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064A - IoT센서기술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 환경정보와 연동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Google Patents

IoT센서기술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 환경정보와 연동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064A
KR20190010064A KR1020170092247A KR20170092247A KR20190010064A KR 20190010064 A KR20190010064 A KR 20190010064A KR 1020170092247 A KR1020170092247 A KR 1020170092247A KR 20170092247 A KR20170092247 A KR 20170092247A KR 20190010064 A KR20190010064 A KR 20190010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formation
controller
detection sensor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남
Original Assignee
블루테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테크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테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0064A/ko
Publication of KR2019001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은, 창호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제1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의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동작감시센서의 정보로부터 창호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의 정보를 제어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한다.

Description

IoT센서기술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 환경정보와 연동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WINDOWS AND DOORS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SOFTWARE FOR WINDOWS AND DOORS SYSTEM}
본 발명은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IoT센서기술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 환경정보와 연동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문 및 창문을 의미하는 창호는 모든 건물의 출입, 미관 및 환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창호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 자동개폐 등의 각종 자동화 기능을 부여한 기능형 창호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슬라이드식 또는 회전식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문을 자동으로 개폐시켜 주는 자동문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람이 문 앞에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와: 문을 개폐시켜 주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한 모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해 주는 모터 드라이버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회전 센서와; 상기한 적외선 센서를 통하여 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람이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한 모터 드라이버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문을 개폐시켜 주는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러와: 상기한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문의 개방 폐쇄 위치와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한 컨트롤러의 리셋과 제어에 펼요한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발달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센서기술 등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998-00746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창호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득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외부의 날씨 등과 연계하여 창호를 동작시킬 수 있고, 외부의 환경 조건 및 창호의 동작 상태를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최적의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은, 창호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제1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의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동작감시센서의 정보로부터 창호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의 정보를 제어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추출한 정보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제2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상기 창호를 통해 이동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상기 창호를 통해 이동하는 물체가 감지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물체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전자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에 따른 결과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추출한 정보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날씨 정보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날씨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된 결과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추출한 정보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날씨 정보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날씨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에 따른 결과 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받은 결과 신호에 따라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는, 창호 시스템으로부터 창호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날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창호의 정보 및 날씨 정보를 상호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창호 시스템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창호의 정보는 창호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창호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창호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득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외부의 날씨 등과 연계하여 창호를 동작시킬 수 있다. 외부의 환경 조건 및 창호의 동작 상태를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최적의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창호를 통해 출입하는 대상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통해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oT 관련 기술의 적용에 부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창호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의 운영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의 운영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제어하는 창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1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100)의 운영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100)은, 창호(10)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10);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어부(122)하는 컨트롤러(120)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제1 통신 수단(12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수단(121)에 의해 상기 동작감지센서(110)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110)의 정보를 제어부(122)하는 제어부(122)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2)부는 상기 수신된 동작감시센서의 정보로부터 창호(10)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110)의 정보를 제어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한다.
동작감지센서(110)는 창호(10)의 동작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는 창호(10)에 근접하거나 창호(10)를 통하여 이동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창호(10)의 동작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는 감지된 정보를 외부의 컨트롤러(120)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유선 및 무선을 포함하며, 신호의 종류는 전류, 전파 등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동작감지센서(110)가 획득하는 정보는 창호(10)의 현재 상태, 특정시간 동안 창호(10)가 열린 횟수 또는 닫힌 횟수, 창호(10)가 지속적으로 열린 시간 및 창호(10)가 지속적으로 닫힌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창호(10) 근처에 물체가 접근하는지 여부, 창호(10)를 통과하여 물체가 이동하는 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는 개폐되는 창호(10)의 창과 상기 창에 대응되는 창틀에 매립 등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는 창호(10)의 개폐 여부 등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제1 통신 수단(121) 및 제어부(122)부를 포함한다.
