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397B1 -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397B1
KR102366397B1 KR1020170083315A KR20170083315A KR102366397B1 KR 102366397 B1 KR102366397 B1 KR 102366397B1 KR 1020170083315 A KR1020170083315 A KR 1020170083315A KR 20170083315 A KR20170083315 A KR 20170083315A KR 102366397 B1 KR102366397 B1 KR 10236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ode
tail
ligh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964A (ko
Inventor
김준승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3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의 후미등에 장착되어 테일신호 및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는 테일신호 및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테일신호 및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가 광원에 흐르도록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Device for driving a rear combination lamp in a vehicle}
실시예는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모든 장치이다. 차량의 일반적인 예로 자동차를 들 수 있다.
자동차는 사용되는 원동기의 종류에 따라,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가스터빈(gas turbine)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자동차로서, 다시 순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수소연료전지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FCEV)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차량에는 다수의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바,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조등(Head Lamp), 차량의 후미에 배치되는 후미등(Rear Combination Lamp), 안개가 있을 때 점등시키는 안개등(Fog Lamp) 등이 있다.
후미등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각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제동등(Break Lamp)(101), 미등(Tail Lamp)(103), 후진등(Backup Lamp)(105) 및 방향지시등(Turn Signal Lamp)(107)이 포함된다.
종래에는 제동등(101)과 미등(103)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개별적으로 구동되므로, 구동회로가 복잡해지고 램프의 개수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구동회로를 단순화하고 램프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후미등에서 광원에 의해 표시하고자 하는 표시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는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후미등에 장착되어 테일신호 및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테일신호 및 상기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테일신호 및 상기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가 상기 광원에 흐르도록 상기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조절부는 제1 저항소자; 상기 제1 저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는 제2 저항소자; 상기 제1 저항소자 및 상기 제2 저항소자 중 하나의 저항소자와 병렬로 접속되는 제3 저항소자; 및 상기 제3 저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후미등에 장착되어 테일신호 및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테일신호 및 상기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테일신호 및 상기 제동신호 각각에 따라 서로 상이한 듀티비의 펄스를 갖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조절부는 제1 저항소자; 상기 제1 저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는 제2 저항소자; 및 상기 펄스 생성부와 접속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운전자가 미등을 위한 선택스위치를 작동했는지 또는 브레이크를 밟았는지에 따라 광원에 서로 상이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하나의 광원으로 미등과 제동등이 구현될 수 있어, 구동회로가 단순해지고 램프의 개수를 줄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종래의 미등을 위한 표시영역과 제동등을 위한 표시영역 모두가 광원이 구비된 하나의 표시영역으로 할당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미등이나 제동등을 위한 표시영역이 획기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이나 후방 운전자가 전방 차량의 존재 유무나 운전 중 전방 차량의 정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차량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실시예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후미등을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을 도시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제1 회로 예시도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제2 회로 예시도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제3 회로 예시도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제4 회로 예시도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제1 회로 예시도다.
도 10은 테일신호 및 제동신호에 따라 생성된 제어신호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제2 회로 예시도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제3 회로 예시도다.
