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832B1 -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 Google Patents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832B1
KR101553832B1 KR1020150027866A KR20150027866A KR101553832B1 KR 101553832 B1 KR101553832 B1 KR 101553832B1 KR 1020150027866 A KR1020150027866 A KR 1020150027866A KR 20150027866 A KR20150027866 A KR 20150027866A KR 101553832 B1 KR101553832 B1 KR 10155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ductive rail
rail
open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득염
양정무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09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for removal detec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by detecting their physical disconnection from an electrical system, e.g. using a switch incorporated in the plug connec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개폐감지구조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차와 레일의 전기적특성을 이용하여 창호의 개폐를 감지하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호의 개폐감지구조에 의하면 창호가 설치되는 건축물(특히, 한옥)의 외관을 저해할 수 있는 별도의 감지장치를 설치하지 않으면서 보안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의 개폐감지구조에 의하면 창호에 변형을 가하지 않고서도 창호의 개폐 감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호의 개폐감지구조{Opening and closing sensing structure of fittings}
본 발명은 창호의 개폐감지구조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차와 레일의 전기적특성을 이용하여 창호의 개폐를 감지하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한옥의 미닫이문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전통 기술 중 하나로서 껍질을 벗긴 물푸레나무를 얇게 킨 것을 문짝과 홈대 사이에 설치하여 마찰력을 줄이는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물푸레나무 조각을 썰대라 부른다. 하지만 문을 여닫을 때 매끄럽게 움직이지 않았고, 썰대 표면의 마찰력이 다르게 나타나는 부분이 있어서 문짝의 이동 시 소음이 발생함과 함께, 마모된 썰대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베어링이 발명된 이후 호차를 제작하여 미닫이문의 하부에 설치한 것은 비교적 근래의 변화이다. 미닫이문의 하부에 두 개 정도의 호차를 부착하고, 이 호차가 움직일 수 있는 레일을 설치하여 매끄러운 미닫이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호차의 바퀴 크기는 창호(미닫이문 등) 목재의 크기와 홈대의 패인 깊이를 고려하여 약 30mm 정도의 제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호차의 재질은 베어링 부분 때문에 금속으로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레일은 초기에는 황동 제품을 사용하였지만 근래에는 PVC 등의 소재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창호에 있어서 썰대를 대신하여 호차와 레일을 조합하여 기계적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현재의 기술 수준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보안이 필요한 출입문에는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함과 함께, 잠금과 개방을 조정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한옥과 같은 건축물의 창호에 이러한 장치를 부착하여 운영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목재로 제작되는 한옥의 창호는 대기 중의 수분에 따라 건조 수축과 습윤 팽창을 반복하게 되어 치수안정성이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나이테의 방향과 관련하여 예측하기 힘든 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한옥 창호에 적용되는 감지장치는 창호의 재료인 목재의 수축, 팽창, 뒤틀림 등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감지장치의 성능과 작동에 영향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창호를 기준으로 개발된 감지장치를 한옥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감지 오류와 같은 치명적인 문제점을 포함할 수 있는바, 한옥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오작동과 신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창호 개폐감지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61750호(2011.06.10. 공개) 등록특허번호 제10-0462120호(2004.12.07. 등록)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호차와 레일의 전기적특성을 이용하여 창호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가 설치되는 건축물(특히, 한옥)의 외관을 저해할 수 있는 별도의 감지장치를 설치하지 않으면서 보안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호에 변형을 가하지 않고서도 창호의 개폐 감지의 신뢰도가 높은 창호의 개폐감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문틀의 홈대에 구비되는 제1전도성레일; 상기 문틀의 홈대에 구비되는데,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절연되는 제2전도성레일; 및 문짝의 하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도성호차 및 제2전도성호차;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도성호차 및 제2전도성호차의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창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 사이의 이격공간에 구비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성호차 및 상기 제2전도성호차와 모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문짝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전도성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성레일은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전도성레일은 상기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1전도성호차 및 제2전도성호차가 모두 상기 제1전도성레일 상에 위치하는 제1위치에서는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이 서로 개방된 개루프회로가 구성되며, 상기 제1전도성호차는 상기 제1전도성레일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전도성호차는 상기 제2전도성레일 상에 위치하는 제2위치에서는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이 상기 전도성호차들에 의해 상기 전원과 폐루프회로를 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창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감지부는 상기 제1전도성호차 및 제2전도성호차의 위치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변하게 되면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창호의 개폐감지구조에 의하면 창호가 설치되는 건축물(특히, 한옥)의 외관을 저해할 수 있는 별도의 감지장치를 설치하지 않으면서 보안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의 개폐감지구조에 의하면 창호에 변형을 가하지 않고서도 창호의 개폐 감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개폐감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개폐감지구조의 개폐 