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640B1 -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 Google Patents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640B1
KR101553640B1 KR1020140006322A KR20140006322A KR101553640B1 KR 101553640 B1 KR101553640 B1 KR 101553640B1 KR 1020140006322 A KR1020140006322 A KR 1020140006322A KR 20140006322 A KR20140006322 A KR 20140006322A KR 101553640 B1 KR101553640 B1 KR 10155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ole
monitor
pole connec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130A (ko
Inventor
김남준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6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치과 유니트 체어의 폴(pole)에 설치되어 모니터를 지지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unit chair monitor arm)에 있어서, 폴에 결합되는 폴 연결 암; 일측 단에 모니터가 설치되는 제1 암(arm); 폴 연결 암 및 제1 암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폴 연결 암과 제1 암을 연결하는 제2 암; 그리고 폴 연결 암, 제2 암 및 제1 암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UNIT CHAIR MONITOR ARM}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이 용이한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 및 치료는 유니트 체어에 환자가 누운 상태로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는 구강 내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 각종 치료 도구가 구비된 닥터 테이블(doctor table), 구강 내부를 보여주거나 CT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TV 시청 등을 위한 모니터를 설치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급수 장치, 휴대품 비치 테이블 등이 설치된다.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는 상기 여러 가지 장치나 기구들은 환자나 시술자의 동선과 편의 및 시술시 충분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효율이 좋은 동선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조립이 용이하며, 동작이 편리한 것이 중요하다.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의 경우, 모니터에 전원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한 전선이 암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유니트 체어 모니터 설치용 암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모니터 암은 파이프를 굽힌(bending) 구조(도 1 참조)를 가지며, 파이프와 DU Bushing을 강제 삽입하는 방식으로 회전부가 구성된다(도 2 참조). 굽어 있는 파이프(환봉) 내로 전선을 설치하는 공정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전선의 헤드를 넣고 빼는 작업이 어렵고 공정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전선(예: 전원 케이블)의 헤드가 환봉을 통과하지 못하여 전선을 절단하여 조립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불량률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회전부의 가공 정밀도에 의해 환봉의 회전의 마찰력이 결정되어 편차가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환봉이 폴에 결합될 때, 체결용 볼트(3; 도 3참조)가 외부로 돌출되어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폴의 직경이 변경될 때, 환봉을 이에 맞추어 변경해야 하므로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이 다양한 사양의 유니트 체어에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42772호에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서 휴대품 비치 테이블, 조명 장치, 모니터 등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링크(link) 메커니즘을 가지는 암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 개시된 암들은 전선이 암의 내부로 어떻게 설치되는지, 또한 전선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암의 구조 등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치과 유니트 체어의 폴(pole)에 설치되어 모니터를 지지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unit chair monitor arm)에 있어서, 폴에 결합되는 폴 연결 암; 일측 단에 모니터가 설치되는 제1 암(arm); 폴 연결 암 및 제1 암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폴 연결 암과 제1 암을 연결하는 제2 암; 그리고 폴 연결 암, 제2 암 및 제1 암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이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이 사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의 조립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제1 암과 제2 암의 결합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폴과 폴 연결 암의 결합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8에서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이 사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100; unit chair monitor arm)은 치과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치과 유니트 체어의 폴(5; pole)에 설치되어 모니터(90; 도 5 참조)를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폴(5)에는 닥터 테이블(2)이나 조명 장치(8)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닥터 테이블(2), 조명 장치(8) 및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100)이 동일한 폴(5)에 설치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폴을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100)은 폴 연결 암(20), 제1 암(40), 제2 암(60) 및 전선(105)을 포함한다. 폴 연결 암(20)은 폴(5)에 결합된다. 제1 암(40)의 일측 단에는 모니터(90)가 설치된다. 제2 암(60)은 폴 연결 암(20) 및 제1 암(40)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폴 연결 암(20)과 제1 암(40)을 연결한다. 전선(105)은 폴 연결 암(20), 제2 암(60) 및 제1 암(40)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니터(90)와 연결된다. 폴 연결 암(20), 제1 암(40) 및 제2 암(60)은 유선형 외관을 가질 수 있고, 전선(105)을 조립하기에 유리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또한, 폴 연결 암(20)은 폴(5)의 직경이 변경되면, 일부 부품의 사이즈를 변경하거나 조절하여 다양한 폴(5)의 직경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의 조립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100)은 모니터 지지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 지지부(80)는 제1 암(40)의 일측 단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 지지부(80)에 모니터(90)가 결합된다. 전선(105)은 폴(5)의 내부로 이어지며 폴(5)에 형성된 개구(7)로 나와서 폴 연결 암(20), 제2 암(60) 및 제1 암(40)의 내부로 이어진다. 전선(105)은 제1 암(40)으로부터 나와서 모니터(90)와 연결된다.
