄어듦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검색시간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많은 경우(또는 보다 복잡한 룰이 적용된)의 항공권의 검색이 가능해지므로 양질의 검색결과(예컨대, 보다 저렴한 항공권)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자는 단순히 정해진 항공권의 규정을 따를 수 밖에 없었던 수동적인 입장이었다고 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항공권을 구성하는 운임 및/또는 규정들을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에 따라 항공권의 일부 즉, 여정의 일부를 선택할 수 있어서, 능동적으로 여정을 설계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항공권을 조회 및/또는 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지도상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경로가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 됨에 따라, 다양한 여정의 설계가 직관적으로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히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에 상응하는 항공권의 검색결과를 일률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 또는 유사한 운임을 이용하면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여정(예컨대, 동일한 라우팅이 적용되는 다른 목적지 또는 다른 출발지를 이용한 여정)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체 여정의 항공편을 예약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운임과 규정의 변화 및 전체 여정의 항공권 가격의 변동을 단계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여정의 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요금 기초 방식에 의한 항공권 조회(예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스케줄 기초 방식의 항공권 조회(예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라우트 맵이 특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리스틱하게 항공권이 조회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제공방법에 따라 항공권이 조회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단말기(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으로 항공권을 조회하는 모든 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데스크 탑을 일 예로 도시하였지만 모바일 단말기, IPTV 등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족하다. 상기 단말기(200)는 예컨대, 항공권을 조회하고자 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여행사의 직원, 항공사의 직원 등 전문적으로 항공권을 조회할 수 있는 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항공권을 조회하고, 조회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항공권을 조회할 뿐만 아니라, 조회된 항공권 중 상기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된 항공권을 예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이라 함은, 단순히 항공권을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조회된 항공권을 예약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소정의 외부 시스템(3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시스템(300)은 항공권을 조회 및/또는 예약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외부 시스템(300)은 현재 항공권을 조회 및/또는 예약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신하는 ATPCO( Airline Tariff Publishing Company), OAG(the Official Airline Guides), GDS(Global Distribution System), 또는 항공사가 운영하는 항공사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 사이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중개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상기 외부 시스템(300)과 통신을 통해 원하는 조건의 항공권을 조회할 수 있다고 가정하며, 상기 항공권을 조회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구현 예는 매우 다양할 수 있고,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 실시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른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하는 일련의 여정을 위한 항공권을 조회 및/또는 예약하는데 특히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세그먼트라 함은, 단일 항공 쿠폰(single flight cuopon)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여정(journey)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항공 쿠폰이라 함은 탑승시에 항공사측에 제출하여야 하는 티켓의 적어도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A(도시)-B(도시)-C(도시)를 이동하는 여정이 존재할 경우, 단일 항공 쿠폰으로 A-B까지의 이동이 가능하다면, A-B가 하나의 세그먼트가 될 수 있다. 또한, 단일 항공 쿠폰으로 B-C의 이동이 가능하다면 B-C가 하나의 세그먼트가 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단일 항공 쿠폰으로 A-B-C의 연속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A-B-C가 하나의 세그먼트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세그먼트의 개념은 항공분야에서는 널리 이용되고 있는 개념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결국, 종래의 항공권 조회 및/또는 예약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적의 항공권을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이론상 불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스케줄은 고려하지 않은 채 요금(운임)을 특정해버리고 해당 운임에 가능한 항공권(항공편)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한다던지(fare driven 방식) 또는 시스템에서 알아서 스케줄에 적당한 항공권(최적의 항공권이 아닌)을 조회하여 제공하는 방식(schedule driven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 종래에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는 항공권 조회에 있어서 하나의 파라미터(예컨대, 경유지, 경유지의 수, 스탑오버(stop over), 요금의 범위, PU(Priceable Unit)의 종류 등, 운임규정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의 증가만으로 원하는 조회(검색)결과를 도출하는 데에는 기하급수적인 시간의 증가가 일어나서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여정을 위한 항공권(또는 항공편)을 조회 및/또는 예약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항공권(예컨대, 주어진 조건에 맞으면서 최저의 항공권)을 조회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파라미터의 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더더욱 조회의 결과는 나빠질 수밖에 없다. 즉, 어떠한 알고리즘을 이용하든지 간에 모든 가능한 해(solution)을 검색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가능한 해들 중 일부만을 검색하고 그 중에서 가장 나은 검색결만을 제공할 수밖에 없게 되므로, 복수 세그먼트 항공권과 같이 고려되어야 할 파라미터의 수가 증가할수록 검색결과의 질은 나빠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복수 세그먼트를 위한 항공권이라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모든 파라미터를 서비스 시스템이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파라미터(예컨대, 일부 세그멘트의 항공편, 스탑 오버 여부 등)를 사용자가 특정하도록 함으로써 복수 세그먼트 항공권이라 하더라도 오히려 서비스 시스템(본 발명의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에서는 고려하여야 할 파라미터의 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거나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조회된(검색된) 결과의 질이 현저히 높아질 수 있다.
특히 복수 세그먼트의 항공권의 경우에는 가능한 해들이 무수히 많고, 이에 따라 주어진 조건에 맞는 항공권의 요금의 레인지(range) 역시 매우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사용자가 비록 항공권의 조회 및/또는 예약을 위해 좀 더 많은 노력을 들여야 할지라도, 종래의 방식에 비해 사용자에게 돌아갈 수 있는 이득의 폭은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전체 여정이 하나의 운임규정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여정이 복수의 세그먼트를 갖는 경우의 항공권을 예약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일 예는 항공사가 제공하는 라우팅(routing) 제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라우팅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운임규정모듈(140) 및/또는 맵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상기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외부 시스템(300)에 각각 일부가 구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 중 소정의 구성(예컨대, 맵 모듈(150))은 상기 단말기(200) 및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한 물리적 장치에 분산되어 설치되고, 분산 설치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맵 모듈(150)을 구현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에 포함된 일부의 구성은 상기 외부 시스템(300)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예컨대, 인터페이스 모듈(120), 라우팅 모듈(130), 운임규정모듈(140), 및/또는 맵 모듈(150) 등)의 리소스 및/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의 다른 구성들(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라우팅 모듈(130), 상기 운임규정모듈(140), 및/또는 상기 맵 모듈(150))은 상기 단말기(200) 또는 상기 외부 시스템(3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마켓에 상응하는 라우트 맵을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라우트 맵은 항공사가 제공하는 라우팅을 정의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마켓을 운행하는 항공사의 운임과 규정이 허용하는 상기 마켓에 상응하는 출발도시와 목적도시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의 모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켓은 출발도시와 목적도시의 쌍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경유지(경유도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각각의 경로별로 서로 다른 경유지가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라우트 맵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우트 맵에 상응하는 각각의 경로가 지도상에 매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상기 라우트 맵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상기 라우트 맵은 지도상에 매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일련의 텍스트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우트 맵은 도 7 내지 도 17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특정 항공사가 인천을 출발도시로 하고 로마를 목적도시로 하는 마켓에 상응하는 라우트 맵일 수 있다. 이러한 라우트 맵의 일 예는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d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라우트 맵의 일부만을 지도를 제외한 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d을 이용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라우트 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우트 맵은 출발도시(인천, ICN)로부터 목적도시(로마, FCO)까지의 경로들의 모임일 수 있다.
