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264B1 - 피부 당김 맛사지기 - Google Patents

피부 당김 맛사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264B1
KR101557264B1 KR1020150078292A KR20150078292A KR101557264B1 KR 101557264 B1 KR101557264 B1 KR 101557264B1 KR 1020150078292 A KR1020150078292 A KR 1020150078292A KR 20150078292 A KR20150078292 A KR 20150078292A KR 101557264 B1 KR101557264 B1 KR 101557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shaft
skin
lower body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Original Assignee
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훈 filed Critical 박성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당김에 의한 피부의 팽팽함을 유지토록 하는 피부맛사기 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의 선단에 분기축이 형성되고 분기축에는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는 구슬이 장착된 것에 있어서 회전축에 장착되는 구슬이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게 장착되도록 하여 회전축에 전달되는 힘이 분산토록 함은 물론 동일한 힘으로 맛사지를 함에도 불구하고 구슬의 편심되어진 형태로 인하여 구슬의 회전시 피부를 당길 때 조여줌과 풀어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당김이 자연적으로 강하게 전달토록 한 것이다.
또한, 구슬을 편심되게 장착하기 위하여 구슬을 인서트 성형하여 표면에 경계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구슬을 상부체와 하부체로 등분되게 분할 형성하여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하면서 그 경계부위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피부가 ㄱ경계부위에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맛사지를 하는 중에 피부가 물려서 찝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당김 맛사지기{Rolling type Massage utensil}
본 발명은 피부의 당김에 의한 피부의 팽팽함을 유지토록 하는 피부맛사기 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이격된 구슬에 의하여 손잡이를 잡고 당길 경우에는 하나의 구슬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다른 하나의 구슬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러한 회전방향에 의하여 2개의 이격되어진 구슬의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를 당김토록 함은 물론 밀어줄 경우에는 반대로 회전되면서 이격된 구슬의 사이에 위치하는 피부를 당김으로서 피부의 탄력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현재 피부의 팽팽함을 유지토록 하기 위하여 문지름에 의한 피부표면의 당김으로 피부 표면을 윤택하게 하는 것으로는 손잡이의 선단으로 양측으로 일정각도가 벌어진 분기축의 선단에 축을 구비하고 상기 축에 장착되어져 회전되게 원형의 구슬을 장착하여 피부에 문지르면 각각의 원형의 구슬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피부를 구성하는 표피 또는 진피의 일부분 까지를 당김토록 함으로서 맛사지를 하게 함으로서 피부표면의 탄력을 유지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인간의 표피는 피부표면을 형성하는 각질층과 투명층 및 과립층과 가시층 및 기저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부분의 맛사지를 하게 함으로 피부표면의 탄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그 조립구조가 손잡이의 선단에 일정각도로 벌어진 분기축의 선단으로 축이 형성되고, 상기 축에 구슬이 단순 끼임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원형의 구슬을 성형하기 위하여 구슬의 중앙에 성형을 위한 금형의 분리라인이 구슬이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이러한 분리라인에 의한 피부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통상 구슬의 표면에는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늬의 구현을 위한 금형의 가공에 어려움이 존재함은 물론 구슬이 축에 정방향으로 장착되므로 손잡이를 잡고 피부에 문지를 경우에는 문지르면서 가해지는 하중이 원형의 구슬을 회전시키게 되는 축에 모든 힘이 전달되고 이러한 구슬의 크기에 한정이 있기 때문에 축 또는 그 굵기의 제한에 의하여 많은 하중에 의한 대항력이 약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장시간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이러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축에 부하가 걸리게 되면서 결국에는 부러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하중에 의하여 구슬에 전달되는 힘으로 인하여 축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는 구슬의 유동하는 등의 이유로 축의 파손은 물론, 피부의 형태나 위치에 따라 손잡이를 잡고 밀어주거나 당김 되는 힘이나 속도가 변화되므로 장시간 계속 사용할 경우에는 어깨 근육이 뭉치거나 사용이 힘들게 되는 문제가 있다.
