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983B1 -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983B1
KR101553983B1 KR1020140047576A KR20140047576A KR101553983B1 KR 101553983 B1 KR101553983 B1 KR 101553983B1 KR 1020140047576 A KR1020140047576 A KR 1020140047576A KR 20140047576 A KR20140047576 A KR 20140047576A KR 101553983 B1 KR101553983 B1 KR 101553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guide
warp
bobbin
geo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Priority to KR102014004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오그리드 제조를 위해 필요한 경사와 결합사를 보빈 단위로 인출해서 공급받는 동시에, 독립된 보빈들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경사와 결합사 모두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경사 또는 결합사가 소진된 보빈 교체 또한 용이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사보빈과 결합사보빈을 적재하는 보빈적재틀과, 상기 경사보빈과 결합사보빈에서 각각 인출되는 경사와 결합사를 모집해 통과시키는 가이드를 갖춘 실공급부;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공급부; 및 상기 실공급부 및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경사와 결합사 및 위사를 격자형태로 직조하는 직기를 갖춘 직조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오그리드 제조장치{Weaving device for Geogrid}
본 발명은 지오그리드 제조를 위해 필요한 경사와 결합사를 보빈 단위로 인출해서 공급받는 동시에, 독립된 보빈들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경사와 결합사 모두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경사 또는 결합사가 소진된 보빈 교체 또한 용이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격자형 지오그리드는 위사와 경사를 일정한 격자 형태로 직조함으로써 제작된다.
2011년 9월 16일에 등록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오그리드(등록번호 제10-1066966호)"를 참조해서 격자형 지오그리드를 제작하는 종래 지오그리드 제조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경사(經絲)를 공급하는 경사공급부(100)와, 경사와 위사(緯絲)를 격자형태로 직조하고 결합사를 이용해서 고정하는 직조부(200)로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서, 직조부(200)에서 직조한 직물을 수지용액으로 코팅하는 수지용액 코팅부(300)와, 코팅된 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400)와, 지오그리드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발생유도부(500)와, 제조된 지오그리드를 권취보빈에 권취하는 권취부(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와 위사 및 결합사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 지오그리드 제조장치에서 상기 경사는 경사보빈(111)으로부터 인출되어 직조부(200)에 공급되고, 상기 결합사는 결합사보빈(220)으로부터 인출되어 직조부(200)에 공급되며, 상기 위사는 별도의 위사공급부로부터 인출되어 직조부(200)에 공급된다.
여기서, 직조부(200)가 균일한 환경에서 직조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와 위사 및 결합사가 동일한 장력과 길이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 지오그리드 제조장치는 1개의 위사보빈으로 구성된 상기 위사공급수단으로부터 1개의 위사만이 인출되도록 해서 다른 위사와의 장력 일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도록 했다. 또한, 다수의 결합사는 동일한 결합사보빈(220)에 권취시켜서, 다수의 결합사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당김에 따라 동일한 장력과 길이로 직조부(200)에 공급되도록 했다. 그러나, 정작 위사 및 결합사보다 많은 수의 경사들은 독립적으로 구성된 다수의 경사보빈(111)으로부터 각각 개별 공급되므로, 다수의 경사들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당김에 따라 동일한 장력과 길이를 유지하면서 직조부(200)에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결국, 직조부(200)는 서로 다른 장력과 길이를 갖는 경사의 공급으로 인해서, 균일한 직조형태를 갖는 양질의 직물 제조에 곤란함이 있었다. 더욱이, 위사와 경사 및 결합사들이 일정한 장력과 길이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규칙적으로 반복 동작하는 직조부(200)에 걸림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전체의 구동정지가 일어나는 문제 또한 있었다.
