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592B1 -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592B1
KR101793592B1 KR1020160041983A KR20160041983A KR101793592B1 KR 101793592 B1 KR101793592 B1 KR 101793592B1 KR 1020160041983 A KR1020160041983 A KR 1020160041983A KR 20160041983 A KR20160041983 A KR 20160041983A KR 101793592 B1 KR101793592 B1 KR 10179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unit
movement
sensor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652A (ko
Inventor
엄재욱
나기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버스
(주)노보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버스, (주)노보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버스
Priority to KR1020160041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5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의 이동을 나타내는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감지부; 및 적어도 상기 이동 감지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창문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인 경우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알람 신호를 출력부를 이용해 출력하거나 상기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범용 창문 센서 및 이러한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CRIME PREVENTION SENSOR FOR WINDOW AND CRIME PREVENTION SYSTEM COMPRISING THE SENSOR}
본 발명은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신규한 방범용 창문 센서의 구조를 이용하여 창문의 개폐 및 창문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문을 연 상태에서도 외부 침범을 감지하고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범시장이 활성화되어 많은 기업과 가정에서 방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방범시장은 주로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는데, 방범 시스템은 출입문, 창문 등을 통한 외부 침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출입문이나 창문 등을 통한 외부 침입(침범)을 감지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센서가 알려져 있다. 외부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자석 센서, 열감지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이 있다. 이러한 센서들을 활용하여 방범 시스템은 출입문이나 창문 등을 통한 무단 외부 침입을 감지하고 외부 침입 감지 시에 경고 신호 등을 출력한다.
외부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기존 센서들과 이를 적용한 방범 시스템은 여러가지 불편함과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자석 센서의 경우에는 단순히 창문 등의 개폐만을 감지가능하고 외부 자장 교란에 의해서 그 기능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열감지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은 외부 열, 초음파, 적외선 등을 감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전력소모가 필요하다. 그에 따라 방범용 센서가 상용 전원에 직간접으로 연결되거나 대용량의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배터리를 자주 교환해야 한다.
또한, 기존 알려진 방범 시스템은 창문의 개폐를 감지하지만 열린 상태에서 창문 등이 더 열리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여 항상 창문 등을 닫고 있도록 요구하거나 창문을 연 상태에서는 방범 기능이 해제되도록 요구한다.
즉, 여름철 등에 가정의 사용자가 창문을 열어놓은 상태에서도 외부 침입자 등에 의한 창문 이동을 감지하여 이를 경고할 필요성이 항상 존재한다.
이와 같이, 기존 알려진 여러 불편함이나 문제점 등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기계적 구조를 적용하여 창문의 개폐와 창문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 등이 열린 상태에서도 창문의 이동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외부 침입에 대한 경고를 출력할 수 있는,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적 구조와 기계적 구조로부터 동적으로 출력되는 신호로 전원 회로를 구동하여 외부 침입 감지를 위해 소비되는 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 시스템은 창문의 이동을 나타내는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감지부; 및 적어도 상기 이동 감지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창문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인 경우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알람 신호를 출력부를 이용해 출력하거나 상기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은 기계적 구조를 적용하여 창문의 개폐와 창문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은 창문 등이 열린 상태에서도 창문의 이동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외부 침입에 대한 경고를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은 감시 상태에서 스위치와 이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는 간단한 회로를 구동하는 전력만을 소비하므로 전력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감시 상태에서는 작은 전력만을 소모하는 전력 관리부를 이용해 주 전원 공급부를 통한 전력 소모를 게이팅하므로 전력소모를 한층 더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방범용 창문 센서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방범용 창문 센서의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창문이 닫힌 경우에 상단측 기구물과 하단측 기구물이 결합된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창문이 열린 경우에 상단측 기구물과 하단측 기구물이 분리된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열림 