본 예에서는 이와 같이, 전선(105)을 폴(5), 폴 연결 암(20), 제2 암(60) 및 제1 암(40)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는 데에 작업이 용이하고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폴 연결 암(20), 제2 암(60) 및 제1 암(40)이 전선(105) 조립이 용이한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 폴 연결 암(20), 제2 암(60) 및 제1 암(40)은 밴딩(bending) 구조보다는, 본 예와 같이, 바(bar) 타입의 직선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고, 전선(105)을 넣고 빼는 작업이 유리하도록 폴 연결 암(20), 제2 암(60) 및 제1 암(40)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와 몸체에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는 폴 연결 암(20), 제2 암(60) 및 제1 암(40)이 각각 몸체(21, 61, 41) 및 커버(25, 65, 45)를 포함한다. 각 몸체(21, 61, 41)의 양측 끝 부분에는 전선(105)이 통과하는 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커버(25, 65, 45)는 각 몸체(21, 61, 41)와 결합되어 전선(105)을 가린다. 각 몸체(21, 61, 41)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금속 구조물(예: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커버(25, 65, 45)는 플라스틱 구조물(예: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선(105)을 조립이 용이하도록 폴 연결 암(20)과 제1 암(40)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제2 암(6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되 것과 같이, 폴 연결 암(20)과 제1 암(4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제2 암(60)의 양측 단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제2 암(60)의 커버(65)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몸체(61)에 결합되고, 폴 연결 암(20) 및 제1 암(40)의 커버(25, 45)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각각 몸체(21, 41)에 결합된다. 이와 다르게, 폴 연결 암(20)과 제1 암(4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제2 암(60)의 양측 단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전선(105)은 폴 연결 암(20)의 몸체(21)에 형성된 개구, 제2 암(60)의 몸체(61)에 형성된 개구 및 제1 암(40)의 몸체(41)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이어진다. 각 커버(25, 65, 45)가 탈착된 상태에서 각 몸체(21, 61, 41)의 개구를 통해 전선(105)이 폴 연결 암(20), 제2 암(60) 및 제1 암(40)으로 이어지도록 쉽게 조립할 수 있다. 특히, 각 몸체(21, 61, 41)가 직선형 구조이므로 전선(105)의 헤드(예: 전원 케이블 헤드)를 개구를 통해 넣고 빼기 용이하다. 따라서, 헤드를 전선(105)으로부터 절단하여 전선을 빼내고 헤드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할 필요가 없고, 헤드를 전선(105)에 장착한 상태로 전선(105) 조립이 가능하다. 필요시에는 개구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헤드의 통과가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커버(25, 65, 45)를 탈착한 상태로 작업하므로 전선(105)에 대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 정확한 작업을 할 수 있다.
