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724B1 -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724B1
KR101556724B1 KR1020130149224A KR20130149224A KR101556724B1 KR 101556724 B1 KR101556724 B1 KR 101556724B1 KR 1020130149224 A KR1020130149224 A KR 1020130149224A KR 20130149224 A KR20130149224 A KR 20130149224A KR 101556724 B1 KR101556724 B1 KR 10155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brightness control
switching device
light emit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4466A (ko
Inventor
하현철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9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724B1/ko
Priority to US14/550,501 priority patent/US9429234B2/en
Priority to DE102014224511.7A priority patent/DE102014224511B4/de
Priority to CN201420746286.3U priority patent/CN204296564U/zh
Publication of KR20150064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83Steering wheels; Gear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을 간소화하면서도 광원의 밝기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변속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다른 밝기의 광이 발생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와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제 1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 1밝기 제어부, 및 상기 제 1밝기 제어부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제 2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 2밝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밝기 제어부 및 상기 제 2밝기 제어부는, 밝기 제어 신호 및 변속단 선택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가 동작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Apparatus for displaying shif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을 간소화하면서도 광원의 밝기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변속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변속기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어비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변속 장치(Transmission)의 기어비를 바꾸기 위하여 변속 장치에 있는 변속 레버(Shift lever)를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모드로는 운전자가 변속단을 바꿀 수 있는 수동 변속 모드와 운전자가 주행 모드(D)을 선택시에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단이 바뀌는 자동 변속 모드가 있다.
이와 함께, 하나의 변속기에서 수동 변속과 자동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스포츠 모드형 변속기가 사용되고 있다. 스포츠 모드형 변속기는 원칙적으로 자동 변속을 수행하면서, 운전자가 기어의 단수를 높이거나 낮추어서 수동 변속을 수행하거나 수동 변속을 하는 변속기 옆에 자동 변속을 할 수 있는 변속기를 구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변속기는 운전자로 하여금 선택 가능한 변속단이나 현재 선택된 변속단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변속단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운전자는 디스플레이되는 변속단을 확인하고 적절한 변속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차량용 변속기는 운전자에게 현재 선택된 변속단과 선택되지 않은 변속단이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각 변속단별로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광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온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선택 가능한 변속단이나 현재 선택된 변속단을 알리게 된다.
그러나, 각 변속단별로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경우 부품 수가 증가하여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구성을 간소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변속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7212호 (2012.06.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전자에게 선택 가능한 변속단이나 현재 변속단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광원의 공용이 가능하게 하여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현재 선택된 변속단과 그렇지 않은 변속단에 대하여 공용이 가능한 광원의 밝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변속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다른 밝기의 광이 발생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와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제 1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 1밝기 제어부, 및 상기 제 1밝기 제어부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제 2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 2밝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밝기 제어부 및 상기 제 2밝기 제어부는, 밝기 제어 신호 및 변속단 선택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가 동작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각 변속단별로 해당 변속단의 선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광원의 공용이 가능하게 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속단 선택 신호와 밝기 제어 신호를 조합하여 광원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광원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밝기 제어 신호가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밝기 제어 신호가 도시된 개략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밝기 제어부에 의한 전류의 흐름이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밝기 제어부에 의한 전류의 흐름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발광부(100), 제 1밝기 제어부(200) 및 제 2밝기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00)는 동일한 광원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밝기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차량용 변속기에서 선택 가능한 변속단에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고, 현재 선택된 변속단인지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밝기의 광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변속기에서 선택 가능한 변속단이 P, R, N, D단인 경우, 발광부(100)는 각각의 변속단에 대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현재 선택된 변속단이 D단인 경우, D단에 대응하는 발광부(100)는 제 1밝기를 가지는 광이 발생되고, 나머지 변속단에 대응하는 발광부(100)는 제 2밝기를 가지는 광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밝기가 제 