감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방범용 창문 센서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열림 감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두 기구물의 결합시 및 분리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이동 감지부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예시적인 방범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방범용 창문 센서(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방범용으로 이용되는 창문 센서(100)는 이동 감지부(110), 열림 감지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통신부(150), 전원 공급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창문 센서(100)의 설계 예에 따라 특정 블록이 생략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이 이 창문 센서(1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 출력부(140) 및/또는 통신부(150)는 창문 센서(100)의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1의 각 블록들을 살펴보면,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30)는 버튼(예를 들어 푸쉬 버튼), 터치패널, 터치패드,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창문 센서(1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창문 센서(100)가 부착된 창문을 실내 사용자에 의해서 개폐를 하거나 현재 열린 상태보다 더 많이 열거나 덜 열게하는 경우에 이를(이러한 의도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부(130)가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의 정당 사용자는 입력부(130)에 구비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또는 누른 이후에 창문 센서(100)가 부착된 창문을 개폐하거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이동 감지 신호의 수신에 따른 창문의 이동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하나 이상의 LED, 부저, 스피커 등을 포함하여 창문 센서(100)의 현재 상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70)에 연결되어 알람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창문을 통한 외부 침범을 나타내기 위한 알람 신호를 부저, 스피커 등을 통해서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유선 랜, 무선 랜, 지그비, 블루투스 등과 같은 유선의 또는 무선의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게이트웨이(400)(예를 들어 공유기)에 연결되고 게이트웨이(400)로 창문 센서(100)의 현재 상태나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창문 센서(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게이트웨이(400; 도 8)를 통해 인증된 휴대형 단말기(500)로부터 창문 센서(100)가 부착된 창문을 열거나 닫거나 이동하여도 이상 상태로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제어 데이터가 있으며, 이동 감지 신호의 수신에 따른 창문의 이동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제어 데이터는 휴대형 단말기(500)의 화면에 표시된 버튼 눌림에 따라서 발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버튼 눌림에 따른 제어 데이터는 버튼의 눌림에 따라 계속 생성되어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하거나 한 번의 버튼 눌림에 따라 1회에 한해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나 제어 데이터의 수신이 있으면서, 이동 감지 신호 및 열림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할 때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것인 경우, 또는 열린 상태에서 더 닫히는 것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정당한 것으로 판단토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창문이 부분적으로 열린 상태에서 침입자가 정당한 사용자를 가장하여 입력부(130)를 누른 상태에서 더 열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더라도,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경우와, 열린 상태에서 더 닫히는 경우와, 열린 상태에서 일단 완전히 닫은 후 열리는 경우에는 정당한 것으로 하며,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 더 열리는 것은 이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유무선의 근거리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 칩셋(변복조용 칩셋)이나 안테나 등을 구비한다.
전원 공급부(160)는 창문 센서(100)에서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60)는 주 전원 공급부(163), 전원 관리부(165) 및 전원 소스(161)를 포함하며, 주 전원 공급부(163) 및 전원 관리부(165)가 통합되어 구성되거나 전원 관리부(165)는 전원 공급부(160)와는 별도로 구성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소스(161)는 특정 레벨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전원 소스(161)는 예를 들어 리튬이온, 리튬폴리머 타입의 배터리이거나 건전지 등일 수 있다.
전원 관리부(165)는 전원 소스(161)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에서 전원 관리부(165)의 동작을 위한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한다. 전원 관리부(165)는 전원 소스(161)의 전압과 상이한 전압에서 동작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전원 소스(161)로부터 보조 전원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전원 레귤레이터(regul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65)는 이동 감지부(110) 및 열림 감지부(12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바, 구체적으로는 이동 감지부(110) 및 열림 감지부(120)에 포함된 스위치의 접점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관리부(165)는 전원 또는 접지에 연결되는 풀업 저항 또는 풀다운 저항 등을 포함하는 회로 구성과 스위치 접점과의 전기적 연결을 통하여 스위치의 접점 상태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접점 상태를 바탕으로, 전원 소스(161)를 주 전원 공급부(163)에 연결할지 또는 주전원 공급부(163)가 주 전원을 공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이동 감지부(110) 및 열림 감지부(120)는 기계적 소자(예를 들어 물리적 스위치, 휠, 암 등)를 활용 구성되어 있고 스위치 접점의 상태 감시를 위하여 전원 관리부(165)는 소량의 전력만을 소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사하게 전원 관리부(165)는 입력부(130)에 포함되는 스위치 접점의 상태 감시를 병행해서 수행할 수도 있다,