예컨대 ICN-PEK-AMS-FCO가 제1경로가 될 수 있고, ICN-TPE-AMS-VCE-FCO가 제2경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우트 맵에는 각각의 경로별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예컨대, 제1경로에서는 PEK, AMS, 제2경로에서는 TPE, AMS, VCE)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라 함은 단일 항공쿠폰(single flight coupon)을 이용해 여행할 수 있는 여정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경로에서는 ICN-PEK, PEK-AMS, AMS-FCO가 각각 하나의 세그먼트일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는 항공편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연속된 두 개의 도시 즉, 레그(leg)를 의미하지만은 않는다. 예컨대, 동일항공기가 동일편명으로 ICN에서 출발하여 PEK에 잠시 경유하였다가 AMS로 가는 경우, 하나의 항공쿠폰을 이용하여 ICN에서 AMS로 가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ICN-PEK-AMS가 하나의 세그먼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세그먼트(ICN-PEK-AMS)는 두 개의 레그(ICN-PEK, PEK-AMS)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항공쿠폰은 승객이 항공기를 탑승할 때 항공사측에 제시하여야할 항공권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라우트 맵은 마켓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각각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항공사들은 복수의 연결된 세그먼트를 한 번에 예약하는 것을 허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를 메리드 세그먼트(married segment)라고 한다. 즉, 메리드 세그먼트는 연결된 세그먼트의 좌석을 연동해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연결된 세그먼트를 한 번에 예약할 때에는 좌석을 제공하지만(즉, 예약이 가능하지만), 연결된 세그먼트 각각을 분리하여서는 좌석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즉,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우트 맵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트 맵이 나타내는 경로, 각각의 세그먼트 또는 레그가 지도 상에 매핑되어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일련의 텍스트로 이러한 라우트 맵이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경로가 상술한 바와 같이 "ICN-PEK-AMS-FCO"라는 텍스트로 표현되어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사용자가 원하는 마켓에 상응하는 라우트 맵을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상기 라우트 맵을 특정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여정의 조건에 대한 정보인 조건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은 상기 마켓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발일, 또는 좌석 등급 등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은 전체 여정 중 일부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면 족하다. 즉, 전체 여정을 모두 특정할 수 있는 조건을 상기 라우팅 모듈(130)이 수신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어차피 사용자에게 입력된 조건과 일치하지 않는 여정(예컨대, 목적도시 또는 출발도시의 변경, 출발일 또는 세그먼트별 출발일의 변경 등)을 선택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여정을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설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수신된 조건정보에 상응하는 라우트 맵에 대한 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전체 여정 중 일부의 여정을 특정할 수 있는 조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조건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UI(10)를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UI(10)는 마켓(두 도시) 즉, 출발도시 및 목적도시를 입력받기 위한 제1UI(11), 출발일을 입력받기 위한 제2UI(12), 및 여행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3UI(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조회할 항공편 즉, 전체 여정의 항공편인 목적 항공편은 도 6에 도시된 조건을 아웃 바운드(outbound) 조건으로 하는 항공편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위해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어야 할 조건정보는 이처럼 전체 여정 중 일부의 여정(예컨대, 아웃바운드 조건)을 특정할 수 있는 조건이기만 하면 족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수신된 조건정보 중 가장 기초적인 정보(예컨대, 마켓정보)만 이용되고, 나머지 정보는 목적 항공편을 조회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고려되지 않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기초적으로 고려될 조건을 이용하여 조회되고 사용자에게 제공될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적응적으로 나머지 조건은 변경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바(즉,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여정을 설계하는 바)를 이룰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을 통해 조회 및/또는 예약될 목적 항공편은 왕복 여정을 위한 항공편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 6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인 바운드 조건 역시 입력되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인 바운드 조건 역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 항공편의 예약을 위해 인 바운드 조건의 입력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UI(10)를 통해 상기 조건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단말기(200)가 조회요청을 제4UI(14)를 통해 상기 라우팅 모듈(130)로 전송하면,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상기 조건정보에 상응하는 라우트 맵을 특정할 수 있다.
상기 라우트 맵이 특정되는 과정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조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그러면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상기 조건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라우트 맵의 식별정보 즉, 라우팅 정보(예컨대, 24)를 상기 외부 시스템(300)을 통해 조회하고, 조회된 복수의 라우팅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S120).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상기 조건정보에 상응하는 항공사 정보(예컨대, 21) 및/또는 항공사별 운임정보(22)를 먼저 단말기(200)로 제공하고(S110),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항공사(예컨대, KLM 항공사)가 상기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항공사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우트 맵의 라우팅 정보(예컨대, 24)가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된 상기 라우팅 정보(예컨대, 라우팅 44번, 라우팅 4번)들 중 어느 하나가(예컨대, 라우팅 4번) 상기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면 선택된 라우팅 정보(예컨대, 라우팅 4번)에 상응하는 라우트 맵이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될 라우트 맵으로 특정될 수 있다(S130). 또한, 각 라우팅 정보별로 휴리스틱 가능운임(25)에 대한 정보가 상기 단말기(200)로 더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200)가 특정 라우팅 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라우팅 정보에 상응하는 라우트 맵(50)에 대한 정보가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200)로 제공된 라우트 맵(5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라우팅 정보(예컨대, 라우팅 4번)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비록 라우팅 44번에 상응하는 휴리스틱 가능운임이 라우팅 4번에 상응하는 휴리스틱 가능운임보다 더 저렴하지만, 사용자는 제공된 각각의 라우트 맵에 기초하여 라우팅 4번을 선택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각 항공사별로 조건정보에 상응하는 운임정보(예컨대, price, 22)를 운임규정모듈(140)을 통해 조회하고, 이를 상기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운임정보는 현재 입력된 조건정보를 만족시킬 수 있는 목적 항공편 중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에 의해 판단된 항공편의 최저운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운임정보(22)는 각 항공사별로 현재 조건정보를 만족시킬 수 있는 항공편의 최저운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사(예컨대, KLM)의 운임정보(예컨대, 1,485,100, 22-1)는 현재 입력된 상기 조건정보를 만족시키면서 현재 예약을 할 수 있는 목적 항공편의 최저운임을 의미할 수 있다. 라우팅 모듈(130)이 운임정보, 휴리스틱 가능운임, 또는 후술할 바와 같은 전체 운임정보를 조회한다고 함은, 상기 운임규정모듈(140)을 통해 조회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우팅 모듈(130)에 의해 검색된 휴리스틱 가능운임(Heuristic possible fare, 23)은 상기 조건정보에 포함된 마켓(예컨대, 서울과 로마)의 가능한 최저 운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각 항공사별로 상기 마켓을 왕복할 수 있는 가능한 최저 운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마켓 이외의 조건정보(예컨대, 여정의 스케줄, 항공편의 예약상황 등)은 고려하지 않고 판단된 운임일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상기 휴리스틱 가능운임으로는 사용자가 상기 마켓을 왕복하기 위한 항공편 즉 목적 항공편의 예약이 가능할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특정 항공사의 운임정보(예컨대, 22-1)와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3-1)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두 운임이 동일하거나 큰 차이가 없으면 상기 운임정보(예컨대, 22-1)에 상응하는(즉, 해당 운임정보로 예약할 수 있는) 목적 항공편의 조회/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운임정보(예컨대, 22-1)와 상기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3-1)의 차이가 크다면,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여정계획(예컨대, 경유도시, 출발일, 경유일 등) 중 일부를 변경하면 상기 마켓을 위한 목적 항공편을 상기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3-1) 또는 상기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3-1)에 가까운 운임으로 예약할 수 있을 확률이 있다는 의미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목적 항공편의 조회 및/또는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에 포함된 운임규정모듈(140)을 통하여 상기 항공사별 운임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상기 운임규정모듈(140)은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다양한 운임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항공사별 최저 요금 정보, 항공편별 기초운임, 라우팅별 휴리스틱 가능운임, 전체 운임정보 등)를 상기 외부 시스템(300)을 통해 조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정의 구성이 운임과 관련된 정보를 조회 또는 획득한다고 함은, 상기 운임규정모듈(140)을 이용해 상기 운임과 관련된 정보를 조회 또는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항공사(예컨대, KLM)는 상기 조건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라우팅(예컨대, 라우팅 44번, 라우팅 4번)을 제공할 수 있고, 복수의 라우팅들 각각의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5)들 중 최저의 운임(예컨대, 995,100)이 상기 특정 항공사(예컨대, KLM)의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3-1)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단말기(200)로 항공사별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3) 및/또는 항공사가 제공하는 라우팅별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5)를 제공하는 것은, 특정 사용자에게는 요금이 가장 중요한 고려 요소이고, 보다 싼 요금이 가능하다면 최초에 선택했던 조건(예컨대, 출발일, 등급, 항공사, 심지어는 출발도시 또는 목적도시 등)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고자 하는 욕구가 얼마든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의 휴리스틱 가능운임 및/또는 라우트 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단순히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에 맞는 항공편(복수의 항공편들을 포함)만 조회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판단하기에 원래 계획했던 여정보다 더 마음에 드는 가능한 여정 및 이때의 운임들을 알 수 있게 해주고, 얼마든지 항공권의 조회 및/또는 예약 과정에서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여정계획의 변경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단말기(200)로 상기 라우트 맵, 운임규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는 단순히 조건에 맞는 목적 항공편을 조회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제공되는 휴리스틱 가능운임, 운임규정(40), 라우트 맵 등에 기초하여 휴리스틱하게 자신이 원하는 목적 항공편을 능동적으로 결정 및/또는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맵 모듈(150)은 라우트 맵(50)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상에 매핑하여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맵 모듈(150)은 라우팅 모듈(130)에 의해 라우트 맵이 특정되면, 특정된 라우트 맵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상에 매핑하여 단말기(2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자신이 선택가능한 경유지 또는 목적 항공편에 포함된 세그먼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정의 구성이 상기 라우트 맵을 단말기(200)로 전송하거나, 상기 라우트 맵을 활용, 수정 또는 변경하는 경우에는, 상기 맵 모듈(150)을 통해 지도 상에 매핑된 라우트 맵을 전송하거나, 활용, 수정, 또는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라우팅 모듈(130) 및/또는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맵 모듈(150)을 통해 생성된 라우트 맵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하거나, 상기 맵 모듈(150)을 통해 생성된 라우트 맵 정보를 수정하거나 변경(예컨대, 선택된 항공편에 상응하는 경로를 다른 경로와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맵 모듈(150)이 지도 상에 라우트 맵을 매핑하여 제공함으로써, 원래 여정의 계획에는 방문 계획이 없었던 도시 또는 방문지가, 여정에 추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같이 단순히 계획된 여정에 맞는 항공편을 조회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들(예컨대, 가능한 경로, 경유지, 각각의 라우트 맵에 포함된 각각의 세그먼트가 선택되었을 때의 전체 운임정보(즉, 전체 여정의 운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편의 운임규정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항공편을 조회 및/또는 예약하는 과정에서 여정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라우트 맵(50)을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세그먼트 또는 레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경유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응적인 여정의 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라우트 맵(50)을 보고, 타이페이(TPE)를 경유해서 목적도시에 갈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페이(TPE)에 지인의 집이 있는 것을 떠올릴 수 있다. 