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723B1 - 압연소재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소재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723B1
KR101557723B1 KR1020140091272A KR20140091272A KR101557723B1 KR 101557723 B1 KR101557723 B1 KR 101557723B1 KR 1020140091272 A KR1020140091272 A KR 1020140091272A KR 20140091272 A KR20140091272 A KR 20140091272A KR 101557723 B1 KR101557723 B1 KR 101557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rolled material
pusher
pusher head
roller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9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2Piling, unpiling, unscra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And Tools For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테이블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하나 이상의 압연소재가 적치되는 적치부; 및 상기 적치부에 적치된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도록 이동하는 푸셔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셔부는 이동하여, 상기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면서 상기 압연소재의 하측에 위치된 다른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압연소재 처리장치는 압연소재를 추출하면서 동시에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연소재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ROLLING MATERIALS}
본 발명은 압연소재를 롤러 테이블로 이송시키는 압연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연소재를 이송하면서 압연소재의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는 압연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가열로(reheating furnace)는 통상 연주공정을 통해 생산된 슬래브 등과 같은 압연소재를 후공정인 열간압연에 투입되기 전에 압연공정에 적합한 온도로 소재를 가열하는 설비이다.
또한, 슬래브 등과 같은 압연소재는 가열로로 장입되기 이전에 적당한 크기, 즉, 폭과 길이로 절단된다. 이렇게 절단된 상태로 압연소재는 처리 장치에 의해 롤러 테이블로 추출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소재 처리장치(30)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소재 처리장치(30)는 적치기(31) 및 푸셔(32)로 이루어진다. 적치기(31)의 상부에 압연소재(S)가 안착된다. 이때, 푸셔(32)가 압연소재(S)와 접촉하여 롤러 테이블(40)을 향하여 이동하면, 적치기(31) 상부에 안착된 압연소재(S)는 롤러 테이블(40) 상에 위치되고, 롤러 테이블(40)에 의한 이송 방향에 의해 가열로로 장입될 수 있다.
한편, 압연소재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압연소재의 절단면과 상부에는 스카핑 덧살이나 스케일 등과 같은 이물질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으면, 압연소재가 롤러 테이블로 추출될 때, 이물질은 낙하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킨다. 또한, 압연소재가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가열로에 장입되면, 압연소재에 대한 가열로의 열효율이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이물질을 압연소재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압연소재가 롤러 테이블에 안착된 상태에서, 망치나 빗자루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에, 작업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수작업에 이용되는 도구에 의해 압연소재의 표면에 흠이 발생되어 압연소재의 품질이 저하되기도 한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26542호(고안의 명칭: 충격 소음 흡수 장치) 및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00866호(발명의 명칭: 적치소재 위치 교정이 가능한 파일링 테이블 장치) 등을 통해 다양한 압연소재 처리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압연소재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압연소재를 추출하면서 압연소재의 이물질(예를 들어, 스카핑 덧살이나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연소재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롤러 테이블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하나 이상의 압연소재가 적치되는 적치부; 및 상기 적치부에 적치된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도록 이동하는 푸셔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셔부는 이동하여, 상기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면서 상기 압연소재의 하측에 위치된 다른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적치부는, 상기 롤러 테이블과 상기 푸셔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 상기 압연소재가 적치되는 승강 베이스부; 상기 승강 베이스부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베이스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푸셔부는, 상기 압연소재를 추출하도록 이동가능한 푸셔 헤드부; 및 상기 푸셔 헤드부에 내장되고 상기 푸셔 헤드부의 하면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가 이동할 때 상기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압연 소재의 상면에 상응하여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에 내장되는 나이프 베이스부;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나이프부들; 및 상기 푸셔 헤드부에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를 이동시켜 상기 나이프부들을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시킬 수 있는 베이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와 상기 나이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나이프부가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될 때 변형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기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나이프부들을 따라 위치되는 기체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나이프부의 일단면에는 연결 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나이프부의 타단면에는 연결 홈이 함몰형성되며, 하나의 나이프부의 연결 돌기가 인접한 다른 나이프부의 연결 홈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상기 나이프부들은 상호 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푸셔 헤드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푸셔 헤드부의 하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며,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가 내장되고 상기 나이프부들이 돌출되는 내장공간부; 및 상호 간에 마주하는 각각 상기 내장공간부의 내부 측면에서 함몰형성되고, 