주 전원 공급부(163)는 창문 센서(100)의 주요한 블록에 주(main)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 전원 공급부(163)는 전원 소스(161)의 전원으로부터 요구되는 전원 레벨의 주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70), 나아가 출력부(140), 통신부(150) 등에 주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 레벨의 변환 등이 불필요한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전원 관리부(165)는 하나 이상의 전력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전력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주전원 공급부(163)에 공급되는 전원 소스(161)의 전원을 게이팅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게이팅은 이동 감지부(110) 및 열림 감지부(120)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관리부(165)는 제어부(170)로부터 주 전원을 차단해도 좋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주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이동 감지부(110) 또는 열림 감지부(120)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스위치의 접점 상태가 변동된 것을 감지한 경우 주전원 공급부(163)가 주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주 전원 공급부(163)에서 출력되는 주 전원에 의해 제어부(170)는 구동될 수 있고 주 전원의 인가 시작으로 제어부(170)는 동작을 시작하고 창문 센서(100)에 대한 각종 상태를 판단하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공급부(160)의 구성을 통해, 외부 침범 등의 상황이 없는 경우에는 외부 침범을 감지하기 위한 극소의 전력 소비만을 야기하여 전력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대기 상태에서 제어부(170)에 대한 전력을 완전 차단하는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실시 형태와 같이 대기 상태에서는 저전력소비 모드 또는 슬립 모드에서 제어부(170)가 동작하는 것으로 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제어부(170)는 이동 감지부(110) 또는 열림 감지부(120)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또는 이를 감지한 전원 관리부(16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저전력소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이동 감지부(110)는 창문 센서(100)가 설치된 창문의 이동(예를 들어 좌우 이동)을 감지하는 바, 창문 이동이 감지된 경우 이를 나타내기 위한 이동 감지 신호를 이동 감지부(110)가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감지부(110)는 내부에 구비된 이동 감지 수단을 통해서 현재 창문의 상태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의 이동을 인식한 경우에 이를 나타내기 위한 지정된 전원 레벨을 스위칭하는 이동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동 감지부(110)의 예시적인 구성예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열림 감지부(120)는 창문 센서(100)가 설치된 창문의 열림 여부를 감지하는 바, 창문의 열림 여부를 나타내는 열림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열림 감지부(120)는 내부에 구비된 열림 감지 수단을 통해 닫힌 상태에서 창문의 열림을 인식한 경우 이를 나타내기 위한 지정된 전원 레벨의 열림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만일 열림이 인식되지 않는 동안에는 열림 감지 신호와 상이한 전원 레벨의 신호가 동일한 신호 라인을 통해 출력된다. 열림 감지부(120)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통해서 좀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창문 센서(10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주 전원의 인가에 따라 동작이 시작되고 다른 블록들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방범과 관련된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가 인식된 경우 이를 나타내는 알람 신호 등을 출력부(140)나 통신부(150)를 통해서 출력한다.
제어부(170)는 창문 센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나 로직에 따라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주 전원의 인가에 따라 내장된 또는 외부의(도면 미도시) 비휘발성 메모리의 프로그램 코드를 로딩하고 이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하여 창문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CPU, MPU 등일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동작과 제어에 대해 살펴보면, 주 전원이 인가됨에(인가 시작됨에) 따라 제어부(170)는 부팅을 시작하여 프로그램 코드를 로딩하고 창문 센서(1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하며, 부팅을 생략하는 등의 스킴을 적용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코드의 수행 시작 이후에, 제어부(170)는 현재의 창문 상태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특정 신호 입력 이전의 종전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방범용 창문 센서(100)가 설치된 창문이 현재 닫힌 상태인지 또는 열린 상태인지를 결정하는 것과 함께 이전 상태를 알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원의 공급을 야기한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외부 침범에 따른 이상 상태로 판단하거나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통해 좀 더 살펴보면, 제어부(170)는 열림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열림 감지 신호에 의한 창문의 방범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또는 이상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열림 감지 신호의 수신 (전)후에, 입력부(130)나 통신부(150)를 통해서 열림 감지 신호의 생성이 창문의 사용자에 의한 