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925B1 - 가축사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사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925B1
KR101555925B1 KR1020140066982A KR20140066982A KR101555925B1 KR 101555925 B1 KR101555925 B1 KR 101555925B1 KR 1020140066982 A KR1020140066982 A KR 1020140066982A KR 20140066982 A KR20140066982 A KR 20140066982A KR 101555925 B1 KR101555925 B1 KR 101555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dy unit
air
livesto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이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영 filed Critical 이선영
Priority to KR102014006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가축사체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는, 가축사체가 투입되도록 투입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유닛; 바디유닛에 형성된 투입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커버유닛; 및 바디유닛 내부에 배치되며, 바디유닛에 투입된 가축사체를 섞어주도록 마련되는 가축사체혼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사체 처리장치{ANIMAL CARCASS DISPOSAL APPARATUS}
본 발명은, 가축사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폐사되거나, 또는, 구제역, 부루셀라, 조류독감과 같은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된 가축의 사체가 바디유닛 내부에서 잘 섞어지도록 마련되어 발효가 촉진되므로 유기성퇴비로의 재활용이 가능한 가축사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에 의해 사육되는 가축들이 성장과정에서 자연폐사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는, 구제역이나 조류독감 등의 가축 전염병 발생시 전염병의 확산방지를 위해 발병된 가축들을 인위적으로 살처분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자연폐사하거나, 살처분된 가축의 사체 처리는 현재까지 주로 매몰 처리의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렇게 자연폐사한 가축의 사체 내지, 살처분된 가축의 사체 전체를 매몰할 경우 대규모의 매몰지가 필요하며 매몰 후 상당 기간 사후관리를 실시해야만 한다.
그런데, 사육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폐사하거나,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된 돼지, 닭, 오리, 어패류 등이 매몰된 매몰지에서는 동물들의 사체가 썩게 되는데, 이러한 썩은 사체로부터 썩은 침출수가 밖으로 새어 나와 2차 감염 및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자연폐사하거나 살처분된 가축에 대해 농장 부근 여러 곳에 구덩이를 파고, 그 구덩이에 수백만 규모의 가축들을 묻었는데, 수 일이 지나, 일부 매몰지에서 침출수가 밖으로 새어 나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가축사체를 땅 속에 매몰할 경우, 지상 밖에서 방치할 경우보다 공기 순환의 부족으로 사체 분해속도가 훨씬 더딘 편인데, 분해가 천천히 진행될 경우, 분해가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악취 및 가스가 계속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정 깊이의 구덩이를 파고, 구덩이의 바닥과 벽면에 비닐을 덮은 후, 자연폐사 또는 살처분된 동물 사체를 투입하고, 생석회를 뿌린 다음 흙을 덮어 매몰하였었다.
하지만, 자연폐사 또는 살처분 가축의 매몰 시 사용하는 생석회의 경우, 주로 살균작용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동물 사체의 분해속도를 방해할 뿐 아니라 매몰지역의 토양을 강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키므로, 토양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미생물이 죽어 악취와 침출수가 대량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등록번호:제10-1032605호(공고일자:2011년05월06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디유닛에 투입된 가축사체가 잘 섞어지도록 마련되어 바디유닛 내부에서 가축사체의 발효가 촉진되며, 이를 통해, 2차 감염과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사체를 유기성퇴비화하여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가축사체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축사체가 투입되도록 투입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유닛; 상기 바디유닛에 형성된 상기 투입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바디유닛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유닛에 투입된 상기 가축사체를 섞어주도록 마련되는 가축사체혼합유닛을 포함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사체혼합유닛은, 상기 바디유닛에 배치되는 지지받침유닛; 상기 지지받침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샤프트유닛; 및 상기 회전샤프트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가축사체를 섞어주는 회전날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샤프트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유닛은, 상기 바디유닛의 외측에 배치되어 풍력에 의해 구동되는 풍력회전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풍력회전유닛은, 상기 회전샤프트유닛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샤프트유닛; 및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유닛에 결합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유닛과,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유닛과,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유닛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가 가속되거나 감속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유닛에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속도가감속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유닛 내부로 미생물촉진제를 투입하기 위해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는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은, 상기 바디유닛에 연결되어 미생물촉진제가 이동하는 미생물촉진제투입용파이프; 및 상기 미생물촉진제투입용파이프에 결합되어 미생물촉진제가 저장되는 미생물촉진제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생물촉진제의 투입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에 결합되는 타이머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유닛에 투입된 상기 가축사체가 발효되어 생성되는 유기성퇴비를 상기 바디유닛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는 유기성퇴비흡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성퇴비흡입유닛은,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는 유기성퇴비배출파이프; 및 상기 유기성퇴비배출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유기성퇴비를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링브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유닛 내부로 왕겨 또는 톱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는 사일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일로유닛은, 상기 왕겨 또는 상기 톱밥이 저장되는 왕겨톱밥저장탱크; 상기 왕겨톱밥저장탱크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유닛에 타측이 연결되는 왕겨톱밥이송파이프; 및 상기 왕겨톱밥이송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왕겨톱밥이송파이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이송파이프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마련되는 내부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격벽은 상기 투입개구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유닛의 바닥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유닛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축사체의 