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455B1 - 동물사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동물사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455B1
KR102627455B1 KR1020230003651A KR20230003651A KR102627455B1 KR 102627455 B1 KR102627455 B1 KR 102627455B1 KR 1020230003651 A KR1020230003651 A KR 1020230003651A KR 20230003651 A KR20230003651 A KR 20230003651A KR 102627455 B1 KR102627455 B1 KR 102627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wall
tank
anim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인자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 하나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하나환경 filed Critical (주) 하나환경
Priority to KR1020230003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60Biochemical treatment, e.g. by using enzy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80Separation, elimination or disposal of harmful substances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사한 어류나 가축 또는 살 처분 대상의 동물 등의 사체를 환경오염 없이 단기간에 분해할 수 있는 동물사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동물사체 처리장치는, 동물의 사체가 투입되어 분해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덮개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밀폐되는 처리탱크; 상기 처리탱크의 하단에, 상기 처리탱크의 외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수평 확장되는 플랜지; 상기 처리탱크의 외벽과 플랜지 상면 사이에, 상기 외벽 둘레를 따라 상기 외벽과 플랜지의 접합부를 사선으로 메워 보강하는 몰딩부; 및 상기 처리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탈취하여 배출하는 환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링수단을 통해 밀폐된 처리탱크 내부의 소멸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사체 처리 종료 시점을 환경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물사체 처리장치{Device for treating organic matters}
본 발명은 동물사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사한 어류나 가축 또는 살 처분 대상의 동물 등의 사체를 환경오염 없이 단기간에 분해할 수 있는 동물사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아프리카 돼지 열병 등과 같은 가축 전염병에 의한 가축 폐사나 녹조나 적조 등에 의한 어류의 폐사가 발생했을 경우나 살 처분을 해야 할 경우 현행법상 사체를 이동해서는 안 되며, 현지에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체를 땅속에 묻어서 매몰하여 처리하고 있다.
종래의 살 처분 방법은 굴착기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땅을 깊게 파내어 웅덩이를 만들고 이 웅덩이에 비닐 등을 깐 다음 그 바닥에 생석회를 깔고 가축을 웅덩이에 채우고 상단에 생석회를 도포하고 흙을 덮는 방식이었다.
이와 같은 매몰처리 방식은 살 처분 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며, 매몰과정에서 2차 질병전파가 발생할 수 있으며, 매몰 후에도 살 처분된 가축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와 침출수로 인해 지하수의 오염과 토양오염 등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3088호, 제10-1461848호 등에서는 동물 사체가 저장되는 탱크를 매몰하여 처리함으로써 가스 및 침출수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매몰 탱크는 설치 부지 바닥이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포장이 되어있을 경우 매몰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매몰 탱크는 횡형의 원통 또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매립 또는 지상 설치 시에 수평 면적에 대한 공간적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탱크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투입구 및 개폐 덮개가 탱크의 상부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이루어져 동물 사체를 투입하거나 처리된 부산물을 배출하는데에 불편함이 있었다.
