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116B1 -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116B1
KR101554116B1 KR1020150031520A KR20150031520A KR101554116B1 KR 101554116 B1 KR101554116 B1 KR 101554116B1 KR 1020150031520 A KR1020150031520 A KR 1020150031520A KR 20150031520 A KR20150031520 A KR 20150031520A KR 101554116 B1 KR101554116 B1 KR 101554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
pathology
biopsy
pathology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정
Original Assignee
이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정 filed Critical 이윤정
Priority to KR102015003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2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6Q50/2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세트블록의 블록병리번호를 검출하는 블록검출수단 및 상기 블록검출수단에서 검출된 블록병리번호를 전송하는 블록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부; 생검슬라이드의 슬라이드병리번호를 검출하는 슬라이드검출수단, 상기 슬라이드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슬라이드병리번호를 전송하는 슬라이드통신수단 및 상기 생검슬라이드의 세포조직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블록부에서 전송된 블록병리번호와 슬라이드부에서 전송된 슬라이드병리번호를 수신하는 중앙통신수단, 상기 중앙통신수단을 통해 수신한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를 매칭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수단 및 상기 분석수단에서 판단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부의 카세트블록 병리번호와 생검슬라이드부의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를 매칭하여 병리번호의 동일성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동일한 병리번호로 카세트블록과 생검슬라이드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CASSETTE BLOCK AND BIOPSY SLIDE PATHOLOGY NUMBER MATCHING SYSTEM}
본 발명은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부의 카세트블록 병리번호와 생검슬라이드부의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를 매칭하여, 병리번호의 동일성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구기관 또는 의료기관에서는 환자로부터 절취한 세포조직을 판독함으로써, 수술 진행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하거나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환자로부터 절취한 세포조직은 카세트 블록에 보관되게 된다. 카세트 블록에 보관된 세포조직은 판독을 위해 박절기로 미세하게 절편되어 생검 슬라이드에 얹혀져 현미경 등으로 관찰되게 된다. 이때 카세트 블록 및 생검슬라이드에는 환자 고유의 병리번호가 부여되고, 부여된 병리번호는 판독 과정 전반에 걸쳐 동일 번호로 관리되어야 한다.
카세트 블록 및 생검 슬라이드에 부여된 병리번호는 병리사 또는 연구원이 직접 육안으로 병리번호를 확인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육안에 의한 병리번호의 확인은 개인능력과 경험에 따라 작업능률에서 편차가 발생된다. 또한, 육안에 의한 병리번호의 확인은 실수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실수에 의해 병리번호가 바뀌는 경우, 중대한 의료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1059462호(등록일자: 2011.08.19)에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지능형 병리조직 포매용 카세트 인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바코드 및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병리번호의 일치 여부가 확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수많은 카세트 블록 및 생검슬라이드에 고유의 전자태그가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운영에 필요한 비용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 0001) KR 10-1059462 B1 (2011. 08. 19)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록부의 카세트블록 병리번호와 슬라이드부의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를 매칭하여 동일성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카세트블록과 매칭되는 생검슬라이드가 동일한 병리번호로 관리될 수 있는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형태는 유지한 채로, 각각의 병리번호를 매칭하여 동일성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은, 카세트블록의 블록병리번호를 검출하는 블록검출수단 및 상기 블록검출수단에서 검출된 블록병리번호를 전송하는 블록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부; 생검슬라이드의 슬라이드병리번호를 검출하는 슬라이드검출수단, 상기 슬라이드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슬라이드병리번호를 전송하는 슬라이드통신수단 및 상기 생검슬라이드의 세포조직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블록부에서 전송된 블록병리번호와 슬라이드부에서 전송된 슬라이드병리번호를 수신하는 중앙통신수단, 상기 중앙통신수단을 통해 수신한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를 매칭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수단 및 상기 분석수단에서 판단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생검슬라이드가 사선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슬라이드적재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적재수단으로 생검슬라이드가 적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리서버부에는 상기 중앙통신수단, 분석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중앙제어수단은 상기 분석수단에서 판단된 블록병리변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의 동일성 여부가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부의 카세트블록 병리번호와 생검슬라이드부의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를 매칭하여 병리번호의 동일성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동일한 병리번호로 카세트블록과 생검슬라이드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형태는 유지한 채로, 병리번호를 매칭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용이하며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부에 적재되는 생검슬라이드가 사선으로 적재되도록 하여 건조수단에 의한 건조시에 수분이 효율적으로 배수될 수 있으므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부에서 작업자정보를 센싱하게 되고, 센싱된 작업자정보가 슬라이드병리번호와 함께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중앙관리서버부의 저장수단에 작업자별 작업시간, 작업양 및 작업유형 등이 포함되는 작업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 적용된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 적용된 슬라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 적용된 슬라이드부의 측 단면도.