발효 촉진을 위해 상기 바디유닛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주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유닛은, 공기를 송출할 수 있는 에어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가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이동파이프; 및 상기 공기이동파이프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유출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유닛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공기주입유닛을 보호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주입유닛보호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유닛보호수단은, 상기 공기주입유닛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기주입유닛을 감싸는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 및 상기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 외측으로 공기가 유출되는 보호파이프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외벽; 상기 외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벽; 및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벽, 상기 내벽 및 상기 연결지지부에 둘러싸여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수용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디유닛에 투입된 가축사체가 잘 섞어지도록 마련되어 바디유닛 내부에서 가축사체의 발효가 촉진되며, 이를 통해, 2차 감염과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사체를 유기성퇴비화하여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에서 커버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에서 커버유닛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에서 커버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에서 커버유닛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는, 가축사체가 투입되도록 투입개구부(210)가 형성된 바디유닛(200)과, 바디유닛(200)에 형성된 투입개구부(210)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커버유닛(300)과, 바디유닛(200) 내부에 배치되며, 바디유닛(200)에 투입된 가축사체를 잘 섞어주도록 마련되는 가축사체혼합유닛(81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바디유닛(200)은, 자연폐사되거나 부루셀라, 조류독감과 같은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된 소, 돼지, 닭, 오리, 어패류 등의 동물들의 사체가 투입되도록 투입개구부(210)가 형성된다.
즉, 소, 돼지 등의 가축류와, 닭, 오리 등의 가금류 뿐만 아니라 적조 등에 의해 집단폐사한 양식장의 어패류도 투입대상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가축사체는, 가축류, 가금류 및 어패류 등의 다양한 동물의 사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육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폐사하거나, 살처분된 가축의 사체를 토지에 매몰하게 되면, 썩은 사체로부터 썩은 침출수가 밖으로 새어 나와 2차 감염 및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는, 바디유닛(200)을 토지(G)에 매립 후 바디유닛(200) 내부에 가축사체(600)를 투입하며, 바디유닛(200) 내부에서 가축사체(600)가 발효하여 유기성퇴비로 변하도록 마련된다. 이렇게 마련되는 유기성퇴비는 바디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어 다양한 부분에 재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축사체(600)가 발효되면서 발생되는 침출수는 후술하는 왕겨 내지 톱밥 등에 의해 수분이 조절된다.
여기서, 바디유닛(200)은 FRP,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강철 내지 다양한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강도 내지 강성의 보강을 통해 토압 및 차량하중 등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디유닛(200)은 외벽(230)과 내벽(240)의 이중벽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바디유닛(200)은 외벽(230)과, 외벽(23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벽(240)과, 외벽(230)과 내벽(24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지지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바디유닛(200)이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중벽 구조에 의해 바디유닛(200)은 별도의 보강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용절감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고,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외벽(230)과, 내벽(240)과, 연결지지부(250)에 둘러싸여 있는 공기수용공간(260)이 형성될 수 있는 데, 공기수용공간(260)에는 공기가 수용되므로 바디유닛(200)의 내부와 외부의 열이동을 차단하여 가축사체의 발효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즉, 발효는 미생물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온도가 소정 범위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미생물의 활동이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바디유닛(200) 내부의 가축사체의 발효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미생물이 원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여기서, 공기수용공간(260)에는 공기가 수용되어 있고, 공기가 수용된 공기수용공간(260)에 의해 단열성이 증가하므로, 혹한기 내지 동절기에도 바디유닛(200) 내부의 온도는 소정 범위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의해, 바디유닛(200)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축사체의 발효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커버유닛(300) 역시 바디유닛(200)에 대응되도록 외벽(230)과, 내벽(240)과, 연결지지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한, 공기수용공간(2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바디유닛(200)과 공통되므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한편, 바디유닛(200)은 가축사체(600)가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탱크(Tank)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탱크는 공지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횡형의 원통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유닛(200)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름이 대략 2~3m이고, 길이가 대략 10~15m 정도 되는 크기의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버유닛(300)은 바디유닛(200)에 형성된 투입개구부(210)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즉, 커버유닛(300)이 바디유닛(200)으로부터 접촉해제되어 투입개구부(210)가 개방되면, 투입개구부(210)를 통해 가축사체(600)가 바디유닛(2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게 되고, 가축사체(600)의 투입이 종료되면 커버유닛(300)이 바디유닛(200)에 접촉되어 투입개구부(210)를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바디유닛(200)에는, 바디유닛(200)이 토지(G)에 매몰된 후에도 커버유닛(30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커버유닛안착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유닛(300)에는 커버유닛(300)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손잡이(3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축사체혼합유닛(810)은 바디유닛(200) 내부에 배치되며, 바디유닛(200)에 투입된 가축사체(600)를 잘 섞어주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가축사체혼합유닛(810)은 가축사체(600)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가축사체(600)를 섞을 수도 있고, 또는, 바디유닛(200) 내부의 공극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축사체(600)를 섞을 수도 있다.