또한, 결합사보빈(220)의 결합사가 모두 소진되면 결합사보빈(220)을 교체해야 하는데, 지오그리드 제조장치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된 결합사보빈(220)은 상대적으로 대형 사이즈이고 중량 또한 크므로, 교체 작업이 곤란하고 장시간의 교체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상기 교체작업으로 인한 작업 지연은 지오그리드의 생산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므로, 종래 지오그리드 제조장치의 경사, 위사 및 결합사 공급방식에 있어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066966호(2011.09.22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경사 및 결합사의 보빈 교체가 용이하고, 직조부에 공급되는 경사 및 결합사의 장력과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서 고품질의 직물 및 지오그리드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사보빈과 결합사보빈을 적재하는 보빈적재틀과, 상기 경사보빈과 결합사보빈에서 각각 인출되는 경사와 결합사를 모집해 통과시키는 가이드를 갖춘 실공급부;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공급부; 및
상기 실공급부 및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경사와 결합사 및 위사를 격자형태로 직조하는 직기를 갖춘 직조부;
를 포함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직조부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당김에 대해서, 독립된 보빈으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경사 및 결합사가 균일한 장력과 길이로 상기 직조부에 공급될 수 있고, 소진된 보빈을 손쉽게 교체해서 작업 능률을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제조장치에 구성된 실공급부와 직조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상기 직조부에 구성된 경사배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공급부의 다른 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상기 실공급부에 구성된 장력유지기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상기 실공급부에 구성된 제3가이드의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제조장치에 구성된 실공급부와 직조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직조부에 구성된 경사배열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제조장치는 실공급부(100') 및 직조부(200')를 기본으로 구성하고, 추가로 수지용액 코팅부(300), 건조부(400), 장력발생유도부(500), 권취부(600)를 포함한다.
실공급부(100')는 경사(L1)가 감긴 다수개의 경사보빈(111)과, 결합사(L2)가 감긴 다수개의 결합사보빈(112)을 적재 설치하는 보빈적재틀(11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보빈적재틀(110)은 경사보빈(111)과 결합사보빈(112)을 층별로 정렬해서 적재했으나, 경사보빈(111)과 결합사보빈(112)의 적재 형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보빈적재틀(110)은 경사보빈(111)과 결합사보빈(112)으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경사(L1) 및 결합사(L2)를 모집해서 이동시키는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는 경사(L1) 및 결합사(L2)를 1차로 모집해서 안내하는 제1가이드(113)와, 제1가이드(113)로부터 인출되는 경사(L1) 및 결합사(L2)를 2차로 모집해서 안내하는 제2가이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113)는 층별로 정렬된 경사보빈(111)의 경사(L1)와, 결합사보빈(112)의 결합사(L2)를 층 단위로 1차 모집해서 경사(L1)와 결합사(L2)가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 제2가이드(114)는 제1가이드(113)로부터 인출되는 경사(L1) 및 결합사(L2)를 모두 모집해서 실공급부(100')의 한 지점으로부터 모든 경사(L1) 및 결합사(L2)가 인출되도록 정돈한다.
여기서, 제1가이드(113)와 제2가이드(114)는 경사(L1) 또는 결합사(L2)가 관통하는 가이드홀(미인출됨)을 형성하고, 경사(L1) 및 결합사(L2)가 인출을 위해 가해지는 장력에 대해서 일정한 이동성을 갖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내면에는 슬라이딩 커버(미인출됨)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은 보빈적재틀(110)에 직접 천공해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경사(L1) 또는 결합사(L2)가 관통하는 통상의 관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경사(L1) 또는 결합사(L2)와 서로 접촉해서 마찰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제1가이드(113)와 제2가이드(114)를 서로 다른 높이 선상에 배치해서, 경사보빈(111)과 결합사보빈(112)으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경사(L1) 및 결합사(L2)가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내면에 밀착돼 통과하도록 유도한다. 이로 인해서 제1,2가이드(112)와 제2가이드(114)를 각각 통과하는 경사(L1) 및 결합사(L2) 모두는 직조부(200')의 규칙적인 당김에 대해서 일정한 장력과 길이를 유지한 채 직조부(200')에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공급부(100')는 결합사(L2)만을 분리해서 직조부(200')에 인입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는 제2가이드(114)로부터 인출되는 결합사(L2)를 별도로 모집해 안내하는 제3가이드(11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3가이드(115) 또한 제1,2가이드(112, 113)와 동일하게 가이드홀 및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한다. 결국, 결합사(L2)는 3단계에 걸친 안내과정을 통해서 실공급부(100')와 직조부(200') 간의 안정된 장력을 유지한다. 참고로, 제3가이드(115)는 장력 유지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제2가이드(114)와 서로 다른 높이 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조부(200')는 경사(L1), 위사(미도시함) 및 결합사(L2)를 활용해서 직물(W)이 되도록 직조하는 장치로서, 직기, 경사가이드, 결합사가이드, 유도롤러, 배출지지롤러, 제1배출유도롤러, 제2배출유도롤러, 제1인입유도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동작구조는 공지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직조부(200')는 경사배열기(210)를 더 포함한다.
