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425B1 -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425B1
KR101959425B1 KR1020170047721A KR20170047721A KR101959425B1 KR 101959425 B1 KR101959425 B1 KR 101959425B1 KR 1020170047721 A KR1020170047721 A KR 1020170047721A KR 20170047721 A KR20170047721 A KR 20170047721A KR 101959425 B1 KR101959425 B1 KR 10195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ynthetic resin
regenerated
waste synthetic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419A (ko
Inventor
손후락
Original Assignee
(유)이안지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이안지오텍 filed Critical (유)이안지오텍
Priority to KR102017004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42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4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재생사를 뽑아서 신재 원사와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토목용 섬유를 제직토록 함으로써 토목용 섬유의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토록 하면서도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에 따른 에너지 절감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는 경사와 위사를 토목용 섬유로 제직함에 있어서, 상기 경사(A)를 공급토록 하는 원사공급수단(100)은 경사(A)를 이루는 합성수지 재질의 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신재사(1)와, 한번 사용한 후 폐기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재생사(2)를 서로 구분하여 고정대(11)에 설치된 다수의 콘(12)을 이용한 크릴방식으로 공급토록 구성하고, 상기 원사공급수단(100)에 의해 공급되는 경사(A)의 신재사(1)는 정렬틀(80)과, 안내로울러(81) 및 장력로울러(82)를 거쳐 송출안내로울러(93)를 통하여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로 이송토록 하는 신재사이송수단(800)으로 이송토록 구성하며, 상기 경사(A)를 이루는 또다른 재생사(2)는 정렬틀(90)과, 안내로울러(91) 및 별도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울러(92)를 거쳐 송출안내로울러(93)를 통해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로 이송토록 하는 재생사이송수단(900)으로 구성하며, 상기 신재사이송수단(800) 및 재생사이송수단(900)을 통하여 이송되는 경사(A)를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에서 별도의 위사(B)를 공급하여 토목용 섬유로 제직토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civil engineering fiber using recycled waste synthetic resin}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재생사를 뽑아서 신재 원사와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토목용 섬유를 제직토록 함으로써 토목용 섬유의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토록 하면서도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에 따른 에너지 절감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토목용으로 사용되는 섬유는 일반적인 섬유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것으로, 토목공사시 연약지반, 성토사면, 굴착사면 또는 보강사면 등에 설치되어 강호안의 지지력을 보강함으로써 강우로 인한 토사의 유실과 지반의 함몰을 방지하거나, 연약지반 개량 공사시 장비를 진입시킬 수 있는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토목섬유(Geosynthetics)는 천연섬유 재료의 강도가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한 고분자 합성섬유 제품으로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칠렌(polyethylene), 폴리아크릴니트릴(polyacrynitril),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를 직조하여 형성된 다공성 제품인 지오텍스타일(geotextile)과 차수용 제품인 지오멤브레인(geomembranes), 고강도 제품인 지오그리드(geogrids) 및 지오텍스타일 관련제품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우수한 시공성과 적용성 및 경제성등을 갖추고 있어서 최근 각종 토목구조물에서 보강, 필터, 배수, 분리, 봉쇄 및 침식 방지재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대규모 간척공사는 물론 고속전철, 지하구조물, 폐기물 매립지 등과 같이 토목섬유의 적용 구조물이 더욱 다양화, 대형화 및 고난도화 됨에 따라 각 구조물별로 안전하고 경제적인 적용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에 의해서도 여러 가지 형태의 섬유매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물품에 대하여서 제안한 바 있으며, 이는 국내 특허등록 제10-0636073호를 들 수 있다.
이는 원사를 합사하고, 연사, 정경 및 통경공정을 거쳐서 공급되는 경사와 위사가 도비기에 의하여 격자 모양이 립이 평직과 능직으로 제직되는 토목용 직물을 제직하는 것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종강에 경사를 공급하면서 적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종강에 경사가 더 공급되게 하여 경사 진행 방향으로 립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고, 또한 위사가 공급되는 일정한 주기에 도비기를 정지시키고 위사를 더 공급한 다음 도비기를 재가동시켜서 위사 방향으로 격자상의 또다른 립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선등록 특허는 제직되는 토목용 직물의 평직과 능직의 조직에 립을 새롭게 형성함으로써 강도가 증가되는 특유의 장점은 있으나, 토목용 섬유를 제직하기 위한 원사는 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신재사만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신재사를 사용하지 않고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한 폐합성수지사 를 이용하여 제직할 수 있다면 제조원가를 월등히 저하시킬 수 있고,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한다는 측면에서 에너지 절감과 더불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뛰어난 잇점을 가질 수가 있다.