즉, 가축사체(600)가 바디유닛(200) 내부로 투입되더라도 가축사체(600)의 부피와 형상이 제각각이므로, 가축사체(600) 내부는 다양한 공극률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공극률은 충전물과 분립체의 전체 용적에 대한 공간 용적의 백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극률이 클수록 하나의 가축사체(600)와 다른 가축사체(600) 사이의 빈공간이 많아져 바디유닛(200)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가축사체혼합유닛(810)으로 가축사체(600)를 섞어주는 것에 의해 공극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축사체혼합유닛(810)으로 가축사체(600)를 섞어주는 것에 의해 가축사체(600)와 공기의 접촉효과를 상승시키며, 이에 의해, 미생물에 의한 가축사체(600)의 처리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축사체혼합유닛(810)의 작동에 의해 발효사체를 분쇄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바디유닛(200)에는, 가축사체(600)의 발효를 촉진시키기 위해, 미생물촉진제, 톱밥 및 왕겨 중 적어도 하나를 투입할 수 있는데, 가축사체혼합유닛(810)은 바디유닛(200) 내부로 투입된 미생물촉진제, 톱밥 및 왕겨 중 적어도 하나와 가축사체(600)가 잘 섞이도록 각각을 혼합하게 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축사체혼합유닛(810)은 지지받침유닛(811)과, 회전샤프트유닛(812)과, 회전날개유닛(8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받침유닛(811)은 바디유닛(200)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샤프트유닛(812)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지지받침유닛(811)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회전샤프트유닛(812)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샤프트유닛(812)은 지지받침유닛(8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여기서, 회전샤트프유닛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도 있고, 또는, 후술하는 동력제공유닛(814)에 결합되어 동력제공유닛(814)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날개유닛(813)은 회전샤프트유닛(812)에 결합되어 회전샤프트유닛(812)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회전시 가축사체(600)에 접촉되면서 가축사체(600)를 섞어주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미생물촉진제, 톱밥 및 왕겨 중 적어도 하나가 투입되어 있다면, 회전날개유닛(813)이 회전하면서 미생물촉진제, 톱밥 및 왕겨 중 적어도 하나와 가축사체(600)를 잘 섞어주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동력제공유닛(814)은 회전샤프트유닛(812)에 결합되어 회전샤프트유닛(812)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제공유닛(814)은 각종의 모터(미도시)가 해당될 수 있다.
즉, 회전샤프트유닛(812)이 하나 이상의 기어 등을 통해 모터(미도시)에 연결되며,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미도시)를 구동하는 에너지는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포함하는 태양에너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동력제공유닛(814)은 바디유닛(200)의 외측에 배치되어 풍력에 의해 구동되는 풍력회전유닛(814a)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풍력이라는 자연에너지를 이용하게 되면 에너지 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또한, 풍력을 이용하는 풍력회전유닛(814a)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의 태양집열판 내지 태양집광판에 비해 비용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풍력회전유닛(814a)은 동력전달샤프트유닛(816)와, 프로펠러(8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샤프트유닛(816)은 기어 등에 의해 회전샤프트유닛(812)에 연결되며, 동력전달샤프트유닛(816)의 회전력을 회전샤프트유닛(812)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프로펠러(817)는 동력전달샤프트유닛(816)에 결합되며, 바람에 부딪혀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즉,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프로펠러(817)가 회전하게 되면, 프로펠러(817)에 결합되어 있는 동력전달샤프트유닛(816)이 회전하게 되며, 동력전달샤프트유닛(816)의 회전력이 회전샤프트유닛(812)에 전달된다.
여기서, 풍력회전유닛(814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프로펠러(817)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1의 A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샤프트유닛(816)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회전축(818)에 복수의 바람날개(819)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속도가감속유닛(815)은 회전샤프트유닛(812)과 동력전달샤프트유닛(816)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샤프트유닛(812)과 동력전달샤프트유닛(816) 각각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회전속도가감속유닛(815)은 복수의 기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되는 기어박스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샤프트유닛(812)과 동력전달샤프트유닛(816)에 각각 결합되는 기어들의 연결에 의해, 동력전달샤프트유닛(816)으로부터 회전샤프트유닛(812)으로 전달되는 회전속도가 가속되거나 감속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속도가감속유닛(815)은 바디유닛(2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기계실(7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기계실(700)에 결합되어 있는 사다리(710)를 통해 내부로 들어가서 조작 및 관리를 할 수 있다.