그러면, 애초에 계획했던 여정에는 상기 지인의 집에 방문할 계획이 없었지만,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라우트 맵(50)에 기초하여 새로운 여정(즉, 새로운 계획이 추가된 여정)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여정을 설계할 때에도 후술할 바와 같이 새로운 계획이 추가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전체 운임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운임의 변동여부에 따른 합리적인 여정의 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정 현황 정보(60)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결정 현황 정보(60)는 사용자의 선택이 진행되는 세그먼트, 이미 선택된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결정 현황 정보(60)는 소정의 라우팅에 포함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출발도시 UI(61),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구분 UI(62, 63), 및 목적도시 UI(64)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사용자에 의해 항공편이 선택될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선택 UI(66)가 상기 결정 현황 정보(6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7에서는 아웃 바운드 여정을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결정 현황 정보(6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인 바운드 여정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인 바운드 출발도시(예컨대, ROM, 64)와 인 바운드 목적도시(예컨대, SEL, 65)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구분 UI(예컨대, 62, 63)가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단말기(200)로 예상 운임정보(3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상 운임정보(30) 역시 사용자가 여정을 적응적으로 또한 능동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상 운임정보(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운임규정모듈(140)에 의해 조회될 수 있으며, 상기 운임규정모듈(140)에 의해 조회된 예상 운임정보(30)가 상기 단말기(200)에 제공된 일 예 역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특정된 라우트 맵(50)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조건정보에 상응하는 항공사에 대한 정보(21), 항공사의 운임정보(22), 항공사별 휴리스틱 가능운임(23)에 대한 정보, 라우팅 정보(24), 라우팅 별 휴리스틱 가능운임(25)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로 더 제공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이러한 정보들과 함께 예상 운임정보(30)를 상기 단말기(200)로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에 의해 특정 라우팅(예컨대, 라우팅 번호 4)이 선택된 경우,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선택된 상기 특정 라우팅(예컨대, 라우팅 번호 4)의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1,015,500, 25-1)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목적 항공편을 조회/예약하기 전에는 상기 예상 운임정보(30) 역시 상기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1,015,500, 25-1)에 상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예상 운임정보(30)는 아웃바운드 기초운임(outbound base fare, 31), 인바운드 기초운임(inbound fase fare, 32), 세금/수수료(Tax&Fees, 3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운임정보(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운임정보(34)는 상기 아웃바운드 기초운임(31), 인바운드 기초운임(32), 및 세금/수수료(33)의 합에 의한 운임일 수 있다. 상기 예상 운임정보(30)는 현재까지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판단된 목적 항공편의 운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휴리스틱하게 항공편을 조회/예약하기 위해서는, 단말기(200)로 제공된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5-1)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200)로 예상 운임정보(30), 운임규정(40), 라우트 맵(50), 및/또는 결정 현황 정보(60)가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실제 조회/예약을 수행하기 전에는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5-1)과 이러한 예상 운임정보(30)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단계적으로 조회/예약을 수행하면서 상기 예상 운임정보(30)에 포함된 아웃바운드 기초운임(31), 인바운드 기초운임(32), 및/또는 세금/수수료(33)에 대한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운임에 대해 이상적인 선택을 수행할 때에는 이러한 정보들이 변경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최종적으로 목적 항공편을 예약했을 때에도 상기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5-1)과 동일한 운임으로 예약이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운임규정(40)은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적용 운임규정(41) 및 적어도 하나의 기초운임규정(예컨대, 42, 43, 44)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초운임규정은 각각의 기초운임(base fare)와 해당 기초운임에 적용되는 규정(예컨대, 가능 출발일(Available Departing Dates), 최소/최대 여정기간(Min/Max), 스탑오버(Stop Over), 오픈조 가능 여부(Open Jaws), 기타(Etc) 등)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일 예에서 제1기초운임규정(42)은 제1기초운임(예컨대, 250,000)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8/16에서 9/15 사이에 출발을 하여야 하고, 최소 3일 ~ 최대 60일 간의 여정이어야 하고, 스탑오버는 불가능하며, 아웃 바운드 및 인 바운드 여정에 오픈 조가 가능하며, 주중에 출발하여야 하는 규정이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제2기초운임규정(43)은 제2기초운임(예컨대, 350,000)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8/16에서 9/30 사이에 출발을 하여야 하고, 여정의 최소기간에는 제한이 없으며 최대 6개월 간의 여정이어야 하고, 스탑오버는 2번까지 가능하되 1번은 무료, 1번은 100,000원을 지불하여야 함을 의미하며, 아웃 바운드 및 인 바운드 여정에 오픈 조가 가능하며, 주중에 출발하여야 하는 규정이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기초운임규정(44)은 제3기초운임(예컨대, 500,000)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3/1에서 2/28 사이에 출발을 하여야 하고, 여정의 최소기간에는 제한이 없으며 최대 12개월 간의 여정이어야 하고, 스탑오버는 4번까지 가능하되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에서 각각 2번이 가능하며, 아웃 바운드 및 인 바운드 여정에 오픈 조가 가능하며, 주말에 출발하여야 하는 규정이 적용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인 규정에 대해서는 소정의 필드(Detail Rules)를 선택하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적용 운임규정(41)은 복수의 기초운임규정들(예컨대, 42, 43, 44) 중에서 현재 사용자의 선택(예컨대, 세그먼트별 항공편, 항공편의 출발일 등의 선택)에 의해 전체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운임규정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회/예약을 수행해가면서 적용 운임규정(41)이 변경될 때에는 상기 예상 운임정보(30) 역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이러한 예상 운임정보(30) 및/또는 운임규정(40)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여정을 선택하기 위해 어떠한 기초운임 및/또는 규정이 적용되는지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직관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여정의 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110)은 어느 한 세그먼트의 항공편을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해 상기 운임규정(40)에 포함된 기초운임규정(예컨대, 42 내지 44) 중 어느 하나를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받을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세그먼트의 항공편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선택된 기초운임규정에 부합하는 항공편만 제한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운임규정(40)은 단순히 사용자가 항공편을 선택할 때 참고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특정 항공편을 선택하면, 상기 특정 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어떠한 기초운임규정이 적용되는지, 또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적용 운임규정의 변경이 있는지를 상기 단말기(200)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운임규정(40)이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저렴한 운임을 위해서 어떠한 규정을 지켜야 하는지 또는 어떠한 항공편을 선택하여야 하는지를 알 수 있고, 스케줄 또는 규정에 크게 제약이 없는 사용자는 이러한 운임규정(40)을 통해 보다 저렴한 목적 항공편의 조회 및/또는 예약을 위한 전체 여정의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주말에 출발하고자 계획했던 사용자는 상기 운임규정(40)을 통해, 주중에 출발을 하면 제1기초운임규정(42), 또는 제2기초운임규정(43)이 적용됨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항공편의 조회 및/또는 예약을 하는 과정에, 보다 저렴한 운임을 위해 주말에 출발할 계획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탑 오버를 할지여부, 하는 경우라면 한 번 할지 또는 두 번 할지를 상기 기초운임규정들(42, 43, 44)에 포함된 규정을 보고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항공권을 조회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임규정(40)이 제공되는 것을 확인한 후, 100,000원의 추가운임을 지불하면 스탑오버가 가능함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면 상기 라우트 맵(50)을 통해 어떠한 도시에서 스탑오버를 할지를 적응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종래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건에 부합하는 항공편을, 그리고 최적의 항공권이지도 않은 항공편을, 단순히 일방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던 것과 달리,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특정 라우팅이 특정되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예상 운임정보(30), 운임규정(40), 라우트 맵(50)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능동적이고 적응적으로 자신의 여정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러한 정보들을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한 항공편을 조회/예약할 때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재 조회/예약을 진행 중인 세그먼트에서의 항공편의 결정이 전체 운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적용 운임규정의 변경을 가져오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 운임에서 어떠한 세그먼트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기 결정된 세그먼트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운임의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 등이 단계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단계적으로 세그먼트별 항공편을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정보들에 기초하여 휴리스틱하게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이후에 조회/검색 되는 항공편의 검색의 질이 현저하게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라우팅 모듈(130)에 의해 특정된 라우트 맵에 포함된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에서 예약을 할 세그먼트 즉 선택 세그먼트를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세그먼트는 제어모듈(110)에 의해 선택되거나,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제어모듈(110)이 선택 세그먼트를 추천하고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단말기(200)가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공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는 소정의 기준에 의해 결정된 연관 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200)에 제공된 항공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항공편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들(예상 운임정보(30), 운임규정(40), 라우트 맵(50)) 및/또는 항공편별 기초운임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항공편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결정 항공편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항공편에 결정된 상기 선택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세그먼트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 항공편을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어모듈(110)은 목적 항공편의 경로 