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360B1 -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360B1
KR101556360B1 KR1020120089736A KR20120089736A KR101556360B1 KR 101556360 B1 KR101556360 B1 KR 101556360B1 KR 1020120089736 A KR1020120089736 A KR 1020120089736A KR 20120089736 A KR20120089736 A KR 20120089736A KR 101556360 B1 KR101556360 B1 KR 101556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graphene
electrode
density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631A (ko
Inventor
최재영
유원종
이승환
임영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360B1/ko
Priority to US13/864,732 priority patent/US9643850B2/en
Publication of KR2014002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56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the radio frequency energy being inductively coupled to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37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controlling of the discharge by modulation of energy
    • H01J37/32146Amplitude modulation, includes pul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84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 Y10S977/842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for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Y10S977/845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fullerenes or nanotu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는 그래핀을 접지한 상태에서 0.3*108~30*108 cm-3의 범위 내에 저밀도 플라즈마에 상기 그래핀을 노출하여 상기 그래핀의 물성을 복귀시킨다. 이러한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는 저온, 대면적, 빠른 공정속도, 친환경, 그리고 실리콘 공정과 호환가능하다.

Description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property of Graphene}
본 개시는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소 원자들로 구성된 저차원 나노물질로는 풀러렌(fuller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흑연(graphite) 등이 존재한다. 즉, 탄소 원자들이 6 각형 모양의 배열을 이루면서 공 모양이 되면 0 차원 구조인 풀러렌, 1 차원적으로 말리면 탄소나노튜브, 2 차원상에서 원자 한 층으로 이루어지면 그래핀, 3 차원으로 쌓이면 흑연으로 구분을 할 수 있다.
그래핀은 전기적/기계적/화학적인 특성이 매우 안정적이고 뛰어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전도성을 가져 그래핀을 이용한 나노소자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래핀은 벌크(bulk) 형태의 실리콘과 비교할 때 외부 환경에 민감하며 이로 인해 O, H, H2O 에 의해 쉽게 그 고유의 성질이 변화된다. 또한 그래핀을 전자 소자에 적용할 때 그래핀은 마스크 패터닝 공정에 의해 레지스트 잔류물와의 접촉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그래핀의 오염은 그래핀의 전하중성점, 도핑상태, 반송자(전자와 홀) 전도도와 같은 물성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는 그래핀이 전자소자에 적용되기 위해서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러한 그래핀 물성변화 문제 해결하기 위해 열 처리(thermal annealing), 전류처리(electrical current annealing), 클로로포름(Chloroform)과 같은 용제에 의한 처리(solvent treatment) 등의 그래핀 클리닝 공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열 처리 경우 대략 200 ~ 500 °C의 고온, 대략 2~4 시간의 느린 공정속도의 공정이며 이로 인하여 소자가 데미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열 처리만으로는 폴리머 잔류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한편, 전류처리는 그래핀의 국소면적 어닐링만 가능하다. 더 나아가 클로로포름 처리(Chloroform treatment)는 클로로포름이 독성의 마취제라는 점에서 공정 환경측면에서 볼 때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면적, 저온, 빠른 공정속도, 친환경, 그리고 실리콘 공정과 호환가능한(Si compatible) 그래핀의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는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은 그래핀을 접지하는 단계; 및 0.3*108~30*108 cm-3의 범위 내에 저밀도 플라즈마에 상기 그래핀을 노출하여 상기 그래핀의 물성을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의 이온 밀도는 1.0*108~10*108 cm-3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는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에 입력되는 파워를 조절하여 저밀도를 구현한 유도결합 플라즈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는 상대 전극에 입력되는 파워를 펄스 주파수 및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여 저밀도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즈마는 비활성 가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의 물성은 전하중성점, 도핑상태, 및 반송자전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는 처리 용기; 상기 처리 용기 내에 배치되며 그래핀을 