한편, 풍력회전유닛(814a)은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므로, 바람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회전샤프트유닛(812)이 회전하지 않으며, 가축사체(600)를 섞어주는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또는, 바람이 발생되더라도 풍속의 변화에 따라 회전샤프트유닛(812)의 회전속도 역시 변화하게 된다.
하지만, 가축사체(600)의 혼합의 경우, 소정 시간 내에 정해진 양만큼 반드시 섞어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가축사체(600)의 혼합이 균일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풍력회전유닛(814a)을 사용하여 자연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에 의해 에너지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다만, 풍속이 너무 강한 경우 회전샤프트유닛(812)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하게 되면, 가축사체(600)와 부딪히는 회전날개유닛(813)에 소정 범위 이상의 충격이 가해져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회전속도가감속유닛(815)에 의해 회전샤프트유닛(812)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850)은 바디유닛(200) 내부로 미생물촉진제를 투입하기 위해 바디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미생물촉진제는 미생물을 활성화시키도록 마련되는 물질을 의미하며 액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다.
즉,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850)을 통해 바디유닛(200) 내부로 미생물촉진제를 투입하여 미생물이 활성화되면 가축사체(600)의 발효가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850)은 미생물촉진제투입용파이프(851)와, 미생물촉진제저장탱크(8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생물촉진제투입용파이프(851)에는 구동펌프(854)가 결합되어 작동될 수 있다.
즉, 미생물촉진제투입용파이프(851)에 결합되는 구동펌프(854)가 작동하게 되면 미생물촉진제가 저장되는 미생물촉진제저장탱크(852)로부터 미생물촉진제투입용파이프(851)를 통해 미생물촉진제가 이동하며, 미생물촉진제투입용파이프(851)에 연결되어 있는 바디유닛(2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구동펌프(854)는 액상으로 마련되는 미생물촉진제가 이동되어 공급될 수 있는 약액이송펌프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미생물촉진제투입용파이프(851)의 단부에는 미생물촉진제의 분사가 용이하도록 분사노즐(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8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유닛(200)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바디유닛(2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기계실(7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850)에는 미생물촉진제의 투입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유닛(853)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유닛(853)은, 예를 들어, 1시간에 한 번 미생물촉진제가 투입되는 것과 같이 하루 중의 투입횟수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한 번에 미생물촉진제를 10분간 투입하는 것과 같이 실제 투입되는 시간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기성퇴비흡입유닛(890)은 바디유닛(200)에 투입된 가축사체(600)가 발효되어 생성되는 유기성퇴비를 바디유닛(200)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바디유닛(2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유닛(200) 내부로 가축사체(600)가 투입된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가축사체(600)가 발효하게 되어 유기성퇴비가 남게 된다.
그리고, 유기성퇴비흡입유닛(890)을 통해 유기성퇴비를 바디유닛(200) 외측으로 배출시키게 되면, 바디유닛(200) 내부로 새로운 가축사체(600)의 투입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의해, 가축사체 처리장치(100)의 계속적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기성퇴비흡입유닛(890)은 유기성퇴비배출파이프(891)와, 링브로워(8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기성퇴비배출파이프(891)는 바디유닛(200)에 결합되며, 바디유닛(200)으로부터 흡입되는 유기성퇴비가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링브로워(892)는 유기성퇴비배출파이프(891)에 결합되어 유기성퇴비를 흡입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링브로워(892)는 유기성퇴비를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유닛(200)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 유기성퇴비는 재활용이 가능한데, 이에 의해 폐자원의 감소와 비용절감이라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일로유닛(910)은 바디유닛(200) 내부로 왕겨 또는 톱밥을 제공하기 위해 바디유닛(2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왕겨 또는 톱밥은 바디유닛(200) 내부의 수분을 조절하기 위해 투입되는 것으로, 특히, 왕겨의 경우, 수분 조절 뿐만 아니라 왕겨에 묻어 있는 자연미생물에 의해 바디유닛(200) 내부의 가축사체(600)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일로유닛(910)은 왕겨톱밥저장탱크(911)와, 왕겨톱밥이송파이프(912)와, 이송파이프개폐밸브(9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왕겨톱밥저장탱크(911)는 바디유닛(200)의 외측에 위치하며, 왕겨 또는 톱밥이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왕겨톱밥이송파이프(912)는 일측이 왕겨톱밥저장탱크(911)에 연결되고, 타측이 바디유닛(200)에 연결되며, 왕겨 또는 톱밥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즉, 왕겨 또는 톱밥은 왕겨톱밥저장탱크(911)로부터 왕겨톱밥이송파이프(912)를 따라 바디유닛(2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파이프개폐밸브(913)는 왕겨톱밥이송파이프(912)에 결합되어 왕겨톱밥이송파이프(9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데, 이송파이프개폐밸브(913)의 개폐에 의해 바디유닛(200) 내부로 이송되는 왕겨 또는 톱밥의 투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는, 바디유닛(200)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기관(미도시)과, 가스배기관(미도시)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유닛(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배기관(미도시)은 바디유닛(200)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바디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가축사체(600)의 경우, 분해가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악취 및 가스가 계속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악취 및 가스를 정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는 가스배기관(미도시)을 통해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뿐만 아니라 가스배기관(미도시)에 탈취유닛(미도시)을 연결하여 바디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악취를 탈취하게 된다.