감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개폐감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개폐감지구조의 개폐 감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개폐감지구조(100)는 크게 제1전도성레일(110), 절연부재(120), 제2전도성레일(130), 제1전도성호차(140), 제2전도성호차(150) 및 전도성연결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개폐감지구조(100)는 위와 같은 주요 구성과 함께 개폐감지부, 제어부, 스위치 및 전원공급부 등과 연결되어 창호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 및 제2전도성호차(150)의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창호의 개폐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의 창호는 창과 문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특정 형태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미닫이 창호나 미서기 창호 등과 같이 밀어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창호는 문짝(10)과 문틀(미도시)로 구성되는데, 상기 문짝(10)은 상기 문틀의 홈대(20) 상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문틀의 홈대에는 상기 문짝(10)이 타고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레일로 구성하였다. 상기 전도성레일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전도성레일은 창호의 개폐감지구조를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전도성레일로 구성하였는데,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을 상기 문틀의 홈대(20)에 일렬로 구비하였다.
이때,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은 서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상태로 있어야 하므로, 서로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격된 공간에는 절연부재(1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 사이를 절연함과 함께 상기 문짝(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문짝의 하부면에는 창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호차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호차로 구성하였다. 상기 전도성호차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전도성차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를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전도성호차로 구성하였는데,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와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을 상기 문짝의 하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하였다.
이때,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와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와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판 형태의 전도성연결부재(160)를 사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도성연결부재(160)에는 두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와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가 홈을 통해 상기 문짝(10)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도성연결부재(160)는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와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를 상기 문짝(10)의 하부면에 고정시킴과 함께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절연부재(120)가 구비되는 위치가 중요한데, 창호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와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 사이를 제외한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즉, 도 2와 같이 창호가 닫힌 상태(좌측 도면)에 있을 때 상기 절연부재(120)의 위치는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의 좌측 또는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의 우측에 위치하여야 한다.
창호가 열린상태(도 2의 우측 도면)로 이동하게 되면 즉,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 또는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가 상기 절연부재(120)를 통과하여 이동한 상태에 있게 되면,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 상기 제2전도성호차(15) 및 상기 제2전도성레일(1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창호가 열렸음을 감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 및 제2전도성호차(150)가 모두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 상에 위치하는 제1위치에서는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이 서로 개방된 개루프회로가 구성되며,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는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는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 상에 위치하는 제2위치에서는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이 상기 전도성호차들에 의해 상기 전원과 폐루프회로를 구성한다.
창호가 닫힌 상태(제1위치)에서의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 또는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와 상기 절연부재(120) 사이의 거리는 창호의 열림을 감지할 수 있는 적당한 거리로 설정(예를 들어, 5㎝ 또는 10㎝)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창호가 두 개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절연부재(120)를 두 개 이상 설치하여 각각의 창호에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은 전원공급부의 전원과 연결되는데, 서로 다른 극의 전원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은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은 전원의 음극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감지부는 창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데, 전류센서나 전압센서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창호가 닫힌 상태(제1위치)에서 열린상태(제2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개폐감지부에서는 이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페감지부에서 발생시킨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을 출력하는데, 다양한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고음 발생, 경고등 점등, CCTV 작동이나 경찰서 호출 등을 실행시킬 수 있는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데, 사람의 출입이 잦은 오후 시간대에는 전원을 오프하여 개폐감지구조의 작동을 멈추게 하고, 사람의 출입이 없는 저녁 시간대에는 전원을 온하여 개폐감지구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개폐감지구조(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창호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놓는다. 이때, 창호는 닫힌상태(제1위치)에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과 제2전도성호차(150) 모두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이 서로 개방된 개루프회로가 구성되어 창호의 열림을 감지하지 않는다.