KR 200453658 Y1 KR 2020100012926 U KR 1020130091622 A KR 300787581 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당김시 힘의 전달이 분산토록 하고, 동시에 구슬의 회전이 동일한 힘을 사용할 경우에도 강한 힘으로 피부의 당김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축에 회전체를 장착하고 상기 회전체를 구슬과 편심되게 결합하여 축에서 하중이 발생되는 구슬이 편심 회전이 이루어져 축에 전달되는 힘이 분산토록 함은 물론 구슬의 편심되어진 형태로 인하여 구슬의 회전시 당김이 자연적으로 강하고 약하게 전달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구슬을 인서트부재를 이용하여 인서트 성형으로 제작함으로써 표면이 일체화되면서 중앙부분에 평면으로 가공토록 하여 구슬 외관에 사출성형시 발생될 수 있는 파팅라인의 경계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구슬을 편심되게 장착하기 위하여 구슬을 상부체와 하부체로 등분토록 함으로서 성형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구슬이 등분된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을 제공하면서 등분되어 맞물리는 경계부위에서 피부의 물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가벼운 당김만으로 간헐적인 강한 당김이 발생됨으로 힘들이지 않고 맛사지를 지속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편심회전에 의하여 축에 항상 동일한 하중이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 축의 손상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구슬 내부를 인서트부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여 경계부위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맛사지기를 사용하는 중에 피부가 찝힐 우려가 전혀 없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슬을 등분된 상태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경계부위가 노출되지 않고 성형성도 우수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슬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피부 당김 맛사지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슬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슬이 축의 축심에 편심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슬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피부 당김 맛사지기의 구슬과 축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슬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피부당김 맛사지기의 구슬이 축의 또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3의 구슬이 회전체와 축에 의하여 분기축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5의 분해 단면도.
도 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구슬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편심 회전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맛사지기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슬의 일 실시 예의 제작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피부 당김 맛사지기의 외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구슬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에 편심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슬이 회전체와 축에 결합되는 피부 당김 맛사지기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슬이 회전체와 축에 결합되는 또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14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슬이 편심 회전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맛사지기 사용상태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분할된 구슬의 내부에 보강부가 형성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분할된 구슬의 또 다른 조립 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10은 구슬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이 분기축과 편심되어진 구조를 나타낸 것으고, 도3은 이러한 편심구조에 대한 구슬의 기본적인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손잡이(100)의 선단으로 일정각도로 벌어지는 2개의 분기축(200)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축(200)의 선단으로는 분기축(200)에서 고정되면서 돌출되는 축(300)이 형성되고, 상기 축(300)에는 각각 구슬(400)과 결합되는 회전체(410)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상태에서 축(300)에 끼워진 회전체(410)의 선단으로는 스냅링(450)이 장착되어 회전체(410)가 축(30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300)은 구슬(400)이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축에서 연장되는 축(300)의 축선(α)과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슬(400)의 중심축인 구심축선(β)은 축(300)의 축선(α)에 대해 기울어지게 장착되어 구슬(400)이 축(300)의 축선(α)에서 회전체(410)에 의하여 회전될 때 축선(α)을 감돌면서 편심되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시되어지지는 않았지만 축(300)의 축선(α)이 분기축(200)과 기울어지게 장착되어 편심토록 함으로서 축(300)에 끼워져 회전되는 회전체(410)에 끼워진 구슬이 편심되게 회전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구슬(400)이 축선(α)을 선회하면서 편심되게 회전하여 축(300)에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고, 구슬(400)이 회전할 때 편심되게 회전작동하게 되므로 2개의 구슬(400)의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의 당김시 조임과 풀어줌이 강약이 조절되면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동일한 힘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더 