상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에 이용할 항공편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경로에 포함된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어느 하나의 세그먼트에 이용될 항공편이 결정되면,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이 상기 조건정보에 상응하는 목적 항공편을 검색하기 위해 고려하여야 할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검색결과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경로 상에 나머지 세그먼트에 적용될 수 있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는 매우 양질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단말기(200)에 의해 각 단계별로 선택 세그먼트에 이용될 항공편을 선택받을 수 있으며, 선택된 항공편은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결정 항공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 항공편은 최종적으로 상기 목적 항공편의 모든 세그먼트에 대한 항공편이 결정되기 전까지 임시로 선택된 항공편일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이 임시로 결정된 결정 항공편은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 취소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단계적으로 세그먼트별로 항공편을 선택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들에 기초하여 이전 단계에서 선택한 항공편을 변경하면 더 좋은 운임 또는 더 매력적인 여정의 설계가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이미 결정 항공편으로 결정된 항공편들도 전부 또는 일부만 취소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처음부터 다시 목적 항공편의 조회/예약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각 단계별로 사용자의 휴리스틱한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 세그먼트에 대해 항공편이 결정되면, 나머지 세그먼트에 대해서는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항공편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모든 세그먼트에 대해 사용자가 항공편을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나머지 세그먼트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항공편이 결정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소정의 라우팅에서 허용되는 경로 상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조건(예컨대, 최저 요금)의 항공편을 조회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파라미터가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결정 항공편이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목적 항공편을 특정하기 위해 조회되어야 하는 나머지 항공편들의 수는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에 의해 조회되는 상기 결정 항공편이 포함된 목적 항공편의 조회결과는 매우 양질 즉,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리스틱하게 항공권이 조회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우팅이 특정되면, 특정된 라우팅에 상응하는 라우트 맵(5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00).
그리고 상기 라우팅에서 허용하는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사용자에 의해 휴리스틱하게 항공편이 선택될 제1선택 세그먼트가 특정될 수 있다(S210).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소정의 기준에 의해 세그먼트를 추천하여, 사용자가 추천된 세그먼트를 항공편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제1선택 세그먼트로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추천된 세그먼트가 반드시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로 선택될 필요는 없다. 또는 사용자의 임의대로 선택된 세그먼트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로 특정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를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이 소정의 기준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이 제1선택 세그먼트를 추천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에 의해 추천되는 세그먼트(즉, 항공편을 먼저 결정하라고 추천하는 세그먼트, 이하 추천 세그먼트)는 목적 항공편의 운임에 가장 주도적으로 영향을 많이 미치는 세그먼트 또는 평균적으로 가장 긴 거리의 세그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는 대륙횡단 세그먼트(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라우트 맵(50)에서 레드 라인으로 표시된 세그먼트)일 수 있다.
이러한 추천 세그먼트에 대해 먼저 사용자가 항공편을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나머지 세그먼트의 항공편 선택을 위해 조회되어야할 항공편들(즉, 나머지 세그먼트의 가능 항공편들)의 조회결과가 보다 양질의 결과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모듈(110)이 추천한 추천 세그먼트가 아닌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세그먼트가 우선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세그먼트를 임의 선택 세그먼트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1선택 세그먼트를 선택하는 과정은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다.
우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된 라우트 맵(50)에 포함된 임의의 도시(예컨대, PEK, 71)을 선택(예컨대, 터치 또는 클릭 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UI(8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UI(80)를 통해 선택된 도시를 기준으로 추천 세그먼트(PEK-AMS)를 선택하기 위한 UI(8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세그먼트는 라우트 맵(50) 상에서 레드 라인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임의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SEL-PEK, PEK-AMS, PEK-ROM)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들(예컨대, 82, 82-1, 82-2)이 제공될 수 있다. 임의 선택 세그먼트에는 상기 추천 세그먼트가 반복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UI(80)는 선택할 세그먼트의 기준일(예컨대, 선택할 세그먼트의 출발일)을 입력받기 위한 UI(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80)를 통해 제공된 UI(81, 82, 82-1, 82-2)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UI에 상응하는 세그먼트가 제1선택 세그먼트로 특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결정 현황 정보(60)에 포함된 선택 UI(66)를 통해 제1선택 세그먼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8b에 도시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10)은 결정 현황정보(60)에 소정의 선택 UI(66)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택 UI(66)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UI(80-1)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 UI(66)는 추천 세그먼트를 특정하기 위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세그먼트는 도 8b에 도시된 레드라인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UI(80-1)를 통해 추천 세그먼트들(예컨대, 레드라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UI(80-1)에 추천 세그먼트들을 표시하기 위한 UI(미도시)가 도 8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예컨대, 82, 82-1, 82-2 등과 같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 UI(66)를 선택하면, 라우트 맵(50) 상에 상기 제어모듈(110)이 추천하는 추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 표시될 수 있다. 추천 세그먼트는 다른 세그먼트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라우트 맵(50) 상에서 추천 세그먼트 중 어느 하나(예컨대, 레드라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제1선택 세그먼트를 특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 외에도 사용자는 라우트 맵(50) 상에서 직접 자신이 원하는 세그먼트를 선택(예컨대, 라우트 맵(50)에 표시된 라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제1선택 세그먼트를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선택 세그먼트가 특정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 일회성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S220).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이용될 수 있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공편에 대한 정보에는 예컨대, 항공편의 항공사, 출발시간 및 도착시간, 및/또는 기초운임(예컨대, 91-1, 91-2)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TPE-AMS 가 제1선택 세그먼트로 특정될 경우,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는 도 9의 항공편 정보 UI(90)에 포함된 9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이 제공하는 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에는 선택 세그먼트의 기준일(예컨대, 출발일, 8월 13일)에 해당하는 어느 한 날짜의 항공편에 대한 정보만을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선택 세그먼트의 기준일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의 여유일자(예컨대, 3일)까지 포함하는 날짜들(예컨대, 8월 10일부터 8월 16일까지) 각각의 항공편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모듈(110)이 선택 세그먼트의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200)로 제공하면서, 기준일뿐만 아니라 소정의 여유일자에 상응하는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까지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적응적이고 능동적인 여정의 설계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유일에 상응하는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까지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가 경유지(TPE)에서 스탑 오버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일(예컨대, 8/13)에 해당하는 항공편은 기초운임이 700,000원인 항공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모듈(110)에 의해 제공되는 운임규정(40)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기초운임에 상응하는 규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초운임이 700,000원에 상응하는 규정이 예컨대, 스탑오버를 허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항공편을 선택하면서 스탑오버를 할지 또는 스탑오버를 선택 세그먼트의 출발도시(TPE) 또는 목적도시(AMS)에서 할지 여부를 여정 계획에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여유일에 출발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여유일 중 어느 하루인 8/15에 출발하는 상기 선택 세그먼트(TPE-AMS)에 상응하는 항공편은 기초운임(91-2)이 250,000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여유일의 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원래 계획은 상기 선택 세그먼트를 8/13에 출발할 계획이었지만, 8/15에 출발하는 것으로 변경할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고려에는 기초운임(91-2)에 상응하는 기초운임규정(42)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기초운임(91-2)에 상응하는 기초운임규정(42)을 확인하고, 상기 기초운임규정(42)을 통해 스탑오버가 불가능함을 확인하고 해당 항공편(8/15)을 상기 선택 세그먼트의 항공편으로 선택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가 설정한 선택 세그먼트의 출발일에 해당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소정의 여유일자에 해당하는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까지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특히, 스케줄에 여유가 있는 사용자)가 보다 저렴한 운임의 항공편을 예약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여유일자에 해당하는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능동적이고 적응적인 여정의 설계를 비용의 변화에 맞추어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가 특정되면, 제어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여유일의 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연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연관 항공편에 대한 정보까지 상기 단말기(200)로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세그먼트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출발도시 또는 목적도시를 포함하는 세그먼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세그먼트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라우트맵에 포함된 세그먼트일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세그먼트가 TPE-AMS인 경우, 상기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의 연관 세그먼트는 상기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의 출발도시(예컨대, TPE)를 출발도시 또는 목적도시로 하는 세그먼트이거나, 상기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의 목적도시(예컨대, AMS)를 목적도시로 하는 세그먼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연관 세그먼트는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와 목적도시가 동일한 다른 세그먼트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세그먼트별로 미리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대응되는 연관 세그먼트가 정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어모듈(110)은 세그먼트별로 소정의 속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동일한 속성을 가진 세그먼트를 연관 세그먼트로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몇 몇 도시들이 소정의 제1분류로 분류될 수 있고, 다른 몇 몇 도시들은 제2분류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세그먼트가 제1분류에 포함된 도시로부터 제2분류에 포함된 도시로의 세그먼트일 경우, 상기 세그먼트의 연관 세그먼트는 상기 제1분류에 포함된 도시들로부터 상기 제2분류에 포함된 도시로의 세그먼트일 수 있다.