2밝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밝은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밝기 제어부(200) 및 제 2밝기 제어부(300)는 서로 병렬 연결되고, 각각 발광부(100)로부터 서로 다른 밝기의 광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밝기 제어부(200) 및 제 2밝기 제어부(300)가 일정 주기 동안 발광부(100)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시간을 다르게 하여 서로 다른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밝기 제어부(200) 및 제 2밝기 제어부(300)는 발광부(100)와 마찬가지로 선택 가능한 변속단에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밝기 제어부(200) 및 제 2밝기 제어부(300)는 밝기 제어 신호 및 변속단 선택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가 동작하여 발광부(100)에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밝기 제어 신호는 일정 주기 동안 발광부(100)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변속단 선택 신호는 특정 변속단의 선택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변속단 선택 신호는 변속 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발광부(100)는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 인가 단자(110) 및 광원(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밝기 제어부(200) 및 제 2밝기 제어부(300)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 전원 인가 단자(110)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한 전류가 광원(120)을 통해 흐르게 되어 소정 밝기의 광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120)으로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120)는 벌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밝기 제어부(200)는 발광부(100)와 연결되는 제 1스위칭 소자(Q1), 제 1스위칭 소자(Q1)로 제 1밝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제 1신호 입력 단자(210), 제 1스위칭 소자(Q1)와 연결되는 제 2스위칭 소자(Q2), 및 제 2스위칭 소자(Q2)로 변속단 선택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제 2신호 입력 단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스위칭 소자(Q1) 및 제 2스위칭 소자(Q2)는 트랜지스터(Transistor)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스위칭 소자(Q1) 및 제 2스위칭 소자(Q2)는 트랜지스터 이외에도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온/오프되는 다양한 종류의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 1스위칭 소자(Q1) 및 제 2스위칭 소자(Q2)가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신호 입력 단자(210) 및 제 2신호 입력 단자(220)는 각각 제 1스위칭 소자(Q1) 및 제 2스위칭 소자(Q2)의 베이스(Base)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스위칭 소자(Q1)는 컬렉터(Collector)가 제 1저항(R1)을 통해 발광부(100), 즉 광원(120)과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가 제 2스위칭 소자(Q2)의 컬렉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스위칭 소자(Q2)의 이미터는 접지(Ground)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스위칭 소자(Q1)는 제 1신호 입력 단자(210)로 입력되는 제 1밝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고, 제 2스위칭 소자(Q2)는 제 2신호 입력 단자(220)로 입력되는 변속단 선택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신호 입력 단자(210) 및 제 2신호 입력 단자(220)로 각각 제 1밝기 제어 신호 및 변속단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 1스위칭 소자(Q1) 및 제 2스위칭 소자(Q2)가 온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발광부(100)의 광원(120)으로부터 광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밝기 제어 신호로서,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이라 함) 신호가 사용되고, 제 1밝기 제어 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발광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밝기 제어 신호의 듀티비란 일정 주기에서의 펄스 폭, 즉 하이 구간(예를 들어, 5V)과 로우 구간(예를 들어, 0V)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이 구간이 넓어질수록 전류가 흐르게 되는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광원(120)에서 광이 발생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더 밝은 광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신호 입력 단자(210) 및 제 2신호 입력 단자(220)는 입력 저항(R)을 통해 각각 제 1스위칭 소자(Q1) 및 제 2스위칭 소자(Q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입력 저항(R)의 저항값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2밝기 제어부(300)는 발광부(100)와 연결되는 제 3스위칭 소자(Q3), 제 3스위칭 소자(Q3)로 제 2밝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제 3신호 입력 단자(310), 제 3스위칭 소자(Q3) 및 제 3신호 입력 단자(310) 사이에 연결되는 제 4스위칭 소자(Q4), 및 제 4스위칭 소자(Q4)로 변속단 선택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제 4신호 입력 단자(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3스위칭 소자(Q3) 및 제 4스위칭 소자(Q4)는 전술한 제 1스위칭 소자(Q1) 및 제 2스위칭 소자(Q2)와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온/오프되는 다양한 종류의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 3스위칭 소자(Q3)는 컬렉터가 제 2저항(R2)을 통해 발광부(100), 즉 광원(120)과 연결되고, 이미터가 접지와 연결되며, 베이스가 제 3신호 입력 단자(31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제 4스위칭 소자(Q4)는 컬렉터가 제 3스위칭 소자(Q3)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이미터가 접지와 연결되며 베이스가 제 4신호 입력 단자(3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3신호 입력 단자(310) 및 제 4신호 입력 단자(320)는 입력 저항(R)을 통해 각각 제 3스위칭 소자(Q3) 및 제 4스위칭 소자(Q4)와 연결될 수 있으며, 입력 저항(R)의 저항값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3신호 입력 단자(310)로 입력되는 제 2밝기 제어 신호는 전술한 제 1밝기 제어 신호와 유사하게 PWM 신호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밝기 제어 신호는 전술한 제 1밝기 제어 신호보다 어두운 광이 발생되도록 제 1밝기 제어 신호보다 하이 구간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제 1밝기 제어 신호는 도 3과 같이 일정 주기(T) 동안 하이 구간(H)이 차지하는 비율이 도 4와 같이 제 2밝기 제어 신호의 일정 주기(T) 동안 하이 구간(H)이 차지하는 비율에 비하여 크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밝기 제어 신호는 제 1밝기 제어 신호에 비하여 광원(120)에서 광이 발생하는 시간이 짧고 그 간격이 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어두운 광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4스위칭 소자(Q4)로 입력되는 변속단 선택 신호는 전술한 제 2스위칭 소자(Q2)로 입력되는 변속단 선택 신호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특정 변속단이 선택된 경우 제 2스위칭 소자(Q2) 및 제 4스위칭 소자(Q4)로 동일한 변속단 선택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변속단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 