도 13은 전류의 세기에 따른 광속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는 하나의 램프, 즉 광원을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세기를 갖는 제1 및 제2 광을 생성하여 줄 수 있다. 제1 광은 예컨대, 미등용 광일 수 있고, 제2 광은 예컨대, 제동등용 광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세기는 광속(luminous flux)일 수 있고, 이러한 광속은 예컨대 전류의 세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달라지도록 하여 그 달라진 전류의 세기에 상응하는 서로 상이한 광속을 갖는 제1 및 제2 광이 생성됨으로써, 미등과 제동등이 동일한 램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10)은 제1 내지 제3 표시영역(11, 15, 19)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11)에 통합램프(13)가 장착되고, 제2 표시영역(15)에 후진등(17)이 장착되며, 제3 표시영역(19)에 방향지시등(21)이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통합램프(13), 후진등(17) 및 방향지시등(21)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일 수 있다. 광원은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소자나 그 반도체 발광소자가 채택된 발광소자패키지나 발광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표시영역(11, 15, 19) 각각에 다수의 반도체 발광소자,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표시영역(11)에는 적색컬러 케이스가 구비되고, 제2 표시영역(15)에는 백색컬러 케이스가 구비되며, 제3 표시영역(19)에는 황색컬러 케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내지 제3 표시영역(11, 15, 19) 각각에는 백색광이 발광되는 다수의 반도체 발광소자,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영역(11)의 반도체 발광소자,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에서 발광되는 백색광이 적색컬러 케이스를 투과하면서 적색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2 표시영역(15)의 반도체 발광소자,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에서 발광되는 백색광이 파장변환되지 않고 백색컬러 케이스를 그대로 투과될 수 있다. 제3 표시영역(19)의 반도체 발광소자,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에서 발광되는 백색광이 황색컬러 케이스를 투과하면서 황색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백색광을 발광되기 위해서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는 다음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첫번째로,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는 백색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두번째로,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는 적색 발광다이오드, 청색 발광다이오드 및 녹색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세번째로,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는 청색 발광다이오드, 적색 파장변환부 및 녹색 파장변환부로 구성될 수 있다. 네번째로,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는 청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적색 파장변환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달리, 제1 내지 제3 표시영역(11, 15, 19) 모두에 백색컬러 케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표시영역(11)에는 적색 광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표시영역(15)에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표시영역(19)에는 황색광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후진등(17)은 후진신호에 의해 발광되고, 방향지시등(21)은 방향지시신호에 의해 발광될 수 있다.
통합램프(13)는 테일신호 및/또는 제동신호에 의해 발광될 수 있다. 예컨대, 통합램프(13)는 테일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1 광속을 갖는 제1 광이 발광되고, 제동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2 광속을 갖는 제2 광이 발광될 수 있다. 제1 광은 테일광이고, 제2 광은 제동용 광일 수 있다.
제1 광과 제2 광은 광속의 세기를 달라하여 구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제2 광의 제2 광속은 제1 광의 제1 광속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제2 광의 제2 광속은 제1 광의 제1 광속보다 1.5배 내지 3배 클 수 있다. 제2 광의 제2 광속과 제1 광의 제1 광속의 비가 1.5배 이하인 경우, 제1 광속과 제2 광속의 구분이 어려워 후방 운전자에게 전방 차량이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정지되는지가 파악되기 어렵다. 제2 광의 제2 광속과 제1 광의 제1 광속의 비가 3배 이상인 경우, 제2 광속을 갖는 제2 광이 발광되기 위해 높은 전류가 요구되므로 소비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광속은 전류의 세기에 따라 달라진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온에서 전류의 세기와 광속의 증가는 비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전류의 세기가 50mA일 때 광속의 세기는 25%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전류의 세기가 90mA일 때 광속의 세기는 51%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의 제1 광속과 제2 광의 제2 광속 간의 차이에 의해 제1 광의 제1 광속과 제2 광의 제2 광속 각각이 결정되는 경우, 그에 따른 전류의 세기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통합램프(13)에서 미등이 요구되는 경우 예컨대 50mA의 전류가 통합램프(13)에 인가됨으로써 25%의 광속이 얻어질 수 있다. 통합램프(13)에서 제동등이 요구되는 경우 예컨대 90mA의 전류가 통합램프(13)에 인가됨으로써 51%의 광속이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미등을 위한 선택스위치를 작동했는지 또는 브레이크를 밟았는지에 따라 통합램프(13)에 서로 상이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하나의 통합램프(13)로 미등과 제동등이 구현될 수 있어, 구동회로가 단순해지고 램프의 개수를 줄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미등을 위한 표시영역과 제동등을 위한 표시영역 모두가 통합램프(13)가 구비된 하나의 표시영역(11)으로 할당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미등이나 제동등을 위한 표시영역(11)이 획기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이나 후방 운전자가 전방 차량의 존재 유무나 운전 중 전방 차량의 정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차량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특정 램프, 즉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16)는 선택부(20), 전류조절부(30) 및 광원(4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40)은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16)에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광원(40)은 도 2에 도시된 통합램프(13)일 수 있다.