경사배열기(210)는 직조부(200')의 직기로 경사(L1)가 인입되기 전에 실공급부(100')로부터 인출된 다수의 경사(L1)를 모집해서 1개의 경사리브를 이루도록 일정한 배열로 유도하고, 더불어서 모든 경사(L1)가 일정한 속도와 장력으로 상기 직기에 인입되도록 동일화한다. 즉, 다수의 경사(L1)가 마치 1개의 보빈으로부터 인출되는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경사배열기(210)는 케이스(211)와, 실공급부(100')로부터 인출된 다수의 경사(L1)를 일정한 배열로 분류해서 안내하도록 케이스(211)에 구성되는 인입가이드(212)와, 인입가이드(212)를 통과한 경사(L1)를 정렬해서 이동방향을 1차로 전환하도록 케이스(211)에 구성되는 제1배열롤러(213)와, 제1배열롤러(213)로부터 인출된 경사(L1)의 이동방향을 2차로 전환하도록 케이스(211)에 구성되는 제2배열롤러(214)와, 제2배열롤러(214)로부터 인출된 경사(L1)의 이동방향을 3차로 전환해서 상기 직기에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제3배열롤러(215)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해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공급부(100')로부터 인출된 수많은 경사(L1)는 일정한 개수가 지오그리드(G)의 경사리브를 이루도록 정돈해서, 위사리브 및 결합사(L2)와 함께 직조한다. 이를 위해 인입가이드(212)는 지정된 규칙으로 배열된 다수의 배열홀(212a)을 갖추고, 경사(L1)가 배열홀(212a)에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열홀(212a)은 3행 3열로 각각 배열되어 1 세트를 이루는 2 세트가 인입가이드(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구조이다. 하지만, 배열홀(212a)의 배치는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제1배열롤러(213)는 인입가이드(212)로부터 인출되는 배열상태의 경사(L1)가 현재의 배열상태와 장력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1차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배열상태의 경사(L1)는 제1배열롤러(213)와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배열롤러(213) 또한 배열상태의 경사(L1)가 외면을 안정적으로 미끄러지며 통과하도록 매끈한 표면을 갖는 원통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배열롤러(214)는 제1배열롤러(213)로부터 인출되는 배열상태의 경사(L1)가 현재의 배열상태와 장력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2차로 안내한다. 여기서, 제1,2배열롤러(213, 214)는 배열상태의 경사(L1)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배열상태의 경사(L1) 이동방향이 전환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2배열롤러(213, 214)의 배치 높이를 달리했다. 참고로, 제2배열롤러(214) 또한 제1배열롤러(213)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제2배열롤러(214)는 매끈한 표면과 원통 형태를 이룬다.