가이드공간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는,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상면에는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는 실린더 결합홈;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각각 상기 실린더 결합홈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실린더 결합돌기들;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각각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공간부에 삽입되는 가이드 결합돌기들;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나이프 결합홈; 및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각각 상기 나이프 결합홈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나이프 결합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구동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 결합돌기들에 접촉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푸셔 헤드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부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부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실린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실린더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를 상기 가이드 공간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나이프부는,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상기 나이프부의 양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되는 나이프 돌기들을 포함하되, 상기 나이프가 상기 나이프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나이프 돌기들은 상기 나이프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이프 결합돌기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나이프 결합홈의 내측 상면에는 스프링 삽입홈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나이프부의 상면에는 대향 스프링 삽입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와 상기 나이프부 사이에 위치되고, 양종단이 각각 상기 스프링 삽입홈 및 상기 대향 스프링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나이프부가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될 때 변형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푸셔 헤드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의 일면 중앙에 삽입 설치되는 리미트부; 및 상기 리미트부의 종단에 연결되어 추출될 압연소재에 접촉되고, 상기 푸셔 헤드부가 이동할 때 회전하는 리미트 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미트부는 상기 추출될 압연소재에 접촉된 리미트 롤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푸셔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를 상기 롤러 테이블에 대하여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헤드 이동부; 및 상기 헤드 이동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헤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압연소재 처리장치는, 상기 적치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압연소재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질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압연소재 처리장치는, 상기 롤러 테이블의 장입롤러들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상기 압연소재의 하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테이블 스크레이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소재 처리장치는 적치부 및 푸셔부를 포함하고, 적치부에 적치된 압연소재를 푸셔부의 이동에 의해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고 압연소재 상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이용된다. 또한, 푸셔부에서 푸셔 헤드부는 이동하여 압연소재를 추출하고 스크레이퍼부는 푸셔 헤드부가 이동할 때 압연소재의 하측에 위치된 다른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연소재 처리장치는 압연소재의 추출 및 이물질의 제거를 동시하여 구현하여, 압연소재에서 이물질의 제거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소재 처리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연소재 처리장치에서 푸셔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연소재 처리장치의 푸셔부에서 푸셔 헤드부 및 스크레이퍼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압연소재 처리장치가 작동할 때 푸셔부의 일부가 압연소재에 접촉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들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압연소재 처리장치가 작동할 때 푸셔부의 일부가 압연소재에 접촉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압연소재 처리장치가 롤러 테이블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소재 처리장치(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연소재 처리장치(10)에서 푸셔부(200)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연소재 처리장치(10)의 푸셔부(200)에서 푸셔 헤드부(201) 및 스크레이퍼부(204)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압연소재 처리장치(10)가 작동할 때 푸셔부(200)의 일부가 압연소재(S)에 접촉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들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압연소재 처리장치(10)가 작동할 때 푸셔부(200)의 일부가 압연소재(S)에 접촉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들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압연소재 처리장치(10)가 롤러 테이블(20)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소재 처리장치(10)는 적치부(100) 및 푸셔부(200)를 포함하여, 적치부(100)에 적치된 압연소재(S)들을 푸셔부(200)를 이용하여 롤러 테이블(20)로 추출하면서, 압연소재(S)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이용된다. 또한, 롤러 테이블(20)에 추출된 압연소재(S)는 롤러 테이블(20)을 따라 이송되어 가열로(미도시됨)에 장입되어 가열된다. 여기서, 이물질은 스카핑 덧살이나 스케일을 의미한다. 또한, 최상측에 위치된 압연소재(S) 또는 하나의 압연소재(S)은 압연소재 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이후에, 추출된다. 본 실시예는 압연소재의 추출 및 이물질의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적치부(100)는 롤러 테이블(20)과 푸셔부(200) 사이에 위치된다. 적치부(100)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압연소재(S)가 적치되고, 적치부(1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적치부(100)는 승강 베이스부(101), 승강부(102) 및 승강 구동부(103)를 포함한다.
승강 베이스부(101)는 롤러 테이블(20)과 푸셔부(200)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는 압연소재(S)가 적치된다.