이처럼 연관 세그먼트가 정의되고, 연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200)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를 선택한 후에도 상기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와 속성이 유사한 다른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더 좋은 조건의 항공편이 제공되면,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를 연관 세그먼트로 변경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가 특정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에 상응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91)뿐만 아니라, 연관 세그먼트(예컨대, PVG-AMS, PEK-AMS, PEK-FCO)에 상응하는 항공편(92, 93, 94)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관 세그먼트(PVG-AMS) 및 제2연관 세그먼트(PEK-AMS)는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와 목적도시(AMS)가 동일한 세그먼트일 수 있다.
한편, 제3연관 세그먼트(PEK-FCO)는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 또는 상기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의 연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메리드 세그먼트(married segment)일 수도 있다. 도 10에서의 제3연관 세그먼트(PEK-FCO)는 제2연관 세그먼트(PEK-AMS)를 포함하는 메리드 세그먼트일 수 있다.
사용자는 연관 세그먼트 및 연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고, 원래 선택하고자 했던 세그먼트 즉,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보다 우선적으로 연관 세그먼트의 항공편을 먼저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선택된 연관 세그먼트가 선택 세그먼트로 변경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가 특정된 후 제공된 정보 즉, 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에 상응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 예상 운임정보(30), 운임규정(40), 라우트 맵(5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항공편을 결정할 수 있다(S230).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결정된 제1항공편을 결정 항공편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결정 항공편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나머지 세그먼트에 대해서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이 자동으로 항공편을 결정할 수 있다(S240-1). 이때는 사용자가 기입력한 조건정보에 상응하면서 최저의 운임을 갖는 항공편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나머지 세그먼트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어모듈(110)은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나머지 세그먼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2선택 세그먼트로 특정할 수 있다(S240). 그러면 제2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 즉, 제2항공편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S250). 제2항공편에 대한 정보 역시 제2선택 세그먼트의 기준일에 해당하는 항공편뿐만 아니라 여유일에 해당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연관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에 의해 제2선택 세그먼트의 항공편 즉, 제2항공편이 결정될 수 있으며, 결정된 제2항공편은 결정 항공편으로 설정될 수 있다(S260).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2항공편까지 결정된 후,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나머지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나머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자동으로 조회하여 선택할 수도 있고, 다시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받을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2항공편을 결정할 때에는 기 결정된 항공편이 고려된 적용 운임규정(제2적용 운임규정), 전체 운임정보, 항공편별 기초운임이 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본 발명의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제공방법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 7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또는 라우팅 모듈(130)에 의해 소정의 라우트 맵이 특정되면, 상기 라우팅 모듈(130)은 특정된 라우트 맵(50)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라우트 맵(50)에 대한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상에 매핑되어 단말기(200)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상기 라우트 맵에 상응하는 라우팅의 경로, 세그먼트, 레그, 및 각각의 도시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10)은 예상 운임정보(30), 운임규정(40), 및/또는 결정 현황 정보(60)를 상기 단말기(200)로 더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들을 확인하고,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a 또는 도 8b에 설명한 바와 같은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라우트 맵(50)에 표시된 세그먼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가 선택될 수도 있다.
즉, 제어모듈(110)은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항공편이 결정되어야할 추천 세그먼트를 추천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상기 라우트 맵(5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단일 세그먼트 또는 연속된 단일 세그먼트(예컨대, 메리드 세그먼트)가 제1선택 세그먼트로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 UI(66)가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구현 예에 의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10)은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조건정보에 포함된 목적도시 또는 출발도시 이외의 제2목적도시(예컨대, LON, 70-1) 또는 제2출발도시(예컨대, CJU, 70-2)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8c에서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이 상기 제2목적도시(예컨대, LON, 70-1) 및/또는 상기 제2출발도시(예컨대, CJU, 70-1)에 대한 정보를 상기 라우트 맵(50)에 포함시켜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라우트 맵(50)과는 별도로 이러한 정보들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목적도시(예컨대, LON, 70-1) 및/또는 상기 제2출발도시(예컨대, CJU, 70-2)는 선택된 라우팅을 이용하여 도달할 수 있는 상기 목적도시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목적도시 및/또는 상기 라우팅을 이용하여 출발할 수 있는 상기 출발도시 이외의 출발도시일 수 있다.