강하고 약하게 조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구슬(400)은 대략적인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긴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축(300)에 끼워져 축(300)에서 회전되는 회전체(410)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3 및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축(200)에는 일측으로는 내공간(431)과 타측으로는 밀착면(432)이 구비되어지는 부싱(430)이 분기축(200)에 결합되어져 부싱(430)의 선단으로 노출되는 축(30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회전되는 회전체(410)의 후렌지(411)의 밀착면(411a)가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원활한 회전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부싱(430)과 분기축(200)과의 결합은 분기축(200)의 선단에는 복수의 돌기(201)를 형성하고, 부싱(430)의 내공간(431)에 분기축(200)의 선단이 내입되면서 내공간(431)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턱(433)을 갖는 결합홀(434)에 돌기(201)가 끼워져 단턱(433)에 의하여 걸림되어지면서 임의적인 빠짐이 방지되면서 결합고정토록 한 것이고, 상기 부싱(430)의 밀착면(432)에 밀착되게 평면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410)의 후렌지(411)의 밀착면(411a)가 밀착되면서 회전체(410)와 부싱(430)이 면으로 밀착되면서 원활하고 정확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410)와 구슬(400)의 결합을 위하여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400)의 표면이 한 몸체로 구성되도록 하면서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시 금형의 형개로 인하여 생기게 되는 파팅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토록 일체화된 표면을 갖도록 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를 위하여 상기 구슬(400)은, 구슬의 몸체를 구성하고 금형블럭에 안착되어 구슬 성형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인서트부재(600)를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부재(600)의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표면체(700)의 중간부분을 연마토록 하여 평면(701)으로 형성함으로서 구슬(400)을 형성하는 표면체(700)의 표면에 경계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슬(400)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인서트부재(600)는 표면체(700)의 인서트 성형시 형태변형을 방지하고 구슬(400)의 표면을 형성하는 표면체(700)가 균일한 두께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경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반면, 표면체(700)는 마사지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경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나, 피부가 접촉될 때 촉감을 향상시키고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인서트부재(600)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체의 재질로 성형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슬(400)을 축(300)에 회전가능하게 끼임되어진 회전체(410)와 조립하기 위한 구조로써 상기 인서트부재(600)는 걸림턱(620a)의 형태를 갖는 체결부(620)를 구비하고 중공홀(640)을 구비하는 몸체부(602)와 상기 몸체부(602)와 결합되는 캡(604)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와 캡으로 이루어지는 인서트부재(600)의 표면에 표면체가 인서트 사출성형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인서트부재를 구성하는 몸체부(602)에는 내공간부(610)를 구비하여 구슬(400)의 표면을 형성하는 표면체(700)가 내공간부(610)의 내측에도 모두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내공간부(610)에는 분기축(200)의 선단에 고정되어진 부싱(430)을 포함하여 분기축(200)의 일부분이 내입되어지면서 구슬(40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분기축(200)의 일부와 구슬(400)만이 외부로 노출되어지게 되는 것이어서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축(300)에 끼워지는 회전체(410)와 구슬(400)의 결합은 구슬(400)을 회전체(410)에 끼임토록 하면 결합토록 되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분리가 불가능하게 결합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슬(400)을 형성하는 중공홀(640)에 끼워 조립되는 회전체(410)에는 중공홀(640)에 삽입되어 질 수 있도록 맞물림턱(413)을 구비한 탄성편(412)을 형성하여 탄성편(412)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중공홀(640)에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삽입된 이후에는 체결부(620)의 걸림턱(620a)에 탄성편(412)의 맞물림턱(413)이 걸림되면서 고정되어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축(300)이 분기축(200)에 고정되는 방식도 축(300)의 후방에 면취부(310)를 형성하여 분기축(200)의 내측에 밀착고정토록 하여 회전됨을 방지토록 하고, 축(300)의 후단으로는 또 다른 스냅링(320)을 장착함으로서 또 다른 스냅링(320)에 의하여 분기축(200)의 내측단에 걸림되어지면서 회전도 방지되면서 전방으로 임의적인 빠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구슬(400)이 축(30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회전체(410)의 회전에 의하여 축(300)의 축심(α)을 중심으로 회전체(410)의 회전에 의하여 구슬(400)의 편심되면서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도 10은 상기와 같이 일체화된 구슬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하로 관통하게 중공홀(640)이 형성되고 그 내경에 걸림턱(620a)의 형태로 이루어진 체결부(620)가 형성된 몸체부(602)와, 그 몸체부(602)의 관통된 중공홀(640)의 상부에 중공홀(640)을 마감하기 위한 캡(604)을 성형 제작하여 몸체부(602)와 캡(604)을 조립하여 인서트부재(600)를 마련한다.