제1 통신 수단(121)은 동작감지센서(110)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 수단(121)은 동작감지센서(110)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통신 수단(121) 및 동작감지센서(110)는 수신부 및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통신 수단(121)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동작감지센서(110) 및 제1 통신 수단(121)은 각각 RS232 등의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이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동작감지센서(110) 및 제1 통신 수단(121)은 각각 RF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와이브로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2)부는 수신된 동작감지센서(110)의 정보를 제어부(122)한다. 상기 제어부(122)부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창호(10) 시스템을 제어부(122)하는 소프트웨어가 기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부는 동작감지센서(110)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류하거나 특정한 정보로 연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22)부는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창호(10)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2)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110)에서 수신된 정보를 연산하여 창호(10)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상기 제어부(122)부에서 추출된 정보를 외부의 전자기기(20)로 송신하는 제2 통신 수단(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수단(123)은 제어부(122)부에 의해 제어부(122)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자기기(20)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통신 수단(123)는 수신부 및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통신 수단(123)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수단(123)은 RS232 등의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의 전자기기(20)와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수단(123)은 RF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와이브로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20)는 상기 동작감지센서(110)에서 전달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로서, 건물 내에 배치된 홈시스템, 사용자의 단말기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폰, 데스크탑, 노트북, 탭북, PDA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는 상기 창호(10)를 통해 이동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는 상기 창호(10)를 통해 이동하는 물체가 감지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120)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120)는 상기 물체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전자기기(20)에 전달할 수 있다.
만일, 애완동물 등이 지정된 장소를 이탈하는 경우, 외부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감지센서(110)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정보에 대한 신호를 컨트롤러(12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제1 통신 수단(121)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22)부는 상기 신호를 처리하여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애완동물이 이탈하였다거나 외부의 침입이 있다는 정보를 제2 통신 수단(123)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기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100)의 다른 운영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120)는,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뿐 아니라,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상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에 따른 결과를 외부의 전자기기(20)로 전달하는 창호(1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0)에 정보를 송신하는 외부란, 전자기기(30)로서 단말기 등의 외부의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건물 내에 배치된 에어컨, 도어락, 다른 창호 시스템의 컨트롤러, 홈시스템 등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0)가 정보를 송신하는 외부의 전자기기(20)는 단말기 또는 창호(1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일 수 있다.
일 예로, 에어컨이 가동하고 있음에도 창호(10)가 열려있는 경우 컨트롤러(120)는 상기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트롤러(120)는 창호(1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에 창호(10)를 닫도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100)의 운영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통신 수단(123)은 외부의 전자기기(20)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1 통신 수단(121)은 동작감지센서(110)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2)부는 제1 통신 수단(121)을 통해 동작감지센서(110)의 작동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동작감지센서(110)가 외부의 침입 여부에 대하여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 민감도를 변경할 수 있고, 창호(10)가 닫힌 상태인 시간이 오래되었다는 경고를 송신하는 기준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외부의 전자기기(20)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22)부에 명령을 주고, 상기 제어부(122)부가 앞선 기재와 같이 동작감지센서(110)를 제어부(122)할 수 있도록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100)에서, 상기 컨트롤러(120)는 외부의 전자기기(20)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2 통신 수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2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날씨 정보이고, 상기 컨트롤러(120)는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20)로부터 수신한 날씨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된 결과를 외부의 전자기기(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0)의 제2 통신 수단(123)이 수신하는 날씨 정보는, 건물이 위치한 지역의 현재 일기에 대한 정보이거나 일기 예보일 수 있다. 또한, 비, 눈 또는 우박이 오는 지 여부, 미세먼지 농도 등의 대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씨 정보는 외부의 전자기기(20), 예를 들면 사용자의 단말기, 홈시스템 또는 IP TV 등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제2 통신 수단(123)을 이용하여 상기 날씨 정보를 외부의 전자기기(20)로부터 수신하고, 제1 통신 수단(121)을 이용하여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창호(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2)부는 상기 제1 통신 수단(121) 및 제2 통신 수단(123)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는 정보의 분류, 정보의 선별, 정보의 가공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부에서 처리된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수단(123)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기기(20), 예를 들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의 전자기기(20)로부터 비가 온다는 정보가 포함된 날씨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창호(10)가 열린 상태라는 정보가 포함된 창호(1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122)부는 비가 온다는 정보 및 상기 창호(10)가 열린 상태라는 정보를 선별하여 제2 통신 수단(123)을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22)부는 비가 오고 있으므로 창호(10)를 닫아야 한다는 가공된 정보를 제2 통신 수단(123)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외부의 전자기기(20)로부터 미세먼지 농도가 양호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는 정보가 포함된 날씨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창호(10)가 닫힌 상태로 오랜 시간이 경과하였다는 정보(또는 특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다는 정보) 가 포함된 창호(1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122)부는 미세먼지 농도가 양호한 수준이라는 정보 및 상기 창호(10)가 닫힌 상태로 오랜 시간이 경과하였다는 정보를 선별하여 제2 통신 수단(123)을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22)부는 상기 날씨 정보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가 창호(10)를 열기에 적합한 수준임을 판단할 수 있고, 창호(10)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는 정보를 제2 통신 