접지 상태로 지지하는 전극 척; 상기 처리 용기 내에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 플라즈마 전극; 및 상기 플라즈마 전극이 0.3*108~30*108 cm-3의 범위 내에 저밀도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도록 상기 플라즈마 전극에 파워를 공급하는 플라즈마용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의 이온 밀도는 1.0*108~10*108 cm-3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전극은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이며,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는 상기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에 입력되는 파워를 조절하여 저밀도를 구현한 유도결합 플라즈마일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전극은 상대 전극이며,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는 상기 상대 전극에 입력되는 파워를 펄스 주파수 및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여 저밀도를 구현한 펄스 플라즈마일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는 비활성 가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의 물성은 전하중성점, 도핑상태, 및 반송자전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는 저온, 대면적, 빠른 공정속도, 친환경, 그리고 실리콘 공정과 호환가능하다. 가령,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는 열 처리(thermal annealing)에 비해 실리콘 공정과 호환가능하며, 고속 및 저온 공정이 가능하며, 전류처리(electrical current annealing)에 비하여 실리콘 공정과 호환가능하며, 대면적 공정이 가능하며, 화학적 처리(chemical treatment)에 비하여 실리콘 공정과 호환가능하며, 친환경적 공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오염된 그래핀을 처리하여 그래핀의 물성을 복귀시키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에서 플라즈마 이온의 밀도와 전자 온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그래핀 표면 상태의 변화를 보여주는 AFM 이미지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A, B, C, D, 및 E에 해당되는 그래핀 표면 상태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플라즈마 처리의 설정에 따른 그래핀들의 라만 스펙트럼 그래프이며, 도 8b는 도 8a에서 G밴드 영역 A 박스 지역을 확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그래핀 소자의 일 예인 G-FET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에 따라 도 9의 G-FET을 처리한 후 G-FET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래핀은 복수개의 탄소원자들이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폴리시클릭 방향족 분자를 형성한 것으로서,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탄소원자들은 기본 반복단위로서 6원환을 형성하나, 5원환 및/또는 7원환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그래핀은 서로 공유결합된 탄소원자들(통상 sp2 결합)의 단일층으로서 보이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그래핀(graphene)"이라는 용어는 단일층의 그래핀 뿐만 아니라, 몇몇의 층으로 이루어진 그래핀(few-layer graphene)까지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이러한 그래핀은 종래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핀 시트를 제조한 후 이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기판 상에서 직접 성장시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100)는 처리 용기(110), 전극 척(120),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130), 및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원(16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100)는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를 이용하여 그래핀의 물성을 복귀시키는 장치이다.
처리 용기(110)는 감압가능한 진공 챔버일 수 있다. 처리 용기(110)의 상부는 유전체창(1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처리 용기(110)에는 주입구(115) 및 배출구(119)가 마련되어 처리 가스(117)가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다. 처리 가스(117)는 아르곤(Ar), 제논(Xe), 및 네온(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활성 가스일 수 있다.
전극 척(120)은 처리 용기(110) 내에 배치되어, 피처리체인 그래핀(10)을 지지한다. 전극 척(120)은 접지 상태를 유지한다. 전극 척(120)에는 바이어스 전원(170)이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바이어스 전원(170)은 전극 척(120)에 파워를 공급하지 않는다.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130)은 유전체창(14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130)으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나선형 코일이나 그밖에 다양한 변형예들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130) 및 유전체창(140)이 처리 용기(110)의 상부 쪽에 배치된 예를 가지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130) 및 유전체창(140)은 처리 용기(110)의 측벽쪽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130)은 처리 용기(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원(160)은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130)에 고주파 파워를 공급함으로써 처리 가스(117)를 방전시켜 플라즈마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처리 가스(117)가 아르곤(Ar) 가스인 경우,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원(160)은 13.56MHz의 고주파 파워를 공급한다. 