여기서, 탈취유닛(미도시)에는 동력원을 사용하여 구동되는 탈취장치 또는 집진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탈취유닛(미도시)의 구체적인 작동 원리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그러한 작동원리나 구조가 본 발명의 주요 내용을 이루는 것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바디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탈취를 위해, 가스배기관(미도시) 내부에 탈취유닛(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탈취유닛(미도시)은 악취제거와 해충유입방지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스배기관(미도시) 내부에 활성탄을 넣어두면 바디유닛(200) 내부의 가스가 활성탄을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될 수 있고, 또한, 활성탄에 의해, 바디유닛(200) 외부의 해충이 가스배기관(미도시)을 통해 바디유닛(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활성탄의 교체를 위해 가스배기관(미도시)은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는 운반 가능하도록 마련되므로, 가축사체 처리장치(100)가 가축사체(600)의 매몰 지역으로 운반되어진 후 토지(G) 등에 매립되는 것을 통해 가축사체(600)가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또한, 가축사체 처리장치(100)의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에 의해, 바디유닛(200)에 투입된 가축사체(600)가 잘 섞어지도록 마련되어 바디유닛(200) 내부에서 가축사체(600)의 발효가 촉진되며, 이를 통해, 2차 감염과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사체(600)를 유기성퇴비화하여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가축사체 처리장치(100)는 운반 가능하도록 마련되므로, 가축사체(600)의 매몰 지역으로 가축사체 처리장치(100)를 운반 후 토지(G)에 매립한다. 여기서, 가축사체 처리장치(100)를 구성하는 바디유닛(200)은 강성 보강 및 단열을 위해 공기수용공간(260)이 형성되는 이중벽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유닛(300)을 개방하여 투입개구부(210)를 통해 바디유닛(200) 내부로 가축사체(600)를 투입하게 된다.
여기서, 투입개구부(210)에는 가축사체(600)가 바디유닛(200)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미도시)를 투입개구부(210)에 경사지게 연결하여 플레이트(미도시)를 깔때기처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연폐사한 가축사체(600)의 경우 필요에 따라 바디유닛(200) 내부로 수시로 투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하므로, 바디유닛(200)이 토지(G)에 매립된 후에도 커버유닛(30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850)에 의해 바디유닛(200) 내부로 미생물촉진제가 투입될 수 있고, 또는, 사일로유닛(910)을 통해 왕겨 또는 톱밥이 바디유닛(2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풍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풍력회전유닛(814a)에 연결되어 회전샤프트유닛(812)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샤프트유닛(812)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날개유닛(813)이 왕겨 또는 톱밥과, 미생물촉진제와, 가축사체(600)를 서로 잘 섞어서 혼합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바디유닛(200) 내부의 수분이 조절될 수 있고, 또한, 발효가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풍력회전유닛(814a)은 바람이라는 자연에너지를 사용하므로 에너지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유기성퇴비흡입유닛(890)을 통해 유기성퇴비를 바디유닛(200) 외측으로 배출시켜 폐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또한, 가축사체 처리장치(100)의 계속적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가스배기관에 연결된 탈취유닛을 통해 바디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악취가 탈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에 의해, 바디유닛(200)에 투입된 가축사체(600)가 잘 섞어지도록 마련되어 바디유닛(200) 내부에서 가축사체(600)의 발효가 촉진되며, 이를 통해, 2차 감염과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사체(600)를 유기성퇴비화하여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는, 내부격벽(950)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와 차이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격벽(950)은 바디유닛(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바디유닛(200)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공간으로 마련되는 바디유닛(200)에 가축사체(600)가 투입된다면, 하측에 적재된 가축사체(600)가 발효되고 있는 동안, 그 상부에 새로운 가축사체(600)가 투입되므로, 이미 발효가 진행된 가축사체(600)와, 발효가 진행되지 않고 새롭게 투입된 가축사체(600)가 동일 공간 내에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하측에 적재된 가축사체(600)의 발효가 완료되더라도, 발효의 진행이 완료되지 않은 가축사체(600)가 상측에 적재되어 있으므로, 발효가 완료되어 유기성퇴비로 변한 가축사체(600)만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내부격벽(950)에 의해 바디유닛(200)의 공간이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된다면, 일측 공간에 가축사체(600)를 투입 후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타측 공간에 새로운 가축사체(600)를 투입할 수 있으며, 일측 공간에 투입된 가축사체(600)의 발효가 완료되면, 일측 공간의 유기성퇴비만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내부격벽(950)은 투입개구부(2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바디유닛(200)의 바닥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내부격벽(950)은 바디유닛(200)의 바닥에서 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바디유닛(200) 내부의 공간을 분리하도록 마련되지만, 또한, 투입개구부(210)의 하측에 위치하여서 투입개구부(210)의 상측에서 투입개구부(210)를 바라본 경우 투입개구부(210) 역시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격벽(950)이 1개로 마련된다면 바디유닛(200) 내부는 2개의 공간으로 분리되고 투입개구부(210) 역시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격벽(950)이 2개로 마련된다면 바디유닛(200) 내부는 3개의 공간으로 분리되고 투입개구부(210) 역시 3개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미도시).