그러나 폐합성수지를 재생하여 폐합성수지사 즉, 재생사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토목용 섬유를 제직할 수는 있었겠으나, 폐합성수지가 가지는 특성상 그 강도가 토목용 섬유에 적합하게 유지되지 못하거나 또는 재생사를 필라멘트사로 제조하기가 어려워 실제로는 적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재생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두 가지를 들 수가 있겠으며, 그 첫째로 폐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얇은 필름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가는 실과 같이 가늘게 절단하여 재생사를 제조할 수가 있다.
이같이 제조되는 재생사는 폐합성수지를 쉽게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사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은 가질지라도 폐합성수지의 특성상 그 강도가 충분히 유지되지 못하여 토목용 섬유로는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필라메트사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필라멘트사의 특징은 매우 가는 실이 수없이 모여서 하나의 실을 구성하는 것임에 따라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여서는 필라멘트사를 구성하는 가는 실로 제조할 수가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필라멘트사를 제조하기 위하여서는 아주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도 전혀 유입되지 않아야 하나, 폐합성수지에는 다양한 이물질과 먼지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서 필라멘트사를 제조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막대하게 소요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폐합성수지를 재생하여 토목용 섬유를 제조하고자 하나, 폐합성수지가 가지는 구조적인 특성상 그 강도가 유지되지 못하거나 또는 제조가 어렵기 때문에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에 따른 장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합성수지는 매우 가볍고 단단하며,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성형이 쉬울 뿐만 아니라, 잘 썩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각 가정은 물론이고, 산업현장에서도 다양한 용도의 제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발전의 가속화에 의한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폐기되는 양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렇게 사용되고 난후 폐기되는 폐합성수지는 수 십년이 지나도 분해되거나 썩지 않고 그대로 남기 때문에 환경을 파괴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폐합성수지는 일부 재생되고 있지만, 대부분 금형을 이용한 성형제품에만 적용되고 있음으로써 많이 발생되는 폐합성수지를 적절하게 재활용하지 못하는 등 귀중한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요인도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한 번 사용하고 난 후 버려지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토목용 섬유를 제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합성수지를 보다 다양하게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이와 동시에 폐합성수지사를 이용하여 토목용 섬유를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이의 토목용 섬유의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은 대부분 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토목용 섬유를 재활용이 가능한 폐합성수지를 이용하게 됨으로써 토목용 섬유의 제조원가를 대폭 줄이게 됨은 물론이고, 한번 사용하고 난 버려지게 되는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을 지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신재사와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임의의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직하되, 자동화된 기계로서 자동적이고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목용 섬유를 제직함에 있어서, 신재사와 함께 폐합성수지로 재생되는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자동적이고도 연속적으로 제직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필름 형태의 재생사로 제조한 후, 이의 재생사와 신재사를 적절한 비율로 제직토록 하는 제조장치를 포함하며, 이의 제조장치는 신재사와 재생사를 구분하여 임의의 설정된 위치로 공급토록 하는 경사공급수단과, 이 경사공급수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신재사 및 재생사를 적절한 비율로 정렬하여 이송시키도록 하는 경사이송수단과, 상기와 이송되는 경사에 위사를 공급하여 제직토록 하는 제직기 및 도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여 제조되는 재생사를 이용하여 토목용 섬유로 제직토록 함으로써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에 따른 에너지 절감과 더불어 환경오염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한번 사용한 후 버려지는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은 대부분 합성수지 성형품에 국한됨으로써 재활용의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폐합성수지를 재생사로 제조하여 이를 토목용 섬유로 제직토록 함으로써 폐합성수지의 활용도가 넓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에너지 절감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호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폐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토목용 섬유로 제직함으로서 이의 토목용 섬유의 제조원가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이러한 효과는 점차 늘어나는 토목용 섬유의 사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재생사를 사용함에 있어서, 자동화된 기기를 사용할 수가 있고, 사용되는 토목용 섬유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가 있으므로써 산업현장에서 매우 다양하고도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직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사공급수단과 경사이송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도2의 일부 평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도3의 요부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도4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도3의 다른 요부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직되는 구성을 보인 설명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적용되는 토목용 섬유의 제직시스템을 나타내고 있고, 도2 내지 도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도7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제직되는 토목용 섬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직되는 토목용 섬유의 전체적인 제조장치는 도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원사공급수단(100), 경사이송수단(200), 제직기(300), 도비기(400), 직물이송수단(500), 탈수기(600) 및 권취기(700)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원사공급수단(100)은 원사가 감겨진 다수 개의 콘이 재치되고, 재치되어진 콘으로부터 원사가 자연스럽게 풀려나오게 되는 통상의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원사의 요동을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출원 제20-2002-26466호에 게재된 구성을 포함하는 방사안내장치로 구성되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원사가 감겨진 다수 개의 콘으로부터 경사와 위사로 이루어지는 원사중에서도 경사가 인출된다.