수단(123)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100)에서, 상기 컨트롤러(120)는 외부의 전자기기(20)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2 통신 수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2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날씨 정보이고, 상기 컨트롤러(120)는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20)로부터 수신한 날씨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창호(10)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부(122)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20)는 외부의 전자기기(20)로부터 다양한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처리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의 제어부(122)부는 상기 날씨 정보 및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여 창호(10)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부(122)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의 전자기기(20)로부터 비가 온다는 정보가 포함된 날씨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창호(10)가 열린 상태라는 정보가 포함된 창호(1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122)부는 비가 온다는 정보 및 상기 창호(10)가 열린 상태라는 정보를 선별하여 창호(10)를 닫기 위한 신호를 제1 통신 수단(121) 또는 제2 통신 수단(123)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개시된 구동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22)부는 창호(1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 지 일정 시간을 경과하면 창호(10)를 열도록 명령을 부여할 수 있다. 외부의 전자기기(20)로부터 수신된 날씨 정보로부터 창호(10)를 개방하기 알맞은 상태임을 파악하고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창호(1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 지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파악한 경우, 창호(10)를 개방하도록 하는 명령을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1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100)의 운영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100)은,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창호(10)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부(122)하는 구동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120)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에 따른 결과 신호를 상기 구동부(130)로 전달하고,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컨트롤러(120)로부터 전달받은 결과 신호에 따라 창호(10)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부(122)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창호(10)의 창틀 또는 창에 배치되어 창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창호(10)를 닫힘 또는 열림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구동부(130)를 구동하는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통신 수단(121)을 이용하여 구동부(130)를 구동하는 명령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구동부(130)는 제1 통신 수단(121)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제어하는 창호 시스템(2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의 동작을 제어하는 창호 시스템(200)은, 창틀(240); 상기 창틀(24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창틀(240)의 일부를 따라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수행하는 창(250); 상기 창틀(240)에 배치되고, 상기 창(250)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210);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2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20)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220)는, 제1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동작감지센서(210)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210)의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동작감시센서의 정보로부터 창호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210)의 정보를 제어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한다.
상기 동작감지센서(210)는 창틀(240)의 일부 및 이와 대응하는 창(250)의 일부에 매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20)는 상기 동작감지센서(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240)에 동작감지센서(210)와 함께 매립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감지센서(210)와 별도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 시스템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단말기 등 외부의 전자기기의 프로세서에 기록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프트웨어는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기록된 상기 소프트웨어는, 창호 시스템으로부터 창호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외부로부터 날씨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창호 정보 및 날씨 정보를 상호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창호 시스템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창호 정보는 창호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날씨 정보는 건물이 위치한 지역의 현재 일기에 대한 정보이거나 일기 예보일 수 있다. 또한, 비, 눈 또는 우박이 오는 지 여부, 미세먼지 농도 등의 대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씨 정보는 외부의 기상청 서버 등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창호 정보는 창호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창호 근처에 물체가 접근하는 지 여부, 창호를 통하여 물체가 이동하는 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호 정보 및 날씨 정보를 상호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호 분석은, 정보를 분류하거나 수신된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외부의 전자기기 등으로 송신할 명령을 결정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창호 정보 및 날씨 정보를 상호 분석하는 단계는, 날씨 정보 및 창호 정보의 합치 또는 불합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불합치로 판단된 경우 합치가 되도록 창호 시스템에 송신할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날씨 정보 및 창호 정보의 합치 및 불합치는 상기 소프트웨어에 기록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합치 및 불합치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기록 및 수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날씨 정보가 창호를 열기에 적당한 상태이고 창호가 열린 상태인 경우 및 날씨 정보가 창호를 열기에 적당하지 않은 상태이고 창호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합치로 판단하도록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날씨 정보 및 창호 상태가 이와 다른 경우 불합치로 판단하도록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날씨 정보가 창호를 열기에 적당한 상태 및 적당하지 않은 상태는 상기 소프트웨어에 기록된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기록 및 수정될 수 있다. 일조량, 기온, 시간, 미세먼지 농도 등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프트웨어가 건물이 위치한 지역의 현재 날씨가 창호를 열기에 적당한 상태라는 정보를 얻고, 창호가 닫힌 상태라는 정보를 얻은 경우, 상기 날씨 정보 및 창호 정보를 대비하여 불합치라는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합치가 되도록 하기 위해 창호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창호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날씨 정보 및 창호 정보의 합치 또는 불합치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창호 정보를 기초로 창호 시스템에 송신할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창호 정보 중 창호가 열린 상태 지속시간 또는 닫힌 상태 지속시간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날씨 정보가 창호를 열기에 적당한 상태이고 창호가 닫힌 상태인 경우 불합치가 발생한다. 만이 창호가 장시간 동안 개방된 후 닫힌 지 얼마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창호를 다시 개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창호 시스템에 송신할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는 1주일 창호 개방 시간, 창호 개방 시간 간격, 마지막으로 개방된 시간 등의 기준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기준 및 창호 정보를 대비함으로써 창호 시스템에 송신할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00, 200: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
110, 210: 동작감지센서
120, 220: 컨트롤러
121: 제1 통신 수단
122: 제어부
123: 제2 통신 수단
130: 구동부
240: 창틀
250: 창
10: 창호
20, 30: 전자기기