조립의 순서의 일 예로, 먼저, 폴 연결 암(20)의 몸체(21), 제2 암(60)의 몸체(61), 제1 암(40)의 몸체(41) 및 모니터 지지부(80)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전선(105)을 조립한다. 예를 들어, 폴 연결 암(20)의 몸체(21)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전선(105)을 넣어, 제2 암(60)의 몸체(61), 제1 암(40)의 몸체(41)에 각각 형성된 개구를 통해 전선(105)을 모니터(90)까지 연결한다. 다음, 각 커버(25, 65, 45)를 각 몸체(21, 61, 41)에 결합된다. 이후, 전선(105)을 폴(5)에 형성된 개구(7)로 넣고 폴(5)의 다른 부분에서 전선(105)을 인출한 후에 전선(105)을 모니터(90)에 전원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조립 순서를 변경하여, 먼저 전선(105)을 폴(5)의 내부로 넣고 폴(5)의 개구(7)로 전선(105)을 인출한 후에 전선(105)을 폴 연결 암(20)의 몸체(21)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전선(105)을 넣어, 제2 암(60)의 몸체(61), 제1 암(40)의 몸체(41)에 각각 형성된 개구를 통해 전선(105)을 모니터(90)까지 연결한다. 이후, 각 커버(25, 65, 45)를 각 몸체(21, 61, 41)에 결합된다. 전선(105)을 제1 암(40)으로부터 시작하여 제2 암(60) 및 폴 연결 암(20)으로 빼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제1 암(40)과 제2 암(60)의 결합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모니터(90)의 무게 또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100)의 회전에 필요한 힘은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폴 연결 암(20)에 대한 제2 암(60)의 회전, 제2 암(60)에 대한 제1 암(40)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사용자의 요구나 사용 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암(40)의 몸체(41) 및 제2 암(60)의 몸체(61) 중 하나에 전선(105)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개구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제2 암(60)의 몸체(61)의 일측 단의 상면에 원통 형상의 돌출부(64)가 구비되며, 제1 암(40)의 몸체(41)에는 돌출부(64)가 삽입되는 개구(44)가 형성되어 있다.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100)은 락킹 너트(71; locking nut)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 너트(71)는 돌출부(64)와 결합되며, 제1 암(40)의 몸체(41)와 체결될 수 있다. 락킹 너트(71)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즉 락킹 너트(71)의 회전수에 따라 제1 암(40)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조절할 수 있다. 락킹 너트(71)에는 홀딩 나사가 구비될 수 있고, 홀딩 나사로 락킹 너트(71)를 고정하여 락킹 너트(71)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은 폴과 폴 연결 암의 결합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폴 연결 암(20)은 폴(5)에 결합된다. 폴(5)에 형성된 개구(7)는 폴 연결 암(20)에 의해 가려진다. 폴 연결 암(20)은 폴(5)에 결합되는 몸체(21), 커버(25)에 더하여 폴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폴 결합부(30)는 서포트 링(10; supporting ring) 및 내부 너트(22; 도 9(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링(10)은 폴(5)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된다. 몸체(21) 및 커버(25)는 폴(5)에 결합된다. 내부 너트(22)는 몸체(21)에 수용되며, 볼트(27)에 의해 서포트 링(10)에 체결될 수 있다. 몸체(21)는 서포트 링(10)에 의해 지지된다. 서포트 링(10)이 볼트(17)에 의해 조여지면 폴(5)에 고정될 수 있다.
폴(5)의 직경이 변경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폴 결합부(30)의 사이즈가 변경되는 일 예로, 폴(5)의 직경이 48mm에서 이보다 작은 직경의 폴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은 직경의 폴에 맞는 사이즈의 서포트 링으로 교체하여 폴(5)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서포트 링(10)은 서로 분리된 채로 폴(5)을 감싸며 나사 체결되는 2개의 서브 링들(11, 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폴(5)의 직경이 큰 경우 서브 링들(11, 15)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폴(5)을 감싸게 되며(도 8 참조), 서브 링들(11, 15) 간에 볼트(17)에 의해 체결되어 폴(5)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폴(5)의 직경이 더 작은 경우,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찰 부재(29)를 폴(5)과 서포트 링(10) 사이에 개재시켜 사이즈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마찰 부재(29)의 일 예로, 폴리아세탈(Polyacetal) 수지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링 형상의 마찰 부재 또는 서브 부재들로 분리된 마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포트 링(10)의 사이즈 자체를 변경하거나, 서브 링(11, 15)들 사이 간격을 조절하거나, 마찰 부재(29)를 개재시켜 다양한 직경의 폴(5)에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100)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폴(5)의 직경 변경시 서포트 링(10)과 내부 너트(22) 간의 체결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너트(29)에는 볼트(27) 체결을 위한 슬레이트 홀(26; 도 9(b)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슬레이트 홀(26)은 나사체결을 위한 길쭉한 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볼트(27)는 상기 체결 위치 변경에 따라 슬레이트 홀(26)에서 위치 변경하여 내부 너트(22)와 서포트 링(10)을 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폴 연결 암, 제1 암 및 제2 암 중 적어도 하나는: 전선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몸체; 그리고 몸체와 결합되어 전선을 가리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전선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암이 몸체와 커버로 분리되는 점, 회전력 조절 또는 폴 직경 변경에 범용성을 가지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의 특징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한, 본 개시에 따른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암의 구체적 형상의 약간의 변경이나 암의 개수 등이 변경되어도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내에 포함된다.