제3배열롤러(215)는 제2배열롤러(214)로부터 인출되는 배열상태의 경사(L1)가 현재의 배열상태와 장력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3차로 안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열상태의 경사(L1)가 제1,2,3배열롤러(213, 214, 215) 모두와 안정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제3배열롤러(215)는 제2배열롤러(214)와 다른 높이 선상에 배치해서, 배열상태의 경사(L1)가 'U' 형상으로 경사배열기(210)를 통과하도록 된다. 제3배열롤러(215)를 통과해서 인출되는 배열상태의 경사(L1)는 상기 직기를 향해 인출된다. 참고로, 제3배열롤러(215) 또한 제1,2배열롤러(213, 214)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제3배열롤러(215)는 매끈한 표면과 원통 형태를 이룬다.
이상 설명한 인입가이드(212) 및 제1,2,3배열롤러(213, 214, 215)를 갖춘 경사배열기(210)는 실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수많은 경사(L1)를 인입가이드(212)에서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하고, 제1,2,3배열롤러(213, 214, 215)는 인입가이드(212)로부터 출력되는 배열상태의 경사(L1)를 다져서 상기 배열상태가 최적화된 안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3단계에 걸친 안내를 통해 상기 직기로 최종 인입되는 다수의 경사(L1) 모두가 1개의 보빈으로부터 인출되는 것과 같은 동일성을 갖게 한다. 즉, 상기 직기를 향해서 경사배열기(210)로부터 인출되는 경사(L1)는 규칙적인 당김에 대해서 일정한 장력과 길이를 유지하며, 직조를 위한 최적의 상태가 조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배열롤러가 배치된 구조를 개시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2개 또는 4개 이상의 배열롤러를 배치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제조장치는 경사(L1) 및 결합사(L2) 모두를 독립된 다수의 경사보빈(111)과 결합사보빈(112)으로부터 공급받더라도, 일체화된 1개의 보빈으로부터 공급받는 것과 같은 고품질의 직물(W)과 지오그리드(G) 생산이 가능하다.
수지용액 코팅부(300)는 코팅조, 수지용액, 제2인입유도롤러, 코팅유도롤러, 제1배출유도롤러, 스퀴징롤러부로 구성되어, 직조부(200')로부터 공급된 직물(W) 외면에 수지용액을 도포시키고, 압착하여 일정한 두께로 유지시켜 건조부(400)로 배출한다. 수지용액 코팅부(30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건조부(400)는 열판, 위사신율조절장치, 반사판, 제2배출유도롤러, 배출유도가이드를 구비하며, 수지용액이 도포된 직물(W)을 열원을 매개로 건조한다. 건조부(40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장력발생유도부(500)는 인입유도롤러, 장력발생유도롤러, 배출유도롤러를 본체에 구비하는 공지의 장치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장력발생유도롤러를 기준으로 전후방의 하측에 인입유도롤러와 배출유도롤러가 각각 설치된다. 장력발생유도부(50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권취부(600)는 장력발생유도부(500)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완성된 지오그리드(G)를 귄취하는 공지의 장치로서, 지오그리드(G)를 귄취하는 권취기(610)와 지오그리드(G)를 권취기(610)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62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장력발생유도부(500)의 배출유도롤러를 거친 지오그리드(G)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620) 사이를 지나 회전하는 권취기(610)에 자동으로 권취된다. 상기 권취부(600) 역시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구조와 작동원리는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공급부의 다른 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공급부(100")는 경사(L1)와 결합사(L2)를 직조부(200')로 각각 인출하기 전에 1차적으로 장력을 일정하게 안정화하는 장력유기지(120)를 더 포함한다.