게다가 탱크 내에서 동물 사체가 소멸처리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없어 동물 사체 처리 기간을 정하는 데에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이는 동물 사체가 다 소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물 사체 처리 종료일까지 불필요한 시간을 더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3088호(2014.06.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1848호(2014.11.1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형의 형태를 가지는 처리탱크를 통해 공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으면서, 하단 플랜지를 통해 더욱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처리탱크의 상단을 완전히 개방한 형태의 개구부를 통해 동물 사체를 투입하거나 처리된 부산물을 배출하기 편리하면서도, 처리탱크의 개구부와 덮개의 접면에 서로 밀착되는 제1 밀폐림과 제2 밀폐림의 요철형 결합을 통해 기밀성을 더욱 향상한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처리탱크 내부 환경을 감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소멸진행상황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모니터링수단을 통해 밀폐된 처리탱크 내부의 소멸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는, 동물의 사체가 투입되어 분해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덮개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밀폐되는 처리탱크; 상기 처리탱크의 하단에, 상기 처리탱크의 외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수평 확장되는 플랜지; 상기 처리탱크의 외벽과 플랜지 상면 사이에, 상기 외벽 둘레를 따라 상기 외벽과 플랜지의 접합부를 사선으로 메워 보강하는 몰딩부; 및 상기 처리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탈취하여 배출하는 환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탱크는, 내벽; 상기 내벽과 이격 된 외벽;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며, 상기 처리탱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층간패널; 및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 상기 층간패널로 구획된 함기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에는, 투입되는 동물 사체들을 감싸는 그물망이 더 구비되며; 상기 그물망은, 상기 처리탱크의 개구부를 따라 둥글게 설치되며 연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 원형을 유지하되 외력에 의해 휨 변형되는 연질프레임부; 상기 연질프레임부를 감싸 걸린 상태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주머니 형태의 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처리탱크의 상방 전체 또는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처리탱크의 벽체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동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밀폐림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는, 하면이 상기 벽체의 상면에 기밀하게 접촉하는 수평형의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에서 하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형태로 가요성을 가지고 상기 제1 밀폐림에 형합하여 기밀을 형성하는 제2 밀폐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덮개와 처리탱크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와 처리탱크가 밀착하도록 서로를 당겨 결합하는 원터치 클램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처리탱크의 상방 전체 또는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처리탱크의 벽체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동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밀폐림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는, 하면이 상기 벽체의 상면에 기밀하게 접촉하는 수평형의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에서 하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형태로 가요성을 가지고 상기 제1 밀폐림에 형합하여 기밀을 형성하는 제2 밀폐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각 제1 밀폐림 사이에는 탄성소재의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덮개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밀폐림이 상기 실링부재에 밀착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 상단에는, 상기 개구부의 내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벽을 지지하는 보강틀과, 상기 보강틀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수평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의 상면을 덮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강 프레임; 및 상기 보강틀과 상기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실링부재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의 자중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기밀을 형성하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탄성소재의 실링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수단은 상기 처리탱크 외부로 연통되는 환기관; 및 상기 처리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환기관의 일단에 결합되는 탈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탈취부재는, 배기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환기관의 일단으로 수용되고 외주가 상기 환기관 내주와 나선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환기관의 일단에 걸림으로써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는 그립부; 상기 결합부의 배기 통로 종단 및 상기 그립부의 배기 통로 종단에 각각 설치되는 다공형의 통기부; 및 상기 통기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악취를 탈취하는 활성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탱크의 재질은 FRP, HDPE, PE, STS, 스틸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탱크 내에 동물 사체와 함께 투입되고, 동물 사체의 상부에 도포되는 미생물 포함 담체로써, 연화왕겨, 톱밥, 미강, 퇴비, 축산분뇨, 깔짚, 볏짚, 토탄, 미생물 영양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베이스제; 유기물 분해제, 악취 정화제, 미생물 증식 촉진제를 포함하는 미생물 활성제; 및 미생물에 유기물을 제공하는 유기물 공급제, 미생물의 활착을 촉진하는 활착 촉진제, 폐기물의 독성을 제거하면서 미생물에 영양을 제공하는 영양제를 포함하는 미생물 영양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담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담체는 사체가 분해되며 발생하는 침출수와 단백질로 인해 상기 미생물이 활성화되며, 상기 미생물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처리탱크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침출수가 기화, 증발하면서 사체의 체적이 감소하고 퇴비화가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동물의 사체가 투입되어 분해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덮개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밀폐되는 처리탱크; 상기 처리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탈취하여 배출하는 환기수단; 및 상기 처리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처리탱크 내부의 환경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소멸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수단은, 상기 덮개로 밀폐된 처리탱크 내부의 온도, 암모니아 농도, 황화수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소멸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인식 가능한 그래픽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값이 