동작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이러한 사용자 입력 및/또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70)는 열림 감지 신호에 의한 창문의 열림이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열림으로 인식하고 그에 따라 창문의 방범 상태를 정상 상태로 설정하고 창문의 (개폐) 상태를 열림 상태로 설정하고 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휴대형 단말기(500)에 의해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고,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400)을 경유하여 창문센서(100)의 통신부(150)에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통신부(15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어야 하는 바, 창문센서(100)의 통신부(15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통신이 불가하므로, 게이트웨이(400) (또는 휴대형 단말기(500))가 휴대형 단말기(500)에 의한 사용자의 의도를 저장하고 있다가, 주 전원이 공급된 후 제어부(170)가 열림 감지 신호 또는 이동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400) 등으로부터 전달받을 제어 데이터가 없는지를 우선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 등은 이상 상태의 보고를 받더라도 저장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무시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입력이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제어부(170)는 외부 침범(침입)에 의해서 열림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고 창문의 방범 상태를 이상 상태로 설정하고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알람 신호를 출력부(140)를 통해서 출력하거나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부(150)를 통해서 통신 네트워크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창문의 닫힘을 열림 감지 신호를 통해서 인식할 수 있다. 창문이 닫힌 경우에 제어부(170)는 창문의 개폐 상태를 닫힘 상태로 설정하고 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이동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동 감지 신호에 의한 창문의 방범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또는 이상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이동 감지 신호의 수신 (전)후에, 입력부(130)나 통신부(150)를 통해서 이동 감지 신호의 생성이 창문의 사용자에 의한 동작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이러한 사용자 입력 및/또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70)는 이동 감지 신호에 의한 창문의 좌우 이동이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이동으로 인식하고 그에 따라 창문의 방범 상태를 정상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입력이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제어부(170)는 외부 침범에 의해서 이동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고 창문의 방범 상태를 이상 상태로 설정하고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알람 신호를 출력부(140)를 통해서 출력하거나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부(150)를 통해서 통신 네트워크로 출력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이동 감지 신호나 열림 감지 신호의 인식시에 입력부(130)를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이나 통신부(150)를 통해서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 감지 신호나 열림 감지 신호에 따른 창문에 대한 상태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각종 설정이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신호의 수신과 이후 상태 판단 이후에, 창문의 방범 상태가 정상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신호 수신이나 상태 판단후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 등) 경과 후에 주 전원 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되는 주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원 관리부(165)로 출력한다.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전원 관리부(165)는 전력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하여 전원 소스(161)로부터 주전원 공급부(163)로 가는 전력의 경로를 차단한다.
도 2는 방범용 창문 센서(100)의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방범용 창문 센서(100)는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두 개의 기구물로 구성된다. 하나의 기구물(이하 '상단측 기구물(180)'이라고 함)은 방범 시스템(10)의 내측 창문(300)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기구물(이하 '하단측 기구물(190)'이라고 함)은 방범 시스템(10)의 외측 창문(200)에 고정된다.
상단측 기구물(180)과 하단측 기구물(190)은 창문이 닫힌 경우에 일체 결합되고 창문(내측 창문(300))이 열린 경우에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상단측 기구물(180)과 하단측 기구물(190)은 도 1의 블록들을 수용(포함)하고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단측 기구물(180)은 제어부(170), 입력부(130), 출력부(140), 통신부(150), 이동 감지부(110) 및 전원 공급부(160)과 열림 감지부(120)의 일부 구성을 수용(포함)하며, 하단측 기구물(190)은 열림 감지부(120)의 다른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창문이 닫힌 경우에 상단측 기구물(180)과 하단측 기구물(190)이 결합된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창문이 조금 열린 경우에 상단측 기구물(180)과 하단측 기구물(190)이 분리된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창문용 방범 시스템은, 레일을 이용해 좌우로 이동 가능한 내측 창문(300) 및 외측 창문(200)에 두 개의 기구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 창문(300)과 외측 창문(200)에 각각 고정되어 외부 침범(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방범용 창문 센서(100)를 포함한다.