승강부(102)는 승강 베이스부(10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승강 베이스부(10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반적으로 승강 베이스부(101)가 새로운 압연소재(S)들을 적치시키기 위하여, 승강부(102)는 승강 베이스부(101)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푸셔부(200)에 의해 압연소재(S)들을 롤러 테이블(20)로 추출하기 위하여, 승강부(102)는 승강 베이스부(101)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승강부(102)는 승강 래크기어부(121) 및 승강 피니언기어부(123)를 포함한다.
승강 래크기어부(121)는 승강 베이스부(101)의 일측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어 톱니들이다. 즉, 승강 래크기어부(121)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승강 피니언기어부(123)는 외주면에 기어 톱니들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고, 승강 래크기어부(121)의 일부에 맞물린다. 승강 피니언기어부(123)는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승강 래크기어부(1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승강 피니언기어부(123)의 회전운동은 승강 래크기어부(121)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때, 승강 베이스부(101)는 승강 래크기어부(121)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승강 구동부(103)는 승강부(102), 특히 승강 피니언기어부(123)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한다. 승강 구동부(103)는 승강 피니언기어부(123)의 회전축을 제공하여, 승강 피니언기어부(123)를 회전시킨다. 이때, 승강 피니언기어부(123)는 승강 구동부(103)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승강 래크기어부(121)를 이동시켜, 승강 베이스부(10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승강 구동부(103)는 모터 형태로 이루어진다
푸셔부(200)는 적치부(100)에 적치된 압연소재(S)를 롤러 테이블(20)로 추출하도록 이동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부(200)는 롤러 테이블(20)을 향하여 이동하여 한 쌍의 압연소재(S)들 중 상측에 위치된 상측 압연소재(S1)를 롤러 테이블(20)로 추출한다. 이로 인해, 푸셔부(200)의 이동에 의해 상측 압연소재(S1)가 롤러 테이블로(20)로 유도된다. 동시에, 푸셔부(200)는 한 쌍의 압연소재(S)들 중 하측에 위치된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를 따라 이동한다. 이로 인해, 푸셔부(200)에 의해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형성된 이물질이 압연소재(S2)의 상면으로부터 제거된다. 한편, 푸셔부(200)는 최상측에 위치된 압연소재(S) 또는 하나의 압연소재(S)에 대해서는 이물질을 제거한 이후에, 추출을 구현한다. 또한, 푸셔부(200)는 푸셔 헤드부(201), 헤드 이동부(202), 헤드 구동부(203) 및 스크레이퍼부(204)를 포함한다.
푸셔 헤드부(201)는 롤러 테이블(20)을 향하면서 상측 압연소재(S1)의 일측면을 마주한다. 즉, 상측 압연소재(S1)가 롤러 테이블(20)로 추출될 때, 푸셔 헤드부(201)가 상측 압연소재(S1)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측 압연소재(S1)를. 롤러 테이블(20)로 민다. 또한, 푸셔 헤드부(201)는 내장공간부(211), 가이드공간부(213)들, 리미트부(215), 리미트 롤러부(217)를 포함한다.
내장공간부(211)는 푸셔 헤드부(201)의 하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고, 푸셔 헤드부(201)의 전체 길이에 대응된다. 이때, 내장공간부(211)는 직사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가이드공간부(213)들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내장공간부(211)의 내부 측면에 함몰형성되고, 내장공간부(211)의 전체 길이에 대응한다.
리미트부(215)는 푸셔 헤드부(201)의 일면 중앙에 수용되어 설치된다.
리미트 롤러부(217)는 리미트부(215)에 연결되어 직접적으로 상측 압연소재(S1)의 일측면에 접촉한다. 리미트 롤러부(217)는 접촉된 상측 압연소재(S1)가 이동할 때 회전한다. 이로 인해, 상측 압연소재(S1)는 접촉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리미트부(215)는 리미트 롤러부(217)의 상측 압연소재(S1)의 일측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고, 접촉이 감지되면 적치부(100)에 의한 압연소재의 이동이나 하측 압연소재(S2)에 대한 스크레이퍼부(204)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헤드 이동부(202)는 푸셔 헤드부(201)에 연결되어 푸셔 헤드부(201)를 롤러 테이블(20)에 대하여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 이동부(202)는 이동 래크기어부(221) 및 이동 피니언기어부(223)를 포함한다.
