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217B1 -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217B1
KR101558217B1 KR1020130120985A KR20130120985A KR101558217B1 KR 101558217 B1 KR101558217 B1 KR 101558217B1 KR 1020130120985 A KR1020130120985 A KR 1020130120985A KR 20130120985 A KR20130120985 A KR 20130120985A KR 101558217 B1 KR101558217 B1 KR 10155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utting
ground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575A (ko
Inventor
김정주
김토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물래
김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물래, 김정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물래
Priority to KR1020130120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2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4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after being lif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18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both rotating and non-rotat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유닛에 의해 견인되면서 고구마 등의 줄기를 제거하는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줄기 제거장치는, 저면과 전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프레임부(10)와; 프레임부(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단날(22)이 구비되어 회전 동작되는 절단부(20)와; 구동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21)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30) 및; 절단부(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작물의 줄기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절단부(20) 쪽으로 안내하는 줄기안내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지면과 인접하는 줄기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되도록 들어 올려 절단하기 때문에 밭의 이랑과 골 부분의 줄기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절단된다.

Description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Vine Removal Apparatus of Vine Crops}
본 발명은 땅속뿌리 식물의 줄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구마와 같은 땅속뿌리 작물을 수확할 때 땅속에 묻힌 뿌리를 캐기 전에 줄기(덩굴)을 먼저 걷어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땅속의 뿌리를 쉽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을에 고구마와 같은 땅속뿌리 작물의 뿌리를 수확할 때에는 먼저 지상의 덩굴을 제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때 이랑과 골 전체에 걸쳐 널리 분포된 줄기를 수작업으로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기계를 사용하여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를 제거하는 방식이 널리 채택되고 있으며, 그 하나의 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129423호에 개시된 작물 줄기 제거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줄기 제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장치에 고정된 상태로 견인에 의해 이동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 고정되어 지층 표면을 따라 전개된 줄기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줄기 제거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때 줄기 제거부(100)는 본체에 횡 방향으로 배치되어 동력장치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110)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휠(120)과, 상기 각 고정휠(120)에 방사구조로 고정되는 복수의 절단날(130) 및 상기 고정휠(120) 사이에 교번되게 배치되어 고정휠(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극부쉬(140)로 구성되어 간극부쉬(140)의 폭에 따라 고정휠(120) 및 이에 고정된 절단날(130)의 간격이 변경되도록 한 것이다.
요컨대, 상기 특허문헌의 줄기 제거장치는 외부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본체를 견인하면서 회전축에 방사성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절단날에 의해 줄기가 제거되도록 한 것인데, 고구마의 덩굴(줄기)은 일반적으로 지면에 근접되어 자라기 때문에 고구마 덩굴이 절단날에 의해 제대로 절단되기 어렵고, 또한 고구마 덩굴을 효과적으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절단날을 지면 가까이에 근접시켜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두둑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절단과정에서 절단날이 두둑의 지면에 닿거나 돌과 부딪혀 절단날이 파손되거나 또는 절단날이 회전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하여 고구마와 같은 땅속뿌리 작물을 심을 때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두둑에 식물의 순을 심지만, 작물이 자라면서 작물의 덩굴이 이랑뿐만 아니라 골까지 덮고, 또한 골의 높이가 이랑의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줄기 제거장치에 의해 줄기를 제거한다고 하더라도 주로 이랑 위에 존재하는 줄기만 제거될 뿐 골을 덮고 있는 줄기는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후속하는 뿌리(고구마) 수확과정에서 수확된 뿌리가 덩굴 속에 들어가거나 덩굴과 혼재됨으로써 수확된 뿌리를 쉽게 찾거나 회수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덩굴작물(고구마) 줄기 제거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면에 근접한 작물의 줄기를 쉽고 정확하게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절단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땅속뿌리 식물의 덩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땅속뿌리 식물의 덩굴 제거장치를, 저면과 전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단날이 구비되어 회전 동작되는 절단부와; 구동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절단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작물의 줄기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상기 절단부 쪽으로 안내하는 줄기안내부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줄기안내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일단이 관통 설치되며, 타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는 호형부와 직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호형부는 상기 절단날의 회전 반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형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절단날의 회전 반경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후면을 따라 수직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보강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에 구비되며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 형상의 고정브래킷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각각 고정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이 상기 고정대를 따라 위치 조절된 다음,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 동력의 전달 방향을 전환하는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동력전달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구동축과; 상기 