이때, 몸체부(602)와 캡(604)은 강제 끼움으로 조립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상호 걸림부를 구비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마련된 인서트부재(600)를 성형장치에 구비된 상,하 금형블럭 (M1,M2)중 하부에 위치한 금형블럭(M2)에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상부에 위치한 금형블럭(M1)을 닫아서 성형틀(M)을 마련하고, 그 성형(M)틀 내부에 수지를 주입하여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인서트부재(600)의 표면에 표면체(700)가 감싸여진 상태로 성형 제작할 수 있게 되며, 표면체(700)의 표면의 중앙에는 평면(701)로 가공되어져 구슬이 성형되는 금형의 형개에 의하여 형성되는 파팅라인이 노출되지 않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에 위치한 금형블럭(M2)에서 인서트부재(600)가 안착되는 부분에 성형완료된 제품을 금형블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밀핀(미도시)이 일체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몸체부(602)에 형성되는 중공홀(640)은 구슬(400)의 구심축선(β)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편심되게 위치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구슬(400)의 구심축선(β)과 기울기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구슬(400)이 축(300)에 조립된 회전체(4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이 이루어질 때 편심되게 회전하면서 구슬에 의한 피부 당김시 조임과 풀어줌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슬(400)을 축(300)에 조립하기 위한 구조로써 구슬(400)이 축(300)에 견고하게 체결되면서도 구슬(400)이 체결된 상태에서 축(300)에 의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체의 또 다른 결합방식으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을 플라스틱으로 일측으로 내입된 홈부(401)가 형성되게 성형한 후 홈부(401)의 내측으로 고정수단(500)을 나사등에 의하여 조임고정토록 한 후 상기 고정수단(500)에 상기와 같이 회전체(410)가 결합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고정수단(500)은 상기 구슬(400)의 홈부(401)에 조립되는 고정수단(500)의 본체(520)와, 상기 고정수단의 본체(520)는 회전체(410)를 결합하기 위한 수용공간(5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52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펼쳐지는 플랜지(523)가 형성되어 홈부(401)의 내입단턱(443)에 안착되게 끼워지며, 수용공간(522)의 내측으로 하단에는 단턱테(402)가 형성되어 회전체(410)가 고정수단(500)에 결합될 경우에 회전체(410)의 후렌지(414)가 받쳐지게 되고, 회전체(410)의 후렌지(411)의 하단에 형성되는 탄성편(412)의 맞물림턱(413)은 고정수단의 본체(520)에 형성된 결합홈(524)에 결합되면서 맞물림턱(413)이 결합홈(524)의 상단턱(524a)에 걸림되면서 회전체(410)가 결합고정된 상태에서 축(300)에서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수단(500)이 회전체(410)와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 있고 회전체(410)가 축(30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구슬(400)이 회전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이러한 조립방식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슬(400)이 등분되어 조립될 경우에 더욱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500)의 본체(520)가 등분되어진 구슬(400)의 상부체(420)에 체결고정되는 것이고, 볼트로 조여 고정하거나 강제 끼움 방식으로 원터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410)는 축(300)에 회전가능하게 끼임된 상태에서 구슬(400)에 조립되어 있는 고정수단(500)과 조립되어 구슬(400)이 축(300)에 의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축(300)과 회전체(410)의 조립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300)에 회전체(410)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고립된 상태에서 스냅링(450)으로 임의적인 빠짐이 방지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삭제