Claims (9)

  1. 창호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1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동작감시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창호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제2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상기 창호를 통해 이동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상기 창호를 통해 이동하는 물체가 감지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물체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에 따른 결과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2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날씨 정보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날씨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된 결과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날씨 정보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날씨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호 분석하고, 상기 상호 분석에 따른 결과 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받은 결과 신호에 따라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
  8. 창틀;
    상기 창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창틀의 일부를 따라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수행하는 창;
    상기 창틀에 배치되고, 상기 창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1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의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동작감시센서의 정보로부터 창호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센서의 정보를 제어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 시스템.
  9. 창호 시스템으로부터 창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날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창호 정보 및 날씨 정보를 상호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창호 시스템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창호 정보는 창호의 현재 상태, 열림 또는 닫힘 횟수, 열림 시간 및 닫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70092247A 2017-07-20 2017-07-20 IoT센서기술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 환경정보와 연동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20190010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247A KR20190010064A (ko) 2017-07-20 2017-07-20 IoT센서기술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 환경정보와 연동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247A KR20190010064A (ko) 2017-07-20 2017-07-20 IoT센서기술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 환경정보와 연동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064A true KR20190010064A (ko) 2019-01-30

Family

ID=6527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247A KR20190010064A (ko) 2017-07-20 2017-07-20 IoT센서기술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 환경정보와 연동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00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851B1 (ko) 2019-05-01 2019-06-13 윤준호 멀티미디어와 생활환경 IoT 기반의 자동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
KR102292149B1 (ko) * 2020-04-23 2021-08-23 이도영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원격 자동개폐 스마트 창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630A (ko) 1997-03-26 1998-11-05 김완중 자동문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630A (ko) 1997-03-26 1998-11-05 김완중 자동문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851B1 (ko) 2019-05-01 2019-06-13 윤준호 멀티미디어와 생활환경 IoT 기반의 자동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
KR102292149B1 (ko) * 2020-04-23 2021-08-23 이도영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원격 자동개폐 스마트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9466B1 (en) Garage door controller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0650629B1 (en) Access control provisioning
KR101796247B1 (ko) 상황인식 기반의 도어 상태 감지를 위한 지능형 IoT 장치 및 시스템
US10641030B2 (en) Garage door authentication and automation
US11810437B2 (en) Integrated security for multiple access control systems
US10934763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and method
KR20170088702A (ko) 창문 자동개폐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100917A (ko) 지능형 창호 시스템
US11044889B1 (en) Pet monitoring
US10127782B1 (en) Configurable sensor
US107623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a vehicle in a camera's field of view
US11676360B2 (en) Assisted creation of video rules via scene analysis
KR20190010064A (ko) IoT센서기술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 환경정보와 연동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20190053577A (ko) 창호 개폐 조절 장치
US11287784B1 (en) Vehicle configuration using a monitoring system
KR101947451B1 (ko) 자동문용 와이파이기술을 이용한 잠금시스템
KR20120118371A (ko) 출입문 관리장치 및 방법
KR101722720B1 (ko) 창문 방범 장치 및 시스템
CN116927617B (zh) 智能门窗控制系统及方法
KR101793592B1 (ko)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20170030785A (ko) 모르스 코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US20230251672A1 (en) Assistive robotic manipulation of building controls
JP2018182425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KR20230059033A (ko) 출입 보안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20166478A (ja) 警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