선택부(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테일신호 및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테일신호와 제동신호는 동일한 직류레벨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외부라 함은 예컨대 LDM(LED Driver Module)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LDM은 차량에 구비된 모든 광원(40)의 발광을 제어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는 야간에 자신의 차량을 주변 차량이 식별하도록 미등의 발광을 요구할 수 있다. 미등의 발광의 요구는 운전석에 구비된 테일스위치를 동작시킴(온상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테일스위치가 온상태로 되는 경우 해당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신호가 LDM으로 전달되고, LDM에 의해 테일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는 운전 중에 전방 차량의 정지 등으로 인해 전방 차량과의 차량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수 있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해당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신호가 LDM으로 전달되고, LDM에 의해 제동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LDM에 의해 생성된 테일신호나 제동신호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16)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DM에 의해 생성된 테일신호나 제동신호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16)의 선택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선택부(20)는 예컨대, LDM으로부터 입력되는 테일신호 및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택부(20)은 테일신호 선택부(22)와 제동신호 선택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일신호 선택부(22)는 테일신호를 선택하여 테일신호를 전류조절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제동신호 선택부(24)는 제동신호를 선택하여 제동신호를 전류조절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테일신호 선택부(22)와 제동신호 선택부(24)는 역방향 다이오드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역방향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으로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한다.
예컨대, 선택부(20)는 LDM으로부터 테일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테일신호를 선택하여 전류조절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부(20)는 LDM으로부터 제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동신호를 선택하여 전류조절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부(20)는 LDM으로부터 테일신호와 제동신호가 동일 시점에 입력되는 경우, 제동신호를 선택하여 전류조절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테일신호는 테일스위치가 온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즉 운전자가 테일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변경하지 않는 한 LDM으로부터 테일신호가 지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제동신호는 LDM으로부터 항상 입력되는 것이 아니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에 한해 LDM으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테일스위치가 온상태로 유지되어 LDM으로부터 테일신호가 지속적으로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밝는 경우 LDM으로부터 제동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LDM으로부터 테일신호와 제동신호가 동일 시점에 입력되는 경우, 선택부(20)는 제동신호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전류조절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전류조절부(30)는 선택부(20)에 의해 선택된 테일신호 및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에 따라 광원(40)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시켜 줄 수 있다.
예컨대, 전류조절부(30)는 테일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전류값이 광원(40)에 흐르도록 전류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커대, 전류조절부(30)는 제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전류값이 광원(40)에 흐르도록 전류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전류값에 의해 광원(40)에서 제1 광속의 제1 광이 발광되고, 제2 전류값에 의해 광원(40)에서 제2 광속의 제2 광이 발광될 수 있다.
제2 전류값은 제1 전류값보다 클 수 있다.
제2 전류값은 예컨대, 제2 광의 제2 광속 및 제1 광의 제1 광속의 비가 1.5배 내지 3배가 되도록 제1 전류값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류값과 제1 전류값의 비 또한 1.5배 내지 3배가 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광원(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발광소자, 발광소자패키지 또는 발광디바이스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16)에 대한 다양한 회로도를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제1 회로 예시도다.
도 4를 참조하면, 선택부(20)는 테일신호 선택부(22)와 제동신호 선택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일신호 선택부(22)와 제동신호 선택부(24)는 역방향다이오드일 수 있다.
테일신호 선택부(22)의 아노드단자(anode terminal)는 제1 입력라인(23)에 접속되고 테일신호 선택부(22)의 캐소드단자(cathode terminal)는 제1 노드(n1)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입력라인(23)으로 LDM으로부터 테일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2 입력라인(25)은 제2 노드(n2)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입력라인(25)으로 LDM으로부터 제동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동신호 선택부(24)의 아노드단자는 제1 노드(n1)에 접속되고, 제동신호 선택부(24)의 캐소드단자는 제2 노드(n2)에 접속될 수 있다.
테일신호 선택부(22)는 제1 입력라인(23)으로 입력되는 테일신호를 선택하여 제1 노드(n1)로 제공할 수 있다. 제동신호 선택부(24)는 제2 입력라인(25)을 통해 제2 노드(n2)로 입력되는 제동신호를 선택하여 제1 노드(n1)로 제공할 수 있다.