경사보빈(111)과 결합사보빈(112)은 경사(L1)와 결합사(L2)를 단순히 권취해서 보관하는 일반적인 보빈이므로, 외부로부터 당김이 발생하면 경사(L1) 또는 결합사(L2)를 수동적으로 풀어 공급만 한다. 그런데, 이러한 풀림 과정에서 경사보빈(111)과 결합사보빈(112)으로부터 각각 인출된 경사(L1)와 결합사(L2)는 심한 요동이 발생하고, 경사보빈(111)과 결합사보빈(112)의 풀림 위치에 따라 상기 당김으로 인한 경사(L1)와 결합사(L2)의 장력이 지속적으로 변동했다. 결국, 직조부(200')로 인입되는 경사(L1)와 결합사(L2)는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당김에 의해서 상기 직사에 공급되는 장력과 길이가 일정치 못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제조장치는 경사보빈(111) 또는 결합사보빈(112)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사(L1) 또는 결합사(L2)의 장력과 길이를 안정화하는 장력유지기(120)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상기 실공급부에 구성된 장력유지기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장력유지기(120)는 경사보빈(111) 또는 결합사보빈(112)으로부터 갓 인출된 경사(L1) 또는 결합사(L2)의 인출위치를 장력유지기(120)의 위치로 한정하고, 경사(L1) 또는 결합사(L2)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안정화한다.
이를 위한 장력유지기(120)는 보빈적재틀(110)에 위치하는 기준판(121)과, 기준판(121)에 입설되는 중심축대(122)와, 중심축대(122)를 감싸면서 기준판(121) 상에 위치하는 연결대(123)와, 연결대(123)를 감싸면서 기준판(121)에 조적되는 가압판(124)을 포함하고, 중심축대(122)를 감싸면서 가압판(124)이 기준판(121)에 압착하도록 탄발력을 발하는 코일형 스프링(125)과, 볼트 타입의 중심축대(122)에 연결되어서 스프링(125)의 탄발력을 제어하는 너트(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판(121)은 도 5(a)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보빈적재틀(110)에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기준판(121)은 경사(L1) 또는 결합사(L2)와 밀착하면서 경사(L1) 또는 결합사(L2)가 이탈없이 안정되게 인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합성수지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축대(122)는 가압판(124)이 기준판(121)과 흔들림 없이 현 위치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중심축대(122)는 기준판(121)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고, 기준판(121)을 관통해서 보빈적재틀(11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연결대(123)는 도 5(b)에서 보인 바와 같이 경사(L1) 또는 결합사(L2)이 1회 이상 감긴 후 인출되는 것으로서, 중심축대(122)를 감싸는 관 형상을 이루고, 기준판(12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기준판(121)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대(123)는 경사(L1) 또는 결합사(L2)가 기준판(121)과 가압판(124) 사이를 통과하도록 강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대(123)를 대신해서 경사(L1) 또는 결합사(L2)가 중심축대(122)에 감길 수도 있다.
참고로, 연결대(123)가 회전가능한 타입인 경우에는 경사(L1) 또는 결합사(L2)와 더불어서 연결대(123)는 상호 간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고, 연결대(123)가 고정타입인 경우에는 경사(L1) 또는 결합사(L2)가 연결대(123)의 둘레를 미끄러지면서 이동한다.
가압판(124)은 경사(L1) 또는 결합사(L2)가 지나는 기준판(121)에 압력을 가해서, 경사(L1) 또는 결합사(L2)가 일정한 속도와 장력으로 인출되도록 강제한다. 이를 위해서 가압판(124)은 중심축대(122) 및 연결대(123)의 둘레를 감싸며 기준판(121)에 조적된다. 결국, 인출 위치가 혼란스런 최초의 경사(L1) 또는 결합사(L2)는 기준판(121)과 가압판(124) 사이를 통과하면서 인출 위치가 제한되고, 인출 장력 및 속도가 일정해진다.
한편, 기준판(121)에 대한 가압판(124)의 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장력유지기(120)는 가압판(124)에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125)과, 스프링(125)의 탄발력을 제어하기 위한 너트(126)가 더 보강될 수 있다.
우선 가압판(124)은 중심축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고, 중심축대(122)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을 이룬다.