동력전달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피동축 및; 상기 피동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풀리는 벨트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는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보조풀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길이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단날은 상기 결합부에 각각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절단날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를 제거하여 감자와 고구마 등의 뿌리를 쉽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줄기 제거장치로서, 지면에 근접하여 자라는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가 가이드의 직선부를 이용하여 이랑보다 낮은 높이의 골의 줄기가 이랑 높이보다 높게 들려 올려지고, 들려 오른 줄기는 호형부에 의해 절단날 쪽으로 근접하여 이동되므로 절단날에 의해 줄기를 더욱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과 같이 지면에 근접된 줄기를 절단하기 위해 절단날을 지면과 인접하여 설치하는 대신, 일정 높이 이격 설치하기 때문에 돌과 부딪혀 절단날이 파손되거나, 절단날과 부딪친 돌이 주변의 작업자에게 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a, b)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의 회전축과 절단날의 예를 보인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땅속뿌리 식물의 뿌리를 수확하기 전에 지상의 덩굴을 사전에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땅속뿌리를 쉽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줄기 제거장치는 트랙터 등의 구동유닛의 후방에 설치되어 견인되면서 사용되는데, 그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 절단부(20), 구동부(30) 및 줄기안내부(4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부(10)는 좌우로 일정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전면(구동유닛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과 저면이 개방된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절단부(20)가 설치되며, 이러한 프레임부(10)는 구조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판재를 용접이나 체결부재에 의해 부착하여 제작하거나, 또는 구조재로 이루어진 별도의 프레임 없이 판재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거나 또는 절곡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0)의 저면과 함께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절단부(20)의 절단날(22)에 의해 절단된 줄기가 후방 또는 지면으로 쉽게 배출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의 전방면에는 트랙터와 같은 구동유닛과 연결되기 위해 연결브래킷(12)이 구비되는데, 이 연결브래킷(12)의 상부에는 구동유닛의 유압장치(S)와 연결되는 피스톤결합부(1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프레임부(1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연결대(도면부호 없음)와 결합되는 연결대결합부(14)가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부(10)의 양측면에는 각각 후술하는 절단부(20)의 회전축(21) 양단이 설치 고정되는 관통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후술하는 구동부(30)의 동력전달유닛(31)과 피동축(33)이 설치된다.
프레임부(10)의 내측 하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절단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며 그 양단이 각각 프레임부(1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회전축(21)과, 회전축(21)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는 절단날(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절단날(22)이 지면이나 돌 등에 부딪히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절단날(22)의 설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도 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의 외주면에는 길이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결합부(21A)가 구비되고, 이 결합부(21A)에 각각 결합부재(B)에 의해 절단날(22)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날(22)은 회전축(21)에 직접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결합부재(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설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어 절단날(22)의 회전 반경이 자유롭게 변경된다.
그 결과 밭의 이랑과 골의 형상에 따라 절단날(22)이 지면의 거리가 각각 다르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회전 반경이 조절되면서 줄기가 절단된다.
한편, 회저축(21)의 양단에는 각각 후술하는 구동부(3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피동풀리(23)가 설치되며, 이 피동풀리(23)는 구동풀리(34)와 벨트(V)로 연결된다.
프레임부(10)의 상면과 양측면에 설치되어 절단부(20)의 회전축(21)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30)는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베벨기어가 설치되어 일측의 축에서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직교하는 다른 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과, 동력전달유닛(31)과 연결되어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구동축(32)과, 동력전달유닛(31)과 연결되어 구동축(31)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피동축(33) 및 피동축(33)에 설치되는 구동풀리(34)로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풀리(34)는 벨트(V)에 의해 회전축(21)의 피동풀리(23)와 연동되고, 이에 의해 구동유닛에서 제공되는 회전 동력이 구동축(32)에 의해 동력전달유닛(31)을 거쳐 피동축(33)으로 전달되고, 피동축(33)의 회전 동력은 구동풀리(34)에서 피동풀리(23)로 벨트(V)에 의해 전달되어 회전축(21)이 회전 동작된다.
한편, 구동풀리(34)와 피동풀리(23) 사이에는 보조풀리(35)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보조풀리(35)는 구동풀리(34)과 피동풀리(23)를 서로 감싸도록 설치된 벨트(V)의 외측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벨트(V)가 풀리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보조풀리(35)를 이용하여 벨트(V)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벨트(V)의 구동간에 슬립을 줄여줌으로써 동력이 더욱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실시된다.
또한 프레임부(10)의 양측면에는 각각 구동풀리(34)와 피동풀리(23) 및 보조풀리(35)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36)가 감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부(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절단부(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줄기안내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의 전방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대(41)와, 고정대(41)에 일단이 관통 설치되며 타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42)로 이루어지며, 가이드(42)는 호형부와 직선부로 이루어지는데, 가이드(42)의 직선부는 지면(골)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지면(골)의 넝쿨 작물의 줄기를 들어 올리게 되고, 호형부는 직선부에 의해 들려 오른 줄기가 절단부(20)의 절단날(22) 쪽으로 근접 안내하여 줄기가 절단날(22)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가이드(42)의 호형부는 절단부(20)의 절단날(22)의 회전 반경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는 호 형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형상에 의해 직선부를 통해 안내되는 줄기가 절단날(22)의 회전 반경내로 안내될 수 있고, 그 결과 줄기가 더욱 정확하게 절단된다.