2스위칭 소자(Q2) 및 제 4스위칭 소자(Q4)는 온되며, 이 경우 도 5와 같이 발광부(100)의 전원 인가 단자(110)를 통해 인가된 전원에 의한 전류(I)가 제 1밝기 제어부(200)를 통해 흐를 수 있는 반면, 제 2밝기 제어부(300)는 제 4스위칭 소자(Q4)가 온되어 제 3신호 입력 단자(310)로 입력되는 제 2밝기 제어 신호가 제 4스위칭 소자(Q4)를 통해 흐르게 되어 제 3스위칭 소자(Q3)는 여전히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변속단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스위칭 소자(Q2)는 오프되어 제 1밝기 제어부(200)를 통해서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반면, 제 2밝기 제어부(300)는 제 4스위칭 소자(Q4)가 오프되어 제 3신호 입력 단자(310)로 입력된 제 2밝기 제어 신호가 제 3스위칭 소자(Q3)로 입력되기 때문에 제 3스위칭 소자(Q3)가 온되고, 이로 인해 도 6과 같이 제 2밝기 제어부(300)를 통해 전류(I)가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제 2밝기 제어 신호에 따른 밝기의 광이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밝기 제어 신호 및 제 2밝기 제어 신호는 상시 제 1신호 입력 단자(210) 및 제 3신호 입력 단자(310)를 통해 입력되는 상태에서 변속단 선택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제 1밝기 제어부(200) 및 제 2밝기 제어부(30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온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 1밝기 제어 신호 및 제 2밝기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속단 선택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제 1밝기 제어 신호 또는 제 2밝기기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밝기 제어 신호 및 제 2밝기 제어 신호가 PWM 신호로서, 서로 다른 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듀티비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밝기 제어 신호 및 제 2밝기 제어 신호가 동일한 듀티비를 가지면서 발광부(100)와 제 1스위칭 소자(Q1)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저항(R1) 및 발광부(100)와 제 3스위칭 소자(Q3)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저항(R2)의 저항값을 서로 달리 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저항(R1) 및 제 2저항(R2)은 가변 저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 밝기에 대응하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저항값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광부(100)에 포함되는 광원(120)을 변속단 선택 여부에 따라 복수로 사용하지 않고 공용으로 사용하고,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변속단을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변속단 선택 여부에 따라 별도의 광원을 사용하지 않아 구성이 간소화되고 이로 인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발광부
110: 전원 인가 단자
120: 광원
200: 제 1밝기 제어부
210: 제 1신호 입력 단자
220: 제 2신호 입력 단자
300: 제 2밝기 제어부
310: 제 3신호 입력 단자
320: 제 4신호 입력 단자
Q1 ~ Q4: 제 1 내지 제 4스위칭 소자
R1, R2: 제 1 및 제 2저항
R: 입력 저항

Claims (15)

  1. 서로 다른 밝기의 광이 발생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와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제 1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 1밝기 제어부; 및
    상기 제 1밝기 제어부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제 2밝기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 2밝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밝기 제어부 및 상기 제 2밝기 제어부는,
    밝기 제어 신호 및 변속단 선택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가 동작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제 1밝기 제어부 및 상기 제 2밝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상기 변속단 선택 신호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변속단 선택 신호는,
    복수의 변속단 중 특정 변속단의 선택 여부를 나타내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밝기 제어부는,
    복수의 변속단 중 선택된 변속단이 상기 제 1밝기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제 2밝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변속단 중 선택되지 않은 변속단이 상기 제 2밝기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 인가 단자; 및
    상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전류에 따라 광이 발생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밝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와 연결되는 제 1스위칭 소자;
    상기 제 1스위칭 소자로 제 1밝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제 1신호 입력 단자;
    상기 제 1스위칭 소자와 연결되는 제 2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2스위칭 소자로 상기 변속단 선택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제 2신호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밝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 1스위칭 소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저항을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저항은,
    가변 저항인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2신호 입력 단자는,
    각각 입력 저항을 통해 상기 제 1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2스위칭 소자와 연결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2스위칭 소자는,
    서로 직렬 연결되며,
    각각 상기 제 1밝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변속단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온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밝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와 연결되는 제 3스위칭 소자;
    상기 제 3스위칭 소자로 제2밝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제 3신호 입력 단자;
    상기 제 3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3신호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 4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4스위칭 소자로 상기 변속단 선택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제 4신호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밝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제 3스위칭 소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저항을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저항은,
    가변 저항인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신호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4신호 입력 단자는,
    각각 입력 저항을 통해 상기 제 3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4스위칭 소자와 연결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 2밝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변속단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오프되고,