테일신호 선택부(22)는 제1 노드(n1)로 제공된 제동신호가 제1 입력라인(23)을 통해 LDM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제동신호 선택부(24)는 제1 노드(n1)로 제공된 테일신호가 제2 입력라인(25)을 통해 LDM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예컨대, 제1 및 제동신호 선택부(24) 각각은 순방향 전류는 흐르게 하고 역방향 전류는 흐르지 않게 한다. 즉, 제1 및 제동신호 선택부(24) 각각의 아노드단자에서 캐소드단자로 전류가 흐르고 캐소드단자에서 아노드단자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테일신호 선택부(22)는 제1 입력라인(23)으로 입력되는 테일신호는 제1 노드(n1)로 제공하지만, 제동신호 선택부(24)에 의해 제1 노드(n1)로 제공된 제동신호는 제1 입력라인(23)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제동신호 선택부(24)는 제2 입력라인(25)을 통해 제2 노드(n2)로 입력되는 제동신호는 제1 노드(n1)로 제공하지만 테일신호 선택부(22)에 의해 제1 노드(n1)로 제공된 테일신호는 제2 노드(n2) 및 제2 입력라인(25)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광원(40)의 일측은 제4 노드(n4)에 접속되고, 광원(40)의 타측은 제5 노드(n5)에 접속될 수 있다.
전류조절부(30)는 스위칭소자(31)와 제1 내지 제3 저항소자(32 내지 34)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소자(31)는 예컨대 반도체 트랜지스터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스위칭소자(31)의 게이트단자는 제2 노드(n2)에 접속되고, 스위칭소자(31)의 소스단자는 제3 노드(n3)에 접속되며, 스위칭소자(31)의 드레인단자는 접지라인(27)에 접속될 수 있다.
스위칭소자(31)는 제2 노드(n2)로 입력되는 제동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만일 제2 노드(n2)로 제동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스위칭소자(31)는 턴오프될 수 있다.
스위칭소자(31)가 턴온되는 경우, 스위칭소자(31)가 도통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1 저항소자(32)의 일측은 제1 노드(n1)에 접속되고, 제1 저항소자(32)의 타측은 제4 노드(n4)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저항소자(32)의 저항값(R1)과 제1 노드(n1)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 저항소자(32)를 흐르는 전류가 결정될 수 있다.
제2 저항소자(33)의 일측은 제5 노드(n5)에 접속되고, 제2 저항소자(33)의 타측은 접지라인(27)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저항소자(33)의 저항값(R2)과 제5 노드(n5)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2 저항소자(33)를 흐르는 전류가 결정될 수 있다.
제3 저항소자(34)의 일측은 제3 노드(n3)에 접속되고, 제3 저항소자(34)의 타측은 제5 노드(n5)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저항소자(34)의 저항값(R3)과 제5 노드(n5)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3 저항소자(34)를 흐르는 전류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저항소자(33) 또는 제3 저항소자(34)는 제1 저항소자(32)와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저항소자(33)와 제3 저항소자(34)는 서로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노드(n2)로 제동신호가 입력되어 스위칭소자(31)가 터온되는 경우, 제2 저항소자(33)와 제3 저항소자(34)는 제5 노드(n5)와 접지라인(27) 사이에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저항소자(33)와 제3 저항소자(34)에 의한 저항값(Rsum)은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Rsum=(R2+R3)/R2R3
따라서, 제1 내지 제3 저항소자(32 내지 34)에 의한 전체 저항값(Rtotal)은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Rtotal=R1+Rsum=R1+[(R2+R3)/R2R3]
만일 제2 노드(n2)로 제동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스위칭소자(31)가 턴오프되는 경우, 제2 저항소자(33)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2 저항소자(33)와 제3 저항소자(34)에 의한 저항값(Rsum)은 하기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
Rsum=R2
따라서, 제1 내지 제3 저항소자(32 내지 34)에 의한 저항값(Rtotal)은 하기 수학식 4와 같다.
[수학식 4]
Rtotal=R1+ Rsum =R1+R2
제동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31)가 턴온될 때의 저항값(수학식 2)이 제동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스위칭소자(31)가 턴오프될 때의 전체 저항값(수학식 4)보다 작게 된다.
광원(40)에 흐르는 전류는 제1 내지 제3 저항소자(32 내지 34)에 의한 저항값과 제1 노드(n1)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제1 노드(n1)로 테일신호가 입력되고 제2 노드(n2)로 제동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2 노드(n2)로 제동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스위칭소자(31)는 턴오프되므로, 제1 내지 제3 저항소자(32 내지 34)에 의한 저항값은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40)에 흐르는 전류는 하기 식5와 같다.