스프링(125)은 가압판(124)에 직접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 가압판(124)에 조적되고, 중심축대(122)와의 고정을 위해서 코일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126)는 스프링(125)의 상단에서 중심축대(122)에 연결되며, 스프링(125)에 압력을 가해서 기준판(121)과 가압판(124) 간의 압착 정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한다. 결국, 작업자가 너트(126)와 가압판(124) 간의 간격이 가까워지게 너트(126)를 조이면 너트(126)는 가압판(124)을 향해 이동하고, 스프링(125)은 너트(126)와 가압판(124)의 좁아진 간격만큼 압착되면서 탄발력이 증가하여 가압판(124)에 압력을 가한다. 물론, 가압판(124)은 스프링(125)이 가한 압력만큼 기준판(121)과 밀착되고, 장력유지기(120)로부터 인출되는 경사(L1) 또는 결합사(L2)는 증가한 마찰력에 의해서 이동에 제한을 받게 된다.
도 6은 상기 실공급부에 구성된 제3가이드의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L1)는 경사배열기(210)에 의해서, 상기 직기에 경사(L1)를 균일한 장력 및 길이로 공급한다. 그러나, 실공급부(100')가 종래 결합사보빈을 대신하면서 상기 결합사보빈을 대신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제조장치는 결합사(L2)의 공급을 안정화하기 위한 제3가이드(115')를 보강했다.
앞서 예시한 실시 예에서 제3가이드(115)는 가이드홀 및 슬라이딩 커버를 구성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제3가이드(115')는 보빈적재틀(110)에 고정되는 제1회동막대(115a)와, 제1회동막대(115a)의 일단에 배치되며 태엽스프링(미도시함)이 내장된 축대(115b)와, 일단이 상기 태엽스프링의 회전축(X)과 연동하도록 고정되어서 축대(115b)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제1회동막대(115a)와 절첩되는 제2회동막대(115c)와, 제1회동막대(115a)의 일면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안내돌기(GU1)와, 제2회동막대(115c)의 일면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2안내돌기(GU2)를 구성한다.
제1회동막대(115a)는 제3가이드(115')와 보빈적재틀(110) 간의 결합을 매개한다. 한편, 제1회동막대(115a)에는 다수의 제1안내돌기(GU1)가 일면을 따라 배열된다. 참고로, 상기 일면은 제2회동막대(115c)가 마주하는 면이 바람직하다.
축대(115b)는 제1회동막대(115a)의 일단에 고정되고, 내설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태엽스프링은 똬리 형태를 이루므로, 축대(115b)의 외형은 이에 상응하는 원판 형태일 수 있다.
제2회동막대(115c)는 일단이 상기 태엽스프링의 회전축(X)과 연동하도록 연결되어서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결국, 제1,2회동막대(115a, 114c)는 서로 절첩하는 구조를 이룬다. 한편, 제2회동막대(115c)는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서 도 6(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회동막대(115a)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도 6(b)와 같이 일시적으로 접힌 상태가 된다. 물론, 도 6(b)의 상태는 상기 외력이 소멸하면 도 6(a)의 상태와 같이 제1,2회동막대(115a, 114c)가 펴지는 형태로 복원된다. 한편, 제2회동막대(115c)에는 다수의 제2안내돌기(GU2)가 일면을 따라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면은 제1회동막대(115a)가 마주하는 면이다.