주기적으로 메모리부에 저장되게 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멸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또는 문자와 숫자가 조합된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물사체 처리장치에 의하면, 처리탱크가 수직으로 긴 종형의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매몰지 또는 설치 장소의 단위 면적당 설치 개수가 증가되어 공간 효율의 최대화를 이룰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처리탱크의 하단에는 처리 탱크의 외벽보다 반경이 확장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설치면의 기울기나 외부 타격에 의한 처리탱크의 전복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설치 구조를 가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설치 부지 바닥이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포장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지상에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처리탱크는 상부가 완전히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동물 사체를 투입하거나 처리된 부산물을 배출할 때에 걸리는 부분이 없어 투입과 배출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또한, 처리탱크의 개구부 상단에는 보강 프레임이 구비되어 사체 투입시 개구부에 가해질 수 있는 무게 및 타격, 토사 매몰시 가해지는 토압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및 변형이 방지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처리탱크에 추가로 설치되는 그물망에는 사체 처리 후 불필요한 잔재가 남아 배출 작업이 쉬워진다. 이러한 그물망은 연질프레임부가 연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 입구부가 둥글게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동물 사체의 투입에는 장해가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동물사체 처리장치에 의하면 처리탱크의 개구부 형태와 그물망을 통해 동물 사체를 투입하거나 처리된 부산물을 배출할 때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탱크는 내벽 및 외벽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벽 및 외벽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를 보강하는 층간 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내벽 및 외벽 사이에는 층간패널로 구획된 함기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보온 효과의 상승으로 인해 사체의 분해처리 효율이 향상되며, 동절기 담체의 미생물 활동 저하 및 사체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외압 및 내압으로 인한 파손으로부터 이중으로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처리탱크의 개구부와 덮개의 접면에 서로 밀착되는 제1 밀폐림과 제2 밀폐림의 요철형 결합을 통해 기밀성이 향상되고, 악취의 방출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처리탱크 내부 환경을 감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소멸진행상황 정보를 모니터링수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체 처리 종료 시점을 환경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서, 동물 사체 처리작업의 순환 주기를 단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환기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니터링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1)는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아프리카 돼지 열병 등과 같은 가축 전염병, 녹조 또는 적조에 의한 동물의 폐사나 살 처분이 요구될 경우 동물 사체가 친환경적으로 안전하게 분해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동물사체 처리장치(1)는, 덮개(120)로 밀폐되는 처리탱크(100), 처리탱크(100)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환기수단(300), 처리탱크(100) 일측에 구비되는 모니터링수단(220)을 포함한다.
처리탱크(100)는 동물 사체가 분해되면서 퇴비화될 수 있도록 퇴비화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처리탱크(100)는 설정된 부피의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형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중에 매립되거나 지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처리탱크(100)는 원 또는 다각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제시한다. 또한, 상기 처리탱크(100)는 내구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탱크(100)는 바닥(101)과 벽체(102)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벽체(102)는 상기 바닥(101)의 형태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처리탱크(100)의 상방 전체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102)는 내벽(102a), 및 상기 내벽(102a)과 이격 된 외벽(102b)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102)의 보강을 위해, 상기 내벽(102a)과 외벽(102b) 사이의 공간에는 층간패널(10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층간패널(103)은 상기 내벽(102a)과 외벽(102b)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며, 상기 처리탱크(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내벽(102a)과 외벽(102b) 사이에는 상기 층간패널(103)로 구획된 함기공간(104)이 구비된다. 상기 함기공간(104)으로 인해 상기 처리탱크(100)의 보온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처리탱크(100)는 너비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종형(縱形)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처리탱크(100)는 수직으로 다소 길쭉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처리탱크(100)의 하단에는 상기 처리탱크(100)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1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110)는 상기 처리탱크(100)의 외벽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플랜지(110)가 상기 처리탱크(100)의 하단 접지 면적을 넓혀줌으로써 상기 처리탱크(100)가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처리탱크(110)의 외벽과 플랜지(110) 상면 사이에, 상기 외벽 둘레를 따라 상기 외벽과 플랜지(110)의 접합부를 사선으로 메워 보강하는 몰딩부(112)가 구비된다.
다음, 상기 처리탱크(100)의 개구부는 덮개(120)를 통해 개폐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덮개(120)는 상기 개구부 전역을 덮는 차폐부(121)와, 상기 차폐부(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벽체(102)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밀폐부(122)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밀폐부(122)는 상기 차폐부(121)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밀폐단(122a)과, 상기 벽체(102)의 상단 외부면을 감싸도록 상기 밀폐단(122a)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둘레단(122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단(122a)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밀폐림(124)이 구비된다. 다시말해, 상기 제2 밀폐림(124)은 상기 밀폐단(122a)에 주름이 접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처리탱크(100)의 벽체(102)에는 상기 덮개(120)와의 기밀을 접촉을 위한 제1 밀폐림(106)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밀폐림(106)은 상기 처리탱크(100)의 벽체(102)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며, 동심의 이중 선형 또는 다중 선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밀폐림(106)은 상기 원통형 벽체(102)의 상면 형태를 따라 둥근 림(Rim)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2개의 림이 동심원으로 배치된다.
