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622B1 - 자동해제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자동해제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622B1
KR101557622B1 KR1020140134932A KR20140134932A KR101557622B1 KR 101557622 B1 KR101557622 B1 KR 101557622B1 KR 1020140134932 A KR1020140134932 A KR 1020140134932A KR 20140134932 A KR20140134932 A KR 20140134932A KR 101557622 B1 KR101557622 B1 KR 101557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release
release button
passenger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범
Original Assignee
권순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범 filed Critical 권순범
Priority to KR102014013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가 사고 후 침수나 화재 등으로 탑승자가 긴급한 탈출을 요할 시 부상이나 경황으로 인하여 안전벨트를 해제하지 못해 일어날 수 있는 2차 피해를 방지하고 해제하지 못할 경우 안전벨트가 비상탈출의 장애물이 될 수 있는 기존 안전벨트의 역기능을 해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 안전벨트의 웨빙에 일정 크기의 돌기를 형성하고 웨빙이 당겨져서 돌기가 텅 플레이트를 통과할 때 그 아래에 위치한 버클의 해제버튼을 눌러 안전벨트가 해제 되도록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결합시 텅 플레이트,웨빙,해제버튼 간의 알맞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시켜서 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기존의 안전벨트와 같이 해제버튼을 눌러 사용하고 손으로 직접 해제버튼을 눌러 해제할 수 없는 비상시에는 탈출동작으로 웨빙이 당겨져 나오기만 하면 웨빙에 형성된 돌기가 해제버튼을 눌러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 작동하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는 기존 안전벨트의 구조적인 변화나 큰 투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적용할 수 있고 비상 탈출을 요하는 긴급한 상황에서 기존 안전벨트가 장애물이 되는 역기능을 해소 더 안전한 안전벨트를 얻는데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해제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안전벨트{safty belt}
본 발명은 자동차가 사고후 침수나 화재 등으로 인해 탑승자가 긴급한 탈출을 요할시 부상이나 경황으로 안전벨트를 해제하지 못해 일어날 수 있는 2차 피해( 기존 안전벨트가 가지고 있는 역기능의 폐해)를 해결한 자동해제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사고시 탑승객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현재 통용되고 있다. 에어백,안전띠,벨트 프리텐셔너,등 모두가 사고시 탑승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장치들이다. 하지만 사고후 탑승객의 안전을 위한 비상탈출장치는 실용화가 거의 전무하고 그의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지금 기존의 안전벨트가 비상시 해제할 수 없다면 비상탈출의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실용 1019970062152
자동 해제되는 안전띠
[문헌 2] 대한민국 특허실용 2020050017966
자동차 안전벨트 자동 해제 장치
종래 자동차의 안전벨트는 차량이 충돌시 관성에 의해 탑승자가 튕겨져 나가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체를 시트에 단단히 잡아주는 역할이 주된 기능이다.하지만 차량이 사고 후 침수나 화재 등으로 긴급한 탈출을 요할때 사고로 인한 부상이나 경황이 없어 안전벨트를 해제하지 못해 일어나는 2차 피해를 예상할 수 있고 만의 하나 안전벨트를 매지 않았다면 탈출에 성공해 살 수 있었다면 이것은 안전벨트 역할의 큰 모순이고 역기능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본 발명은 기존 안전벨트의 주된 기능에 충실하면서 사고 후 긴급한 탈출을 요할시 탑승자가 직접 안전벨트를 해제하지 않고 탈출동작 만으로 웨빙이 일정길이 만큼 풀려나오면 버클로 부터 텅 플레이트가 해제되어 위에서와 같이 안전벨트가 비상탈출의 장애물이 되는 역기능의 폐해를 해소하고 더 안전한 안전벨트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리트렉터가 구비된 자동차 안전벨트에 있어서,안전벨트를 착용했을시 텅 플레이트(3)로 부터 리트렉터(8) 방향의 일정한 거리의 웨빙(1)에 일정 크기의 돌기(2)를 형성하고 텅 플레이트가 버클(6)에 결합되었을때 웨빙이 당겨지면 형성된 돌기에 의해 버클의 해제 버튼(4)이 눌려저 안전벨트가 해제되도록 결합시 웨빙,텅 플레이트,해제버튼 간에 알맞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시켜 웨빙이 당겨지면 웨빙에 형성된 돌기가 버클의 해제버튼에 힘을 가하게 되어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해제 장치가 구비된 안전벨트를 구한다.
위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해제 장치가 구비된 안전벨트는 기존 안전벨트의 구조나 기능의 변화 없이 웨빙에 돌기를 형성하고 텅 플레이트와 버클이 결합되었을때 텅 플레이트,웨빙,버클 사이의 알맞은 간격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시키면 되기 때문에 부담 없이 손쉽게 적용 기존 안전벨트와 똑 같이 사용할 수가 있고 긴급한 탈출을 요할시 탑승자가 직접 버클을 해제시키지 않고 탈출동작으로 웨빙이 풀려나오기만 하면 안전벨트가 자동 해제되므로 긴급탈출시 안전벨트가 장애물이 될 수 있는 기존 안전벨트의 폐해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안전벨트의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 웨빙의 돌기와 텅 플레이트,버클의 부분 사시도.
도 2의 (나)는 (가)의 A-A' 단면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 안전벨트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리트렉터가 구비된 자동차 안전벨트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했을시 텅 플레이트(3)에서 리트렉터(8)방향의 일정거리 웨빙에 돌기(2)를 형성시키고 버클(6)에 텅 플레이트가 결합되었을시 웨빙이 도 2의 (나)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져 텅 플레이트를 통과 하면 돌기가 버클의 해제버튼을 눌러 텅 플레이트가 해제될 수 있도록 텅 플레이트,웨빙,해제버튼 간의 간격을 알맞게 형성 시켜서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전벨트는 평상시에는 기존의 안전벨트와 같이 해제시 버클의 해제버튼을 눌러 사용하고 사고로 인해 해제버튼을 누를 수 없는 상황인 경우 비상탈출을 위해 몸을 움직이면 웨빙이 풀려나와 웨빙(1)에 형성된 돌기(2)가 웨빙이 텅 플레이트(3)를 통과 할때 그 아랫쪽에 위치한 버클의 해제버튼(4)에 힘을 가하게되어 버클로 부터 텅 플레이트가 분리되어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것이다.
1: 웨빙(webbing) 2: 돌기 3: 텅 플레이트 4: 해제 버튼 5: 버클의 텅 결합구 6: 버클 7: 버클 고정지지대 8: 리트렉터 9: 시트

