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235B1 -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235B1
KR101557235B1 KR1020140100544A KR20140100544A KR101557235B1 KR 101557235 B1 KR101557235 B1 KR 101557235B1 KR 1020140100544 A KR1020140100544 A KR 1020140100544A KR 20140100544 A KR20140100544 A KR 20140100544A KR 101557235 B1 KR101557235 B1 KR 101557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tube
stent tube
sutur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근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11Metals or alloys
    • A61F2310/00023Titanium or titanium-based alloys, e.g. Ti-Ni all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정관에 삽입되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中空) 원통형 부재의 스텐트 튜브; 및 상기 스텐트 튜브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봉합사 및 상기 각 봉합사의 양단에 연결된 봉합침으로 이루어진 봉합사/봉합침 세트;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정관 복원술에서의 정관의 협착이나 문합 이상을 최소화하여 정자의 개통률을 향상시키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키며, 후일 정관에 대한 다른 수술이 필요할 경우 정관 복원술로 문합된 지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Stent for vasovasostomy}
본 발명은 정관 복원술의 술식 중에 사용되는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 정관 수술을 한 후에 다시 임신을 원할 경우 시행되는 정관 복원술에서의 정관의 협착이나 문합 이상을 최소화하여 정자의 개통률을 향상시키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키며, 후일 정관에 대한 다른 수술이 필요할 경우 정관 복원술로 문합된 지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피임법이란 출산계획에 따라 원하지 않은 임신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방법을 말하는데, 피임 대상을 기준으로 남성과 여성에 대한 피임법이 각기 다르며, 호르몬을 조절하거나 살정 효과가 있는 약물, 콘돔 등을 사용하는 일시적인 피임법은 물론 수술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피임을 유지시키는 다양한 피임법이 소개되어 있다.
그 중에서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반영구적 피임 술식으로 정자의 통로인 정관을 절제 및 결찰하는 이른바 정관 수술(vasectomy)이 널리 시술되고 있는데, 음낭에 작은 절개 부위를 만들고 이 부위를 통해 정관을 꺼내 정관을 묶은 후 정관을 다시 제자리로 돌려놓는 간단한 시술로 종료되기 때문에 대부분 시술 직후 일상업무나 일상생활을 하는 데 지장이 없어 선호되고 있다.
한편, 정관 수술 후 여러 가지 목적으로 다시 임신을 원하는 경우 대부분 일차 수술로 정관 복원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정관 복원술 이후 다시 정자가 나오는 개통률은 70% 정도로 낮은 편이다. 이렇게 정관 수술의 간단함과 우수한 피임 효과에 비해 정관 복원술의 개통률이 낮은 이유는 정관 수술 후의 항정자 항체 생성, 고환기능 부전 등의 원인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정관 복원술식에서의 연결부위의 협착이나 연결부위의 어긋난 문합과 같이 순전히 외과적인 요인에 가장 크게 기인한다.
따라서, 정관 복원술 이후의 협착이나 문합 이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술 현미경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문합을 시행하고 있지만, 매우 어려운 술기가 요구되고 수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정관 복원술 이후의 협착이나 문합 이상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실1995-0007524호의 "정관튜브"를 소개할 수 있다.
상기 정관튜브는 양단이 개방된 실리콘 재질의 중공(中空)의 원통형 관으로서, 튜브의 일측부로 전길이에 걸쳐 일정폭을 제거한 절개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튜브의 상측 또는 하측부의 전길이에 걸쳐 보강부를 형성하여 수술시 튜브의 휨성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정관튜브는 수술후 재생되는 내부조직이 정관 내에 튜브를 고정시키기 전까지는 유동적인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자리를 이탈할 우려가 높아 문합 부위의 협착을 방지하기 어렵고,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더더욱 그러하다.