이와 같이, 내부격벽(95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바디유닛(200)은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되고, 투입개구부(210)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기준으로, 투입개구부(210)의 좌측(b)을 통해 바디유닛(200) 좌측의 B공간으로 가축사체(600)가 투입되어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새로운 가축사체(600)가 발생하는 경우, 새롭게 발생된 가축사체(600)는 투입개구부(210)의 우측(c)을 통해 바디유닛(200) 우측의 C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후, 바디유닛(200) 우측의 C공간에 투입된 가축사체(600)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바디유닛(200) 좌측의 B공간에 투입된 가축사체(600)의 발효가 완료되면, 유기성퇴비흡입유닛(890)을 통해 바디유닛(200) 좌측의 B공간에 존재하는 유기성퇴비를 바디유닛(20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켜 재활용하게 된다.
한편, 내부격벽(950)에는 가축사체혼합유닛(8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에 의해, 바디유닛(200)에 투입된 가축사체(600)가 잘 섞어지도록 마련되어 바디유닛(200) 내부에서 가축사체(600)의 발효가 촉진되며, 이를 통해, 2차 감염과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사체(600)를 유기성퇴비화하여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는, 공기주입유닛(500) 또는 공기주입유닛보호수단(400)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축사체 처리장치(100)와 차이가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주입유닛(500)은 바디유닛(200) 내부에 설치되며, 가축사체(600)의 발효 촉진을 위해 바디유닛(20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된다. 즉, 바디유닛(200) 내부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가축사체(600)의 발효를 촉진시키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공기주입유닛(500)은 공기이동파이프(510)와, 공기유출통공(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이동파이프(510)는 공기를 송출할 수 있는 각종의 펌프에 연결되며, 공기가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펌프는 공기를 송출할 수 있는 에어펌프(530)로 마련되어 바디유닛(20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바디유닛(2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기계실(700)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에어펌프(530)에 연결된 공기이동파이프(510)를 통해 바디유닛(200) 내부로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에어펌프(530)는 구동을 위해 태양광을 이용해서 발전하는 태양광발전유닛(S)을 전원공급유닛으로 하여 태양광발전유닛(S)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이동파이프(510)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출통공(5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에어펌프(530)에 의해 공기이동파이프(510)를 이동하는 공기가 공기유출통공(520)을 통해 바디유닛(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유입된 공기는 가축사체(600)의 발효를 촉진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주입유닛보호수단(400)은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410)와 보호파이프통공(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410)가 공기이동파이프(510)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즉, 공기이동파이프(510)가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4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410)는 소정 길이의 관(管)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410)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보호파이프통공(42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축사체(600)가 발효되면 침출수와 가스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가축사체(600)가 분해되면서 가축사체(600)의 일부가 보호파이프통공(420) 내지 공기유출통공(520)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공기이동파이프(510)가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410) 내부에 배치되면 공기이동파이프(510)는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410)에 의해 보호되므로, 가축사체(600)의 일부가 공기이동파이프(510)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파이프통공(420)에 가축사체(600)의 일부가 부착되는 경우,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410)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이동파이프(51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분사되면서 보호파이프통공(420)에 부착되어 있는 가축사체(600)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공기주입유닛(500)과 공기주입유닛보호수단(400)의 작동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가축사체 처리장치 200 : 바디유닛
210 : 투입개구부 230 : 외벽
240 : 내벽 250 : 연결지지부
260 : 공기수용공간 300 : 커버유닛
400 : 공기주입유닛보호수단 410 :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
420 : 보호파이프통공 500 : 공기주입유닛
510 : 공기이동파이프 520 : 공기유출통공
530 : 에어펌프 600 : 가축사체
700 : 기계실 710 : 사다리
810 : 가축사체혼합유닛 811 : 지지받침유닛
812 : 회전샤프트유닛 813 : 회전날개유닛
814 : 동력제공유닛 814a : 풍력회전유닛
815 : 회전속도가감속유닛 816 : 동력전달샤프트유닛
817 : 프로펠러 818 : 회전축