경사이송수단(200)는 상기 원사공급수단(100)에서 인출되는 경사를 정렬시키고, 장력을 조절하여 경사를 공급하게 되는데, 경사로 사용되는 원사를 공급하기 위하여 정렬시키는 바디틀과 다수 개의 안내로울러들의 집합체와 장력조절용 구동로울러로 구성되어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로 경사를 공급하게 된다.
제직기(300)는 이송되는 경사에 위사를 공급하고, 원사공급수단(100)을 통하여 이송되는 경사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별도의 위사를 공급하는 공지된 위사공급수단를 구비하고 있다.
도비기(400)는 공지된 바와 같이 경사가 통과하는 종강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헬드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제직기(300)의 상부에 놓여져서 능직의 구조물이 제직되는 것이다.
직물이송수단(500)은 적절한 로울러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직기(300)와 도비기(400)에서 제직된 직물을 배출시킨다.
탈수기(600)는 한 쌍의 탈수로울러와 한 쌍의 히터로울러로 구성되어, 위사(B)가 공급되면서 물이 분사되어 제직되는 직물이 상기 탈수로울러를 통과하면서 수분을 1차적으로 제거하게 되고, 히터로울러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직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키게 된다.
권취기(700)는 탈수기(600)에서 수분이 제거된 직물이 감겨지게 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권취장치의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토목용 섬유의 제직시스템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폐합성수지로 재생되는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사용하기 위하여 신재사와 적절하게 혼합하여 토목용 섬유를 제직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는 도2 이하에서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폐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재생사와 신재 필라멘트사(이하에서 "신재사"라 칭함)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혼합하여 토목용 섬유를 제직토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사공급수단(100)과, 원사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원사 중에서도 경사(A)를 적절한 장력과 배열을 갖도록 하면서 제직기(300)로 이송토록 하는 신재사이송수단(800)과 재생사이송수단(90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원사공급수단(100)은 신재사(1)의 원사와 재생사(2)의 원사가 각각 구분되어 공급되는 것으로, 신재사(1)인 원사는 상부에서 고정대(11)에 의해 다수로 설치되는 콘(12)에 감겨져 공급됨과 동시에, 재생사인 원사는 역시 고정대(11)의 하부에서 다수의 콘(12)에 감겨져 서로 나누어진 상태로 구분되어져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원사공급수단(100)에서 각각의 신재사(1)와 재생사(2)를 권취한 다수의 콘(12)들이 고정대(11)에 설치된 상태에서 경사(A)에 해당되는 원사를 동시에 연속적이고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신재사(1)는 토목용 섬유의 특성상 요구되는 고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라멘트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반면에 재생사(2)는 한번 사용하고 버려지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하여 사용함에 따라 필라멘트사로는 제조할 수가 없고, 얇은 필름 형태로 성형하여 가는 실형태로 절단한 재생사를 사용함으로써 이들은 그 굵기(데니어)가 서로 달라 원사의 공급수단을 빔(Beam) 방식이 아닌 크릴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즉, 하나의 로울러에 원사를 권취하였다가 공급하는 빔 방식은 신재사(1)와 재생사(2)의 데니어가 다르기 때문에 빔에 권취시 사층이 무너져 권취가 불가능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콘(11)에 권취하여 공급하는 크릴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신재사(1)와 재생사(2)는 제직하고자 하는 토목용 섬유의 사용용도나 형태 등에 따라 그 비율을 달리함으로써 즉, 신재사(1)와 재생사(2)의 비율을 1:1, 1:2, 1:3, 1:4 등의 비율로 공급하여 제직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원사공급수단(100)에서 신재사(1)와 재생사(2)는 신재사(1)와 재생사(2)가 각각 구분되어져 공급되는 것이며, 이렇게 공급되는 신재사(1)는 다시 신재사이송수단(800)을 통하여 이송됨과 동시에, 재생사(2)는 재생사이송수단(900)에 의해 각각 다음 공정인 제직기(300)및 도비기(400)로 이송된다.