상기한 형태의 다중 제1 밀폐림(106) 사이의 공간에 상기 덮개(120)의 밀폐부(122)가 형합하여 수용됨으로써 상기 처리탱크(100)와 덮개(120) 사이에 기밀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120)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STS(steel type stainless), 스틸(steel) 또는 플라스틱(plasti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120)는 두께가 1~50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120)는 재료의 연성과 더불어 두께, 상기 제2 밀폐림(124)의 절곡 형상에 의해 가요성을 가진다. 이에, 상기 제2 밀폐림(124)이 상기 이 중 제1 밀폐림(106) 사이의 공간에 가변적으로 형합됨으로써 상기 처리탱크(100)와 덮개(120) 사이에 기밀이 더욱 잘 이루어진다.
이러한 덮개(120)는 상기 처리탱크(100)와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원터치 클램프(130)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원터치 클램프(130)는 상기 덮개(120)를 밀착하는 힘이 균형있게 전달되게 하기 위해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다중의 제1 밀폐림(106) 사이에는 고무제 또는 실리콘제 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실링부재(108)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1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밀폐림(106)이 상기 실링부재(108)에 밀착됨으로써 기밀이 더욱 향상된다. 이에, 상기 클램프(130)가 없이도 상기 덮개(120)의 자중으로써 기밀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탱크(100)의 상단에는 상기 처리탱크(100) 상단 형상을 유지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프레임(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보강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는 도 4의 B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150)은 상기 처리탱크(100)의 개구부를 보강하여 동물 사체 투입시 가해지는 무게와 토압 및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및 형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보강 프레임(150)은 상기 처리탱크(100)의 상단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측에 끼워맞춤 되거나 접착, 볼트 체결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프레임(150)은 보강틀(152)과 보강 플레이트(154)를 포함한다.
보강틀(152)은 상기 개구부의 내벽(102a)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개구부의 내형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내벽(102a)에 끼워맞춤됨으로써 상기 내벽을 지지한다.
상기 보강틀(152)은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처리탱크(100)의 재질보다 더 강성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보강 플레이트(154)는 상기 보강틀(152)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수평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의 상면, 즉 상기 처리탱크(100)의 벽체(102) 상면을 덮는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154) 역시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강틀(152)과 동일 재료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 프레임(150)의 일측에는 실링부재(108)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108)는 상기 보강틀(152)과 상기 내벽(102a)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실링부재(108a)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154)의 상면에 구비되며 덮개(120)에 상대적으로 밀착되는 제2 실링부재(108b)를 포함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덮개(120)는 상기 개구부 전역을 덮는 차폐부(121)와, 상기 차폐부(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벽체(102)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밀폐부(122)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밀폐부(122)는 상기 차폐부(121)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밀폐단(122a)과, 상기 벽체(102)의 상단 외부면을 감싸도록 상기 밀폐단(122a)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둘레단(122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실링부재(108b)에는 상기 밀폐단(122a)이 접촉한다.
상기 처리탱크(100)의 상단 개구부를 덮개(120)로 덮으면, 상기 제2 실링부재(108b)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154)와 상기 밀폐단(122a)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상기 덮개(1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실링부재(108b)가 압착됨으로써 기밀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처리탱크(100)에는 상기 처리탱크(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환기수단(300)이 구비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성하는 환기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환기수단(300)은 상기 처리탱크(100) 외부로 연통되는 환기관(310), 및 환기관(310) 일단에 결합되는 탈취부재(320)를 포함한다.