819 : 바람날개 850 :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
851 : 미생물촉진제투입용파이프 852 : 미생물촉진제저장탱크
853 : 타이머유닛 854 : 구동펌프
890 : 유기성퇴비흡입유닛 891 : 유기성퇴비배출파이프
892 : 링브로워 910 : 사일로유닛
911 : 왕겨톱밥저장탱크 912 : 왕겨톱밥이송파이프
913 : 이송파이프개폐밸브 950 : 내부격벽

Claims (21)

  1. 가축사체가 투입되도록 투입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유닛;
    상기 바디유닛에 형성된 상기 투입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바디유닛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유닛에 투입된 상기 가축사체를 섞어주도록 마련되는 가축사체혼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축사체혼합유닛은,
    상기 바디유닛에 배치되는 지지받침유닛;
    상기 지지받침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샤프트유닛;
    상기 회전샤프트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가축사체를 섞어주는 회전날개유닛; 및
    상기 회전샤프트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동력제공유닛은, 상기 바디유닛의 외측에 배치되어 풍력에 의해 구동되는 풍력회전유닛으로 마련되고,
    상기 풍력회전유닛은,
    상기 회전샤프트유닛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샤프트유닛; 및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유닛에 결합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유닛과,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유닛과,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유닛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가 가속되거나 감속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유닛에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속도가감속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 내부로 미생물촉진제를 투입하기 위해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는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은,
    상기 바디유닛에 연결되어 미생물촉진제가 이동하는 미생물촉진제투입용파이프; 및
    상기 미생물촉진제투입용파이프에 결합되어 미생물촉진제가 저장되는 미생물촉진제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촉진제의 투입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미생물촉진제투입유닛에 결합되는 타이머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에 투입된 상기 가축사체가 발효되어 생성되는 유기성퇴비를 상기 바디유닛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는 유기성퇴비흡입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퇴비흡입유닛은,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는 유기성퇴비배출파이프; 및
    상기 유기성퇴비배출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유기성퇴비를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링브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 내부로 왕겨 또는 톱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는 사일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일로유닛은,
    상기 왕겨 또는 상기 톱밥이 저장되는 왕겨톱밥저장탱크;
    상기 왕겨톱밥저장탱크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유닛에 타측이 연결되는 왕겨톱밥이송파이프; 및
    상기 왕겨톱밥이송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왕겨톱밥이송파이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이송파이프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유닛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마련되는 내부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격벽은 상기 투입개구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유닛의 바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축사체의 발효 촉진을 위해 상기 바디유닛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주입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유닛은,
    공기를 송출할 수 있는 에어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가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이동파이프; 및
    상기 공기이동파이프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유출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유닛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공기주입유닛을 보호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주입유닛보호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유닛보호수단은,
    상기 공기주입유닛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기주입유닛을 감싸는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 및
    상기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주입유닛보호파이프 외측으로 공기가 유출되는 보호파이프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20.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외벽;
    상기 외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벽; 및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상기 내벽 및 상기 연결지지부에 둘러싸여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수용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처리장치.