두 개의 기구물 중 상단측 기구물(180)은 양면테이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내측 창문(300)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단측 기구물(180)은 내측 창문(300)과 외측 창문(200) 사이의 내측 창문(300) 측면 창틀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될 수 있다. 하단측 기구물(190)은 외측 창문(200)에 고정되고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내측 창문(300)에 바로 인접하는 외측 창문(20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설치를 위해, 먼저 상단측 기구물(180)과 하단측 기구물(190)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 창문(200)의 특정 위치 영역에 하단측 기구물(190)이 고정 수단(예를 들어 양면테이프 등)을 통해서 고정되며, 상단측 기구물(180)이 고정 수단을 통해서 내측 창문(300)에 또한 고정된다. 이후 두 개의 기구물은 두 기구물의 기계적 구조를 통해서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창문이 닫힌 경우에는 두 개의 기구물이 기계적 또는 물리적으로 완전히 결합되어 있고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창문이 열린 경우에는 상단측 기구물(180)과 하단측 기구물(190)이 기계적 또는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된다.
도 5 및 도 6은 열림 감지부(1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두 기구물의 결합시 및 분리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열림 감지부(120)는 하단측 기구물(190)에서 회전축(121)과, 회전축(121)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1 회전암(123)과, 다른 방향에서 회전축(121)에 연결되어 회동하되 제 1 회전암(123)과 일체로 결합되어 대략 'ㄱ'자 형상으로 되는 제2 회전암(125)을 포함하며, 상단측 기구물(180)에서는 스위치(127)(이하 '열림 스위치(127)'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열림 감지부(120)는 물리적 및/또는 기계적인 구성을 통해서 창문의 열림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회전암(123) 및 제2 회전암(125)은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ㄱ'자 형상의 일체로 구성되며, 열림 스위치(127)는 제2 회전암(125)의 선단에 의해 눌릴 수 있다.
열림과 닫힘을 나타내기 위한 열림 감지부(12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회전암(123)이나 제2 회전암(125)의 회전(이동)은 일체로 결합된 다른 회전암(제2 회전암(125) 또는 제1 회전암(123))의 회전을 야기한다. 상단측 기구물(180)이 하단측 기구물(190)에 결합(창문의 닫힘)됨에 따라, 상단측 기구물(180)은 제1 회전암(123)을 밀어 제1 회전암(123)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그에 따라 제2 회전암(125) 또한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고 제2 회전암(125)은 상단측 기구물(180)의 열림 스위치(127)를 누르게 된다(도 6의 (b) 참조). 열림 스위치(127)의 눌림에 따라 열림 감지부(120)는 닫힘 상태로 변경된 열림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만일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경우에, 열림 감지부(120)의 제2 회전암(125)은 더 이상 열림 스위치(127)를 누를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열림 감지부(120)는 열림 감지 신호와는 반대의 전원 레벨을 가지는 신호를 동일한 신호 라인을 통해서 출력한다. 또한, 제2 회전암(125)은 상단측 기구물(180)의 측면에 의해 뒤로 물러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회전암(123)도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게 된다.
도 7은 이동 감지부(110)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이동 감지부(110)는 상단측 기구물(180) 내에 구성되며,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감지부(110)는 회전 휠(111), 회전축(117), 캠(113) 및 이동 스위치(115)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또는 물리적으로 구성된다.
이동 감지부(110)의 회전 휠(111)은 외측 창문(200)에 밀착하며, 내측 창문(300) 또는 외측 창문(20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외측 창문(200)의 유리창과 회전 휠(11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유리창을 따라 회전한다. 회전 휠(111)에는 회전축(117)이 결합하여 회전축(117)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회전 휠(111)의 회전에 따라 회전 휠(111)의 회전축(117)에 결합 연결되어 있는 캠(113)(cam) 역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캠(113)은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점차 변하는 외경을 가지는 바, 예를 들면 일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이 돌출 부위는 회전 휠(111)의 회전에 따라 역시 회전하고 한 바퀴를 돌 때마다 돌출 부위가 이동 스위치(115)를 누른다. 이동 스위치(115)의 눌림에 따라 이동 감지부(110)는 지정된 전위 레벨을 스위칭하는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외측 창문(200)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이동 감지부(110)의 회전 휠(111)과 연결된 캠(113)을 이용하여 회전 휠(111)이 예를 들어 1회씩 회전할 때마다 1회의 전위 레벨 스위칭이 있는 이동 감지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170)로 출력된다. 창문 프레임 내에서 내측 창문(300) 또는 외측 창문(200)이 더 열리거나 더 닫힐 때마다 회전 휠(111)의 회전수만큼의 이동 감지 신호가 제어부(170)로 출력된다.
