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133B1 -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133B1
KR101558133B1 KR1020150031587A KR20150031587A KR101558133B1 KR 101558133 B1 KR101558133 B1 KR 101558133B1 KR 1020150031587 A KR1020150031587 A KR 1020150031587A KR 20150031587 A KR20150031587 A KR 20150031587A KR 101558133 B1 KR101558133 B1 KR 101558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wire
variable
uni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철
정예원
Original Assignee
정연철
정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철, 정예원 filed Critical 정연철
Priority to KR1020150031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전선풀림장치 개념에서 탈피하여 보다 개선된 형태로 기능이 실시될 수 있도록 관련 구조를 특화하고자 보빈부 사이의 너비 조절이 가능하며, 보빈부에 체결되는 가변핀을 사용함으로써 내경을 변경 가능한 구조로, 보빈부의 중심홀이 심보에 생성된 나사홈의 양측에 체결되면서 제1보빈과 제2보빈 사이의 너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해당 보빈부의 조절홈부에 체결되는 가변핀의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으로 내경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전선의 굵기와 양에 제한없이 다양한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시간은 절감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호 대응되는 원판 형상의 제1,2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20);와, 보빈부(20) 상간에 개재되어 전선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심보(10);와, 보빈부(20)의 중심 방향으로 천공되면서 적어도 복수 개의 제1,2조절홈으로 구분 형성되는 조절홈부(26);와, 조절홈부(26)와 일대일 대응 결합되고 제1,2보빈의 각 내측으로 체결되는 가변핀(30);과, 가변핀(30)의 유동을 제어하는 나비너트(31);와, 보빈부(20)의 양단에 체결되어 보빈부(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너트(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VARIABLE ASSEMBLY APPARATUS FOR UNBINDING WIRE}
본 발명은 전선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전선풀림장치 개념에서 탈피하여 보다 개선된 형태로 기능이 실시될 수 있도록 관련 구조를 특화하고자 보빈부 사이의 너비 조절이 가능하며, 보빈부에 체결되는 가변핀을 사용함으로써 내경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는 전선풀림장치의 기술사상에 관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보빈부의 중심홀이 심보에 생성된 나사홈의 양측에 체결되면서 제1보빈과 제2보빈 사이의 너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해당 보빈부의 조절홈부에 체결되는 가변핀의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으로 내경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전선의 굵기와 양에 제한없이 다양한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시간은 절감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다발로 묶인 상태의 전선을 제공되거나 전선드럼에 감아 제작하여 판매하게 되는데, 전선을 사용하는 현장에서는 전선드럼 또는 다발로 묶인 전선을 풀어가면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현장에서 사용하는 다발형식 전선롤은 다발로 감긴 상태에서 다발 외부를 포장한 비닐을 제거한 후 다발의 내부 또는 외부에 돌출된 전선의 일단을 작업자가 잡아당김으로 전선 풀림에서 전선의 엉킴 현상이 자주 발행하게 되고, 이에 엉킨 전선을 풀어주기 위해 모든 공정을 멈추게 되어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됨은 물론, 막대한 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선이 엉켜 있을 때 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풀어주어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자동화 시스템으로 진행되는 현장에서 엉킨 전선을 풀어주기 위한 작업자를 항시 대기시켜 놓아야 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발이 흩어진 전선 걸려 발생되는 안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초래한다.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1341호 "전선 풀링기"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은 지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축이 중앙에 구비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외측 테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축에 삽입 결합되는 축공과, 전선롤이 삽입 거치되는 거치구가 구비된 회전판;과, 상기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판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동수단은,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고 좌,우로 이동하는 랙기어와, 상기 가압구가 맞닿아 밀려 올라가거나 내려오도록 일단에 힌지가 결합 된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타단에 구비된 이동축과 결합되어 회전봉이 가압구에 의해 상부로 밀려 올라갈 때 회전판의 저면과 맞닿는 브레이크 및 상기 피니언기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의 실용신안등록을 비롯한 종래의 모든 기술사상은 전선을 사용하는 현장에서 공정이 느리게 진행되거나 전선을 천천히 공급해도 전선의 엉킴 현상은 덜 발생할 수 있으나, 공정이 빠르게 진행되거나 전선을 빠른 속도로 공급해야 한다면 전선의 엉킴 현상은 작업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자주 엉키는 문제점을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발형식으로 제작된 전선롤에서 전선을 풀 때 풀리는 전선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 전선의 굵기와 양의 차이로 발생되는 전선롤의 무게와 크기에 상관없이 전선의 풀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용도에 맞는 거치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는 상호 대응되는 원판 형상의 제1,2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20);와, 보빈부(20) 상간에 개재되어 전선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심보(10);와, 보빈부(20)의 중심 방향으로 천공되면서 적어도 복수 개의 제1,2조절홈으로 구분 형성되는 조절홈부(26);와, 조절홈부(26)와 일대일 대응 결합되고 제1,2보빈의 각 내측으로 체결되는 가변핀(30);과, 가변핀(30)의 유동을 제어하는 나비너트(31);와, 보빈부(20)의 양단에 체결되어 보빈부(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너트(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보(1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중심축(14)과, 중심축(14)의 양측면에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지지축(11)과, 지지축(11)과 중심축(14)을 고정하는 너트(12)와, 너트(12)가 접하는 중심축(14)의 양단에서부터 생성되어 고정너트(40)와 보빈부(20)의 상호 체결을 유도하는 나사홈(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100).