제1,2안내돌기(GU1, GU2)는 결합사보빈(112)으로부터 인출된 결합사(L2)가 제3가이드(115')를 경유하도록 안내하면서 갑자기 발생한 외력을 제1,2회동막대(115a, 114c)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2안내돌기(GU1, GU2)는 결합사(L2)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한편, 제1,2안내돌기(GU1, GU2)는 결합사(L2)에 가해진 상기 외력을 제1,2회동막대(115a, 114c)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된 다수 개의 제1,2안내돌기(GU1, GU2)는 제1,2안내막대(115a, 114c)의 각 일면에 나란히 배치된다. 여기서, 제1,2안내돌기(GU1, GU2) 각각의 관통홀은 결합사(L2)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 서로 마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제3가이드(115')의 동작모습을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에서 보인 바와 같이, 결합사보빈(112)으로부터 인출된 결합사(L2)는 제1회동막대(115a)의 일단에 배치된 제1안내돌기(GU1) 중 하나의 관통홀을 우선 관통하고, 다음으로 제2회동막대(115c)의 일단에 배치된 제2안내돌기(GU2) 중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다시 제1회동막대(115a)에 배치된 제1안내돌기(GU1)의 관통홀을 관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2안내돌기(GU1, GU2)의 개수에 상응하는 횟수만큼 지그재그 형태로 배선된다. 결국, 직조부(200')에서 결합사(L2)를 인출하기 위해 가하는 외력에 따라 제1회동막대(115a)는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제1,2회동막대(115a, 114c)가 서로 접히면서 인출된 결합사(L2)의 길이만큼 직조부(200')로 공급된다.
따라서, 결합사(L2)는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당김에서 항시 일정한 장력과 길이만큼 직조부(200')에 공급되고, 직조부(200')는 항시 안정된 상태에서 일정하게 공급되는 결합사(L2)를 이용해 균일한 직조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경사공급부 100'; 실공급부 110; 보빈적재틀
111; 경사보빈 112; 결합사보빈 113; 제1가이드
114; 제2가이드 115, 115'; 제3가이드 115a; 제1회동막대
115b; 축대 115c; 제2회동막대 120; 장력유지기
121; 기준판 122; 중심축대 123; 연결대
124; 가압판 125; 스프링 126; 너트
200, 200'; 직조부 300; 수지용액 코팅부 400; 건조부
500; 장력발생유도부 600; 권취부 GU1, GU2; 제1,2안내돌기
X; 회전축 L1; 경사 L2; 결합사

Claims (9)

  1. 경사보빈과 결합사보빈을 적재하는 보빈적재틀과, 상기 경사보빈과 결합사보빈에서 각각 인출되는 경사와 결합사를 모집해 통과시키는 가이드를 갖춘 실공급부;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공급부; 및
    상기 실공급부 및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경사와 결합사 및 위사를 격자형태로 직조하는 직기를 갖춘 직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적재틀은 경사보빈과 결합사보빈을 층별로 적재하고;
    상기 가이드는 경사와 결합사를 층 단위로 모집해 통과시키는 제1가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를 통과한 경사와 결합사를 모집해서 통과시키는 제2가이드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가이드를 통과한 결합사를 모집해서 통과시키는 제3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는
    상기 보빈적재틀에 고정되는 제1회동막대;
    상기 제1회동막대의 일단에 고정되고, 태엽스프링을 내설한 축대;
    일단이 상기 태엽스프링의 회전축과 연동하도록 상기 축대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1회동막대와 절첩하는 제2회동막대;
    상기 제1회동막대의 일면에 다수 배열되며, 상기 결합사가 관통하는 제1안내돌기; 및
    상기 결합사가 상기 제1안내돌기와 교대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2회동막대의 일면에 다수 배열되는 제2안내돌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는 서로 다른 높이 선상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경사 또는 결합사가 관통하는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홀의 내면에서 상기 경사 또는 결합사와 접촉해 마찰하는 슬라이딩 커버를 갖춘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적재틀에 배치되는 기준판; 상기 경사보빈 또는 결합사보빈으로부터 인출된 경사 또는 결합사가 1회 이상 감긴 후 상기 가이드로 이동하도록, 상기 기준판에 입설되는 중심축대; 상기 중심축대를 경유하면서 상기 기준판을 통과하는 상기 경사 또는 결합사를 덮도록, 상기 기준판에 조적되는 가압판;을 갖춘 장력유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중심축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대는 볼트 형상을 이루며;
    상기 장력유지기는, 상기 가압판을 가압하도록 조적되는 스프링과, 상기 중심축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부는
    상기 실공급부에서 공급된 경사가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돼 통과하는 배열홀을 갖춘 인입가이드와;