도 8은 예시적인 방범 시스템(10)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방범 시스템(10)은 방범용 창문 센서(100), 게이트웨이(400) 및 휴대형 단말기(500)를 포함하고 방범용 창문 센서(100)가 부착되는 내측 창문(300) 및 외측 창문(200)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방범 시스템(10)은 방범용 창문 센서(100)의 구성에 따라 게이트웨이(400) 및/또는 휴대형 단말기(500)를 생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범용 창문 센서(100)가 휴대형 단말기(500)에 연결되지 않거나 독립적으로 알람을 출력하는 경우에 게이트웨이(400) 및/또는 휴대형 단말기(500)는 생략될 수 있다.
이미, 도 1 내지 도 7을 통해서 방범용 창문 센서(100)와 그 외 다른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방범용 창문 센서(100)는 이동 감지부(110) 및/또는 열림 감지부(120)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침범 여부를 감지(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른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게이트웨이(400)로 출력한다.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랜이거나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400)는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고 지정된 휴대형 단말기(50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400)는 무선 랜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공유기이거나 공유기에 일체로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400)는 휴대형 단말기(500)와 통신을 위한 설정을 미리 구성하고 방범용 창문 센서(100)로부터 수신된 이상 상태의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기(500)로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기(5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기(500)는 게이트웨이(400)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500)는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방범용 창문 센서(100)의 제어에 이용될 이미지들(예를 들어 버튼 이미지)을 디스플레이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특정 버튼의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선택 신호는 방범 시스템(10)의 허가된 사용자가 창문을 개폐하거나 열린 상태에서 더 열거나 적게 열고자 할 때 이를 나타내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형 단말기(500)는 선택 신호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게이트웨이(400)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출력한다. 게이트웨이(400)는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방범용 창문 센서(100)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방범용 창문 센서(100) 또는 게이트웨이(400)는 이동 감지 신호나 열림 감지 신호의 인식, 또는 이상 상태의 보고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창문의 열림이나 창문의 이동으로 인식하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반면에 입력부(130)의 입력 신호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방범용 창문 센서(100) 또는 게이트웨이(400)는 외부 침입에 따른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알람 신호(예를 들어 부저 신호)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고 통신부(150)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휴대형 단말기(500)등)로 하여금 즉각적으로 외부 침입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방범 시스템
100 : 창문 센서
110 : 이동 감지부
111 : 회전 휠 113 : 캠
115 : 이동 스위치 117 : 회전축
120 : 열림 감지부
121 : 회전축 123 : 제1 회전암
125 : 제2 회전암 127 : 열림 스위치
130 : 입력부 140 : 출력부
150 : 통신부 160 : 전원 공급부
161 : 전원 소스 163 : 주 전원 공급부
165 : 전원 관리부
170 : 제어부
180 : 상단측 기구물 190 : 하단측 기구물
200 : 외측 창문 300 : 내측 창문
400 : 게이트웨이 500 : 휴대형 단말기

Claims (12)

  1. 창문의 이동을 나타내는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감지부; 및
    적어도 상기 이동 감지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창문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인 경우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알람 신호를 출력부를 이용해 출력하거나 상기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창문의 열림 여부를 나타내는 열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열림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림 감지 신호를 더 이용하여 상기한 창문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열림 감지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ㄱ'자 형상의 일체로 된 제1 회전암 및 제2 회전암과, 상기 제2 회전암의 선단에 의해 눌릴 수 있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방범용 창문 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전원 관리부 및 주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관리부는 적어도 상기 이동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소스로부터 상기 주 전원 공급부로의 전력 경로를 게이팅하며,
    상기 주 전원 공급부는 적어도 상기 제어부에 주 전원을 공급하는,
    방범용 창문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부는, 외측 창문에 밀착되어 외측 창문 또는 내측 창문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휠, 상기 회전 휠의 축에 연결된 캠(cam) 및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는,
    방범용 창문 센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부와 상기 열림 감지부의 상기 제 2 스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 1 기구물은 내측 창문에 설치되며,
    상기 열림 감지부의 상기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암 및 상기 제2 회전암을 적어도 포함하는 제 2 기구물은 외측 창문에 설치되는,
    방범용 창문 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상기 이동 감지 신호의 수신에 따른 창문의 이동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범용 창문 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며, 상기 이동 감지 신호 및 상기 열림 감지 신호를 기초로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것인 경우에는 정당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범용 창문 센서.