환기관(310)은 상기 덮개(12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120)를 관통하여 하단은 상기 처리탱크(100)의 공간에 수용되고 상단은 상기 덮개(120)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상기 환기관(310)은 상기 처리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환기관(310)은 외부의 빗물, 먼지 등이 상기 환기관(310)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가 하향하도록 절곡 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탱크(100)가 밀폐된 상태에서 동물의 사체가 분해되면서 가스 및 습기가 발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스 및 습기가 상기 처리탱크(100) 외부와의 농도 차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환기관(31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탈취부재(320)는 상기 환기관(31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환기관(310)의 일단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취부재(320)는 상기 처리탱크(100)의 외부에서, 상기 환기관(310)의 종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탈취부재(320)는 상기 환기관(310)과 연통하여 가스를 안내하기 위한 내부 통로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탈취부재(320)는 상기 환기관(310) 일단에 수용되는 결합부(322), 상기 결합부의 일단으로 연장되는 그립부(324)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22)는 상기 환기관(310)의 일단 내부로 수용되는 부분으로, 외주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기관(310) 내주의 나선과 결합된다.
상기 그립부(324)는 상기 결합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환기관의 일단에 걸림으로써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그립부(324)는 작업자가 상기 탈취부재(320)를 쉽게 탈착할 수 있게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322)의 내부 공간 종단 및 상기 그립부(324)의 내부공간 종단에는 각각 다공형의 통기부(326a, 326b)가 설치된다. 상기 통기부(326a, 326b)에는 통기를 위한 복수의 홀 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부(326a, 326b) 사이의 공간에는 악취를 흡수하여 제거하는 활성탄이 내장된다. 이에 상기 환기수단(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악취나 습기를 탈취수단(300)에서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처리탱크(100)에는 내부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점검구(210)는 관리자에 의한 육안 점검이 가능하도록 투광창을 포함하는 고정형 점검구 또는 개폐 가능한 나선 결합형의 점검구 덮개를 포함하며, 미도시된 조명등이 구비되어 내부의 점검시 관리자에 의해 제어되면서 처리탱크(100) 내부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점검구(210)가 있더라도 처리탱크(100)의 내부 공간이 깊고, 상기 투광창에 맺히는 습기 등으로 인해 육안 점검이 쉽지 않으며 처리탱크(100) 내부의 동물 사체의 소멸진행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상기 처리탱크(100)에는 소멸진행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수단(22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모니터링수단(220)은 상기 처리탱크(100) 내부의 환경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소멸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니터링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수단(220)은 상기 처리탱크(100) 또는 덮개(120)의 외부에 부착 설치되며 내부에 모니터링을 위한 부품들이 탑재되는 케이스(222), 상기 케이스(222)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24)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케이스(222)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4)의 화면 전환이나 상기 모니터링수단(220)의 기능 조작 등을 위한 버튼(226)과, 소멸진행상황을 점등하여 나타내는 LED램프(228)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모니터링수단(220)은 센서모듈, 메모리부,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센서모듈은 상기 처리탱크(100) 내부의 환경을 감지하는 것으로, 예컨데 상기 덮개로 밀폐된 처리탱크 내부의 온도, 암모니아 농도, 황화수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는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값을 저장한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케이스(222)의 커버(229) 내부의 슬롯에 착탈 가능한 SD카드, USB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값이 주기적으로 메모리부에 저장되게 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멸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또는 문자와 숫자가 조합된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온도, 암모니아 농도, 황화수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등을 주기적으로 수집한 데이터의 가장 최근 수치를 문자나 숫자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수집한 데이터의 변화 양상을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메모리부에는 미리 수집된 데이터 변화 양상이 기준 데이터로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의 변화 양상과 상기 처리탱크(100)에서 주기적으로 수집된 데이터의 변화 양상의 비교를 통해 소멸진행상황을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소멸진행상황에 따라, 상기 LED램프(228)를 점등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처리탱크(100) 내부에는 투입되는 동물 사체들을 감싸는 그물망(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400)은 입구부가 상기 처리탱크(100)의 개구부 측에 개방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에 상기 처리탱크(100)에 동물 사체를 투입하면 상기 그물망(400) 내에 투입이 된다.
상기 그물망(400)은 사체가 소멸한 후 남게 되는 뼈와 같은 잔여물을 걸러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도 2를참고하면, 상기 그물망(400)은 상기 처리탱크(100)의 개구부를 따라 둥글게 설치되는 연질프레임부(420)와, 상기 연질프레임부(420)에 걸린 상태로 하부의 네트부(410)를 연결하는 고리부(4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질프레임부(420)는 연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 그물망(400)의 입구부가 둥글게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외력이 가해지면 휘어져 변형된다.