이때, 공급되는 파워는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130)에 의해 발생되는 플라즈마의 농도가 0.3*108~30*108 cm-3, 바람직하게는 1.0*108~10*108 cm-3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며, 도 3a 내지 도 3c는 오염된 그래핀을 처리하여 그래핀의 물성을 복귀시키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장치(100)를 이용하여 그래핀의 물성을 복귀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원(160)에서 고주파 코일(130)에 파워를 공급하게 되면, 고주파 코일(130)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에 의해 고주파 코일(130) 주위에 교류 자계가 발생된다. 교류 자계는 유전체창(140)을 통해 처리 용기(110) 내의 처리 공간을 통과한다. 이러한 교류 자계의 시간적인 변화에 따라 처리 공간 내에서 방위각 방향으로 유도 전계가 발생되고, 유도 전계에 의해 방위각 방향으로 가속된 전자가 처리 가스의 분자 또는 원자와 전리 충동을 일으켜 플라즈마가 생성된다. S1 영역은 플라즈마가 생성된 영역이고 S2 영역은 쉬스(sheath)를 나타낸다. 쉬스(S2)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가 고갈되어 전자에 의한 이온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영역이다. 한편, 그래핀(10)이 탑재된 전극 척(120)은 접지되어 있으므로, 그 전위(potential)은 0V이다. 전극 척(120)에 파워가 공급되지 않고 저밀도의 유도결합 플라즈마만이 생성된 상태에서 그래핀(10)에 도달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처리 가스의 플라즈마 이온(예를 들어 Ar+)과 전자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a는 그래핀(10)이 오염 물질(20)에 오염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3a와 같이 그래핀(10)은 외부 환경에 민감하여 오염 물질(20)에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의 예로서,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으로 생산된 대면적 그래핀일 경우 핸들레이어(handle layer)로 PMMA(Poly(methyl methacrylate))가 사용되는데, 이로 인한 폴리머 잔류물(residue polymer)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은 O, H, H2O 와 같은 물질과 쉽게 결합하거나 탄소 결합 구조가 변형될 수 있다. 나아가, 그래핀이 소자에 적용될 경우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레지스트 잔류물(resist residue)이 그래핀에 남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염 물질이나 변형에 의하여 그래핀(10)의 전하중성점, 도핑상태, 반송자(전자와 홀) 전도도와 같은 물성이 변화될 수 있다.
도 3b는 저밀도의 플라즈마로 그래핀(10)을 처리하는 중간 상태를 도시하며, 도 3c는 그래핀(10)을 저밀도의 프라즈마로 소정 시간동안 처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통상적인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상대적으로 고밀도의 플라즈마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고밀도의 플라즈마는 그래핀(10)에 붙은 오염 물질(20)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그래핀(10)의 탄소 결합 구조를 파괴하기도 한다. 또한, 통상적인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플라즈마 처리과정에서 전극 척(120)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그래핀(10)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그래핀(10) 자체의 탄소 결합 구조를 파괴하기도 한다. 반면에 본 실시예는 전극 척(120)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단순히 접지된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저밀도의 플라즈마로 그래핀(10)을 처리함으로써 플라즈마에 의한 그래핀(10)의 탄소 결합 구조의 손상을 방지하며, 나아가 후술하는 실험데이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그래핀(10)의 물성을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복원시킨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100)에서 플라즈마 이온의 밀도와 전자 온도의 예를 도시한다. 플라즈마 이온의 밀도와 전자 온도의 측정을 위해 실시간 측정이 가능한 랭뮤어 탐침(Langmuir probe)(150)를 사용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의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100)에서 전극 척(120)에 파워가 인가되는 경우를 비교예로서 살펴보기 위하여, 바이어스 전원(170)을 전극 척(120)에 연결하였다.
먼저 유도결합 플라즈마 방전(ICP DISCHARGE)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때, 바이어스 전원(170)은 전극 척(120)에 파워를 공급하지 않으며, 전극 척(120)은 접지 상태를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원(160)로부터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130)에 공급되는 파워의 크기에 플라즈마 이온밀도가 대체로 비례한다. 특히,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원(160)으로부터의 파워(power)가 5W에서 3.5*108 cm-3의 매우 낮은 이온밀도를 가지는 유도결합 플라즈마가 형성됨을 볼 수 있다.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원(160)을 통해 입력되는 파워가 5W에서 점차 커지게 되면, 이온밀도가 커지며 가령 40W 정도가 되면 1010 cm-3의 높은 이온밀도의 플라즈마가 형성됨을 볼 수 있다.