(2) 폴 연결 암, 제1 암 및 제2 암은 몸체 및 커버를 각각 포함하며, 폴 연결 암과 제1 암은 동일한 방향에서 각각 제2 암에 결합되며, 제2 암의 커버는 폴 연결 암의 커버 및 제1 암의 커버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몸체에 장착 및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커버의 장탈착 방향은 전선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선택되는 것이 좋고 특별히 상하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전선은 폴 연결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 제2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 및 제1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이어지며, 전선은 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폴의 내부로 이어지며, 외부로 인출되어 모니터에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개구의 구체적 형상이 어떠하든지 암의 내부로 이어진 전선이 개구를 통해 암과 암으로 연결되는 것이 본 개시에 따른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의 일 특징이다. 커버는 전선 조립시 용이하도록 몸체에서 탈착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커버의 구체적 형상이나 투명 여부 등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4) 제1 암 및 제2 암 중 하나에 전선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개구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돌출부와 결합되어 제1 암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조절할 수 있는 락킹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암과 암의 회전 가능한 연결 방식이고, 전선을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는 구조이면 개구와 통 형상의 돌출부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5) 폴 연결 암은: 폴에 결합되는 몸체; 그리고 몸체와 폴 사이에 개재되어 몸체를 지지하는 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몸체는 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몸체가 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포트 링을 조이는 볼트를 조절하여 폴 결합부가 폴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6) 폴 결합부는: 폴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몸체를 지지하며, 폴의 직경에 대응하여 사이즈 변경 가능한 서포트 링(supporting ring); 그리고 몸체에 수용되며 서포트 링과 체결되는 내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내부 너트와 서포트 링 구조 외에 폴에 결합되어 몸체를 지지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7) 서포트 링은: 서로 분리된 채로 폴을 감싸며 나사 체결되는 2개의 서브 링들;을 포함하며, 내부 너트는 라이트 폴의 직경 변경시 서포트 링과의 체결 위치 변경에 대응하도록 나사 체결을 위한 슬레이트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8) 서포트 링과 폴 사이에 개재되는 엔지니어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마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9) 폴 연결 암, 제1 암 및 제2 암은: 전선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몸체; 그리고 몸체와 결합되어 전선을 가리는 커버;를 각각 포함하며, 제2 암의 커버는 폴 연결 암 및 제1 암의 커버들과 다른 방향으로 몸체에 장착 및 탈착되며, 전선은 폴에 형성된 개구, 폴 연결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 제2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 및 제1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모니터로 이어지며, 폴 연결 암은: 폴에 결합되는 몸체; 폴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몸체를 지지하며, 폴의 직경에 대응하여 사이즈 변경 가능한 서포트 링(supporting ring); 그리고 몸체에 수용되며 서포트 링과 체결되는 내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에 의하면,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을 구성하는 암들이 몸체와 커버로 분리되어 암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선의 조립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이 감소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에 의하면, 폴의 직경 변경에 따라 서포트 링의 사이즈 변경, 서브 링들 간격 조절, 마찰 부재의 개재에 의해 다양한 직경의 폴에 장착이 가능하므로, 여러 모델의 유니트 체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에 의하면, 락킹 너트 등의 특수한 너트를 사용하여 암들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조절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의 회전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에 의하면, 폴 결합 암에서 서포트 링에 체결되는 볼트가 몸체의 내측에 수용되므로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외관이 미려하고 돌출된 볼트로 인한 불편이 감소한다.