이러한 상기 연질프레임부(420)는 상기 처리탱크(100) 내부 상단에 동일 높이 상에 복수로 이격 설치되는 걸이수단(140)에 걸려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412)는 상기 연질프레임부(420)를 따라 미끄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질프레임부(420) 일측을 잡아 올려 상기 연질프레임부(420)가 휘면, 상기 네트부(410)의 하중에 의해 고리부(412)가 한쪽으로 쏠려 이동되어 모이면서 상기 그물망(400)의 입구부가 좁혀진다.
이렇게 상기 그물망(400)의 입구가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그물망(400)을 처리탱크(100)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잔여물의 처리가 간편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동물사체 처리장치(1)에서는 다음과 같이 동물 사체 처리가 이루어진다.
먼저, 처리탱크(100)는 설정된 부피의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형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중에 매립되거나 지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덮개(12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차폐됨으로써 동물 사체가 담체와 함께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탱크(100)에 투입되는 담체는 유기성 폐기물 분해 전용 미생물을 활착시키거나 토탄(이탄)과 함께 활착시켜 동물 사체를 분해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담체는 예컨대 연화왕겨, 톱밥, 미강, 퇴비, 축산분뇨, 깔짚, 볏집, 토탄 등의 베이스제 및 미생물활성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연화왕겨, 톱밥, 미강, 퇴비, 축산분뇨, 깔짚, 볏집, 토탄, 미생물 영양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제를 형성하는 단계와, 유기물 분해제, 악취 정화제, 미생물 증식 촉진제를 포함하는 미생물 활성제를 상기 베이스제에 혼합하는 단계, 그리고 미생물에 유기물을 제공하는 유기물 공급제, 미생물의 활착을 촉진하는 활착 촉진제, 폐기물의 독성을 제거하면서 미생물에 영양을 제공하는 영양제를 포함하는 미생물 영양제를 상기 베이스제와 미생물 활성제의 혼합물에 혼합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처리탱크(100)에 투입된 동물 사체는 상기 담체의 작용으로 분해 및 소멸이 이루어진다.
사체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습기는 환기수단(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담체에 의해 악취 발생이 거의 없이 사체가 처리되지만, 발생 가스의 약한 악취도 탈취부재(320)를 거쳐 한번더 탈취된 후 상기 환기관(310)을 통해 배출된다.
계속해서 이어지는 사체 처리 진행시간 동안 처리탱크(100) 내부 상황은 모니터링수단(220)을 통해 확인된다.
모니터링수단(220)을 통해서는 소멸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체 소멸이 완료되었음을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체 소멸 완료가 확인되면 덮개(120)를 열어 그물망(400)을 배출함으로써 뼈와 같은 불필요한 잔여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탱크(100) 내에 남은 소멸 결과물은 별도로 배출하여 퇴비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물사체 처리장치에 의하면, 처리탱크(100)가 수직으로 긴 종형의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매몰지 또는 설치 장소의 단위 면적당 설치 개수가 증가되어 공간 효율의 최대화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처리탱크(100)는 상부가 완전히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동물 사체를 투입하거나 처리된 부산물을 배출할 때에 걸리는 부분이 없어 투입과 배출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이렇게 처리탱크(100)의 개구부가 넓음에도, 처리탱크(100) 개구부와 덮개(120)의 접면에 서로 밀착되는 제1 밀폐림(106)과 제2 밀폐림(124)의 요철형 결합을 통해 기밀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덮개(120)의 제2 밀폐림(124)은 재질과 형상에 의해 가요성을 가져 제1 밀폐림(106)에 탄력있게 밀착됨으로써 기밀이 더욱 향상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처리탱크(100) 내부 환경을 감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소멸진행상황 정보를 모니터링수단(22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동물 사체 처리 종료 시점을 환경 조건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종래에 통상 3년으로 정해졌던 종료 시점을, 실제 분해 처리 속도에 맞추어 결정될 수 있게 함으로써 동물 사체 처리작업의 순환 주기를 단축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동물사체 처리장치 100 : 처리탱크
101 : 바닥 102 : 벽체
102a : 내벽 102b: 외벽
103 : 층간패널 104 : 함기공간
106 : 제1 밀폐림 108 : 실링부재
110 : 플랜지 112 : 몰딩부
120 : 덮개 121 : 차폐부
122 : 밀폐부 122a: 밀폐단
122b : 둘레단 124 : 제2 밀폐림
130 : 원터치 클램프 140 : 걸이수단
150 : 보강 프레임 152 : 보강틀
154 : 보강 플레이트 210 : 점검구
220 : 모니터링수단 222 : 케이스
224 : 디스플레이부 226 : 버튼
228 : LED램 229 : 커버
300 : 환기수단 310 : 환기관