[수학식 5]
I=Stail/ Rtotal=Stail/(R1+R2)
Stail은 테일신호를 나타낸다.
<제1 노드(n1)로 테일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제2 노드(n2)로 제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노드(n2)로 제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동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소자(31)가 터온되므로, 제1 내지 제3 저항소자(32 내지 34)에 의한 저항값은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40)에 흐르는 전류는 하기 식6과 같다.
[수학식 6]
I=Sbreak/Rtotal=Sbreak/[R1+[(R2+R3)/R2R3]]
Sbreak는 제동신호를 나타낸다.
<제1 노드(n1)로 테일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노드(n2)로 제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노드(n1)로 테일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노드(n2)로 제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노드(n1)로 테일신호와 제동신호 모두 입력될 수 있다. 테일신호와 제동신호 모두 동일 직류레벨를 가지므로, 이 직류레벨이 광원(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2 노드(n2)로 제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동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소자(31)가 터온되고, 제1 내지 제3 저항소자(32 내지 34)에 의한 저항값은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40)에 흐르는 전류는 앞서 나타내어진 식6과 같다.
따라서, 식5와 식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 노드(n1)에 테일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보다 제2 노드(n2)에 제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광원(40)에 보다 큰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테일신호가 인가될 때 광원(40)에서 생성되는 제1 광의 제1 광속보다 제동신호가 인가될 때 광원(40)에서 생성되는 제2 광의 제2 광속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제2 회로 예시도다.
제2 회로 예시도는 제1 회로 예시도에 비해 광원(40)의 접속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예시회로도에서 제1 회로 예시도와 동일한 기능과 특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생략된 내용은 제1 회로 예시도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40)의 일측이 제1 노드(n1)에 접속되고, 광원(40)의 타측이 제4 노드(n4)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회로 예시도에서는, 광원(40)이 제1 저항소자(32)와 제2 저항소자(33) 또는 제1 저항소자(32)와 제3 저항소자(34)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회로 예시도에서는 광원(40)이 선택부(20)와 전류조절부(30)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40)은 선택부(20)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1 노드(n1)와 전류조절부(30)의 입력단에 접속된 제4 노드(n4)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제3 회로 예시도다.
제3 회로 예시도는 제1 회로 예시도에 비해 광원(40)의 접속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3 예시회로도에서 제1 회로 예시도와 동일한 기능과 특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생략된 내용은 제1 회로 예시도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40)의 일측이 제5 노드(n5)에 접속되고, 광원(40)의 타측이 접지라인(27)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회로 예시도에서는, 광원(40)이 제1 저항소자(32)와 제2 저항소자(33) 또는 제1 저항소자(32)와 제3 저항소자(34)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3 회로 예시도에서는 광원(40)이 전류조절부(3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제5 노드(n5)에 접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40)은 전류조절부(30)의 스위칭소자(31) 또는 제2 저항소자(33)에 접속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제4 회로 예시도다.
제4 회로 예시도는 제1 회로 예시도에 비해 스위칭소자(31)와 제3 저항소자(34)의 배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4 예시회로도에서 제1 회로 예시도와 동일한 기능과 특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생략된 내용은 제1 회로 예시도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부(20)는 스위칭소자(31)와 제1 내지 제3 저항소자(32 내지 34)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소자(31)의 게이트단자는 제2 노드(n2)에 접속되고, 스위칭소자(31)의 소스단자는 제1 노드(n1)에 접속되며, 스위칭소자(31)의 드레인단자는 제3 노드(n3)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저항소자(32)의 일측은 제1 노드(n1)에 접속되며, 제1 저항소자(32)의 타측은 제4 노드(n4)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저항소자(33)의 일측은 제5 노드(n5)에 접속되며 제2 저항소자(33)의 타측은 접지라인(27)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저항소자(34)의 일측은 제3 노드(n3)에 접속되며, 제3 저항소자(34)의 타측은 제4 노드(n4)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회로 예시도에서는 스위칭소자(31)와 제3 저항소자(34)가 제2 저항소자(33)에 병렬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4 회로 예시도에서는 스위칭소자(31)와 제3 저항소자(34)가 제2 저항소자(33) 대신에 제1 저항소자(32)에 병렬 접속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4 회로 예시도에 의한 스위칭소자(31)와 제2 저항소자(33)의 배치 구조는 제2 회로 예시도나 제3 회로 