한편, 상기 보빈부(20)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1보빈(21)과, 제1보빈(2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2보빈(22)과, 제2보빈(22)의 중심홀(23)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가변핀(30)과 나비너트(31)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2조절홈(25)과, 제2조절홈(25)과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가지며 제1보빈(21)에 생성되는 복수개의 제1조절홈(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빈부(20)는 중심축(14) 양단에 생성된 나사홈(13)에 의하여 수평선상으로 안내되면서 보빈부(20) 상간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상기 제1조절홈(24)은 제2조절홈(25)과 교차되도록 위치하여 조절홈부(26)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가변핀(30)의 충돌을 방지하며, 원형의 조절홈부(26)로 가변핀(30)의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보빈부는 중심축 양단에 생성된 나사홈에 의하여 수평선상으로 안내되면서 보빈부 상간의 너비를 조절하며, 원형의 조절홈부에 체결되는 가변핀의 이동으로 전선롤의 내경에 일체되도록 조절할 수 있어 전선의 굵기와 양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전선 다발이 흩어지는 것을 통제할 수 있음은 물론, 전선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면에서 그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거치대 뿐만 아니라 이동식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시간은 절감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면에서 크나큰 이점이 기대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분해사시도.
도3는 본 발명의 보빈부를 조절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사용상태도.
도4은 본 발명의 가변핀을 조절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사용상태도.
도5 내지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선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전선풀림장치 기념에서 탈피하여 보다 개선된 형태로 기능이 실시될 수 있도록 관련 구조를 특화하고자 보빈부 사이의 너비 조절이 가능하며, 보빈부에 체결되는 가변핀을 사용함으로써 내경을 변경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는 전선풀림장치의 기술사상에 관련된다.
무엇보다, 보빈부(20)의 중심홀(23)이 심보(10)에 생성된 나사홈(13)의 양측에 체결되면서 제1보빈(24)과 제2보빈(25) 사이의 너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해당 보빈부(20)의 조절홈부(26)에 체결되는 가변핀(30)의 수평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으로 내경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전선의 굵기와 양에 제한없이 다양한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시간은 절감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100)에 관하여 개시하고자 한다.