이동 래크기어부(221)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푸셔 헤드부(201)에 연결된다. 이동 래크기어부(221)에는 푸셔 헤드부(201)의 이동방향에 따라 기어톱니들이 형성된다. 즉, 이동 래크기어부(221)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동 피니언기어부(223)는 외주면에 기어 톱니들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고, 이동 래크기어부(221)의 일부에 맞물린다. 이동 피니언기어부(223)는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이동 래크기어부(221)를 롤러 테이블(20)에 대하여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동 피니언기어부(223)의 회전운동은 이동 래크기어부(221)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때, 푸셔 헤드부(201)는 이동 래크기어부(221)와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헤드 구동부(203)는 헤드 이동부(202), 특히 이동 피니언기어부(223)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한다. 헤드 구동부(203)는 이동 피니언기어부(223)의 회전축을 제공하고, 이동 피니언기어부(223)를 회전시킨다. 이동 피니언기어부(223)는 헤드 구동부(203)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동 래크기어부(221)를 이동시켜, 푸셔 헤드부(201)를 왕복 이동시킨다. 이때, 헤드 구동부(203)는 모터 형태로 이루어진다.
스크레이퍼부(204)는 푸셔 헤드부(201)에 내장되어 푸셔 헤드부(201)의 하면을 통해 돌출되어,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을 마주하여 접촉한다. 푸셔 헤드부(201)가 이동할 때, 스크레이퍼부(204)는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하측 압연소재(S2)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이용된다. 한편, 스크레이퍼부(20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상응하여 밀착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부(204)는 나이프 베이스부(241), 나이프부(242)들, 베이스 구동부(243), 스프링부(244)들, 및 기체 분사부를 포함한다.
나이프 베이스부(241)는 푸셔 헤드부(201)의 내장공간부(211)에 내장된다. 이때, 나이프 베이스부(241)의 길이는 푸셔 헤드부(201)의 길이에 대응한다. 또한, 나이프 베이스부(241)에는 실린더 결합홈(241a), 실린더 결합돌기(241b)들, 가이드 결합돌기(241c)들, 나이프 결합홈(241d), 나이프 결합돌기(241e)들, 및 스프링 삽입홈(241f)이 형성된다.
실린더 결합홈(241a)은 나이프 베이스부(241)의 상면에서 나이프 베이스부(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다.
실린더 결합돌기(241b)들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각각 실린더 결합홈(241a)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가이드 결합돌기(241c)들은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각각 나이프 베이스부(241)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결합돌기(241c)는 가이드공간부(213)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나이프 베이스부(241)는 내장공간부(211)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가이드공간부(21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나이프 결합홈(241d)은 나이프 베이스부(241)의 하면에서 나이프 베이스부(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다.
나이프 결합돌기(241e)들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각각 나이프 결합홈(241d)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스프링 삽입홈(241f)은 나이프 결합홈(241d)의 내부 상면에 함몰형성된다.
나이프부(242)들은 나이프 베이스부(241)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장공간부(211)로부터 돌출되고, 푸셔 헤드부(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이때, 나이프부(242)들은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을 향하고 접촉한다. 또한, 나이프부(242)들에는 각각 나이프 돌기(242a)들, 대향 스프링 삽입홈(242b), 연결 돌기(242c) 및 연결홈(242d)을 포함한다.
나이프 돌기(242a)들은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각각 나이프부(242)의 양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나이프부(242)가 나이프 결합홈(241d)에 삽입될 때, 나이프 돌기(242a)들은 나이프 결합돌기(241d)들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나이프부(242)는 나이프 결합홈(241d)에 삽입된 상태로 나이프 베이스부(241)의 하면에 설치된다.
대향 스프링 삽입홈(242b)은 나이프부(242)의 상면에서 나이프부(24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다. 나이프부(242)가 나이프 결합홈(241d)에 삽입될 때, 대향 스프링 삽입홈(242b)은 스프링 삽입홈(241f)를 마주한다.
연결 돌기(242c)는 나이프부(242)의 일단면에 돌출형성되고, 연결홈(242d)은 나이프부(242)의 타단면에 연결 돌기(242c)와 맞물리도록 함몰형성된다. 하나의 나이프부(242)에 형성된 연결 돌기(242c)가 인접하게 위치된 다른 나이프부(242)에 형성된 연결홈(242d)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나사 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이 체결에 이용되고, 나이프부(242)들은 상호 간에 연결되어 푸셔 헤드부(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베이스 구동부(243)는 푸셔 헤드부(201)의 상면에 설치되고, 푸셔 헤드부(201)의 상면을 관통하여 나이프 베이스부(241)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한다. 나이프 베이스부(241)는 베이스 구동부(243)에 의한 동력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나이프 베이스부(241)가 이동함에 따라, 나이프부(242)들은 이동하여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구동부(243)는 실린더부(243a) 및 실린더 베이스부(243b)를 포함한다.