  9.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제어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이동 감지 신호의 수신에 따른 창문의 이동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범용 창문 센서.
  10. 삭제
  11. 창문의 이동을 나타내는 이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감지부; 및
    적어도 상기 이동 감지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창문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인 경우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알람 신호를 출력부를 이용해 출력하거나 상기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범용 창문 센서는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두 개의 기구물로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기구물 중 제1 기구물은 내측 창문의 창틀에 고정되고 상기 두 개의 기구물 중 제2 기구물은 외측 창문에 고정되는,
    방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구물은 상기 방범용 창문 센서의 상기 이동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며,
    상기 이동 감지부는 상기 외측 창문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회전 휠을 이용하여 내측 창문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이동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방범 시스템.
KR1020160041983A 2016-04-06 2016-04-06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10179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83A KR101793592B1 (ko) 2016-04-06 2016-04-06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83A KR101793592B1 (ko) 2016-04-06 2016-04-06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52A KR20170114652A (ko) 2017-10-16
KR101793592B1 true KR101793592B1 (ko) 2017-11-03

Family

ID=6029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983A KR101793592B1 (ko) 2016-04-06 2016-04-06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5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353A (ja) 2005-09-20 2007-04-05 Susumu Iwasaki 引き違い戸用防犯警報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9128953A (ja) * 2007-11-20 2009-06-11 Atsumi Electric Co Ltd 侵入警報システム
JP2013065329A (ja) * 2012-11-13 2013-04-11 Toyota Home Kk 建物用防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KR101424077B1 (ko) 2013-09-27 2014-08-13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KR101553832B1 (ko) 2015-02-27 2015-09-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353A (ja) 2005-09-20 2007-04-05 Susumu Iwasaki 引き違い戸用防犯警報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9128953A (ja) * 2007-11-20 2009-06-11 Atsumi Electric Co Ltd 侵入警報システム
JP2013065329A (ja) * 2012-11-13 2013-04-11 Toyota Home Kk 建物用防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KR101424077B1 (ko) 2013-09-27 2014-08-13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KR101553832B1 (ko) 2015-02-27 2015-09-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52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7769B2 (en) Entry point opening sensor
US11920399B2 (en) Compact door closer
US1181196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US8839557B2 (en) Automatic door closer
ES2964996T3 (es) Cerradura de puerta, método de control de cerradura de puerta
US20040187387A1 (en) Device for closing a building or enclosure and drive device and control device and control therefor
US20190130673A1 (en) Garage door opener with touch sensor authentication
WO2020160204A1 (en) Smart-device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event
KR101793592B1 (ko)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TWI532017B (zh) 無線遙控方法、無線子機以及開關控制裝置
KR20190010064A (ko) IoT센서기술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 환경정보와 연동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JP2002054351A (ja) 開閉装置の通信システム、非開閉体側通信装置、及び開閉体側通信装置
KR101661473B1 (ko) 디지털 도어락
KR200365497Y1 (ko) 미닫이 창문용 경보장치
KR102083739B1 (ko) 900㎒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가 설치형 보안 시스템
JP4407809B2 (ja) 施錠確認用無線タグ通信システム
JP4747825B2 (ja) 防犯システム
CN106600864B (zh) 防盗系统中的报警方法
KR101450278B1 (ko) 전력소모를 절감한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KR20220065295A (ko) 비접촉 자동문 개폐스위치
WO2024068040A1 (en) Alarm system
TW200944641A (en) Autonomic intelligent electronic lock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JP2004185383A (ja) 無線センサシステム
TWM589400U (zh) 智慧家居控制系統
KR20040110854A (ko) 원격 검침용 미터기의 조작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