한편, 5W 파워에서 전자 온도가 3.5 eV 근방임을 볼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의 전자온도가 1~5eV이면 플라즈마를 이용한 처리(treatment)가 가능하므로, 5W의 낮은 파워에서도 본 실시예의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100)는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용량결합 플라즈마(Capacitively Coupled Plasma, CCP) 방전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때,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원(160)에서 파워는 공급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척(120)에 파워가 공급되는 경우, 용량결합 플라즈마가 형성되는데, 5W은 낮은 파워에서도 3*109 cm-3 이상의 고밀도 플라즈마가 형성됨을 볼 수 있다. 용량결합 플라즈마는 낮은 파워에서도 고밀도 플라즈마가 형성되어 도 10을 참조한 후술하는 설명에서도 언급하는 바와 같이 그래핀의 물성을 복귀시키기 보다 그래핀에 결함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100)는 전극 척(120)에 파워를 공급하지 않고 접지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5는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그래핀 표면 상태의 변화를 보여주는 원자힘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 이미지이다. 도 5에서 A는 오염되지 않은 그래핀(pristine graphen)의 이미지이며, B는 오염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그래핀-전계효과트랜지스터(G-FET)의 이미지이며, C는 B의 G-FET에 5W의 파워로 81초동안 ICP 처리한 후의 이미지이며, D는 B의 G-FET에 5W의 파워로 162초동안 ICP 처리한 후의 이미지이며, E는 B의 G-FET에 5W의 파워로 486초동안 ICP 처리한 후의 이미지이다. 도면에서 Gr은 그래핀을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162초에서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해진 상태를 볼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A, B, C, D, 및 E에 해당되는 그래핀 표면의 프로파일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7은 도 5에서 A, B, C, D, 및 E에 해당되는 그래핀의 표면 거칠기(RMS roughness) 및 두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에서 그래핀은 대략 0.5μm 이후의 위치(X)에 놓여져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B나 C에서 그래핀의 높이(Z)의 변화가 매우 높고 표면이 매우 거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그래핀-전계효과트랜지스터(G-FET)의 제조 과정에서 레지스트 잔류물(resist residue)이 그래핀에 아직 남아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A. D 및 E에서 그래핀의 높이(Z)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표면 거칠기가 매우 낮음을 볼 수 있다. 즉, ICP처리가 162초 동안 진행된 상태에서 이미 그래핀의 크리닝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 이후 ICP 처리가 계속 진행되어도 그래핀의 높이 및 표면 거칠기는 거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a는 플라즈마 처리의 설정에 따른 그래핀들의 라만 스펙트럼(Raman spectra) 그래프이며, 도 8b는 도 8a에서 G밴드 영역 A 박스 지역을 확대한 그래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5W의 파워에서 ICP 처리를 486초동안 진행한 경우 D 밴드(1350cm-1)가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40W의 파워에서 ICP 처리를 162초 동안 처리할 경우 D 밴드가 확인되었다. 이는 ICP 처리시 40W의 파워에서는 그래핀을 손상시켜 결함을 발생시키지만, 5W의 파워에서는 그래핀의 결함이 억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5W의 파워에서의 ICP 처리 시각 0초와 486초를 비교할 때, G-피크가 4cm-1 만큼 상방 시프트(up-shift)되고 2D-피크가 12cm-1 만큼 하방 시프트(down-shift) 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는 ICP 처리에 따라 그래핀에 입사하는 전류밀도(Je)로 인하여 n-도핑이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그래핀을 이용한 소자에 본 실시예의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그래핀 소자의 일 예인 G-FET(30)를 도시하며, 도 10 내지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에 따라 도 9의 G-FET(30)을 처리한 후 G-FET(30)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G-FET(30)은 p형-실리콘(p-Si)으로 이루어진 게이트(31), 게이트(31) 상에 실리콘 산화물(SiO2)로 형성된 절연층(33), 절연층(33) 상에 형성된 그래핀(39), 그래핀(39)의 양단에 마련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35, 37)을 포함한다. 기판(31)은 게이트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그래핀(39)은 채널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그래핀(39)은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CVD) 방식으로 형성된 후 리프트-오프 방식으로 절연층(33) 상에 전사되거나 혹은 절연층(33)에 직접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런데, 그래핀 형성시 핸들레이어(handle layer)로 사용되는 PMMA와 같은 기재가 아세톤등으로 완전히 제거되지 아니하여 잔류물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래핀(39)의 물성이 열화된다.