한편,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구슬(400)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구슬(400)의 성형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략적인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체(420)와 하부체(440)로 등분되게 분할 형성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구슬(400)을 상부체(420)와 하부체(440)로 분할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체(420)와 하부체(440)가 조립되는 경계면(γ)을 경사지게 형성하면 구슬(400)의 구심축선(β)이 축(300)의 회전축선(α)에 대해 기울어지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체(440)의 형상을 반구형으로 형성하면서 그 반구형의 형태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상부체(420)의 형상을 기울어지게 형성하지 않더라도 상부체(420)와 하부체(440)가 조립되는 경계면(γ)이 축(300)의 회전축선(α)과 직교하지 않고 기울어지게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구슬이 편심되게 장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슬(400)은 상부체(420) 또는 하부체(440)를 분할하여 형성함으로써 그 내벽에 외부압력에 대응하기 위한 보강부(4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부(460)를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성형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46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420) 또는 하부체(440)의 내벽을 따라서 방사형으로 복수의 리브살(462)을 형성하여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도 19와 같이 상부체(420)와 하부체(440)의 내측에 관체(464)를 형성하고, 그 관체(464)가 리브살(462)에 의하여 상부체와 하부체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강부는 상부체(420) 또는 하부체(440)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부체(420)와 하부체(440) 모두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슬(400)은 상부체(420)와 하부체(440)가 결합되는 경계부위에 피부가 물러서 찝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맛사지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돌출부(4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480)는 구슬(400)의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체(420)와 하부체(440)가 결합되는 경계부위에 피부가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돌출부(48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420) 또는 하부체(440)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테(482)가 상부체(420)와 하부체(440)의 경계에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480)를 상부체(420) 또는 하부체(440)에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부체(420)와 하부체(440)에 서로 대응되게 맞물림 단턱(422,442)을 형성하여 상부체(420)와 하부체(440)가 조립되는 경계면에 틈이 발생하지 않고 긴밀히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돌출부(480)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상부체(420)와 하부체(440)의 사이에 링 형상의 끼움테(482)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에는 상부체(420)와 하부체(440)의 조립부위가 끼움테(482)의 상부와 하부측으로 대칭되게 조립부위가 구성되어 끼워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테(482)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으로 각각 오목하게 내입된 내입홈(484)을 형성하고, 끼움테(482)가 조립되는 상부체(420)와 하부체(440)에는 그 내입홈(484)에 삽입되게 볼록하게 튀어나온 돌출면(424,444)을 형성하면 상부체(420)와 끼움테(482)와 하부체(440)가 조립된 경계면에 틈이 발생하지 않고 더욱 긴밀히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체(420)와 하부체(440)를 서로 맞물리게 조립하거나, 끼움테(482)를 이용하여 상부체(420)와 하부체(440)를 조립할 경우에 그 조립부위에는 조립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패킹이 장착될 수 있다.