상기 신재사이송수단(800)은 원사공급수단(100)에서 인출되는 신재사(1)를 나란히 정렬시킴과 동시에 적절한 장력을 조절하여 경사(A)로서 다음 공정인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로 이송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신재사이송수단(800)은 인출되는 신재사(1)를 수평방향을 따라 나란히 정렬시키도록 하는 정렬틀(80)과, 안내로울러(81) 및 장력로울러(82)로 구성된다.
상기 정렬틀(80)은 안내로울러(81)의 전단에서 로울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다수의 콘(12)으로 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경사(A)들을 나란히 정렬하게 되고, 안내로울러(81) 및 장력로울러(82)는 공회전 가능한 길다란 로울러로 구성되어 이송되는 신재사(1)를 안정되게 이송하게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력로울러(82)는 이송되는 신재사(1)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일측면에 별도의 장력조절수단을 가진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장력로울러(82)의 회전축(83)에 별도의 드럼(84)이 구비되고, 이의 드럼(84)에는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력패드(85)가 설치되며, 이 장력패드(85)는 양측단이 인장스프링(86)과 나사조절봉(87)에 의해 브라켓트(88)에 각각 설치되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장력패드(85)의 일측단은 인장스프링(86)에 의해 브라켓트(88)에 고정설치되고, 타측단은 나사조절봉(87)에 의해 브라켓트(88)에 너트로 설치되어 드럼(84)의 회전력을 잡아줌으로써 장력로울러(82)의 장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렬틀(80)을 통하여 정렬되는 경사(A)는 안내로울러(81) 및 장력로울러(82)를 거쳐 적절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를 향해 이송된다.
또한 원사공급수단(100)에서 재생사(2)로 공급되는 경사(A)는 재생사이송수단(900)에 의해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로 이송되는 것으로, 상기 재생사이송수단(900)은 역시 경사(A)를 나란히 정렬하는 정렬틀(90)을 갖추어 구성됨과 동시에, 안내로울러(91) 및 구동로울러(92) 그리고 또다른 송출안내로울러(9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렬틀(90)은 안내로울러(91)의 전단에서 로울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다수의 콘(12)으로 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재생사(2)를 나란히 정렬하게 되고, 구동로울러(92)는 별도의 회전동력을 기어(94)들을 통하여 감속 전달받아 회전구동됨으로써 재생사(2)를 적절한 장력으로 송출안내로울러(93)를 통하여 제직기(300)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출안내로울러(93)는 신재사이송수단(800)과 재생사이송수단(900)을 통하여 각각 이송되는 신재사(1) 및 재생사(2)를 모아서 나란히 정렬한 상태로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를 향해 이송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한번 사용한 후 버려지는 여러 가지 폐합성수지를 재생하여 재생사로 제조함으로써 이의 재생사를 토목용 섬유로 제직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 토목용 섬유로서 요구되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신재사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이는 도면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신재사(1)와 폐합성수지로 재생한 재생사(2)를 함께 혼합하여 토목용 섬유로 제직하는 것으로, 먼저 이들은 원사공급수단(100)에 의해 각각 구분되어 공급된다.