또한, 상기 정관튜브는 정관 복원술 중에 정관 내부에 공간 상태를 유지시켜 봉합을 쉽게 할 수 있는 정도의 효과만이 있을 뿐 봉합 자체는 이전의 술식과 다를 바가 없어 봉합의 완성도는 여전히 시술자의 기량에 좌우된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현재 종래의 정관튜브를 사용하는 정관 복원술은 찾아볼 수가 없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실1995-0007524호(1995.09.13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정관 복원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정관 복원술에서의 정관의 협착이나 문합 이상을 최소화하여 정자의 개통률을 향상시키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키며, 후일 정관에 대한 다른 수술이 필요할 경우 정관 복원술로 문합된 지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정관에 삽입되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中空) 원통형 부재의 스텐트 튜브; 및 상기 스텐트 튜브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봉합사 및 상기 각 봉합사의 양단에 연결된 봉합침으로 이루어진 봉합사/봉합침 세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텐트 튜브는 경질 합성수지 재질이거나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특히 금속재질로서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텐트 튜브 외면의 중앙부에는 돌출된 원판형의 플랜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는 적어도 정관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플랜지부는 적어도 정관벽의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정관벽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을 따라 상기 봉합사가 통과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스텐트 튜브의 외면에는, 상기 스텐트 튜브가 정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나선 형태의 유동방지돌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에 의하면, 중공 원통형 부재의 스텐트 튜브가 정관의 봉합면을 가로질러 배치되기 때문에 정관 복원술 이후의 협착이나 문합 이상이 방지되고, 더욱이 스텐트 튜브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배치된 봉합사와 봉합침을 이용해 절제된 정관을 봉합하기 때문에 봉합 술식이 간편해지는 것은 물론 결찰된 봉합사가 스텐트 튜브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스텐트 튜브가 제자리를 이탈할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배제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구비된 플랜지부는 봉합된 정관의 외측에서 관찰되기 때문에 장시간이 흐른 뒤에도 정관 복원술에 의해 문합된 부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플랜지부에 구비된 관통홀로 봉합사가 통과하도록 시술하면 스텐트 튜브의 고정성은 물론 봉합사가 보다 강하게 결찰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스텐트 튜브와 봉합사/봉합침을 이용한 절제된 정관의 봉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텐트 튜브의 외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텐트 튜브의 플랜지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튜브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텐트 튜브와 봉합사/봉합침을 이용한 절제된 정관의 봉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텐트 튜브의 외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텐트 튜브의 플랜지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튜브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10)를 설명하면, 그 구성은 크게 나누어 스텐트 튜브(100)와 봉합사/봉합침 세트(200)를 포함하고 있다.
스텐트 튜브(100)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中空) 원통형 부재로서, 정관 안에 삽입될 정도의 작은 사이즈, 예를 들면 길이 6㎜에 외경 2㎜ 및 두께 0.2㎜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진다. 스텐트 튜브(100)는 절제된 정관의 양쪽에 삽입되어 정관이 정확히 연결되어 봉합되도록 보조하는 지지체의 역할을 하며, 봉합이 완료된 후에도 문합 위치에 반영구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스텐트 튜브(100)는 생체 적합성이 이미 검증된 재료로 만들어져야 하며, 문합된 정관의 협착이 일어나지 않도록 자체 변형이 매우 작은 적절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스텐트 튜브(100)의 재질로는 경질 합성수지 재질이거나 금속재질을 예로 들 수 있으며, 특히 금속재질로서는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검증되어 이미 널리 적용되고 있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재질이 추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10)는 문합 술식을 단순화시켜 시술자에 따른 수술 성공률(개통률)의 편차를 최소화시키고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스텐트 튜브(100)의 중공부(110)를 관통하여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봉합사(210) 및 이들 각 봉합사(210)의 양단에 연결된 봉합침(220)으로 이루어진 봉합사/봉합침 세트(200)를 포함한다.
도 2는 스텐트 튜브(100)와 두 개 이상의 봉합사/봉합침 세트(200)를 이용하여 절제된 정관(V)의 양단을 문합하는 술식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단, 도면에서는 봉합사/봉합침 세트(200)가 두 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개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의 (a)와 같이 절제된 정관(V)의 가운데에 스텐트 튜브(100)를 배치시키고, 스텐트 튜브(100)의 중공부(110)를 관통한 두 개의 봉합사/봉합침 세트(200)가 각각 양측 정관(V)의 상하 정관벽을 관통하여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도 2의 (b)와 같이 정관(V)의 상하부에서 서로 두 개의 봉합침(220)이 대향된 상태에서 스텐트 튜브(100)의 양단을 양측 정관(V)에 각각 끼워넣고 봉합사(210)를 잡아당겨 정관(V)의 문합면을 밀착시키고 서로 마주보는 봉합사(210)를 결찰하면 정관 복원술식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10)는 스텐트 튜브(100) 및 그 중공부(110)를 관통하여 상호 결찰되는 봉합사/봉합침 세트(200)를 구비함에 따라, 정관 복원술 이후의 협착이나 문합 이상이 방지되고, 스텐트 튜브(100)의 중공부(110)를 관통하여 배치된 봉합사(210)와 봉합침(220)을 이용해 절제된 정관을 봉합하기 때문에 봉합 술식이 간편해지는 것은 물론 결찰된 봉합사(210)가 스텐트 튜브(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스텐트 튜브(100)가 제자리를 이탈할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배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된 스텐트 튜브(100)의 변형예인데, 이를 이용한 정관 복원술의 기본적인 술식은 도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특징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의 스텐트 튜브(100)는 그 외면의 중앙부에 적어도 정관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된 원판형의 플랜지부(120)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절제된 두 가닥의 정관은 돌출된 플랜지부(120)를 경계로 각각 그 양측에 그 단면이 밀착되고, 이에 따라 플랜지부(120)의 외측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스텐트 튜브(100) 외면의 중앙부에 원판형의 플랜지부(120)를 형성하면 정관 복원술 이후에 정관에 대한 외과적 술식이 필요할 경우 정관 복원술로 문합된 지점이 명확하게 파악되기 때문에 이를 참고로 시술계획을 정확하고 부작용없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는 플랜지부(120)를 