도 5는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서 출력수단에 표시되는 일실시 예에 따른 출력화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은 크게, 블록부(10), 슬라이드부(20) 및 중앙관리서버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은, 블록부(10)에서 검출된 카세트블록(100)의 블록병리번호와 슬라이드부(20)에서 검출된 생검슬라이드(200)의 슬라이드병리번호를 중앙관리서버부(30)에서 수신하여 매칭하고, 매칭된 결과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관리서버부(30)는 블록부(10) 및 슬라이드부(20)로부터 전송된 카세트블록(100)의 블록병리번호와 생검슬라이드(200)의 슬라이드병리번호를 수신하여 매칭함으로써, 동일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 적용된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부(10)는 블록통신수단(11), 블록검출수단(12), 이송레일(13) 및 블로제어수단(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블록부(10)의 이송레일(13)에 안착된 카세트블록(100)은 이송레일(13)에 의해 이송되어 블록적재수단(15)에 적재된다. 또한, 상기 이송레일(13)의 상부측에는 블록검출수단(12)이 설치된다.
상기 블록검출수단(12)은 이송레일(13)에 의해 이송되는 카세트블록(100)의 블록병리번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블록병리번호는 블록통신수단(11)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블록통신수단(11)에서 출력된 블록병리번호는 중앙관리서버부(30)로 전송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블록부(10)의 블록통신수단(11), 블록검출수단(12) 및 이송레일(13)은 블록제어수단(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카세트블록(100)은 이송레일(13)에 안착되어 이송레일(13)에 의해 이송되며, 이송 과정에서 상기 카세트블록(100)의 병리번호가 블록검출수단(12)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블록병리번호는 블록통신수단(11)을 통해 중앙관리서버부(30)로 전송되고, 이후 카세트블록(100)은 이송레일(13)에 의해 이송되어 블록적재수단(15)에 적재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블록(100)의 블록병리번호는 바코드로 구성되는 라벨 또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라벨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병리번호가 바코드로 구성된 라벨로 부착된 경우, 상기 블록검출수단(12)은 바코드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카세트블록(100)의 블록병리번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록병리번호가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블록검출수단(12)은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하는 문자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 OCR) 또는 차량의 번호판을 검출하는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등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카세트블록(100)의 블록병리번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카세트블록(100)에 바코드 또는 문자/숫자 조합의 라벨을 부착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비접촉에 의한 병리번호의 검출이 어려운 경우, 상기 블록병리번호의 형식을 변경하거나 검출수단을 변경하여 블록병리번호를 검출할 수 있는 다른 수단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병리번호는 RFID 태그로 구성되고 상기 블록검출수단(12)은 RFID 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블록병리번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 적용된 슬라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 적용된 슬라이드부의 측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부(20)는, 생검슬라이드(200)의 슬라이드병리번호가 검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검출수단(22), 상기 슬라이드검출수단(22)에서 검출된 슬라이드병리번호를 전송하는 슬라이드통신수단(21) 및 상기 생검슬라이드(200)의 세포조직이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수단(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부(20)의 슬라이드적재수단(25)에 생검슬라이드(200)가 적재되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부(20)의 슬라이드검출수단(22)이 생검슬라이드(200)의 슬라이드병리번호를 검출하게 된다. 검출된 슬라이드병리번호는 슬라이드통신수단(21)을 통해 중앙관리서버부(30)로 전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20)의 슬라이드적재수단(25)에 적재된 생검슬라이드(200)는 건조수단(23)에 의해 세포조직이 35 ~ 50℃의 온도로 조절되어 건조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부(20)에는 건조타이머(27)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건조타이머(27)의 조작을 통해 생검슬라이드(200)의 세포조직이 상기 건조수단(23)에 의해 과하게 건조되어 세포조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건조타이머(27)는 상기 건조수단(23)의 건조 온도에 따라 1 ~ 30분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0)에는 상기 슬라이드적재수단(25)으로 생검슬라이드(200)가 적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생검슬라이드(200)의 적재가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수단은 중량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중앙관리서버부(30)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부(20)에 생검슬라이드(200)가 적재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20)에는 비접촉 통신을 통해 작업자의 신원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비접촉통신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접촉통신수단을 통해 획득된 작업자 신원정보는 슬라이드통신수단(21)을 통해 중앙관리서버부(30)로 전송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20)의 슬라이드통신수단(21), 슬라이드검출수단(22) 및 건조수단(23)은 슬라이드제어수단(2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부(20)의 슬라이드적재수단(25)은 생검슬라이드(200)가 사선으로 적재되도록 사선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로 구비되고, 슬라이드검출수단(22)은 생검슬라이드(200)의 슬라이드병리번호가 용이하게 검출되도록 각각의 슬라이드적재수단(25)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생검슬라이드가 급수부(25℃) 및 온수부(40 ~ 50℃)에 차례로 담겨져 세포조직의 