즉, 원사공급수단(100)의 고정대(11)에 설치되는 다수의 콘(12)을 통하여 신재사(1)와 재생사(2)가 각각 구분되어 동시에 나란히 공급되는 것이며, 이렇게 공급되는 신재사(1)와 재생사(2)는 필요로 하는 배열에 따라 1:1, 1:2, 1:3, 1:4 등으로 선택되어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되는 신재사(1)와 재생사(2)는 신재사이송수단(800)와 재생사이송수단(900)를 거쳐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로 이송되는 것이며, 먼저 신재사이송수단(800)에서는 신재사(1)가 공급되면, 이의 신재사(1)들은 정렬틀(80)을 통하여 한올 한올 수평방향으로 정렬되어 길다란 안내로울러(81)로 나란히 이송되고, 안내로울러(81)를 거친 장력로울러(82)를 통하여 이송되는 장력이 조절된 후, 송출안내로울러(93)로 이송된다.
상기 신재사(1)가 이송되는 이송력은 셋팅된 신재사(1)에 의해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에서 제직공정시 당겨지는 인장력에 의해 이송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장력로울러(82)는 일측면의 장력조절수단에 의해 그 장력이 조절된다.
즉, 장력로울러(82)의 일측 드럼(84)에 감겨진 장력패드(85)의 밀착력으로 장력로울러(82)의 회전력에 따른 장력이 조절되는 것으로, 나사조절봉(87)을 조여주고 풀어줌에 의해 인장스프링(86)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장력로울러(82)의 장력을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재생사이송수단(900)에서는 원사공급수단(100)에 의해 공급되는 재생사(2)가 정렬틀(90)을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되어 안내로울러(91)와 구동로울러(92)을 거쳐 송출안내로울러(93)로 이송된 후, 다음 공정인 제직기(300)와 도비기(40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재생사(2)는 그 강도가 다소 약하여 구동로울러(92)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로울러(92)의 회전축의 일측에는 기어가 설치되고, 이 기어에는 모우터의 회전동력과 감속기어로서 연결되어 구동로울러(92)를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신재사이송수단(800)와 재생사이송수단(900)를 통하여 신재사(1)와 재생사(2)가 설정된 배열로 정렬되어진 후, 다음 공정인 제직기(300)와 도비기(400)로 이송되는 것이고, 이어서 통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직기(300)와 도비기(400)에서는 이송되는 신재사(1)와 재생사(2)를 함께 토목용 섬유로 제직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의 도7에서 보듯이 신재사(1)와 재생사(2)가 1:2의 배열로 설정된다면, 신재사(1)의 한 가닥과 재생사(2)의 두 가닥이 동시에 공급되어져 경사(A)를 이루게 될 것이고, 이의 경사(A)에 통상에서와 같이 위사(B)가 직교되는 방향에서 공급되어져 제직이 이루어짐으로써 1:2 배열의 토목용 섬유가 제직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폐합성수지를 재생사로 재생하고, 이의 재생사를 신재사와 함께 토목용 섬유로 제직함으로써 폐합성수지를 토목용 섬유로 재활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토목용 섬유의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폐합성수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1:신재사 2:재생사
11:고정대 12:콘
100:원사공급수단 800:신재사이송수단
80,90:정렬틀 81,91:안내로울러
82:장력로울러 83:회전축
84:드럼 85:장력패드
86:인장스프링 87:나사조절봉
88:브라켓트 900:재생사이송수단
92:구동로울러 93:송출안내로울러

Claims (3)

  1.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는 경사와 위사를 토목용 섬유로 제직함에 있어서,
    상기 경사(A)를 공급토록 하는 원사공급수단(100)은 경사(A)를 이루는 합성수지 재질의 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신재사(1)와, 한번 사용한 후 폐기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재생사(2)를 서로 구분하여 고정대(11)에 설치된 다수의 콘(12)을 이용한 크릴방식으로 공급토록 구성하고,
    상기 원사공급수단(100)에 의해 공급되는 경사(A)의 신재사(1)는 정렬틀(80)과, 안내로울러(81) 및 장력로울러(82)를 거쳐 송출안내로울러(93)를 통하여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로 이송토록 하는 신재사이송수단(800)으로 이송토록 구성하며,
    상기 경사(A)를 이루는 또다른 재생사(2)는 정렬틀(90)과, 안내로울러(91) 및 별도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울러(92)를 거쳐 송출안내로울러(93)를 통해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로 이송토록 하는 재생사이송수단(900)으로 구성하며,