이처럼 제2목적도시(예컨대, LON, 70-1) 및/또는 제2출발도시(예컨대, CJU, 70-2)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라우팅이 이용되므로, 유사한 운임으로 다양한 여정의 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인, 단순히 최초에 계획된 여정에 부합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항공편을 조회 및/또는 예약하면서 보다 좋은 조건 또는 보다 다양한 여정을 능동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데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된 라우팅의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적용 운임규정(41)은 인 바운드 또는 아웃바운드에서의 오픈 조를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원래 사용자의 계획은 서울에서 로마로 가는 것이었지만,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2목적도시(예컨대, LON, 70-1) 및/또는 상기 제2출발도시(예컨대, CJU, 70-2)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임의 큰 차이 없이 아웃 바운드 여정에서는 목적도시를 로마(또는 런던)로 하였다가 돌아올 때에는(즉, 인 바운드 여정의 출발도시는) 제2목적도시(예컨대, LON, 70-1)(또는 원래 목적지인 로마)에서 출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제2출발도시(예컨대, CJU, 70-2)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라우팅을 이용하여 큰 운임의 차이 없이, 원래의 출발도시인 서울(또는 제2출발도시(예컨대, CJU, 70-2)인 제주)에서 출발하였다가, 돌아올 때에는 제2출발도시(예컨대, CJU, 70-2)인 제주(또는 원래 출발지인 서울)로 돌아오는 여정을 설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2목적도시(예컨대, LON, 70-1)에 상응하는 위치(또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목적도시(예컨대, LON, 70-1)에 대한 상세한 정보 및/또는 휴리스틱 가능운임이 소정의 UI(80-2)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는 목적도시 또는 출발도시를 제2목적도시(예컨대, LON, 70-1) 또는 제2출발도시(예컨대, CJU, 70-2)로 변경할 수 있고,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100)은 변경된 목적도시 또는 출발도시에 대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휴리스틱한 조회/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가 선택되면(또는 라우팅 모듈(130)에 의해 자동으로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에 상응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9에 도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에 상응하는 항공편 정보(91)를 항공편 정보 UI(90)를 통해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항공편에 대한 정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의 기준일(예컨대, 출발일)에 해당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예컨대, 91-1)뿐만 아니라, 여유일에 해당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예컨대, 9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항공편에 대한 정보에는 각 항공편별 기초운임(예컨대, 91-1, 91-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초운임은 이미 결정된 결정 항공편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해당하는 항공편만이 고려된 기초운임일 수 있다. 즉, 다른 세그먼트의 항공편이 고려되지 않은 기초운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가 특정되면,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하면서, 상기 제1항공편들 각각의 기초운임을 상기 운임규정모듈(140)을 통해 상기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 조회한 후, 상기 단말기(20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항공편을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트 맵(50) 상에서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가 다른 세그먼트와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여유일 중에 가장 저렴한 기초운임(91-2)에 해당하는 항공편(8/15일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선택된 항공편에 상응하는 기초운임규정(42)이 이미 제공되고 있는 기초운임규정들(예컨대, 42, 43, 44)로부터 타 기초운임규정들과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공편(8/15일자)이 선택되면(즉, 항공편에 대한 정보가 조회요청 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추가정보(예컨대, 91-3, 91-4)를 상기 단말기(200)로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정보는 예컨대, 선택된 항공편(예컨대, 8/15자)의 스케줄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그래프(예컨대, 91-3)일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프 정보는 각각의 가능 항공편들의 소요시간 및 현지시간을 2차원적인 그래프로 표현한 일 예를 나타내며, 이러한 그래프의 구체적인 기술적 사상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출원번호 10-2013-0110664, "스케줄 표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항공편(예컨대, 8/15자)의 구체적인 정보(예컨대, 편명, 운항시간, 좌석등급, 항공기명 등, 91-4)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들을 확인한 후 결정UI(예컨대, 91-5)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항공편(예컨대, 8/15자)은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의 결정 항공편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상기 항공편(예컨대, 8/15자)이 선택되면, 예상 운임 정보(30)에 포함된 세금/수수료 정보가 도 7에 도시된 값에 비해 변경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세금/수수료의 최저가는 515,500원이었지만,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의 항공편을 탑승할 경우의 최저가는 535,500임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전체 운임정보도 변경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공된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 선택해보면서 예상 운임 정보(30)에 포함된 값들의 변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의 연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연관 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로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선택 세그먼트(예컨대, TPE-AMS)의 연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 즉, 연관 항공편에 대한 정보(예컨대, 92, 93, 94)가 상기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연관 항공편에 대한 정보에도 기준일뿐만 아니라 소정의 여유일들 각각의 항공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사용자가 상기 라우트 맵(50)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UI(51)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는 제1항공편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항공편(예컨대, 8/15자, 기초운임 250,000원)을 제1항공편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결정된 항공편(예컨대, 8/15자)을 결정 항공편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세그먼트에 대해 다시 선택 세그먼트의 결정, 결정된 선택 세그먼트에 이용될 항공편의 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1에 도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결정된 세그먼트는 다른 세그먼트와 구분되게 라우트 맵(5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나머지 세그먼트들 중에서 항공편을 결정할 선택 세그먼트 즉, 제2선택 세그먼트를 특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라우트 맵(50) 상에서 소정의 도시(예컨대, 73)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시(예컨대, 73)를 기준으로 제2선택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UI(예컨대, 80-3)가 제어모듈(110)에 의해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UI(80-3)에는 추천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UI(80-3-1), 또는 상기 도시(73)를 출발도시 또는 목적도시로 하는 임의 선택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UI(80-3-2, 80-3-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추천되는 추천 세그먼트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드라인(52) 즉, ICN-TPE 일 수 있다 .
한편, 결정 현황 정보(60)에 포함된 선택 UI(66)를 통해 제2선택 세그먼트를 선택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결정 현황 정보(60)에는 기 결정된 결정 항공편의 현황을 나타내는 정보(67)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선택 세그먼트가 ICN-TPE로 결정된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2항공편에 대한 정보(예컨대, 95, 96, 97)가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항공편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항공편 각각의 기초운임은 기결정된 결정 항공편이 고려된 기초운임일 수도 있고, 기결정된 항공편을 고려하지 않은 기초운임일 수도 있다. 즉, 이미 결정된 결정 항공편과 제2항공편이 모두 고려된 기초운임이 상기 제2항공편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항공편만 고려된 기초운임(예컨대, 95-1)이 상기 제2항공편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적용 운임규정이 변경되는지 여부 및/또는 어떠한 기초운임규정이 적용되는지 여부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제2항공편의 선택이 목적 항공편의 전체 운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제2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이미 적용되고 있는 운임규정을 여전히 이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제2항공편의 기초운임을 제공하면서, 기결정된 항공편이 고려된 기초운임과 제2항공편만 고려된 기초운임이 같이 제공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사용자는 현재까지 자신이 선택한 항공편들이 반영된 운임정보를 통해 단계적으로 항공편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2항공편을 선택할 때에도 예상 운임 정보(30), 운임규정(40), 라우트 맵(50)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활용되어 상기 제2항공편이 선택될 수 있다.
제어모듈(110)에 의해 제공된 제2항공편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단말기(200)에 의해 상기 제2선택 세그먼트의 항공편으로 결정되면, 결정된 상기 제2항공편 역시 결정 항공편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제어모듈(110)에 의해 제공된 제2항공편(예컨대, 95-1)들 각각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모듈(110)은 선택된 제2항공편(예컨대, 95-1)들 각각이 선택되었을 때 적용될 기초운임규정(예컨대, 43) 또는 예상 운임정보(30)의 변화(예컨대, 31 및 32)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항공편(예컨대, 95-1)이 선택될 때의 아웃바운드 기초운임(31) 및/또는 전체 운임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인바운드 기초운임(32) 역시 스탑오버가 가능해야하므로, 인바운드 역시 스탑오버가 가능하면서 가장 저렴한 기초운임규정에 해당하는 기초운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2항공편(예컨대, 95-1)을 선택하면, 상기 제2항공편(예컨대, 95-1)이 결정될 때 적용될 기초운임규정(43)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기초운임규정과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항공편(예컨대, 95-1)이 최종적으로 상기 제2선택 세그먼트의 항공편으로 결정되면, 적용 운임규정 즉, 제2적용 운임규정(41)은 상기 기초운임규정(43)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제2항공편에 적용될 기초운임이 기 적용되고 있는 제1적용 운임규정의 기초운임보다 높을 수도 있다. 예컨대, 기초운임이 350,000원인 8/14자 항공편을 제2항공편(예컨대, 95-1)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그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적용 운임규정은 제1적용 운임규정의 기초운임(예컨대, 250,000)과 제2항공편의 기초운임(예컨대, 350,000) 중 더 높은 기초운임에 상응하는 기초운임규정(43)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2항공편(예컨대, 95-1)을 선택하면, 선택전에 적용되고 있는 적용 운임규정의 변경이 있을 시에는 상기 제어모듈(1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티스 정보(90-1)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노티스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기초운임의 변화(즉, 250,000에서 350,000으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적용 운임규정이 변경될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적용 운임규정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노티스 정보(예컨대, 90-1)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용 운임규정(즉, 기초운임)을 변경하면서까지 상기 제2항공편(예컨대, 95-1)을 결정 항공편으로 결정할지 여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노티스 정보(예컨대, 90-1)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새로운 제2항공편을 선택하거나, 선택한 제2항공편(예컨대, 95-1)을 그대로 결정 항공편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항공편을 유지한 채, 기 결정된 결정 항공편인 제1항공편을 취소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2항공편(예컨대, 8/12자)을 선택할 경우의 일 예는 도 13에 도시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8/12자 제2항공편(예컨대, 95-2)를 선택할 경우에는 제1결정 항공편의 기초운임도 250,000원이고 제2항공편(예컨대, 95-2)를 선택할 때의 기초운임(예컨대, 제2항공편만 고려된 기초운임) 역시 250,000원일 수 있다. 하지만, 이때에는 스탑오버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제1결정 항공편이 8/13자 TPE-AMS항공편으로 결정되어 있으므로, 만약 제2항공편(예컨대, 95-2)이 선택될 경우에는 스탑오버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결정 항공편과 상기 제2항공편(예컨대, 95-2)의 선택에 의해 이미 적용되고 있던 적용운임규정 즉 제1적용운임규정이 더 이상 사용(적용)될 수 없게 되는 경우일 수 있다. 즉, 제2항공편의 선택에 의해 제1결정 항공편과 제2항공편의 일정이 제1적용 운임규정과 부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항공편(예컨대, 95-2)의 선택될 시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항공편의 기초운임이 모두 250,000원이더라도, 적용될 제2적용 운임규정은 제2기초운임규정(43)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초운임규정(43)은 제1결정 항공편과 제2항공편의 일정에 부합하면서 기초운임이 최저인 기초운임규정일 수 있다.