    상기 인입가이드로부터 인출된 경사가 외면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듯 통과하도록 서로 다른 높이 선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배열롤러;로 된 경사배열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KR1020140047576A 2014-04-21 2014-04-21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KR10155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576A KR101553983B1 (ko) 2014-04-21 2014-04-21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576A KR101553983B1 (ko) 2014-04-21 2014-04-21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983B1 true KR101553983B1 (ko) 2015-09-17

Family

ID=5424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576A KR101553983B1 (ko) 2014-04-21 2014-04-21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9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834A (ko) * 2016-07-07 2018-01-17 손금숙 장력조절장치를 갖는 경사빔을 이용한 고휘도 발광직물의 제조방법
KR101857782B1 (ko) * 2016-11-18 2018-06-19 (주)호정산업 코이어사를 포함하는 대구경 저밀도 원사 직조장치
KR20180115419A (ko) * 2017-04-13 2018-10-23 (유)이안지오텍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KR102048038B1 (ko) * 2018-10-30 2019-11-22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실 공급장치
KR102096950B1 (ko) * 2018-10-30 2020-05-27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토목섬유 원사 공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834A (ko) * 2016-07-07 2018-01-17 손금숙 장력조절장치를 갖는 경사빔을 이용한 고휘도 발광직물의 제조방법
KR101885610B1 (ko) 2016-07-07 2018-08-06 손금숙 장력조절장치를 갖는 경사빔을 이용한 고휘도 발광직물의 제조방법
KR101857782B1 (ko) * 2016-11-18 2018-06-19 (주)호정산업 코이어사를 포함하는 대구경 저밀도 원사 직조장치
KR20180115419A (ko) * 2017-04-13 2018-10-23 (유)이안지오텍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KR101959425B1 (ko) 2017-04-13 2019-03-18 (유)이안지오텍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KR102048038B1 (ko) * 2018-10-30 2019-11-22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실 공급장치
KR102096950B1 (ko) * 2018-10-30 2020-05-27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토목섬유 원사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983B1 (ko)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CN107002316B (zh) 部分分纤纤维束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部分分纤纤维束
JP5343059B2 (ja) Ud層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7458236B2 (en) Device for feeding fiber bands to a knitting machine
TWI498464B (zh) A textile machine having a woven fabric of a cross-section is manufactured, and the fabric is specifically a rope
CN103359541B (zh) 用于张紧卷绕机中的卷绕线的装置
JP6833847B2 (ja) ウェブ状製品の製造および引き出し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U20042933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equalizing tension in parallel yarns
KR102434682B1 (ko) 파이버 기반 3d프린팅 연속 공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원사 제조 방법
JP2012525305A (ja) 巻取り機
JPWO2012165231A1 (ja) 製織機と同製織機による製織方法
US8448891B2 (en) Yarn storage device
KR20100047811A (ko) 경사 드레드 시트의 가공 장치 및 방법
JP4332606B2 (ja) 繊維束の引き出し方法及び繊維束引き出し装置
KR101778911B1 (ko) 기모형성이 가능한 투포원 연사기
KR101641379B1 (ko) 섬유 공급장치
CN211471762U (zh) 扁平状复合材料的经纱编织张力控制系统
KR101537662B1 (ko)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KR101363529B1 (ko) 복합 섬유의 제직장치
US8820600B2 (en) Accumulator with tensioning device
CN109477260B (zh) 具有长纱线缓冲器的纱线进给设备
JP2008179905A (ja) 製織方法及び製織装置
MX2012010090A (es) Maquina destejedora para recuperar hilos de los generos de tejido de punto de recogida circular.
JP4937774B2 (ja) 製織装置及び製織方法
KR101587986B1 (ko) 교락사를 직조하는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