그리고 가이드(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가 절곡되어 호형부와 직선부가 형성되는 베이스판(42A)과, 베이스판(42A)의 후면을 따라 수직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보강판(42B) 및 베이스판(42A)의 상단에 구비되며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 형상의 고정브래킷(42C)로 이루어지고, 또한 고정브래킷(42C)에는 각각 고정볼트(42D)가 구비되어 고정브래킷(42C)이 고정대(41)를 따라 위치 조절된 다음, 고정볼트(42D)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실시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밭의 골 간격에 맞춰 가이드(42)의 설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절단날(22)의 높이가 밭의 이랑 높이에 맞춰지도록 높이를 조절한 다음, 가이드(42)를 골 간격에 맞춰 고정하고, 구동유닛을 이용하여 직선 주행을 하게 되면, 밭의 골에 인접하여 내려앉은 작물의 줄기가 이랑의 높이보다 높게 들려 올려오기 때문에 절단날(22)에 의해 이랑과 골의 줄기가 전체적으로 절단된다.
그리고 절단부(20)와 줄기안내부(30)의 높이를 유압장치(S)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랑의 높이에 맞춰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지지부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지지부재(50)는 줄기제거장치(1)를 보관하거나 정지되어 위치 고정될 때, 지면에 절단날(22)이나 가이드(42)가 닿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구성으로,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한 지지대(도면부호 없음)가 프레임부(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이 지지대를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승강시켜 고정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켜 프레임부(10)를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덩굴 작물 줄기 제거장치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2)의 연결대에 프레임부(10)의 연결대결합부(1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된 유압장치(S)의 피스톤이 피스톤결합부(13)에 결합되어 구동유닛(2)의 주행과 유압장치(S)의 인입출 동작 제어에 의해 줄기를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때 유압장치(S)의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로 인입되면 연결대결합부(14)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되면서 프레임부(10)가 상향되어 절단부(20)의 절단날(22)과 줄기안내부(40)가 상향되고, 이에 의해 줄기 절단 작업을 하지 않고 구동유닛(2)의 주행이 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인출되면, 연결대결합부(14)의 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0)가 하향되면서 절단부(20)와 줄기안내부(40)가 지면으로부터 적정 높이가 되도록 하향되는데, 이렇게 적정 높이로 프레임부(10)가 하향되고 나면, 고정대(41)의 가이드(42)가 설치된 간격을 고정볼트(42D)를 풀어 대략 30㎝간격을 가지는 골의 위치에 맞춰 고정하고, 그 다음 회전 동력이 구동축(32)을 통해 동력전달유닛(31)을 거쳐 피동축(33)으로 전달되면, 구동풀리(34)가 회전 동작되면서 벨트(V)에 의해 연동된 피동풀리(23)가 회전 동작되면서 회전축(21)이 회전 동작되고, 그 결과 회전축(21)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절단날(22)이 회전 되면서 가이드(42)에 의해 골 부분의 줄기가 들려 오르면서 절단되거나 이랑 부분의 줄기가 절단날(22)에 의해 곧바로 절단된다.
본 발명은 밭의 지면에 근접하여 자라는 넝쿨 작물 특히, 밭의 골 부분의 줄기를 줄기가이드를 이용하여 상부의 절단부로 인접되게 들어 올린 다음, 가이드의 호형부에 의해 줄기가 절단날 쪽으로 근접되게 안내되므로 절단날에 의해 줄기가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고, 또한 골 부분의 줄기를 절단하기 위해 절단날이 지면에 과도하게 근접시키지 않기 때문에 절단날이 돌 등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절단날과 부딪친 돌이 주변의 작업자에게 튀지 않고 안전하게 줄기 절단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1: 줄기제거장치 2: 구동유닛
10: 프레임부 11: 본체
12: 연결브래킷 13: 피스톤결합부
14: 연결대결합부 20: 절단부
21: 회전축 21A: 결합판
22: 절단날 23: 피동풀리
30: 구동부 31: 동력전달유닛
32: 구동축 33: 피동축
34: 구동풀리 35: 보조풀리
36: 커버 40: 줄기안내부
41: 고정대 42: 가이드
42A: 베이스판 42B: 보강판
42C: 고정브래킷 42D: 고정볼트
50: 지지부재 B: 결합부재
S: 유압장치 V: 벨트

Claims (7)

  1. 구동유닛의 후방에 설치되어 작물의 줄기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줄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줄기 제거장치는, 저면과 전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단날(22)이 구비되어 회전 동작되는 절단부(20)와;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21)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30) 및;
    상기 절단부(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작물의 줄기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상기 절단부(20) 쪽으로 안내하는 줄기안내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줄기안내부(4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전방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대(41)와; 일단은 상기 고정대(41)에 관통 설치되며 타단은 지면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4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42)는 판재가 절곡되어 호형부와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부는 상기 절단날(22)의 회전 반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판(42A)과; 상기 베이스판(42A)의 후면을 따라 수직 교차되도록 형성된 보강판(42B) 및; 상기 베이스판(42A)의 상단에 위치하는 고정브래킷(42C)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래킷(42C)에는 고정볼트(42D)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래킷(42C)이 상기 고정대(41)를 따라 위치 조절된 다음, 상기 고정볼트(42D)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형부는 상기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상기 절단날(22)의 회전 반경과 동심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는 회전 동력의 전달 방향을 전환하는 동력전달유닛(31)과;