예시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2)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전류제어부(50)가 추가되는 한편 제1 실시예의 제3 저항소자(34)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저항소자(32) 또는 제2 저항소자(33)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3 저항소자(34)의 사용 여부가 스위칭소자(3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저항소자(34)의 사용 여부에 따라 광원(4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광원(4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전류의 도통시간폭을 제어하는 펄스의 듀티비(duty ratio)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펄스의 듀티비가 작은 경우, 광원(4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펄스의 듀티비가 큰 경우, 광원(4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러한 펄스의 듀티비는 전류제어부(5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전류제어부(50)는 선택부(20)에 의해 선택된 테일신호 또는 제동신호에 따라 펄스의 듀티비를 달리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류제어부(50)는 선택부(20)에 의해 테일신호가 선택되는 경우 제1 듀티비의 펄스를 갖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류제어부(50)는 선택부(20)에 의해 제동신호가 선택되는 경우 제2 듀티비의 펄스를 갖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류조절부(30)는 제1 제어신호 또는 제2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40)에 흐르는 전류의 도통시간폭을 달리하여 광원(4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16A)에 대한 다양한 회로도를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제1 회로 예시도다.
제1 회로 예시도는 펄스생성부(52)와 스위칭소자(31)를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제1 회로 예시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예시회로도에서 도 4에 도시된 제1 회로 예시도와 동일한 기능과 특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생략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제1 회로 예시도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류제어부(50)는 펄스생성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펄스생성부(52)는 제1 및 제2 입력단과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단은 제2 노드(n2)에 접속되고, 제2 입력단은 제1 노드(n1)에 접속되며, 출력단은 전류조절부(30)의 스위칭소자(31)에 접속될 수 있다.
펄스생성부(52)는 제1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제동신호에 의해 제동신호가 LDM으로부터 제공되고 있는지가 검출할 수 있다.
펄스생성부(52)는 제2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제1 노드(n1)의 신호, 예컨대 테일신호 또는 제동신호를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테일신호 또는 제동신호는 직류레벨을 가질 수 있다.
펄스생성부(52)는 제1 입력단을 통해 제동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제2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직류레벨의 신호를 바탕으로 제1 제어신호 또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입력단으로 제동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데 반해 제2 입력단으로부터 제1 노드(n1)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펄스생성부(52)는 테일신호가 LDM으로부터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직류레벨의 신호를 바탕으로 제1 듀티비(T1/T)의 펄스를 갖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제1 제어신호는 도 10a에 도시된다.
예컨대, 제1 입력단으로 제동신호가 입력되고 제2 입력단으로 제2 노드(n2)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펄스생성부(52)는 제동신호가 LDM으로부터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직류레벨의 신호를 바탕으로 제2 듀티비(T2/T)의 펄스를 갖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제1 제어신호는 도 10b에 도시된다.
예컨대, 제1 듀티비(T1/T)는 4% 내지 6%이고, 제2 듀티비(T2/T)는 8% 내지 10%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듀티비(T1/T)가 4%이하인 경우 테일광의 세기가 약해 미등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고, 제1 듀티비(T1/T)가 6%이상인 경우 제2 듀티비(T2/T)와 중첩되어 테일광과 제동광이 구분되기 어렵다.
제2 듀티비(T2/T)가 8%이하인 경우 제동광의 세기가 약해 제동등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고, 제2 듀티비(T2/T)가 10% 이상인 경우 소비전력이 증가된다.
바림직하게는, 제1 듀티비(T1/T)는 5%이고, 제2 듀티비(T2/T)는 9%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광원(40)은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전류조절부(30)는 제1 및 제2 저항소자(32, 33)와 스위칭소자(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항소자(32)의 일측은 제3 노드(n3)에 접속되고, 제1 저항소자(32)의 타측은 제4 노드(n4)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저항소자(33)의 일측은 제4 노드(n4)에 접속되고, 제2 저항소자(33)의 타측은 제5 노드(n5)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저항소자(33)는 제1 저항소자(32)와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저항소자(32)의 위치에 제2 저항소자(33)가 접속되고, 제2 저항소자(33)의 위치에 제1 저항소자(32)가 접속될 수도 있다. 즉, 제3 및 제4 단자 사이에 제2 저항소자(33)가 접속되고, 제4 및 제5 단자 사이에 제1 저항소자(32)가 접속될 수 있다.