도 10은 G-FET(30)의 게이트(3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Vg)이 영(0)인 경우의 드레인측 전류-전압 특성을 보여준다. 5W의 파워가 인가된 CCP에 27초 동안 노출된 그래핀(39)은 거의 파괴되어 전도 수준(conduction level)이 0이 되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40W의 파워가 인가된 ICP에 그래핀(39)이 노출된 경우도 그래핀(39)의 전도 수준이 크게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다. 반면에, 5W의 낮은 파워가 인가된 ICP에 노출될 경우 그래핀(39)의 전도 수준에 변동이 발생되어, 그래핀(39)의 G-FET(30)의 채널층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래핀(39)의 전도 수준 변동은 도 8a 및 도 8b의 라만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Vdirac이 시프트하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5W의 파워에서 이루어진 ICP 처리에 따라 Id-Vg 의 곡선이 변동됨을 볼 수 있다. 각 곡선의 최저점에 해당되는 Vdirac은 0초에서 162초로 ICP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56V에서 8V로 이동한다. 하기의 표 1은 캐리어 이동도(carrier mobility)를 표시한다.
정공 이동도(cm2/Vs) 전자 이동도(cm2/Vs)
ICP (5W) for 0s 1570 1550
ICP (5W) for 81s 3140 3120
ICP (5W) for 162s 4160 4080
상기의 표 1을 참조하면, 전자 이동도(electron mobility)는 1550 cm2/Vs에서 4080 cm2/Vs로, 정공 이동도(hole mobility)는 1570 cm2/Vs에서 4160 cm2/Vs로 증가하였다.
한편, 도 12을 참조하면, 162초 이후 486초까지 계속 ICP 처리를 하는 경우, Vdirac 은 8V 에서 -37V 로 이동하였다. 이는 그래핀(39)으로 입사한 전류 밀도(Je)로 인하여 일시적인 n-도핑이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도 13을 참조하면, 486초에서 전기적 측정을 반복할 경우 다시 그래핀(39)은 중성으로 회복됨을 볼 수 있다. 즉, 도 12에서 ICP 처리에 따른 Vdirac의 이동은, ICP 처리 후 전기적 측정이 반복될 때 다시 원래 상태로 회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200)는, 처리 용기(210)과, 전극 척(220)과 펄스 발생기(250)를 구비한 전원부를 포함한다. 전극 척(220)은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로 기능하며, 처리 용기(210)의 측벽은 상대 전극(counter electrode)(240)로 기능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처리 용기(210)의 상부가 상대 전극으로 기능할 수 도 있다.
전극 척(220)에는 피처리체인 그래핀(1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전극 척(220)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지 상태를 가지고 있다.
상대 전극(240)에는 펄스 파워가 입력된다. 이러한 펄스 파워는 13.56MHz와 같은 고주파 파워를 공급하는 바이어스 전원(260)에 펄스 발생기(250)를 장착함으로써 공급될 수 있다. 펄스의 주파수(Pulse-Frequency)와 듀티 싸이클(Duty-Cycle)을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플라즈마 공정 조건보다 저밀도의 플라즈마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파워를 펄스로 공급함으로써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빈도를 낮추어 저밀도의 플라즈마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펄스 발생기(250)에서 공급되는 펄스 파워는 50~500Hz의 주파수와 20~99%의 듀티 범위의 펄스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하여, 플라즈마용 전극(130)에 의해 발생되는 플라즈마의 농도가 0.3*108~30*108 cm-3, 바람직하게는 1.0*108~10*108 cm-3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200)는 그래핀(10)이 장착되는 전극 척(220)이 접지된 상태이며, 저밀도의 플라즈마를 공급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100)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200)는 상대 전극(240)에 펄스 파워를 입력하여 펄스 플라즈마를 생성시켰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유도결합 프라즈마용 전극에 펄스 파워를 공급함으로써 저밀도 플라즈마를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인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그래핀 20 : 오염 물질
30 : G-FET 100 :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
110 : 처리 용기 115 : 유입구
119 : 유출구 120 : 전극 척
130 :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 140 : 유전체창
150 : 랭뮤어 탐침 160 :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원
170 : 바이어스 전원 190 : 플라즈마
200 :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 210 : 처리 용기
220 : 전극 척 240 : 상대 전극
250 : 펄스 발생기 260 : 바이어스 전원
290 : 플라즈마

Claims (12)

  1. 그래핀을 접지하는 단계; 및
    0.3*108~30*108 cm-3의 범위 내에 저밀도 플라즈마에 상기 그래핀을 노출하여 상기 그래핀의 물성을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의 이온 밀도는 1.0*108~10*108 cm-3의 범위 내에 있는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는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에 입력되는 파워를 조절하여 저밀도를 구현한 유도결합 플라즈마인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는 상대 전극에 입력되는 파워를 펄스 주파수 및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여 저밀도를 구현한 펄스 플라즈마인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는 비활성 가스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의 물성은 전하중성점, 도핑상태, 및 반송자전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7. 처리 용기;
    상기 처리 용기 내에 배치되며 그래핀을 접지 상태로 지지하는 전극 척; 및
    상기 처리 용기 내에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 플라즈마 전극;
    상기 플라즈마 전극이 0.3*108~30*108 cm-3의 범위 내에 저밀도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도록 상기 플라즈마 전극에 파워를 공급하는 플라즈마용 전원;을 포함하는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의 이온 밀도는 1.0*108~10*108 cm-3의 범위 내에 있는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전극은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이며,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는 상기 유도결합 플라즈마용 전극에 입력되는 파워를 조절하여 저밀도를 구현한 유도결합 플라즈마인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