실린더부(243a)는 푸셔 헤드부(201)의 상면을 관통하여 나이프 베이스부(241)의 실린더 결합홈(241a)에 삽입되어 실린더 결합돌기(241b)들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실린더부(243a)는 나이프 베이스부(241)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실린더 베이스부(243b)는 푸셔 헤드부(201)의 상면에 설치되어 실린더부(243a)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실린더부(243a)는 실린더 베이스부(243b)에 고정된 상태로 나이프 베이스부(241)를 가이드공간부(21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부(243a)에 의한 나이프 베이스부(241)의 이동은 나이프부(242)들의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대한 접촉을 제공한다.
스프링부(244)들은 각각 나이프 결합홈(241d)에 삽입되어 나이프 베이스부(241)과 나이프부(242)에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스프링부(244)의 양종단은 각각 스프링 삽입홈(241f) 및 대향 스프링 삽입홈(242b)에 삽입된다. 이때, 나이프부(242)가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접촉될 때, 스프링부(244)는 변형된다. 특히, 스프링부(244)는 복원력을 축적하면서 압축된다. 이로 인해, 나이프부(242)가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프링부(244)는 나이프부(242)를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부(242)들은 하측 압연소재(S2)의 변형된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기체 분사부는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기체를 분사하도록 나이프부(242)들을 따라 위치된다. 또한, 기체 분사부는 배관부(245), 배관 고정부(246) 및 기체 공급부(247)를 포함한다.
배관부(245)는 나이프부(242)들에 결합되어 푸셔 헤드부(201)를 따라 위치된다. 배관부(245) 상에는 나이프부(242)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을 향하는 복수 개의 노즐(245a)들이 형성된다.
배관 고정부(246)들은 각각 나이프부(242)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배관부(245)를 나이프부(242)들에 고정시킨다.
기체 공급부(247)는 배관부(245)에 연결되어 배관부(245)로 기체를 공급한다. 기체 공급부(247)에 의해 배관부(245)에 공급된 기체는 노즐(245a)들을 통해 하측 압연소재(S2)의 상면에 분사된다. 이러한 기체의 분사는 나이프부(242)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압연소재(S) 상에 남지 않도록 한다. 이때, 기체는 공기 등과 같이 반응성이 낮은 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연소재 처리장치(10)는 적치부(100) 상에 적치된 압연소재(S)들을 푸셔부(200), 특히 푸셔 헤드부(201) 및 스크레이퍼부(204)를 이용하여 직접 접촉시켜 롤러 테이블(20)로 추출하고 압연소재(S) 상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즉, 압연소재 처리장치(10)는 압연소재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의 제거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압연소재 처리장치(10)는 이물질 수집부(300) 및 제어부(400)를 더 포함한다.
이물질 수집부(300)는 적치부(100)에 인접하면서 푸셔부(200)의 이동방향 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 수집부(3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적치부(100)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된다. 푸셔부(200)의 이동을 통해 압연소재(S)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될 때, 이물질은 푸셔부(200)를 따라 이동하다가 압연소재(S)를 벗어나면서 낙하하여 이물질 수집부(300)에 수집된다. 제거된 이물질이 별도의 공간에 수집되어, 이물질로 인한 압연소재 처리장치(100)의 설치공간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제어부(400)는 적치부(100), 특히 승강 구동부(103), 푸셔부(200), 특히 헤드 구동부(203), 및 베이스 구동부(243)에 연결된다. 제어부(400)는 조작되어 승강 구동부(103), 헤드 구동부(203) 및 베이스 구동부(243)를 작동시킨다. 이때, 승강 구동부(103)는 적치부(100)의 동작을 구현하는 동력을 생성하고 헤드 구동부(203) 및 베이스 구동부(243)는 푸셔부(200)의 동작을 구현하는 동력을 생성하기에, 제어부(400)의 조작은 적치부(100) 및 푸셔부(200)의 작동을 구현한다. 즉, 제어부(400)는 적치부(100) 및 푸셔부(200)의 자동화를 구현한다.