도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는 보빈부(20);와, 심보(10);와, 조절홈부(26);와, 가변핀(30);과, 나비너트(31);와, 고정너트(4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는 상호 대응되는 원판 형상의 제1,2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20);와, 보빈부(20) 상간에 개재되어 전선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심보(10);와, 보빈부(20)의 중심 방향으로 천공되면서 적어도 복수 개의 제1,2조절홈으로 구분 형성되는 조절홈부(26);와, 조절홈부(26)와 일대일 대응 결합되고 제1,2보빈의 각 내측으로 체결되는 가변핀(30);과, 가변핀(30)의 유동을 제어하는 나비너트(31);와, 심보(10)의 양단에 체결되어 보빈부(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너트(40);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심보(1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중심축(14)과, 중심축(14)의 양측면에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지지축(11)과, 지지축(11)과 중심축(14)을 고정하는 너트(12)와, 너트(12)가 접하는 중심축(14)의 양단에서부터 생성되어 고정너트(40)와 보빈부(20)의 상호 체결을 유도하는 나사홈(13)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보빈부(20)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1보빈(21)과, 제1보빈(2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2보빈(22)과, 제2보빈(22)의 중심홀(23)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가변핀(30)과 나비너트(31)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2조절홈(25)과, 제2조절홈(25)과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가지며 제1보빈(21)에 생성되는 복수개의 제1조절홈(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보빈부(20)를 해체하여 전선 다발을 결합 후에 해체된 보빈부(2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보빈부(20)의 일측에만 고정너트(40)를 사용하는 경우 전선 소지시 전선 다발이 양측 보빈부(20)를 밀어주는 압력이 상실되며, 고정되어 있던 보빈부(20)가 헐거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보빈부(20)가 틀어지거나 회전하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너트(40)를 보빈부(20)의 양단에 체결함으로써 보빈부(20)의 회전과 틀어짐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전선의 꼬임과 엄킴을 풀어주는 작업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도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3는 본 발명의 보빈부를 조절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4은 본 발명의 가변핀을 조절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보빈부(20)는 중심축(14)양단에 생성된 나사홈(13)에 의하여 수평선상으로 안내되면서 보빈부(20) 상간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홈(24)은 제2조절홈(25)과 교차되도록 위치하여 조절홈부(26)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가변핀(30)의 충돌을 방지하며, 원형의 조절홈부(26)로 가변핀(30)의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보빈부(20)는 중심축(14) 양단에 생성된 나사홈(13)에 의하여 수평선상으로 안내되면서 보빈부(20) 상간의 너비를 조절하며, 원형의 조절홈부(26)에 체결되는 가변핀(30)의 수직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전선롤 내경에 일체되도록 조절할 수 있어 전선의 굵기와 양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전선 다발이 흩어지는 것을 통제할 수 있음은 물론, 전선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면에서 그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
도5 내지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예시도이다.
도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풀림장치는 인력으로 위치를 이동시킬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틀이 연결된 거치대를 지면에 놓은 상태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양과 굵기에 따라 인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전선 다발은 이동식 거치대를 사용함으로써, 전선이 바닥에 쓸리면서 발생하는 손상이나 작업 장소 이동의 번거러움과 이로 인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시간은 절감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전선이 신체 일부에 걸려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면에서 크나큰 이점이 기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심보 11. 지지축
12. 너트 13. 나사홈
14. 중심축 20. 보빈부
21. 제1보빈 22. 제2보빈
23. 중심홀 24. 제1조절홈
25. 제2조절홈 26. 조절홈부
30. 가변핀 31. 나비너트
40. 고정너트

Claims (5)

  1. 권취된 전선의 외부 이탈을 차단하기 위해 상호 대응되는 원판 형상의 제1,2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20);와, 제1,2보빈의 중앙부에 각각 체결되어 제1,2보빈을 상호 연결하는 심보(10);와, 심보로부터 보빈부의 외부이탈을 차단하기 위해 심보와 보빈부를 고정하는 고정너트(40);로 구성된 전선풀림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전선풀림장치(100)는 심보의 축 상에 게재된 보빈부 간의 가로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전선의 꼬임이 방지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양측 단부에 각각 심보의 전체길이 중 1/3 간격으로 나사홈(13)이 형성된 심보(10);와,
    상기 심보(10)의 양측 나사홈(13)에 스토퍼 역할을 실시하는 고정너트(40)와 제1보빈(21) 또는 제2보빈(22)과, 제1,2보빈(21,22)이 심보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고정너트(40)를 각각 순차적으로 결합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역할의 고정너트(40)와 이탈 방지 역할의 고정너트(40)를 각각 조작하여, 제1,2보빈이 심보의 나사홈(13)이 형성된 간격 내에서 수평선상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져 제1,2보빈(21,22)의 가로 폭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보빈부(20)는 중심 방향으로 천공되면서 적어도 복수 개의 제1,2조절홈으로 구분 형성되는 조절홈부(26)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홈부(26)에 일대일 대응 결합되되 심보의 길이보다 1/3이 짧고, 일측단부만 나사부가 형성되어 제1,2보빈의 각 내측면에 체결되는 가변핀(30);과,
    상기 제1,2보빈에 관통되어 돌출된 가변핀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가변핀(30)의 유동을 제어하는 나비너트(3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보(1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중심축(14)과, 중심축(14)의 양측면에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지지축(11)과, 지지축(11)과 중심축(14)을 고정하는 너트(12)와, 너트(12)가 접하는 중심축(14)의 양단에서부터 생성되어 고정너트(40)와 보빈부(20)의 상호 체결을 유도하는 나사홈(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20)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1보빈(21)과, 제1보빈(2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2보빈(22)과, 제2보빈(22)의 중심홀(23)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가변핀(30)과 나비너트(31)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2조절홈(25)과, 제2조절홈(25)과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가지며 제1보빈(21)에 생성되는 복수개의 제1조절홈(2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조절홈(24)은 제2조절홈(25)과 교차되도록 위치하여 조절홈부(26)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가변핀(30)의 충돌을 방지하며, 원형의 조절홈부(26)로 가변핀(30)의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100).