100: 손잡이 200: 분기축
300: 축 400: 구슬
401: 홈부 402: 단턱테
410: 회전체 411:후렌지
411a: 밀착면 412: 탄성편
413:맞물림턱
420: 상부체 422; 맞물림턱
424: 돌출면
430: 부싱 431: 내공간
432: 밀착면 433: 단턱
434: 결합홀
440: 하부체 442: 맞물림단턱
444: 돌출면
450:스냅링
460: 보강부 462: 리브살
464: 관체
480: 돌출부 482: 끼움테
484: 내입홈
500: 고정수단
520: 고정수단본체 522: 수용공간 ``
523: 플랜저 524: 결합홈
600: 인서트부재 602: 몸체부
604: 캡
620: 체결부 640: 중공홀
700: 표면체 701: 평면

Claims (12)

  1. 손잡이(100)의 선단에 좌우로 벌어진 분기축(200)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축(200)의 선단으로는 축(300)에서 회전작동하는 구슬(400)이 장착된 피부 당김 맛사지기에 있어서,
    상기 구슬(400)의 구심축선(β)이 축(300)의 회전축선(α)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구슬(400)이 축(300)에 장착되어 구슬(400)이 회전축선(α)을 선회하면서 편심되게 회전하여 축(300)에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고 편심구조로 인하여 구슬(400)에 의한 피부 당김시 조임과 풀어줌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축(300)에는 회전체(410)가 회전가능하게 끼임되어져 축(300)의 선단에서 스냅링(450)으로 결합되어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회전체(410)의 회전을 용이토록 하기 위한 부싱(430)이 분기축(200)의 선단에 장착고정되어 부싱(430)의 밀착면(432)이 회전체(410)의 밀착면(411a)과 서로 밀착되면서 회전토록 하며.
    상기 회전체(410)에는 구슬(400)과의 원터치 결합을 위하여 탄성편(412)에 의한 맞물림턱(41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410)에 결합되는 구슬(400)은 탄성편(412)이 끼임되어지도록 중공홀(640)이 형성되고, 중공홀(640)의 전단으로는 탄성편(412)의 맞물림턱(413)이 걸림되어지게 걸림턱(620a)이 구비되는 체결부(620)를 구비하고,
    상기 구슬(400)은 구슬(400)의 몸체(602)를 구성하고 금형블럭에 안착되어 구슬(400)의 성형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인서트부재(600)가 구비되고, 상기 인서트부재(600)의 표면을 감싸도록 표면체(700)가 성형되어 구슬의 표면에 경계부위가 발생하지 않게 중앙에 평면(701)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홀(640)의 내경에 체결부(6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몸체부(602)와, 그 몸체부(206)의 상단을 마감하고 인서트부재(600)가 금형블럭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 관통된 몸체부(602)의 상단에 조립되는 캡(604)으로 이루어는 피부 당김 맛사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손잡이(100)의 선단에 분기축(200)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축(200)는 축(300)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는 구슬(400)이 장착된 피부 당김 맛사지기에 있어서,
    상기 구슬(400)의 구심축선(β)이 축(300)의 회전축선(α)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구슬이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임되어진 회전체와 장착되어 구슬(400)이 축선을 선회하면서 편심되게 회전하여 축에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고 편심구조로 인하여 구슬에 의한 피부 당김시 조임과 풀어줌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구슬(400)은 성형이 용이하도록 상부체(420)와 하부체(440)로 등분되게 분할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420)와 하부체(440)가 조립될 때 맞닿는 경계면(γ)이 회전축(300)의 회전축선(α)과 직교하지 않고 기울어지게 조립이 이루어져 구슬이 편심 회전작동하게 되며,
    상기 상부체(420)와 하부체(440)로 등분되게 분할된 구슬(400)을 축(300)에 회전가능하게 끼움되어지는 회전체(410)와 조립하기 위한 고정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당김 맛사지기.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구슬(400)의 상부체(420)와 하부체(440)를 조립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본체(520)와, 상기 고정수단의 본체(520)를 상부체(420)에 고정토록 하기 위한 나사조임과
    상기 고정수단의 본체(520)에는 축(300)에 회전가능하게 끼움되어진 회전체(410)의 탄성편(412)의 맞물림턱(413)이 맞물림토록 하기 위한 결합홈(524)과 상단턱(524a)을 포함토록 하는 피부 당김 맛사지기.