  10.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전극은 상대 전극이며, 상기 저밀도 플라즈마는 상기 상대 전극에 입력되는 파워를 펄스 주파수 및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여 저밀도를 구현한 펄스 플라즈마인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
  11.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는 비활성 가스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
  12.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의 물성은 전하중성점, 도핑상태, 및 반송자전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그래핀 물성 복귀 장치.
KR1020120089736A 2012-08-16 2012-08-16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 KR101556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736A KR101556360B1 (ko) 2012-08-16 2012-08-16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
US13/864,732 US9643850B2 (en) 2012-08-16 2013-04-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properties of graphe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736A KR101556360B1 (ko) 2012-08-16 2012-08-16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31A KR20140023631A (ko) 2014-02-27
KR101556360B1 true KR101556360B1 (ko) 2015-09-30

Family

ID=5009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736A KR101556360B1 (ko) 2012-08-16 2012-08-16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43850B2 (ko)
KR (1) KR101556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5709B2 (en) 2010-08-25 2016-10-2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erforated graphene deionization or desalination
US10213746B2 (en) 2016-04-14 2019-02-2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elective interfacial mitigation of graphene defects
US9834809B2 (en) 2014-02-28 2017-12-0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ringe for obtaining nano-sized materials for selective assay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10005038B2 (en) 2014-09-02 2018-06-2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Hemodialysis and hemofiltration membranes based upon a two-dimensional membrane material and methods employing same
US10653824B2 (en) 2012-05-25 2020-05-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wo-dimensional materials and uses thereof
US10980919B2 (en) 2016-04-14 2021-04-2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in vivo and in vitro use of graphene and other two-dimensional materials
US10418143B2 (en) 2015-08-05 2019-09-1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erforatable sheets of graphene-based material
TW201504140A (zh) 2013-03-12 2015-02-01 Lockheed Corp 形成具有均勻孔尺寸之多孔石墨烯之方法
US9572918B2 (en) 2013-06-21 2017-02-2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Graphene-based filter for isolating a substance from blood
US9884766B2 (en) 2013-11-12 2018-02-06 Perpetuus Research & Development, Ltd. Treating particles
EP3099645A4 (en) 2014-01-31 2017-09-2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rocesses for forming composite structures with a two-dimensional material using a porous, non-sacrificial supporting layer
AU2015229331A1 (en) 2014-03-12 2016-10-2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eparation membranes formed from perforated graphene
KR20180037991A (ko) 2015-08-06 2018-04-13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그래핀의 나노 입자 변형 및 천공
WO2017180138A1 (en) *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Healing of thin graphenic-based membranes via charged particle irradiation
WO2017180133A1 (en)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in situ monitoring and control of defect formation or healing
WO2017180135A1 (en)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mbranes with tunable selectivity
WO2017180139A1 (en)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wo-dimensional membrane structures having flow passages
EP3442739A4 (en) 2016-04-14 2020-03-0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ROCESS FOR PROCESSING GRAPHENE SHEETS FOR LARGE SCALE TRANSFER USING A FREE FLOATING PROCESS
US10115436B1 (en) 2017-06-20 2018-10-30 Seagate Technology Llc Filter media and filter products for electronic enclosur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7616A (en) * 1972-11-15 1975-09-23 Texas Instruments Inc Method of forming doped dielectric layers utilizing reactive plasma deposition