  4. 삭제
  5. 삭제
KR1020150031587A 2015-03-06 2015-03-06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KR101558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587A KR101558133B1 (ko) 2015-03-06 2015-03-06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587A KR101558133B1 (ko) 2015-03-06 2015-03-06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133B1 true KR101558133B1 (ko) 2015-10-06

Family

ID=5434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587A KR101558133B1 (ko) 2015-03-06 2015-03-06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1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87U (ko) 2016-10-11 2018-04-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조립식 전선 풀림장치
CN109081185A (zh) * 2018-08-15 2018-12-25 安徽电缆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省力效果的电缆收纳装置
KR102383023B1 (ko) * 2021-05-07 2022-04-04 우재형 다단형 전선다발 풀림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3868A (ja) * 1999-02-16 2000-08-29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状体用ドラム
KR100573575B1 (ko) * 2004-11-24 2006-05-08 전진우 필름 권취용 휠의 간격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3868A (ja) * 1999-02-16 2000-08-29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状体用ドラム
KR100573575B1 (ko) * 2004-11-24 2006-05-08 전진우 필름 권취용 휠의 간격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87U (ko) 2016-10-11 2018-04-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조립식 전선 풀림장치
CN109081185A (zh) * 2018-08-15 2018-12-25 安徽电缆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省力效果的电缆收纳装置
KR102383023B1 (ko) * 2021-05-07 2022-04-04 우재형 다단형 전선다발 풀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0643B1 (en) Method of folding filament and bundle of filament manufactured thereof
KR101558133B1 (ko) 가변 조립식 전선풀림장치
EP1784352B1 (en) Continuous yarn delivery creel
CN104828634A (zh) 纺丝牵伸装置
KR102135724B1 (ko) 권취장치
KR101822440B1 (ko) 와이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 제조공정
JP2007504955A (ja) コイルスプリングの製造方法
CN202296588U (zh) 一种高速倒筒机
EP36584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feeding a twisted braided metal cable or flat wire from a corresponding support without altering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wire
CN204369296U (zh) 绕纱纱线张力控制装置
KR101356991B1 (ko) 전선 풀림 장치
CN102431843B (zh) 一种高速倒筒机
KR20070026781A (ko) 권취기 내에서 단사를 유지시키는 장치
JP6893912B2 (ja) 制動機構を備える貯蔵紡糸供給機及び交換可能部材
CN210480413U (zh) 一种具有张力调节功能的纺织加工用同步放线装置
CN106743991B (zh) 络筒工艺中的卷筒自动规整装置及其规整方法
CN202594530U (zh) 一种自动松式络筒机的张力调节装置
CN202808054U (zh) 一种络筒机
CN217606697U (zh) 变压器绕组主动供线装置及变压器绕组生产设备
CN104805576A (zh) 一种分纱装置便拆式配装机构
KR20100070507A (ko) 와이어 릴 거치대
CN215854342U (zh) 制造管材用的分线器
CN218525451U (zh) 一种绕线张力控制装置及控制系统
CN203682764U (zh) 成绞机张力控制机构
CN212450065U (zh) 一种自动绕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