  8.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400)은 상부체(420)와 하부체(440)가 결합되는 경계부위에 피부가 찝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맛사지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돌출부(4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당김 맛사지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80)는 상부체(420) 또는 하부체(44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당김 맛사지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80)는 상부체(420)와 하부체(440)의 사이에 링 형상의 끼움테(482)가 조립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당김 맛사지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테(482)에는 내입홈(484)이 형성되고, 상부체(420)와 하부체(440)에는 그 내입홈(484)에 삽입되게 돌출면(424,444)이 형성되어 상부체와 끼움테와 하부체가 조립되는 경계면에 틈이 발생하지 않고 긴밀히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당김 맛사지기.
  12.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400)은 상부체(420) 또는 하부체(440)의 내벽에 외부압력에 대응하기 위한 보강부(4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당김 맛사지기.
KR1020150078292A 2015-03-23 2015-06-03 피부 당김 맛사지기 KR101557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0352 2015-03-23
KR1020150040352 2015-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264B1 true KR101557264B1 (ko) 2015-10-02

Family

ID=5434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292A KR101557264B1 (ko) 2015-03-23 2015-06-03 피부 당김 맛사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2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448B1 (ko) 2015-12-08 2017-03-13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료가 배출되는 화장품기구
KR101772844B1 (ko) * 2017-03-14 2017-08-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마사지기구
WO2017146543A1 (ko) * 2016-02-26 2017-08-31 주식회사 아이젤크리에이티브 롤러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롤러 마사지기
JP2020048710A (ja) * 2018-09-25 2020-04-02 株式会社 Mtg 美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5701A (ja) 2010-11-15 2012-06-07 Eagle Japan:Kk 美容ローラ
JP2014168642A (ja) * 2013-02-08 2014-09-18 Mtg:Kk 美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5701A (ja) 2010-11-15 2012-06-07 Eagle Japan:Kk 美容ローラ
JP2014168642A (ja) * 2013-02-08 2014-09-18 Mtg:Kk 美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448B1 (ko) 2015-12-08 2017-03-13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료가 배출되는 화장품기구
WO2017146543A1 (ko) * 2016-02-26 2017-08-31 주식회사 아이젤크리에이티브 롤러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롤러 마사지기
KR101772844B1 (ko) * 2017-03-14 2017-08-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마사지기구
JP2020048710A (ja) * 2018-09-25 2020-04-02 株式会社 Mtg 美容器
JP7182972B2 (ja) 2018-09-25 2022-12-05 株式会社 Mtg 美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264B1 (ko) 피부 당김 맛사지기
TWI549675B (zh) Massage plate combination positioning structure
CN209422402U (zh) 一种头皮按摩器
CN104398376B (zh) 智能颈部按摩器
US8398539B2 (en) Phallus device and system with screw attachment
JP5652782B2 (ja) ローラマッサージ器
CN208626154U (zh) 头皮按摩器
GB2495973A (en) Roller ball massager
CN104398371B (zh) 按摩器及浮动式按摩轮组
CN208770335U (zh) 头皮按摩器
US10456324B2 (en) Sex toy with a plurality of separate head portions
KR20170001451U (ko) 피부의 표면이 좁은 면과 넓은 면의 맛사지가 가능한 피부 당김 맛사지기
JP2022514744A (ja) 化粧製品適用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化粧製品適用装置の製作のための方法
KR20170024674A (ko) 피부 당김 맛사지기
KR20130141671A (ko) 공통 코어를 가진 다른 칫솔을 제조하는 방법
TWM482395U (zh) 一對按摩球及具有該一對按摩球之按摩裝置
KR20160028675A (ko) 잇몸마사지기
TWI803626B (zh) 美容器
CN203736497U (zh) 摇头式按摩头及按摩器
KR20200032558A (ko) 미용기
KR200187822Y1 (ko) 훌라후프
CN210903989U (zh) 摇摆式按摩装置
KR20160084659A (ko) 피부미용 마사지기
KR102182463B1 (ko) 마네킹 헤드 거치대용 받침대
JP2000041886A (ja) 洗浄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