창호의 문이 열리게 되면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가 상기 절연부재(120)를 지나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 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전도성레일(110)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130)이 상기 제1전도성호차(140) 및 상기 제2전도성호차(150)와 함께 폐루프회로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개폐감지부는 창호의 열림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경고음 발생, 경고등 점등, CCTV 촬영시작, 경찰서로의 호출 등을 작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출력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창호의 개폐감지구조(100)는 일반 건축물뿐만 아니라 한옥과 같이 외관을 저해하지 않아야 하는 건축물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창호의 변형을 가하지 않고서도 보안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문짝 20: 홈대
110: 제1전도성레일 120: 절연부재
130: 제2전도성레일 140: 제1전도성호차
150: 제2전도성호차 160: 전도성연결부재

Claims (7)

  1. 문틀의 홈대에 구비되는 제1전도성레일;
    상기 문틀의 홈대에 구비되는데,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절연되는 제2전도성레일; 및
    문짝의 하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도성호차 및 제2전도성호차;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도성호차 및 제2전도성호차의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창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 사이의 이격공간에 구비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성호차 및 상기 제2전도성호차와 모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문짝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전도성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성레일은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전도성레일은 상기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1전도성호차 및 제2전도성호차가 모두 상기 제1전도성레일 상에 위치하는 제1위치에서는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이 서로 개방된 개루프회로가 구성되며, 상기 제1전도성호차는 상기 제1전도성레일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전도성호차는 상기 제2전도성레일 상에 위치하는 제2위치에서는 상기 제1전도성레일과 상기 제2전도성레일이 상기 전도성호차들에 의해 상기 전원과 폐루프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창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감지부는 상기 제1전도성호차 및 제2전도성호차의 위치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변하게 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KR1020150027866A 2015-02-27 2015-02-27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KR10155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66A KR101553832B1 (ko) 2015-02-27 2015-02-27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66A KR101553832B1 (ko) 2015-02-27 2015-02-27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832B1 true KR101553832B1 (ko) 2015-09-30

Family

ID=5424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866A KR101553832B1 (ko) 2015-02-27 2015-02-27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592B1 (ko) 2016-04-06 2017-11-03 주식회사 앰버스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1133A (ja) 2002-11-18 2004-06-17 Panahome Corp 防犯装置
JP2007087353A (ja) 2005-09-20 2007-04-05 Susumu Iwasaki 引き違い戸用防犯警報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1133A (ja) 2002-11-18 2004-06-17 Panahome Corp 防犯装置
JP2007087353A (ja) 2005-09-20 2007-04-05 Susumu Iwasaki 引き違い戸用防犯警報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592B1 (ko) 2016-04-06 2017-11-03 주식회사 앰버스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57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vable barrier system
DE50306192D1 (de) Türspaltüberwachung
US9410372B2 (en) Alarm system for rolling shutters
KR101553832B1 (ko)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KR20190061623A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US10371440B2 (en) Cooling appliance
JP5669095B2 (ja) 開閉検出装置
CN204081707U (zh) 门窗安全系统的感应器模块
KR101395535B1 (ko) 자기를 이용한 창호 시스템
JP4929123B2 (ja) 一体性の向上した二つの要素の相対位置の検出装置
KR200390624Y1 (ko)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KR101746936B1 (ko) 벨트리스 타입 자동문 개폐시스템
EP3250769B1 (en) A door or window assembly, a security method and a method for making a door or window assembly
GB1468910A (en) Control arrangements for power operated sliding doors
KR101470444B1 (ko) 자동 작동방식의 창문 경보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방법
KR100798362B1 (ko) 침입방지용 창호
GR1010355B (el) Επαφη ανοιγομενων και ανακλινομενων πορτων και παραθυρων
JP2006200222A (ja) 開閉装置
WO2017022415A1 (ja) 挟み込み検出装置
KR20210047443A (ko) 자석부 및 스위치부를 갖는 철문향 보안장치
CN209448832U (zh) 户外通信监控装置
KR101061147B1 (ko) 소리 나는 도어 핸들
JP2008190292A (ja) 開閉装置
CN107780732B (zh) 一种联动闭门器
WO2007147115A3 (en) Capacitive sensors allowing contact detection of non-conducting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