일부 변형한 예를 도시한 것인데, 플랜지부(120)가 돌출된 높이를 조금 더 크게 하여 그 외측면이 정관벽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고, 정관벽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20)의 측면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125)을 형성하여 봉합사(210)가 이 관통홀(125)을 통과하여 서로 결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복수의 관통홀(125)은 플랜지부(120)의 측면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관통홀(125)의 구성은 결찰된 봉합사(210)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적은 개수의 봉합사/봉합침 세트(200)를 적용하더라도 문합면에 고르게 결찰력이 작용하다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125)을 통과한 봉합사(210)가 플랜지부(120)의 측면 또는 외측면을 받침대로 사용하여 결찰되도록 함으로써 봉합사(210)의 결찰력을 좀더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튜브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스텐트 튜브(100)의 외면에는, 상기 스텐트 튜브(100)가 정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나선 형태의 유동방지돌기(1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돌기(130)는, 상기 스텐트 튜브(100)의 외면을 사선방향으로 감싸면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정관 내에서 정관 내벽에 밀착됨으로써, 유동방지돌기(130)가 정관 내벽과 마찰력을 형성하여 스텐트 튜브(100)가 정관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유동방지돌기(130)는 상기 스텐트 튜브(100)가 정관 내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정관 내벽을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10)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100: 스텐트 튜브
110: 중공부 120: 플랜지부
125: 관통홀 130 : 유동방지돌기
200: 봉합사/봉합침 세트
210: 봉합사 220: 봉합침
V: 정관

Claims (8)

  1. 정관에 삽입되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中空) 원통형 부재의 스텐트 튜브; 및
    상기 스텐트 튜브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봉합사 및 상기 각 봉합사의 양단에 연결된 봉합침으로 이루어진 봉합사/봉합침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텐트 튜브 외면의 중앙부에는 돌출된 원판형의 플랜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봉합사가 통과되도록 하는 두 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스텐트 튜브의 중공부를 관통한 두 개의 봉합사/봉합침 세트는, 각각 절개된 양측 정관 내면을 이루는 정관벽을 관통하여 정관 밖으로 빠져나온 후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호 묶여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정관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거나, 정관벽의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갖으며,
    상기 스텐트 튜브의 외면에는,
    상기 스텐트 튜브가 정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나선 형태의 유동방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튜브는 경질 합성수지 재질이거나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튜브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8. 삭제
KR1020140100544A 2014-08-05 2014-08-05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KR101557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544A KR101557235B1 (ko) 2014-08-05 2014-08-05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544A KR101557235B1 (ko) 2014-08-05 2014-08-05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235B1 true KR101557235B1 (ko) 2015-10-02

Family

ID=5434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544A KR101557235B1 (ko) 2014-08-05 2014-08-05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2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418A (ko) 2014-08-05 2016-02-15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정관 마개
WO2023091314A1 (en) * 2021-11-20 2023-05-25 Male Fertility And Peyronie's Clinic Pllc Vasectomy reversal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2962A1 (en) * 2002-04-25 2005-10-20 Uroenterprise B.V. Polymeric stent for vasovasostom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2962A1 (en) * 2002-04-25 2005-10-20 Uroenterprise B.V. Polymeric stent for vasovasostom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418A (ko) 2014-08-05 2016-02-15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정관 마개
WO2023091314A1 (en) * 2021-11-20 2023-05-25 Male Fertility And Peyronie's Clinic Pllc Vasectomy revers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6327B2 (en) Device for creating an anastomosis, including penetration structure and eversion structure
US4917087A (en) Anastomosis devices, kits and method
US4873975A (en) Anastomosis device and method
US6716243B1 (en) Concentric passive knotless suture terminator
US5037428A (en) Vessel approximation and alignment device
US44741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stomosing small blood vessels
JPS58190432A (ja) 非金属製の生体内共存性を有する止血鉗子
JP5329594B2 (ja) 脈管を接合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S58146341A (ja) 止血クリツプ
JP2005103302A (ja) アンフォールディング吻合リング装置
JPS58192541A (ja) 体管を可逆的に閉塞するための装置
Aggarwal et al. Compression anastomoses revisited
Steichen et al. Mechanical sutures in esophageal surgery.
KR101557235B1 (ko) 정관 복원술용 스텐트
KR100848401B1 (ko)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 문합방법
Edwards Resection and anastomosis of small intestine: current methods applicable to the horse
US20050228409A1 (en) Device for anastomosis
WO2001015618A2 (en) Non-occlusive vascular bypass surgical methods and instruments
US9585786B2 (en) Reversible contraceptive implant system and method
JP2005131389A5 (ko)
JP3867150B1 (ja) 外科用吻合器
JP3867151B1 (ja) 外科用吻合器
WO2020078264A1 (zh) 一种小管腔吻合器及其使用方法
Pruthi et al. Inverted (Buried) reef knot in microsurgery-A technical note
US20210244409A1 (en) Suture material developed for end-to-end anastom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