US5888414A (en) * 1991-06-27 1999-03-30 Applied Materials, Inc. Plasma reactor and processes using RF inductive coupling and scavenger temperature control
US7645710B2 (en) * 2006-03-09 2010-01-12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transistor gate using a low energy plasma system
JP5116082B2 (ja) 2007-04-17 2013-01-09 住友精密工業株式会社 高熱伝導複合材料
KR20080111801A (ko) * 2007-06-20 2008-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공정장치 및 그 방법
JP5463282B2 (ja) 2008-03-26 2014-04-09 勝 堀 グラフェンの製造方法
KR101252333B1 (ko) 2009-04-02 2013-04-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열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제어 가능한 그래핀 시트 제조방법
US20100301212A1 (en) 2009-05-18 2010-12-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bstrate-free gas-phase synthesis of graphene sheets
KR101095792B1 (ko) 2009-07-03 2011-12-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 방법
KR101179711B1 (ko) 2010-04-15 2012-09-10 (주)로엔케이 그라핀 코팅층 형성방법 및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8236626B2 (en) 2010-04-15 2012-08-0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Narrow graphene nanoribbons from carbon nanotubes
KR101920721B1 (ko) 2010-06-04 2018-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라펜 나노리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그라펜 나노리본
US9371234B2 (en) 2010-07-15 2016-06-21 Graphene Square, Inc. Method for producing graphene at a low temperature, method for direct transfer of graphene using same, and graphene sheet
KR101715355B1 (ko) 2010-11-30 201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 전자 소자
US8530886B2 (en) * 2011-03-18 2013-09-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itride gate dielectric for graphene MOSF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43850B2 (en) 2017-05-09
KR20140023631A (ko) 2014-02-27
US20140048411A1 (en)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360B1 (ko) 그래핀 물성 복귀 방법 및 장치
Si et al. Scalable preparation of high-density semiconducting carbon nanotube arrays for high-performance field-effect transistors
Pham et al. Low damage pre-doping on CVD graphene/Cu using a chlorine inductively coupled plasma
Liu et al. Large scale pattern graphene electrode for high performance in transparent organic single crystal field-effect transistors
Bao et al. Lithography-free fabrication of high quality substrate-supported and freestanding graphene devices
Ahn et al. Non-reactive rf treatment of multiwall carbon nanotube with inert argon plasma for enhanced field emission
Kang et al. Characteristics of CVD graphene nanoribbon formed by a ZnO nanowire hardmask
KR101667841B1 (ko)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프로세스의 전계제어기법을 이용한 그래핀 나노월 성장 방법
Klarskov et al. Fast and direct measurements of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graphene using micro four-point probes
Bong et al. Facile graphene n-doping by wet chemical treatment for electronic applications
Kim et al. Reduction and nitridation of graphene oxide (GO) films at room temperature using inductively coupled NH3 plasma
Jagtiani et al. Initial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plasma damage to atomic layer carbon materials using conventional and low Te plasma sources
Ha et al. High-performance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with interface-engineered graphene anodes
Novodchuk et al. B/N co-doped graphene oxide gel with extremely-high mobility and ION/IOFF for large-area field effect transistors
Saleh et al. Dry micro-electro-discharge machining of carbon-nanotube forests using sulphur-hexafluoride
Lee et al. Advantages of a buried-gate structure for graphene field-effect transistor
KR20190083514A (ko) 불소로 표면 개질된 그래핀 입자 및 이의 표면 개질방법
Deshmukh et al. Local probing of the enhanced field electron emission of vertically aligned nitrogen-doped diamond nanorods and their plasma illumination properties
KR101456393B1 (ko) 수소 표면처리된 그래핀 및 이의 표면 처리방법
Kwon et al. Plasma treatment to improve chemical vapor deposition-grown graphene to metal electrode contact
Kim et al. Surface treatment process applicable to next generation graphene-based electronics
Park et al. Simple and rapid cleaning of graphenes with a ‘bubble-free’electrochemical treatment
KR101178555B1 (ko) 일함수가 조절된 그래핀을 형성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그래핀
Wang et al. Investigating electrical properties of controllable graphene nanoribbon field effect transistors
KR20190047785A (ko) 저차원 물질을 위한 표면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