Claims (1)

  1. 리트렉터가 구비된 자동차 안전벨트에 있어서,안전벨트를 착용했을시 텅 플레이트(3)로 부터 리트렉터(8) 방향의 일정 거리의 웨빙(1)에 일정 크기의 돌기(2)를 형성하고 텅 플레이트가 버클(6)에 결합되었을때 웨빙이 당겨지면서 텅 플레이트를 통과할 때 웨빙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버클의 해제 버튼(4)이 눌려저 안전벨트가 해제되도록 결합시 웨빙,텅 플레이트,해제버튼 간에 알맞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텅 플레이트와 버클을 형성시켜 웨빙이 당겨져 이동하면 웨빙에 형성된 돌기가 버클의 해제버튼에 힘을 가하게 되어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해제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안전벨트.
KR1020140134932A 2014-10-07 2014-10-07 자동해제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안전벨트 KR10155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932A KR101557622B1 (ko) 2014-10-07 2014-10-07 자동해제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932A KR101557622B1 (ko) 2014-10-07 2014-10-07 자동해제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안전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622B1 true KR101557622B1 (ko) 2015-10-05

Family

ID=5434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932A KR101557622B1 (ko) 2014-10-07 2014-10-07 자동해제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62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7249B2 (ja) ロッキングタング
US7871132B2 (en) Dynamic cinching latch plate
US9776535B2 (en) Infant restraint system
KR101584018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US9090225B2 (en) Shoulder belt latch load-limiting system
KR101557622B1 (ko) 자동해제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안전벨트
KR101438201B1 (ko) 시트 일체형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체결방법
US9061723B2 (en) Self-releasable safety belt
KR101579288B1 (ko) 문이 열리면 자동해제 되는 자동차 안전벨트
JP6373249B2 (ja) ロッキングタング
KR101835410B1 (ko) 차량용 안전벨트
KR102263510B1 (ko) 태아 보호를 위한 안전벨트용 보조구
CN210027341U (zh) 一种安全带及具有该安全带的救护车座椅
CN204701581U (zh) 一种易逃生汽车安全带
KR200278125Y1 (ko) 자동 자동차 안전벨트 조임 방지 장치
KR101741813B1 (ko) 임산부를 위한 시트벨트의 보조체결장치
US20140333105A1 (en) Safety seat for pregnant mother
US20210078527A1 (en) Emergency Escape Quick Release Seat Belt
US20070152493A1 (en) Safety restraint for a vehicle
KR100568669B1 (ko) 3점식 시트벨트의 구속력 향상장치
AU2018100497A4 (en) Locking Device for Maintaining Seat Belt Tension on a Child Car Seat
KR101355615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승객 구속장치
US20160318472A1 (en) Resettable Load-Limiting Adaptive Seatbelt Apparatus
JP2005001454A (ja) ベルト装置
KR200269510Y1 (ko) 원터치 자동차 안전벨트 조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