320 : 탈취부재 322 : 결합부
324 : 그립부 326a, 326b : 통기부
400 : 그물망 410 : 네트부
412 : 고리 420 : 연질프레임부

Claims (12)

  1. 동물의 사체가 투입되어 분해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덮개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밀폐되는 처리탱크; 상기 처리탱크의 하단에, 상기 처리탱크의 외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수평 확장되는 플랜지; 상기 처리탱크의 외벽과 플랜지 상면 사이에, 상기 외벽 둘레를 따라 상기 외벽과 플랜지의 접합부를 사선으로 메워 보강하는 몰딩부; 상기 처리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탈취하여 배출하는 환기수단; 상기 개구부 상단에, 상기 개구부의 내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끼워맞춤 되어 상기 내벽을 지지하는 보강틀과, 상기 보강틀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수평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탱크의 벽체 상면을 덮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강 프레임; 상기 보강틀과 상기 처리탱크의 벽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실링부재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의 자중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기밀을 형성하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탄성소재의 실링부재; 및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투입되는 동물 사체들을 감싸는 그물망;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탱크는:
    내벽; 상기 내벽과 이격 된 외벽;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며, 상기 처리탱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층간패널; 및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 상기 층간패널로 구획된 함기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은:
    상기 처리탱크의 개구부를 따라 둥글게 설치되며 연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 원형을 유지하되 외력에 의해 휨 변형되는 연질프레임부; 상기 연질프레임부를 감싸 걸린 상태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주머니 형태의 네트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환기수단은:
    상기 처리탱크 외부로 연통되는 환기관; 및 상기 처리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환기관의 일단에 결합되는 탈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부재는:
    배기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환기관의 일단으로 수용되고 외주가 상기 환기관 내주와 나선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환기관의 일단에 걸림으로써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는 그립부; 상기 결합부의 배기 통로 종단 및 상기 그립부의 배기 통로 종단에 각각 설치되는 다공형의 통기부; 및 상기 통기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악취를 탈취하는 활성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탱크의 재질은 FRP, HDPE, PE, STS, 스틸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탱크 내에 동물 사체와 함께 투입되고, 동물 사체의 상부에 도포되는 미생물 포함 담체로써,
    연화왕겨, 톱밥, 미강, 퇴비, 축산분뇨, 깔짚, 볏짚, 토탄, 미생물 영양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베이스제; 유기물 분해제, 악취 정화제, 미생물 증식 촉진제를 포함하는 미생물 활성제; 및 미생물에 유기물을 제공하는 유기물 공급제, 미생물의 활착을 촉진하는 활착 촉진제, 폐기물의 독성을 제거하면서 미생물에 영양을 제공하는 영양제를 포함하는 미생물 영양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담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사체가 분해되며 발생하는 침출수와 단백질로 인해 상기 미생물이 활성화되며,
    상기 미생물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처리탱크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침출수가 기화, 증발하면서 사체의 체적이 감소하고 퇴비화가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처리탱크 내부의 환경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소멸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모니터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수단은,