주름이 펴진 상태에서 평면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적재수단에 안착되어 건조되었기 때문에, 건조되는 동안 생검슬라이드의 세포조직이 높은 온도에 노출되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생검슬라이드(200)가 상온(25℃)의 물이 적재된 급수부(미도시) 및 비교적 고온(40 ~ 50℃)의 물이 적재된 온수부(미도시)에 차례로 담겨져 세포조직의 주름이 펴진 상태에서, 상기 생검슬라이드(200)가 사선형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적재수단(25)에 적재되어 상기 슬라이드부(20)의 수분이 상기 슬라이드부(2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출카트리지(26)로 배수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생검슬라이드(200)의 세포조직이 수분에 의해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수단(23)은 상기 생검슬라이드(200)를 건조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생검슬라이드(200)는 세포조직의 주름을 펴기 위해 상기 급수부 및 온수부에 담궈지기 때문에 물에 젖은 상태가 되어 슬라이드적재수단(25)에 적재되게 되고, 상기 검조수단은 이러한 생검슬라이드(200)를 건조하게 된다. 상기 건조수단(23)은 35 ~ 50℃의 온도로 구동되어 상기 생검슬라이드(200)가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 생검슬라이드(200)의 세포조직이 위치되는 부분(A)에만 열이 가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수단(23)은 상기 생검슬라이드(200)의 세포조직이 과하게 건조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조타이머(27)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건조타이머(27)는 상기 건조수단(23)의 건조 온도에 따라 1 ~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검슬라이드(200)에는 슬라이드병리번호는 코드로 구성되는 라벨 또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라벨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병리번호가 바코드로 구성된 라벨로 부착된 경우, 상기 슬라이드검출수단(22)은 바코드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생검슬라이드(200)의 슬라이드병리번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병리번호가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검출수단(22)은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하는 문자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 OCR) 또는 차량의 번호판을 검출하는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등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생검슬라이드(200)의 슬라이드병리번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생검슬라이드(200)에 바코드 또는 문자/숫자 조합의 라벨을 부착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비접촉에 의한 병리번호의 검출이 어려운 경우, 상기 슬라이드병리번호의 형식을 변경하거나 검출수단을 변경하여 슬라이드병리번호를 검출할 수 있는 다른 수단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병리번호는 RFID 태그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검출수단(22)은 RFID 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슬라이드병리번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리서버부(30, 도 1 참조)는 상기 블록부(10)에서 전송되어 온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부(20)에서 전송되어 온 슬라이드병리번호를 수신하는 중앙통신수단(31), 상기 중앙통신수단(31)을 통해 수신한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수단(32) 및 상기 분석수단(32)에서 판단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수단(33)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부(30)는 상기 블록부(10)에서 전송되어 온 카세트블록(100)의 블록병리번호와 상기 슬라이드부(20)에서 전송되어 온 생검슬라이드(200)의 슬라이드병리번호가 중앙통신수단(31)을 통해 수신되도록 한다.수신된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는 상기 분석수단(32)에 의해 매칭되어 동일성 여부가 판단되며, 중앙제어수단(34)은 판단된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가 출력되도록 출력수단(33)을 제어함으로써, 작업자가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의 동일성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부(30)는 상기 분석수단(32)의 동일성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카세트블록(100) 및 생검슬라이드(200)의 병리번호가 일치되는 경우에는 알람이 울리지 않도록 하고, 카세트블록(100) 및 생검슬라이드(200)의 병리번호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알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의 매칭에 따른 동일성 여부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으며, 카세트블록(100)과 생검슬라이드(200)를 동일한 병리번호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부(30)는 중앙통신수단(31)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부(20)에서 전송되어 온 작업자 신원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 신원정보를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와 함께 저장수단(35)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의 신원정보,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가 상기 저장수단(35)에 저장됨에 따라 복수의 작업자 중 각각의 작업자별 신원에 따라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출력수단(33)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부(30)의 중앙통신수단(31), 분석수단(32) 및 출력수단(33)은 중앙제어수단(3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에서 출력수단에 표시되는 일실시 예에 따른 출력화면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중앙관리서버부(30)는 중앙통신수단(31)을 통해 상기 블록부(10) 및 슬라이드부(20)로부터 전송된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를 수신하여 출력수단(33)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력수단(33)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에는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뿐만 아니라, 상기 슬라이드부(20)의 비접촉통신수단을 통해 획득된 작업자의 신원정보가 같이 출력되도록 하여 복수의 작업자가 작업을 하여도 각각의 작업자별로 관리 병리번호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에서는 작업자의 기본적인 신원정보와 날짜에 따른 환자의 블록병리번호, 슬라이드병리번호 및, 상기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의 동일성 여부만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검진기록 또는 세포조직을 통한 연구 결과 등도 함께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부에 적재된 카세트블록의 블록병리번호와 슬라이드부에 적재된 생검슬라이드의 생검슬라이드병리번호를 매칭하여 동일성 여부가 검출되고, 검출된 동일성 여부는 출력 수단을 통해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의 동일성 여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병리번호로 카세트블록과 생검슬라이드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 블록부 11 : 블록통신수단