    상기 신재사이송수단(800) 및 재생사이송수단(900)을 통하여 이송되는 경사(A)를 제직기(300) 및 도비기(400)에서 별도의 위사(B)를 공급하여 토목용 섬유로 제직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재사이송수단(800)의 장력로울러(82)에는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장력로울러(82)의 회전축(83)에 드럼(84)이 구비되고, 드럼(84)에는 가죽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장력패드(85)가 감싸아 설치되며, 장력패드(85)의 일측단에는 인장스프링(86)과 타측단에는 너트에 의해 조절되는 나사조절봉(87)이 브라켓트(88)에 의해 설치되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3. 삭제
KR1020170047721A 2017-04-13 2017-04-13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KR10195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21A KR101959425B1 (ko) 2017-04-13 2017-04-13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21A KR101959425B1 (ko) 2017-04-13 2017-04-13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419A KR20180115419A (ko) 2018-10-23
KR101959425B1 true KR101959425B1 (ko) 2019-03-18

Family

ID=6410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721A KR101959425B1 (ko) 2017-04-13 2017-04-13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150B1 (ko) * 2018-05-29 2020-06-01 (유)이안지오텍 토목용 복합소재 지오백 제조 방법
KR102096950B1 (ko) * 2018-10-30 2020-05-27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토목섬유 원사 공급장치
CN111113906A (zh) * 2019-12-03 2020-05-08 安徽骄阳软门有限责任公司 一种覆膜金属纱网的加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503B1 (ko) 2010-04-19 2011-09-01 문문문 토목건축공사용 지오그리드와 그 제조방법
KR101553983B1 (ko) 2014-04-21 2015-09-17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503B1 (ko) 2010-04-19 2011-09-01 문문문 토목건축공사용 지오그리드와 그 제조방법
KR101553983B1 (ko) 2014-04-21 2015-09-17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419A (ko)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425B1 (ko) 폐합성수지 재생사를 이용한 토목용 섬유의 제조장치
EP0361795B1 (en) Process for continuously forming reinforced articles
EP0500242B1 (en) A method of making a continuous tube of flexible sheet material
KR101870715B1 (ko) 보행매트 직조기
US9206536B2 (en) Laying device and laying method
CN101379237B (zh) 由高抗拉纱线构成的三维织物部件结构及其制造方法
KR100788821B1 (ko) 개선된 타포린 제조방법
CN103628224B (zh) 宽幅碳纤维编织机及其生产碳纤维网格布的方法
KR20120123705A (ko) 섬유 복합 재료의 편평한 반제품의 제조 방법
CN201817651U (zh) 一种生产管状立体织物的圆织机
KR100886755B1 (ko) 코팅 기능이 향상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KR100636073B1 (ko) 립을 구비하는 토목용 직물의 제직 방법
EP2141011A2 (de)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s Transportes eines multiaxialen Geleges während der Herstellung
JPH07504466A (ja) 多軸糸構造
CN101949077A (zh) 复合材料立体管状结构件的纺织成型装置及其方法
CN102985607A (zh) 由带材状牵切粗股制成的多轴向织物片复合物的生产方法及生产设备
KR101328534B1 (ko) 셀비지로부터 실크의 분리회수를 위한 위사분리장치
CN203639647U (zh) 宽幅碳纤维编织机
KR20200032367A (ko) 매트용 직조장치
US3773606A (en) Preformed cross-laid fabric
KR101406074B1 (ko) 재생 실크 세번수의 제조 방법, 재생 실크 세번수, 재생 실크 혼방사의 제조 방법 및 재생 실크 혼방사
DE192631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staerkung eines Wirrfaservlieses
KR100563627B1 (ko) 토목용 직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N111778588B (zh) 一种单向碳纤维边角料机械回收方法
CN100465366C (zh) 制造建筑工业用纺织品的方法及装置和建筑工业用纺织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