또한, 롤러 테이블(20)의 하측에서 장입롤러(20a)들 사이에 테이블 스크레이퍼부(21)가 설치된다. 테이블 스크레이퍼부(21)는 상하 방햐응로 이동가능하여, 롤러 테이블(20)에 의해 이송되는 압연소재(S)의 하면에 접촉된다. 이때, 압연소재(S)의 하면에 형성된 이물질이 테이블 스크레이퍼부(21)에 의해 제거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 압연소재 이송장치
100: 적치부
101: 승강 베이스부
102: 승강부
103: 승강 구동부
200: 푸셔부
201: 푸셔 헤드부
202: 헤드 이동부
203: 헤드 구동부
204: 스크레이퍼부
300: 이물질 수집부
400: 제어부
20: 롤러 테이블
21: 테이블 스크레이퍼부

Claims (17)

  1. 압연소재 처리장치에 있어서,
    롤러 테이블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하나 이상의 압연소재가 적치되는 적치부; 및
    상기 적치부에 적치된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도록 이동하는 푸셔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셔부는 이동하여, 상기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면서 상기 압연소재의 하측에 위치된 다른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압연소재 처리장치는, 상기 롤러 테이블의 장입롤러들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상기 압연소재의 하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테이블 스크레이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2. 롤러 테이블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하나 이상의 압연소재가 적치되는 적치부; 및
    상기 적치부에 적치된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도록 이동하는 푸셔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셔부는 이동하여, 상기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면서 상기 압연소재의 하측에 위치된 다른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푸셔부는,
    상기 압연소재를 추출하도록 이동가능한 푸셔 헤드부; 및
    상기 푸셔 헤드부에 내장되고 상기 푸셔 헤드부의 하면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가 이동할 때 상기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 헤드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의 일면 중앙에 삽입 설치되는 리미트부; 및
    상기 리미트부의 종단에 연결되어 추출될 압연소재에 접촉되고, 상기 푸셔 헤드부가 이동할 때 회전하는 리미트 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미트부는 상기 추출될 압연소재에 접촉된 리미트 롤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3. 롤러 테이블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하나 이상의 압연소재가 적치되는 적치부; 및
    상기 적치부에 적치된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도록 이동하는 푸셔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셔부는 이동하여, 상기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면서 상기 압연소재의 하측에 위치된 다른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푸셔부는,
    상기 압연소재를 추출하도록 이동가능한 푸셔 헤드부; 및
    상기 푸셔 헤드부에 내장되고 상기 푸셔 헤드부의 하면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가 이동할 때 상기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에 내장되는 나이프 베이스부;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나이프부들; 및
    상기 푸셔 헤드부에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를 이동시켜 상기 나이프부들을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시킬 수 있는 베이스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이프부의 일단면에는 연결 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나이프부의 타단면에는 연결 홈이 함몰형성되며,
    하나의 나이프부의 연결 돌기가 인접한 다른 나이프부의 연결 홈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상기 나이프부들은 상호 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4. 롤러 테이블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하나 이상의 압연소재가 적치되는 적치부; 및
    상기 적치부에 적치된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도록 이동하는 푸셔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셔부는 이동하여, 상기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압연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추출하면서 상기 압연소재의 하측에 위치된 다른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푸셔부는,
    상기 압연소재를 추출하도록 이동가능한 푸셔 헤드부; 및
    상기 푸셔 헤드부에 내장되고 상기 푸셔 헤드부의 하면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가 이동할 때 상기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에 내장되는 나이프 베이스부;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나이프부들; 및
    상기 푸셔 헤드부에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를 이동시켜 상기 나이프부들을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시킬 수 있는 베이스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 헤드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푸셔 헤드부의 하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며,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가 내장되고 상기 나이프부들이 돌출되는 내장공간부; 및
    상호 간에 마주하는 각각 상기 내장공간부의 내부 측면에서 함몰형성되고, 가이드공간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5. 제 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부는,
    상기 롤러 테이블과 상기 푸셔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 상기 압연소재가 적치되는 승강 베이스부;
    상기 승강 베이스부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베이스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상기 압연소재를 추출하도록 이동가능한 푸셔 헤드부; 및
    상기 푸셔 헤드부에 내장되고 상기 푸셔 헤드부의 하면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가 이동할 때 상기 압연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7. 제 2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압연 소재의 상면에 상응하여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에 내장되는 나이프 베이스부;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나이프부들; 및