    상기 동력전달유닛(31)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구동축(32)과;
    상기 동력전달유닛(31)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32)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피동축(33) 및;
    상기 피동축(33)에 설치되는 구동풀리(34)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풀리(34)는 벨트(V)에 의해 상기 회전축(21)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34)와 상기 회전축(21) 사이에는 상기 벨트(V)의 장력을 조절하는 보조풀리(35)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는 길이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결합부(21A)가 구비되고,
    상기 절단날(22)은 상기 결합부(21A)에 각각 결합부재(B)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B)를 중심으로 상기 절단날(22)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KR1020130120985A 2013-10-11 2013-10-11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KR10155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985A KR101558217B1 (ko) 2013-10-11 2013-10-11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985A KR101558217B1 (ko) 2013-10-11 2013-10-11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575A KR20150043575A (ko) 2015-04-23
KR101558217B1 true KR101558217B1 (ko) 2015-11-23

Family

ID=5303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985A KR101558217B1 (ko) 2013-10-11 2013-10-11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2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321A (ko) 2017-01-16 2018-07-25 임선식 식물분할장치
KR101885529B1 (ko) 2018-04-04 2018-08-06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KR20190014851A (ko) 2017-08-04 2019-02-13 정길동 구근 작물의 줄기 분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06B1 (ko) * 2015-09-02 2016-03-09 이학남 고랑용 줄기절단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제초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996Y1 (ko) * 2005-01-26 2005-04-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승용 관리기용 제초기
JP2006136295A (ja) * 2004-11-15 2006-06-01 Minoru Industrial Co Ltd 茎葉刈取機
JP2007089504A (ja) 2005-09-29 2007-04-12 Minoru Industrial Co Ltd 茎葉刈取機
KR101129423B1 (ko) 2011-12-09 2012-03-26 권기원 작물 줄기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6295A (ja) * 2004-11-15 2006-06-01 Minoru Industrial Co Ltd 茎葉刈取機
KR200381996Y1 (ko) * 2005-01-26 2005-04-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승용 관리기용 제초기
JP2007089504A (ja) 2005-09-29 2007-04-12 Minoru Industrial Co Ltd 茎葉刈取機
KR101129423B1 (ko) 2011-12-09 2012-03-26 권기원 작물 줄기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321A (ko) 2017-01-16 2018-07-25 임선식 식물분할장치
KR20190014851A (ko) 2017-08-04 2019-02-13 정길동 구근 작물의 줄기 분쇄장치
KR101885529B1 (ko) 2018-04-04 2018-08-06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575A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72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material from a line
KR101797935B1 (ko) 줄기 파쇄기
KR101885529B1 (ko)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KR101558217B1 (ko) 땅속뿌리 작물의 줄기 제거장치
KR100818251B1 (ko) 농작물용 줄기 제거 장치
KR101471996B1 (ko) 두둑용 이동수단이 구비된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KR101106618B1 (ko) 다목적 작물수확기
US4077190A (en) Grass trimmer
KR102556707B1 (ko)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KR101686391B1 (ko) 구근작물의 줄기 절단장치
KR200403145Y1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US6286605B1 (en) Cutting system
KR20090073967A (ko) 덩굴제거장치
US5904033A (en) Vine cutter
KR20150119569A (ko) 뿌리 수확을 위한 줄기 제거장치
JP6762839B2 (ja) 茎葉処理機
JP3130514B2 (ja) 甘藷の蔓切り機
JP3851622B2 (ja) 馬鈴薯茎葉刈り取り装置
JP3450740B2 (ja) 栽培作物用作業機
JP2011087509A (ja) 茎葉刈取り機
JP2019083727A (ja) 排葉寄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茎葉処理機
KR20220081663A (ko) 폐비닐 수거기능이 구비된 땅속작물 수확기
KR20230160467A (ko) 작물줄기용 절단기
CN116671332A (zh) 一种基于无人农机的避障装置及方法
JP2002065076A (ja) マルチフィルム巻取装置及びこの装置によるマルチフィルムの巻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