    상기 덮개로 밀폐된 처리탱크 내부의 온도, 암모니아 농도, 황화수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소멸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인식 가능한 그래픽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값이 주기적으로 메모리부에 저장되게 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멸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그래프, 이미지 또는 문자와 숫자가 조합된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20230003651A 2023-01-10 2023-01-10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2627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651A KR102627455B1 (ko) 2023-01-10 2023-01-10 동물사체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651A KR102627455B1 (ko) 2023-01-10 2023-01-10 동물사체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455B1 true KR102627455B1 (ko) 2024-01-23

Family

ID=8971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651A KR102627455B1 (ko) 2023-01-10 2023-01-10 동물사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45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4243A (ja) * 2003-11-11 2005-06-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有機系廃棄物処理装置
KR100690036B1 (ko) * 2005-04-29 2007-03-08 구기홍 의료용 감염성 폐기물 수거용기
KR200457078Y1 (ko) * 2011-04-15 2011-12-05 백선희 살처분 매립 처리 장치
KR20120103902A (ko) * 2011-03-11 2012-09-20 김형태 에어탱크를 이용한 가축사체 처리조
KR20130023952A (ko) * 2011-08-30 2013-03-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사축 처리장치
KR101413088B1 (ko) 2014-03-31 2014-07-01 김성 지하에 매설되는 이중벽 구조의 폐사축 처리 탱크
KR101461848B1 (ko) 2014-04-02 2014-11-14 김현중 살처분 가축의 매몰 처리장치
KR101555925B1 (ko) * 2014-06-02 2015-09-25 이선영 가축사체 처리장치
KR101881763B1 (ko) * 2018-02-07 2018-07-25 오태길 폐사가축 처리를 위한 매몰통
KR102483409B1 (ko) * 2022-06-13 2022-12-30 한국스마트환경 주식회사 바이오촉매를 이용한 고함수유기성폐기물 스마트분해소멸감량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4243A (ja) * 2003-11-11 2005-06-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有機系廃棄物処理装置
KR100690036B1 (ko) * 2005-04-29 2007-03-08 구기홍 의료용 감염성 폐기물 수거용기
KR20120103902A (ko) * 2011-03-11 2012-09-20 김형태 에어탱크를 이용한 가축사체 처리조
KR200457078Y1 (ko) * 2011-04-15 2011-12-05 백선희 살처분 매립 처리 장치
KR20130023952A (ko) * 2011-08-30 2013-03-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사축 처리장치
KR101413088B1 (ko) 2014-03-31 2014-07-01 김성 지하에 매설되는 이중벽 구조의 폐사축 처리 탱크
KR101461848B1 (ko) 2014-04-02 2014-11-14 김현중 살처분 가축의 매몰 처리장치
KR101555925B1 (ko) * 2014-06-02 2015-09-25 이선영 가축사체 처리장치
KR101881763B1 (ko) * 2018-02-07 2018-07-25 오태길 폐사가축 처리를 위한 매몰통
KR102483409B1 (ko) * 2022-06-13 2022-12-30 한국스마트환경 주식회사 바이오촉매를 이용한 고함수유기성폐기물 스마트분해소멸감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3632C (en) Container for disposing waste
KR200457078Y1 (ko) 살처분 매립 처리 장치
KR101097919B1 (ko) 살처분 가축의 매몰방법
KR101196346B1 (ko) 가축 사체 저장 탱크
KR101766277B1 (ko) 살처분 매몰지의 환원 방법, 이를 이용한 유기 비료 제조방법
KR101739725B1 (ko) 친환경 가축사체 처리시설 및 매몰처리방법
KR20110015039A (ko) 가축 살처분 매립방법
CA2328680C (en) Composting device
KR102627455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US7491265B1 (en) Cover for animal waste collection area
CN2707021Y (zh) 大动物生物安全隔离器
KR102178012B1 (ko) 가축 사체 처리장치
KR101040211B1 (ko) 가축 전염병 발생시 살처분을 위한 처리조 시설 및 그것을 사용한 살처분 방법
AU7725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ting
KR20210116397A (ko) 차수매트를 이용한 가축 매립방법
KR20220040070A (ko) 가축살처분 및 폐사축 저장 발효용 특수 컨테이너 저장조
JP2000290091A (ja) 有機物類の堆肥化装置
KR101290064B1 (ko) 가축방역용 처리장치
CN210311707U (zh) 一种土壤保护用土样运输箱
KR20130023952A (ko) 사축 처리장치
KR20060091924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및 방법
KR101945266B1 (ko) 살처분 가축 사체처리장치
KR102010285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KR10251428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가축사체 저장탱크
CN215939304U (zh) 一种用于动物尸体生物降解产生的污染气体的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