    상기 푸셔 헤드부에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를 이동시켜 상기 나이프부들을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시킬 수 있는 베이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9.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와 상기 나이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나이프부가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될 때 변형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10.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기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나이프부들을 따라 위치되는 기체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는,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상면에는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는 실린더 결합홈;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각각 상기 실린더 결합홈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실린더 결합돌기들;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각각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공간부에 삽입되는 가이드 결합돌기들;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나이프 결합홈; 및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각각 상기 나이프 결합홈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나이프 결합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동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 결합돌기들에 접촉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푸셔 헤드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부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부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실린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실린더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를 상기 가이드 공간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부는,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상기 나이프부의 양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되는 나이프 돌기들을 포함하되,
    상기 나이프가 상기 나이프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나이프 돌기들은 상기 나이프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이프 결합돌기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 결합홈의 내측 상면에는 스프링 삽입홈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나이프부의 상면에는 대향 스프링 삽입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나이프 베이스부와 상기 나이프부 사이에 위치되고, 양종단이 각각 상기 스프링 삽입홈 및 상기 대향 스프링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나이프부가 상기 압연소재의 상면에 접촉될 때 변형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15. 제 2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상기 푸셔 헤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푸셔 헤드부를 상기 롤러 테이블에 대하여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헤드 이동부; 및
    상기 헤드 이동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헤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16. 제 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소재 처리장치는,
    상기 적치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압연소재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질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처리장치.
  17. 삭제
KR1020140091272A 2014-07-18 2014-07-18 압연소재 처리장치 KR101557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272A KR101557723B1 (ko) 2014-07-18 2014-07-18 압연소재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272A KR101557723B1 (ko) 2014-07-18 2014-07-18 압연소재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723B1 true KR101557723B1 (ko) 2015-10-06

Family

ID=5434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272A KR101557723B1 (ko) 2014-07-18 2014-07-18 압연소재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8191B2 (en) * 2016-09-27 2022-06-14 Fives Dms Device for drying a metal stri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32Y1 (ko) * 2000-09-21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충격 소음 흡수 장치
KR100805066B1 (ko) * 2006-10-17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적치소재 위치 교정이 가능한 파일링 테이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32Y1 (ko) * 2000-09-21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충격 소음 흡수 장치
KR100805066B1 (ko) * 2006-10-17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적치소재 위치 교정이 가능한 파일링 테이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8191B2 (en) * 2016-09-27 2022-06-14 Fives Dms Device for drying a metal str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1456B1 (en) Roller cleaning device
CN100513034C (zh) 刮刀式去毛刺机装置及工艺
KR101078547B1 (ko) 슬래그 제거장치
KR101557723B1 (ko) 압연소재 처리장치
KR100878445B1 (ko) 레이저 절단기용 그리드의 이물질 제거장치
IT201800003737A1 (it) Metodo e macchina perfezionati per la lavorazione di chiavi
JP4793693B2 (ja) コンプレッサケーシング解体装置および解体方法
CN204052221U (zh) 辊组清扫机构
KR20030053395A (ko) 강판 탈지 설비의 스와프 제거장치
CN107877793A (zh) 水口切除设备和水口切除方法
CN208051845U (zh) 一种便于除屑的机械零部件加工工作台
CN207710858U (zh) 一种软面包生产线用切割刀具
CN110732956A (zh) 一种破鳞辊换辊作业车切换装置及切换系统
CN105290051A (zh) 用于轴类零件的激光清洁装置
WO1981002701A1 (en) A method of cleaning moulds in a long mould bed for casting consecutive concrete elements and a rail-bound mould-cleaning carriage
EP3851246A1 (en) A rectifying system for squaring machines, squar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124274Y (zh) 刮刀式去毛刺机
RU24860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ки блока губчатого титана
CN104070359A (zh) 密封板压花自动加工机
CN108372329A (zh) 一种电池箱加工铁皮切割设备
CN203764695U (zh) 用于钢条的卷圆成型机
KR20190002445A (ko) 밴드 마감 장치
CN109108359B (zh) 一种金属铅锌回收方法
CN104226618B (zh) 辊组清扫机构
CN202238935U (zh) 凸轮轴坯轧制机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