12 : 블록검출수단 13 : 이송레일
14 : 블록제어수단 15 : 블록적재수단
20 : 슬라이드부 21 : 슬라이드통신수단
22 : 슬라이드검출수단 23 : 건조수단
24 : 슬라이드제어수단 25 : 슬라이드적재수단
26 : 배출카트리지 27 : 건조타이머
30 : 중앙관리서버부 31 : 중앙통신수단
32 : 분석수단 33 : 출력수단
34 : 중앙제어수단 35 : 저장수단
100 : 카세트블록 200 : 생검슬라이드

Claims (3)

  1. 카세트블록(100)의 블록병리번호를 검출하는 블록검출수단(12) 및 상기 블록검출수단(12)에서 검출된 블록병리번호를 전송하는 블록통신수단(11)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부(10);
    생검슬라이드(200)의 슬라이드병리번호를 검출하는 슬라이드검출수단(22), 상기 슬라이드검출수단(22)에서 검출된 슬라이드병리번호를 전송하는 슬라이드통신수단(21) 및 상기 생검슬라이드(200)의 세포조직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23)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블록부(10)에서 전송된 블록병리번호와 슬라이드부(20)에서 전송된 슬라이드병리번호를 수신하는 중앙통신수단(31), 상기 중앙통신수단(31)을 통해 수신한 블록병리번호 및 슬라이드병리번호를 매칭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수단(32) 및 상기 분석수단(32)에서 판단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수단(33)을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부(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20)에는 상기 생검슬라이드(200)가 사선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슬라이드적재수단(2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적재수단(25)에는 상기 생검슬라이드(200)의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KR1020150031520A 2015-03-06 2015-03-06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KR101554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520A KR101554116B1 (ko) 2015-03-06 2015-03-06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520A KR101554116B1 (ko) 2015-03-06 2015-03-06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116B1 true KR101554116B1 (ko) 2015-09-17

Family

ID=5424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520A KR101554116B1 (ko) 2015-03-06 2015-03-06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1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4671A1 (en) 2007-11-08 2009-09-17 Jones Jason D Pathology lab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361789B1 (ko) 2013-01-24 2014-02-24 타임시스템(주)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
KR101452339B1 (ko) 2013-12-30 2014-10-22 주식회사 세다스미디어 카세트 병리번호 인식과 슬라이드 자동 출력 방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4671A1 (en) 2007-11-08 2009-09-17 Jones Jason D Pathology lab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361789B1 (ko) 2013-01-24 2014-02-24 타임시스템(주)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
KR101452339B1 (ko) 2013-12-30 2014-10-22 주식회사 세다스미디어 카세트 병리번호 인식과 슬라이드 자동 출력 방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61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S2666383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y procedimiento para transportar de forma automatizada productos individuales
US101987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or tracking products in a retail shopping facility
DK2279141T3 (en) Shelving with automatic warehouse registration
CN105046468A (zh) 基于物联网的智能仓储方法
CN107550578B (zh) 用于同时识别多个外科器械的装置和方法
JP2010506321A5 (ko)
EP3702969A1 (en) Integrated labeling of medical supplies
CN102145763A (zh) 用于处理自动分配机中的包装的方法和设备
CN104471590A (zh) 输送系统和将数据与输送系统正运送的物品相关联的方法
US20150248636A1 (en) Scheduled component retirement system and method for shipping container components
CN107111734A (zh) 具有机器可读显示器的环境参数监测器
PT2449508E (pt) Processo e sistema de gestão automática de objectos munidos de etiquetas de rfid
WO201013482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ceability and for validating sterilisation equipment and processes
KR101554116B1 (ko) 카세트블록 및 생검슬라이드 병리번호 매칭 시스템
JP2021151917A (ja) 作業監視システム
JP2010004861A (ja) 動物個体識別システム及び動物個体識別方法
JP2019519790A5 (ko)
JP5925133B2 (ja) 物流管理方法
JP6822141B2 (ja) 作業工程管理ラック、作業工程管理システム、作業工程管理方法
JP2010058974A (ja) 物品管理装置および物品管理方法
EP3698303B1 (en) System for traceability of transport of containers of biological samples
CN107886628A (zh) 一种自助售货柜的售货系统
JP2015133006A (ja) 生産管理システム
JP6848365B2 (ja) 物流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