스위칭소자(31)의 게이트단자는 펄스생성부(52)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스위칭소자(31)의 소스단자는 제5 노드(n5)에 접속되며, 스위칭소자(31)의 드레인단자는 접지라인(27)에 접속될 수 있다.
펄스생성부(52)의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제1 제어신호 또는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될 수 있다.
스위칭의 턴온/턴오프 시간은 제1 제어신호의 제1 듀티비(T1/T) 또는 제2 제어신호의 제2 듀티비(T2/T)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2 듀티비(T2/T)가 제1 듀티비(T1/T)보다 더 크므로, 제2 제어신호에 의한 광원(4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제1 제어신호에 의한 광원(4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제어신호에 의해 광원(40)에서 발광되는 제2 광의 제2 광속이 제1 제어신호에 의해 광원(40)에서 발광되는 제1 광의 제1 광속보다 크다.
따라서, 후방 운전자는 전방 차량의 광원(40)의 서로 상이한 광의 광속을 통해 전방 차량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 차량이 정지하는지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및 제2 저항소자(32, 33)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제1 및 제2 저항소자(32, 33) 대신에 하나의 저항소자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제2 회로 예시도다.
제2 회로 예시도는 도 10에 도시된 제1 회로 예시도와 도 5에 도시된 제1 회로 예시도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생성부(52)의 제1 입력단은 제2 노드(n2)에 접속되고, 펄스생성부(52)의 제2 입력단은 제1 노드(n1)에 접속되며, 펄스생성부(52)의 출력단은 전류조절부(30)의 스위칭소자(31)에 접속될 수 있다.
스위칭소자(31)의 게이트단자는 펄스생성부(52)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스위칭소자(31)의 소스단자는 제5 노드(n5)에 접속되며, 스위칭소자(31)의 드레인단자는 접지라인(27)에 접속될 수 있다.
광원(40)은 도 10에 도시된 제1 회로 예시도와 달리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40)은 선택부(20)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1 노드(n1)와 전류조절부(30)의 입력단에 접속된 제3 노드(n3)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제3 회로 예시도다.
제3 회로 예시도는 도 10에 도시된 제1 회로 예시도와 도 6에 도시된 제1 회로 예시도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40)은 제5 노드(n5)와 접지라인(27)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40)은 전류조절부(3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제5 노드(n5)와 접지라인(27)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스위칭소자(31)이 제5 노드(n5)와 접지라인(27) 사이에 접속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스위칭소자(31)은 제1 저항소자(32)의 전단 또는 제1 저항소자(32)와 제2 저항소자(33) 사이에 접속될 수도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후미등
11, 15, 19: 표시영역
13: 통합램프
16, 16A: 후미등 구동장치
17: 후진등
20: 선택부
21: 방향지시등
22: 테일신호 선택부
23, 25: 입력라인
24: 제동신호 선택부
27: 접지라인
30: 전류조절부
31: 스위칭소자
32, 33, 34: 저항소자
40: 광원
50: 전류제어부
52: 펄스생성부
n1, n2, n3, n4, n5: 노드

Claims (10)

  1. 차량의 후미등에 장착되어 테일신호 및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일신호 및 상기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테일신호 및 상기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가 상기 광원에 흐르도록 상기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테일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제1 노드에 접속되는 테일신호 선택부; 및
    상기 제동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는 제동신호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조절부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광원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저항소자;
    상기 광원과 접지 라인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저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는 제2 저항소자;
    상기 광원과 제3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저항소자와 병렬로 접속되는 제3 저항소자; 및
    상기 제2 노드, 상기 제3 노드 및 상기 접지 라인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저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저항소자 및 상기 제3 저항소자는 상기 광원의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광원과 상기 접지 라인 사이에서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2. 차량의 후미등에 장착되어 테일신호 및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일신호 및 상기 제동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테일신호 및 상기 제동신호 각각에 따라 서로 상이한 듀티비의 펄스를 갖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테일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제1 노드에 접속되는 테일신호 선택부; 및
    상기 제동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는 제동신호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조절부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광원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저항소자;
    상기 광원과 접지 라인 사이에 접속되며, 제2 저항소자; 및
    상기 펄스 생성부, 상기 제2 저항소자 및 상기 접지 라인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고,