또한, 이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기초운임이 변경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노티스 정보(90-1)가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고, 예상 운임정보에 포함된 아웃바운드 기초운임과 인바운드 기초운임 역시 각각 변경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8/15자 제2항공편을 선택한다면, 사용자는 도 14에 도시된바와 같은 정보들이 상기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항공편으로 8/15자 제2항공편(예컨대, 95-3)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항공편(예컨대, 95-3)의 기초운임은 제1결정 항공편과 마찬가지로 250,000원일 수 있다. 또한, 스탑오버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적용될 기초운임규정의 변경은 없는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항공편(예컨대, 95-3)의 선택 시에 적용될 기초운임규정(42)은 도 14와 같이 타 기초운임규정과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8/16자 제2항공편(예컨대, 95-4)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 결정된 제1결정 항공편의 출발일시(예컨대, 8/15)보다 늦게 제2항공편이 제1결정 항공편의 출발도시에 도착하는 경우일 수 있다. 즉, 제1결정 항공편과 제2항공편이 서로 부합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1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티스 정보(90-1)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노티스 정보(90-1)는 상기 제2항공편(95-4)이 선택하면, 상기 제2항공편(95-4)과 부합하지 않는 기 결정된 결정 항공편은 취소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2항공편(95-4)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면, 선택된 상기 제2항공편(95-4)과 부합하지 않는 기 결정 항공편을 상기 제어모듈(110)은 취소할 수도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110)은 기 결정 항공편과 부합하지 않는 제2항공편(95-4)은 사용자가 선택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현재 선택할 항공편과 기 결정 항공편이 부합하지 않을 경우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할 경우에 임의로 기 결정 항공편을 취소할 수도 있다. 이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 현황 정보(60)를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정 현황 정보(60)에는 결정 항공편의 현황을 나타내는 정보(67)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결정 항공편의 현황을 나타내는 정보(67)를 선택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10)은 선택된 정보(67)에 상응하는 결정 항공편(예컨대, 8/15자 TPE-AMS)에 대한 정보를 다시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결정 항공편을 취소할 수 있는 UI(90-2)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UI(90-2)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결정 항공편을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결정 항공편에서 취소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아웃바운드 항공편이 모두 결정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도 17과 같은 정보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결정된 아웃바운드 항공편이 고려된 운임정보(예컨대, 22-1), 이때의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3-1)에 대한 정보가 상기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라우팅 별 휴리스틱 가능운임(예컨대, 25-1)에 대한 정보가 더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 바운드 항공편의 조회/예약이 진행될 때에는 결정된 아웃바운드 항공편이 고려된 정보 즉, 아웃바운드 항공편과 연계된 인 바운드 항공편을 제공할 수 있는 항공사 및 항공사별 운임정보, 휴리스틱 가능운임 등이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예상 운임 정보(30)에는 이미 결정된 아웃바운드 기초운임(31)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상 운임 정보(30)의 타 정보와는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컨대, 도 8a 또는 도 8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 UI(66)를 이용해 인바운드 목적 항공편을 위한 제1선택 세그먼트를 특정하고,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항공편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선택 세그먼트를 특정하고, 특정된 제2선택 세그먼트의 항공편을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출발도시에서 목적도시로의 목적 항공편을 조회 및/또는 예약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에 대해 사용자가 휴리스틱하게 항공편을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나머지 항공편들에 대한 조회결과(예컨대, 제2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가 더욱 이상적인 결과(또는 양질의 결과)로 획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예상 운임 정보(30), 운임규정(40), 및 라우트 맵(50)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각 세그먼트별 기준일을 기준으로 여유일자에 해당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까지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종래에 여정이 결정되면 결정된 여정에 부합하는 항공권이 조회되는 것에 비해, 항공편의 조회/예약을 진행하면서 적응적으로 그리고 능동적으로 여정의 다양한 설계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리스틱 항공조회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6)

  1. 소정의 마켓-상기 마켓은 출발도시와 목적도시의 쌍을 의미함-을 위한 목적 항공편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마켓에 상응하는 항공사의 라우트 맵-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항공사의 운임과 규정이 허용하는 상기 출발도시에서 목적도시까지의 경로들의 모음이며, 어느 하나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됨-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라우트 맵에 기초하여 제1선택 세그먼트-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는 상기 출발도시에서 상기 목적도시까지의 경로들 중 어느 하나의 경로의 일부이며, 어느 하나의 단일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연결된 단일 세그먼트들의 집합일 수 있음-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제1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제1결정항공편으로 결정하고,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나머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를 선택받거나,
    소정의 방식으로 추천 세그먼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추천 세그먼트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로 결정하거나,
    상기 추천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 세그먼트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로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연관 세그먼트-상기 연관 세그먼트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출발도시 또는 목적도시를 포함하거나,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세그먼트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라우트맵에 포함된 세그먼트로 정의함-에 상응하는 연관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항공사가 운영하는 메리드 세그먼트(married segment)의 일부 세그먼트가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메리드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기준 출발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여유일 내에 출발하는 상기 제1항공편들 각각의 예약 가능한 부킹 클래스의 기초 운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제1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1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을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제1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선택항공편이 결정항공편으로 결정될 경우의 상기 목적 항공편에 상응하는 전체 운임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나머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나머지 세그먼트 중 제2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선택 세그먼트의 제2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제2결정항공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선택 세그먼트의 제2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2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을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은,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제1결정항공편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이 포함되었을 때 적용될 수 있는 기초운임 및 규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2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 항공편에 현재까지 결정된 결정항공편만이 포함되었을 때 적용될 수 있는 기초운임 및 규정인 제1적용 운임규정에 상응하는 기초운임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상응하는 기초운임을 비교하고, 더 높은 기초운임에 상응하는 운임규정을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2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선택항공편의 제1일정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제2일정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제1적용 운임규정-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은 상기 목적 항공편에 현재까지 결정된 결정항공편만이 포함되었을 때 적용될 수 있는 기초운임 및 규정임-의 규정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일정과 상기 제2일정에 부합하는 운임규정 중 최저 기초운임에 해당하는 운임규정을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1결정항공편 또는 상기 제2결정항공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결정취소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결정취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결정항공편 또는 상기 제2결정항공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결정항공편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제2선택항공편이 상기 제1결정항공편과 서로 상응하지 않거나 상기 제2선택항공편과 상기 제1결정항공편의 사이가 일정 기간 이상이면 상기 단말기로 상응하는 노티스(notice)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제1결정항공편의 취소를 요청하는 취소요청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취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상기 제2결정항공편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결정항공편은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결정항공편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선택 세그먼트의 제2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대한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선택항공편이 결정항공편으로 결정될 경우의 상기 목적 항공편에 상응하는 전체 운임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 운임정보는,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조회요청시에 이미 결정된 결정항공편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출발도시에서 상기 목적 도시로의 경로 상에 기 결정된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정 현황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라우트 맵을 이용하여 도달할 수 있는 상기 마켓에 포함되지 않는 제2목적지 또는 상기 라우트 맵을 이용하여 출발할 수 있는 상기 마켓에 포함되지 않는 제2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목적지 또는 상기 제2출발지를 상기 목적도시 또는 상기 출발도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출발도시, 상기 목적도시, 및 상기 경로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 각각이 지도 상에 매핑되어 디스플레이된 정보인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21. 소정의 마켓-상기 마켓은 출발도시와 목적도시의 쌍을 의미함-을 위한 목적 항공편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마켓에 상응하는 항공사의 라우트 맵-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항공사의 운임과 규정이 허용하는 상기 출발도시에서 목적도시까지의 경로들의 모음이며, 어느 하나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됨-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라우트 맵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 항공편에 포함될 일부의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적 항공편에 포함될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이 상기 항공편의 선택되면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적용 운임규정 및 상기 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전체 운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된 상기 적용 운임규정과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방법.