KR1020140066982A 2014-06-02 2014-06-02 가축사체 처리장치 KR101555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982A KR101555925B1 (ko) 2014-06-02 2014-06-02 가축사체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982A KR101555925B1 (ko) 2014-06-02 2014-06-02 가축사체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925B1 true KR101555925B1 (ko) 2015-09-25

Family

ID=5424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982A KR101555925B1 (ko) 2014-06-02 2014-06-02 가축사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92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582B1 (ko) * 2016-10-25 2017-07-10 (주) 창조 가축 살처분용 저장 탱크
CN108218489A (zh) * 2017-12-31 2018-06-29 邵真 一种采用清洁能源的有机肥料发酵装置
KR20190004911A (ko) 2017-07-05 2019-01-15 우범제 미생물을 활용한 살처분 폐사가축 통합처리장치
KR102199170B1 (ko) * 2019-12-20 2021-01-06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악취제거가 가능한 폐사가축 매몰탱크
KR102213635B1 (ko) * 2020-08-14 2021-02-08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산기관을 이용한 폐사가축 매몰탱크
KR20210078159A (ko) *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폐사가축 매몰탱크
KR20210107269A (ko) * 2020-02-24 2021-09-01 이희혁 미생물을 활용한 환경 친화적 가축 사체처리시스템
KR20220102182A (ko) * 2021-01-11 2022-07-20 최성희 동물 사체 처리장치
KR102435039B1 (ko) * 2021-10-15 2022-08-22 김홍연 미생물 군집 부토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 사체 처리방법
KR20220150023A (ko) * 2021-05-03 2022-11-10 농업회사법인 대흥바이오 주식회사 폐사축 호기호열 부숙장치
KR102627455B1 (ko) * 2023-01-10 2024-01-23 (주) 하나환경 동물사체 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976Y1 (ko) 2000-02-10 2000-06-15 두루환경위생주식회사 죽은 동물 및 폐기 육류 처리용 발효·소멸처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976Y1 (ko) 2000-02-10 2000-06-15 두루환경위생주식회사 죽은 동물 및 폐기 육류 처리용 발효·소멸처리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582B1 (ko) * 2016-10-25 2017-07-10 (주) 창조 가축 살처분용 저장 탱크
KR20190004911A (ko) 2017-07-05 2019-01-15 우범제 미생물을 활용한 살처분 폐사가축 통합처리장치
KR102091168B1 (ko) * 2017-07-05 2020-03-19 우범제 미생물을 활용한 살처분 폐사가축 통합처리장치
CN108218489A (zh) * 2017-12-31 2018-06-29 邵真 一种采用清洁能源的有机肥料发酵装置
KR20210078159A (ko) *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폐사가축 매몰탱크
KR102346211B1 (ko) 2019-12-18 2022-01-03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폐사가축 매몰탱크
KR102199170B1 (ko) * 2019-12-20 2021-01-06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악취제거가 가능한 폐사가축 매몰탱크
KR20210107269A (ko) * 2020-02-24 2021-09-01 이희혁 미생물을 활용한 환경 친화적 가축 사체처리시스템
KR102424614B1 (ko) 2020-02-24 2022-07-22 이희혁 미생물을 활용한 환경 친화적 가축 사체처리시스템
KR102213635B1 (ko) * 2020-08-14 2021-02-08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산기관을 이용한 폐사가축 매몰탱크
KR20220102182A (ko) * 2021-01-11 2022-07-20 최성희 동물 사체 처리장치
KR102526820B1 (ko) * 2021-01-11 2023-04-28 최성희 동물 사체 처리장치
KR20220150023A (ko) * 2021-05-03 2022-11-10 농업회사법인 대흥바이오 주식회사 폐사축 호기호열 부숙장치
KR102615564B1 (ko) 2021-05-03 2024-01-08 농업회사법인 대흥바이오 주식회사 폐사축 호기호열 부숙장치
KR102435039B1 (ko) * 2021-10-15 2022-08-22 김홍연 미생물 군집 부토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 사체 처리방법
KR102627455B1 (ko) * 2023-01-10 2024-01-23 (주) 하나환경 동물사체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925B1 (ko) 가축사체 처리장치
CN105541420B (zh) 一种畜禽养殖场死亡畜禽连续好氧堆肥装置及其处理方法
KR100850033B1 (ko) 유기물 처리 장치
KR101426460B1 (ko) 가축사체 처리장치
KR20070041086A (ko) 동물 사체 처리기
KR200186976Y1 (ko) 죽은 동물 및 폐기 육류 처리용 발효·소멸처리기
KR101104182B1 (ko) 폐사 가축의 친환경 처리 장치
KR101322325B1 (ko) 고온성미생물을 이용한 동물폐기물의 아미노산 액비제조장치 및 방법
KR101151385B1 (ko) 가축 살균 처리용 특장차
CN202604702U (zh) 无害化资源化干式洁具
KR101754582B1 (ko) 가축 살처분용 저장 탱크
KR101187165B1 (ko) 폐사축 처리기 및 처리방법
KR101728426B1 (ko) 해상계류식 수산생물 폐사체 처리시스템
CN104649725B (zh) 基于动物尸体的无公害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204727789U (zh) 基于动物尸体的无公害处理系统
KR101133925B1 (ko) 공기공급 시스템이 구비된 유기성폐기물 처리장치
KR101938522B1 (ko) 기능성 동물 사체를 비료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214612236U (zh) 一种多功能分体式农牧废弃物无害化处理装置
CN213357280U (zh) 一种畜禽粪便处理装置
JP2000072579A (ja) 畜産動物の排泄物処理装置
KR101252490B1 (ko) 가축 부산물 처리장치
CN202007199U (zh) 降解有机废弃物的设备
KR20190115659A (ko) 탄소발열 이동식 무균 사체처리장치
EP3462846B1 (en) A livestock housing installation
KR102010285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