    상시 제어신호의 상기 펄스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가 온/오프됨에 따라 상기 광원의 발광이 온/오프되는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신호 선택부 및 상기 제동신호 선택부 각각은 역방향다이오드인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상기 제동신호 선택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동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신호가 상기 제2 노드에 인가되지 않고 상기 테일신호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테일신호가 상기 제1 노드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소자는 턴오프되어 수학식 1에 의한 전체 저항값에 의해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가 조절되는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수학식 1]
    Rtotal= R1+R2
    Rtotal은 전체 저항값이고, R1은 제1 저항소자의 저항값이며, R2는 제2 저항소자의 저항값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신호가 상기 제2 노드에 인가되고 상기 제동신호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제동신호가 상기 제1 노드에 인가는 경우, 상기 스위칭소자는 턴온되어 수학식 2에 의한 전체 저항값에 의해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가 조절되는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수학식 2]
    Rtotal= R1+[(R2+R3)/R2R3]
    Rtotal은 전체 저항값이고, R1은 제1 저항소자의 저항값이고, R2는 제2 저항소자의 저항값이며, R3은 제3 저항소자의 저항값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테일신호와 상기 제동신호가 동일 시점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동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전류조절부로 공급하는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신호가 상기 제2 노드에 인가되지 않고 상기 테일신호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테일신호가 상기 제1 노드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펄스생성부는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선택된 테일신호를 바탕으로 제1 듀티비의 펄스를 갖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칭소자는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상기 제1 듀티비에 따라 스위칭되는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신호가 상기 제2 노드에 인가되고 상기 제동신호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제동신호가 상기 제1 노드에 인가는 경우, 상기 펄스생성부는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선택된 제동신호를 바탕으로 제2 듀티비의 펄스를 갖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칭소자는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상기 제2 듀티비에 따라 스위칭되는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KR1020170083315A 2017-06-30 2017-06-30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KR10236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315A KR102366397B1 (ko) 2017-06-30 2017-06-30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315A KR102366397B1 (ko) 2017-06-30 2017-06-30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64A KR20190002964A (ko) 2019-01-09
KR102366397B1 true KR102366397B1 (ko) 2022-02-23

Family

ID=6501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315A KR102366397B1 (ko) 2017-06-30 2017-06-30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3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290A (ja) * 2002-06-28 2004-0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470B1 (ko) * 2010-07-05 2014-07-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회로
KR101954919B1 (ko) * 2012-09-21 2019-05-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램프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556724B1 (ko) * 2013-12-03 2015-10-0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단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290A (ja) * 2002-06-28 2004-0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64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1040B2 (ja)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装置
US10531547B2 (en) Vehicular lighting device
US6870328B2 (en) LED lamp apparatus for vehicles
EP3800969A1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JP6018875B2 (ja) 車両用ランプの点灯制御システム
JP2016199083A (ja) 車両用灯具
US9623791B2 (en) Lighting device, vehicle illumination device, and vehicle
US20120286661A1 (en) Vehicle dome and reading light
US8441194B2 (en) Multi-function vehicle light assembly
US8569953B2 (en) Multi-function vehicle light assembly
JP2009302296A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車室内用照明装置、車両用照明装置
US9162613B2 (en) Vehicle rear light assembly
JP6704097B1 (ja) 自動車用led照明モジュール
KR102366397B1 (ko) 차량의 후미등 구동장치
JP2005243396A (ja) Led点灯装置
JP2014116354A (ja) 発光素子駆動装置、照明装置
US11906123B2 (en) Light source module
US20240017664A1 (en) Method for operating a ligh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lighting device and motor vehicle
CN212098637U (zh) 一种车用氛围灯系统及汽车
US20220154906A1 (en) Rear light unit of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said rear light unit
KR20190004078A (ko) 차량용 엘이디 구동 장치
KR20090001105A (ko) 자동차의 제동등 및 후미등 겸용 일체형 발광 다이오드램프
KR20220109968A (ko) 차량의 램프 구동 장치
KR20210133646A (ko) 차량용 램프
KR20120110393A (ko) 차량용 조명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