  22.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3. 소정의 마켓-상기 마켓은 출발도시와 목적도시의 쌍을 의미함-을 위한 목적 항공편을 선택하기 위한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마켓에 상응하는 항공사의 라우트 맵-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항공사의 운임과 규정이 허용하는 상기 출발도시에서 목적도시까지의 경로들의 모음이며, 어느 하나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됨-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라우팅 모듈; 및
    상기 라우트 맵에 기초하여 제1선택 세그먼트-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는 상기 출발도시에서 상기 목적도시까지의 경로들 중 어느 하나의 경로의 일부이며, 어느 하나의 단일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연결된 단일 세그먼트들의 집합일 수 있음-에 상응하는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제1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으며,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제1결정항공편으로 결정하고,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나머지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결정하는 제어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를 선택받거나,
    소정의 방식으로 추천 세그먼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추천 세그먼트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로 결정하거나,
    상기 추천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 세그먼트를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로 선택받고,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상기 제1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연관 세그먼트-상기 연관 세그먼트는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출발도시 또는 목적도시를 포함하거나,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세그먼트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라우트맵에 포함된 세그먼트로 정의함-에 상응하는 연관 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더 제공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선택 세그먼트의 기준 출발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여유일 내에 출발하는 상기 제1항공편들 각각의 예약 가능한 부킹 클래스의 기초 운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은,
    상기 제1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1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기 위한 운임규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운임규정모듈에 의해 판단된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이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은,
    상기 제1선택항공편이 결정항공편으로 결정될 경우의 상기 목적 항공편에 상응하는 전체 운임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운임규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운임규정 모듈에 의해 판단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나머지 세그먼트 중 제2선택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2항공편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항공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선택 세그먼트의 제2선택항공편으로 선택받으며,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할 제2결정항공편으로 결정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운임규정 모듈은,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제2적용 운임규정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운임규정 모듈에 의해 판단된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이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은,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제1결정항공편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이 포함되었을 때 적용될 기초운임 및 규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운임규정 모듈은,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에 상응하는 기초운임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상응하는 기초운임을 비교하고, 더 높은 기초운임에 상응하는 운임규정을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으로 판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운임규정 모듈은,
    상기 제1선택항공편의 제1일정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제2일정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상기 제1적용 운임규정의 규정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일정과 상기 제2일정에 부합하는 운임규정 중 최저 기초운임에 해당하는 운임규정을 상기 제2적용 운임규정으로 판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결정항공편 또는 상기 제2결정항공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결정취소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결정취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결정항공편 또는 상기 제2결정항공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목적 항공편을 구성하는 결정항공편에서 제외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운임규정 모듈은,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대한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선택항공편이 결정항공편으로 결정될 경우의 상기 목적 항공편에 상응하는 전체 운임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판단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선택항공편을 선택받으며,
    상기 전체 운임정보는,
    상기 제2선택항공편의 조회요청시에 이미 결정된 결정항공편과 상기 제2선택항공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3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출발도시에서 상기 목적 도시로의 경로 상에 기 결정된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정 현황 정보를 결정현황 UI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3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은,
    상기 라우트 맵에 상응하는 도시 및 상기 경로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 각각을 지도 상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맵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36. 소정의 마켓-상기 마켓은 출발도시와 목적도시의 쌍을 의미함-을 위한 목적 항공편을 선택하기 위한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켓에 상응하는 항공사의 라우트 맵-상기 라우트 맵은 상기 항공사의 운임과 규정이 허용하는 상기 출발도시에서 목적도시까지의 경로들의 모음이며, 어느 하나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됨-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라우팅 모듈;
    상기 라우트 맵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 항공편에 포함될 일부의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항공편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제어모듈; 및
    운임규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항공편의 선택되면, 상기 운임규정 모듈에 의해 판단되는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기초 운임 및 규정을 포함하는 적용 운임규정 및 상기 항공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적 항공편에 적용될 전체 운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적용 운임규정과 상기 전체 운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항공편을 선택받는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KR1020140016727A 2013-10-11 2014-02-13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58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28,705 US20160260183A1 (en) 2013-10-11 2014-09-29 Heuristic flight inquir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PCT/KR2014/009089 WO2015053502A1 (ko) 2013-10-11 2014-09-29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05 2013-10-11
KR20130121005 2013-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188A KR20150043188A (ko) 2015-04-22
KR101558324B1 true KR101558324B1 (ko) 2015-10-13

Family

ID=5303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727A KR101558324B1 (ko) 2013-10-11 2014-02-13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260183A1 (ko)
KR (1) KR101558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963A (ko) 2022-01-07 2023-07-14 주식회사 누아 항공 데이터의 ndc 스키마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74B1 (ko) * 2015-08-21 2018-01-25 (주) 플라이트그래프 팔로우 항공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10542060B2 (en) * 2016-09-19 2020-01-21 Ebay Inc. Interactive real-time visualization system for large-scale streaming data
WO2018135834A1 (ko) * 2017-01-17 2018-07-26 (주) 플라이트그래프 수정 항공권을 이용한 항공권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09241206B (zh) * 2017-06-30 2022-01-14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路线查询方法及装置
FR3084949A1 (fr) * 2018-08-09 2020-02-14 Amadeus S.A.S. Procede de generation d'un ensemble d'itineraires par une interrogation limitee de bases de donnees
CN110442793A (zh) * 2019-08-12 2019-11-12 携程商旅信息服务(上海)有限公司 最低价航班推荐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737735B (zh) * 2019-09-10 2023-07-11 海南太美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航空网络地图的航线显示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1339414A (zh) * 2020-02-24 2020-06-26 携程旅游网络技术(上海)有限公司 航班中转信息提醒方法、系统、设备及介质
US11720377B2 (en) 2020-07-10 2023-08-08 Nava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generating contextual user interface elements
CN111949893B (zh) * 2020-08-21 2024-03-29 深圳市活力天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协同过滤算法的机票推荐方法
US11756140B2 (en) * 2020-11-16 2023-09-12 Amadeus S.A.S.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path selection
CN113515694B (zh) * 2021-05-06 2023-12-26 携程旅游网络技术(上海)有限公司 基于航班动态查询的反馈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3485890B (zh) * 2021-06-30 2023-10-27 中国民航信息网络股份有限公司 航班查询系统业务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672802A (zh) * 2021-07-27 2021-11-19 携程旅游网络技术(上海)有限公司 航班的推荐方法、系统、电子设备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7572B1 (en) * 1998-07-02 2001-10-23 Ita Softwar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vel planning system
US6836537B1 (en) * 1999-09-13 2004-12-28 Microstrategy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personalized, dynamic, interactive voice services for information related to existing travel schedule
US7263664B1 (en) * 2000-11-01 2007-08-28 Ita Softwar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vel planning system
US7346526B2 (en) * 2002-10-16 2008-03-18 Ita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entering flexible travel queries with layover description
AU2005248490B2 (en) * 2004-05-26 2010-11-25 Amadeus S.A.S. Device and method for reserving travel products
US20080004917A1 (en) * 2006-06-30 2008-01-03 Rearden Commerce,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booking reservations
US20080027768A1 (en) * 2006-07-25 2008-01-31 Steve Thurlow Automated Repricing of Revised Itineraries for Ticket Changes Requested After Issuance
US20090248458A1 (en) * 2008-03-28 2009-10-01 Air Canda Method And System To Enable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Use A Flight Pass
US20130103767A1 (en) * 2011-10-21 2013-04-25 Microsoft Corporation Return notifications of tasks performed with entities
US20140222475A1 (en) * 2013-02-06 2014-08-07 Neil ORKIN Flight saver system
US10032195B2 (en) * 2013-03-13 2018-07-24 Airline Tariff Publishing Company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fare analytic eng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963A (ko) 2022-01-07 2023-07-14 주식회사 누아 항공 데이터의 ndc 스키마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188A (ko) 2015-04-22
US20160260183A1 (en)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324B1 (ko)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7877280B2 (en) Goal oriented travel planning system
US7181410B1 (en) Goal oriented travel planning system
US71240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air charter aircraft
US20160125327A1 (en) Dynamic packaging for re-accommodation
US200701431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ustomer-based availability for a transportation carrier
US20070143153A1 (en) Dem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a transportation carrier
KR20220048969A (ko) 다중-방식 운송 서비스 계획 및 이행
US201400191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nd booking a complete travel itinerary
US20090182588A1 (en) Market-level inventory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50108068A1 (en) Generating flight schedules using fare routings and rules
US20150161528A1 (en) Automated detection of travel incidents and rebooking of travel itineraries impacted by same
KR102008478B1 (ko) 여행경로 및 여행상품을 포함하는 여행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150294238A1 (en) Travel planning system
US20110055770A1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servation departure and control system
KR101811274B1 (ko) 팔로우 항공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04146A1 (en) Automated rebooking system and method for airlines
EP19034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simplified fares with consistent buy-across
US20180012152A1 (en) Determining a passenger service parameter for flight disruption
US202100497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ravel arrangements for a constraint-limited group
KR20130115004A (ko)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612382B2 (ja) 予約システム、予約プログラム、および予約方法
US20150161526A1 (en) Generation of offers with limited time frame guaranteed availability and pricing for travel itineraries
Buyruk et al. Personalization in airline revenue management: an overview and future outlook
KR102221025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가 행하는 합승 제안 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