    상기 제 2밝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온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제어 신호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이며,
    상기 제 1밝기 제어부 및 상기 제 2밝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듀티비를 가지는 밝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제어 신호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이며,
    상기 제 1밝기 제어부 및 상기 제 2밝기 제어부는,
    동일한 듀티비를 가지는 밝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발광부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을 통해 연결되는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49224A 2013-12-03 2013-12-03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5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224A KR101556724B1 (ko) 2013-12-03 2013-12-03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US14/550,501 US9429234B2 (en) 2013-12-03 2014-11-21 Gear stage display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102014224511.7A DE102014224511B4 (de) 2013-12-03 2014-12-01 Gangstufen-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Regelung
CN201420746286.3U CN204296564U (zh) 2013-12-03 2014-12-02 车辆档位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224A KR101556724B1 (ko) 2013-12-03 2013-12-03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466A KR20150064466A (ko) 2015-06-11
KR101556724B1 true KR101556724B1 (ko) 2015-10-02

Family

ID=5305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224A KR101556724B1 (ko) 2013-12-03 2013-12-03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9234B2 (ko)
KR (1) KR101556724B1 (ko)
CN (1) CN204296564U (ko)
DE (1) DE10201422451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59733A1 (en) * 2012-06-08 2015-04-15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icator lights in a device
US10368405B2 (en) * 2014-12-15 2019-07-30 Fca Us Llc Two stage indicator dimming circuit controlled by PWM backlighting back feed and backlight control
KR102366397B1 (ko) * 2017-06-30 2022-0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KR101977262B1 (ko) 2018-01-05 2019-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11372365A (zh) * 2018-12-26 2020-07-03 湖南汇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应急标志灯及灯具管理系统
CN111436176A (zh) * 2018-12-26 2020-07-21 湖南汇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应急标志灯与灯具管理系统
CN110435532B (zh) * 2019-08-21 2020-12-18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转向灯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1640399B (zh) * 2020-05-29 2022-11-15 惠州创维智显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及其亮度调节方法、设备、测试板和介质
WO2022095044A1 (zh) * 2020-11-09 2022-05-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263B1 (ko) 2008-12-18 2011-07-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미등 감광 해제 기능을 갖는 레오스타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251A (ko) 2002-10-04 2004-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의 문자조명장치
JP4421449B2 (ja) * 2004-11-18 2010-0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00149073A1 (en) * 2008-11-02 2010-06-17 David Chaum Near to Eye Display System and Appliance
KR20110132716A (ko) 2010-06-03 2011-1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마이컴을 이용한 차량용 계기판의 조명 제어 장치
JP5808187B2 (ja) * 2011-07-29 2015-11-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乗物用制御装置、該制御装置を備えた乗物及びその制御方法
DE102012206144A1 (de) * 2012-04-16 2013-10-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Kraftwagen
US9435425B2 (en) * 2012-07-19 2016-09-06 Sl Corporation Haptic feedback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263B1 (ko) 2008-12-18 2011-07-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미등 감광 해제 기능을 갖는 레오스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52965A1 (en) 2015-06-04
DE102014224511B4 (de) 2023-04-06
US9429234B2 (en) 2016-08-30
CN204296564U (zh) 2015-04-29
DE102014224511A1 (de) 2015-06-03
KR20150064466A (ko)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724B1 (ko)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AU20062004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mming light sources
JP5043324B2 (ja) 車両照明装置と車両照明装置の制御方法
CN101841954B (zh) 用于控制负载的过程和电路
US10925129B2 (en)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tunable light engine
CN108564924B (zh) 背光调节电路及背光调节方法
CN102498507A (zh) 液晶显示装置
US7315135B2 (en) Load driving device and load driving method
JP4491755B2 (ja) インジケータ駆動装置
US20060158392A1 (en) Two-part driver circuit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JP2005332586A (ja) 照明調光装置
EP3233571B1 (en) Two stage indicator dimming circuit controlled by pwm backlighting back feed and backlight control
TWI396467B (zh) 適用於車用儀表板之可調式背光顏色控制電路及其控制方法
JP2010225413A (ja) 照明装置
KR20160121247A (ko) 차량의 변속단 표시 장치
JPH05249907A (ja) 表示照明装置
JP5566920B2 (ja) 発光ダイオード点灯制御回路および発光ダイオード点灯制御方法
JP2019206294A (ja) インジケータ装置
KR20120110394A (ko) 차량용 조명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452088B2 (ja) 車両用シフト位置表示装置
KR20200123532A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029885B1 (ko) 엘이디 정전류 구동장치
US20060097658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brightness of indicator light on panel
KR20090000299U (ko) 표시소자의 밝기제어장치
JP2009158429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