100;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10: 서포트 링
20: 폴 연결 암 22: 내부 너트
40 : 제1 암 60: 제2 암
21, 41, 61 : 몸체 25, 45, 65: 커버
71: 락킹 너트 5 : 폴

Claims (10)

  1. 치과 유니트 체어의 폴(pole)에 설치되어 모니터를 지지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unit chair monitor arm)에 있어서,
    폴에 결합되는 폴 연결 암;
    일측 단에 모니터가 설치되는 제1 암(arm);
    폴 연결 암 및 제1 암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폴 연결 암과 제1 암을 연결하는 제2 암; 그리고
    폴 연결 암, 제2 암 및 제1 암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며,
    폴 연결암, 제1 암 및 제2 암 중 적어도 하나는 전선이 통과하는 몸체; 그리고 몸체와 결합되는 전선을 가리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폴 연결 암, 제1 암 및 제2 암은 몸체 및 커버를 각각 포함하며,
    폴 연결 암과 제1 암은 동일한 방향에서 각각 제2 암에 결합되며,
    제2 암의 커버는 폴 연결 암의 커버 및 제1 암의 커버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몸체에 장착 및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전선은 폴 연결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 제2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 및 제1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이어지며,
    전선은 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폴의 내부로 이어져, 외부로 인출되어 모니터에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암 및 제2 암 중 하나에 전선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개구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돌출부와 결합되어 제1 암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조절할 수 있는 락킹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6. 치과 유니트 체어의 폴(pole)에 설치되어 모니터를 지지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unit chair monitor arm)에 있어서,
    폴에 결합되는 폴 연결 암;
    일측 단에 모니터가 설치되는 제1 암(arm);
    폴 연결 암 및 제1 암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폴 연결 암과 제1 암을 연결하는 제2 암; 그리고
    폴 연결 암, 제2 암 및 제1 암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며,
    폴 연결 암은 폴에 결합되는 몸체; 그리고 몸체와 폴 사이에 개재되어 몸체를 지지하는 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7. 청구항 6에 있어서,
    폴 결합부는:
    폴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몸체를 지지하며, 폴의 직경에 대응하여 사이즈 변경 가능한 서포트 링(supporting ring); 그리고
    몸체에 수용되며 서포트 링과 체결되는 내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서포트 링은: 서로 분리된 채로 폴을 감싸며 나사 체결되는 2개의 서브 링들;을 포함하며,
    내부 너트에는 폴의 직경 변경시 서포트 링과의 체결 위치 변경에 대응하도록 나사 체결을 위한 슬레이트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9. 청구항 7에 있어서,
    서포트 링과 폴 사이에 개재되는 엔지니어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마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10. 치과 유니트 체어의 폴(pole)에 설치되어 모니터를 지지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unit chair monitor arm)에 있어서,
    폴에 결합되는 폴 연결 암;
    일측 단에 모니터가 설치되는 제1 암(arm);
    폴 연결 암 및 제1 암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폴 연결 암과 제1 암을 연결하는 제2 암; 그리고
    폴 연결 암, 제2 암 및 제1 암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며,
    폴 연결 암, 제1 암 및 제2 암은 전선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몸체; 그리고, 몸체와 결합되어 전선을 가리는 커버;를 각각 포함하며,
    제2 암의 커버는 폴 연결 암 및 제1 암의 커버들과 다른 방향으로 몸체에 장착 및 탈착되며,
    전선은 폴에 형성된 개구, 폴 연결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 제2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 및 제1 암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모니터로 이어지며,
    폴 연결 암은 폴에 결합되는 몸체; 폴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몸체를 지지하며, 폴의 직경에 대응하여 사이즈 변경 가능한 서포트 링(supporting ring); 그리고, 몸체에 수용되며 서포트 링과 체결되는 내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KR1020140006322A 2014-01-17 2014-01-17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KR10155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322A KR101553640B1 (ko) 2014-01-17 2014-01-17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322A KR101553640B1 (ko) 2014-01-17 2014-01-17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130A KR20150086130A (ko) 2015-07-27
KR101553640B1 true KR101553640B1 (ko) 2015-09-16

Family

ID=5387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322A KR101553640B1 (ko) 2014-01-17 2014-01-17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108B1 (ko) * 2020-08-26 2020-10-16 (주)블루코어컴퍼니 모니터의 위치 변경이 용이한 레이저 수술기
KR102634334B1 (ko) * 2023-08-21 2024-02-05 김대완 양측 출입이 가능한 유니트 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854A (ja) 2001-08-28 2003-03-11 Park Ja-Ryoung 患者用回転いす
JP2008538301A (ja) 2005-03-28 2008-10-23 コンプビュー・コーポレーション 病院手術室の映像及び医療設備の位置調整のための多関節ブーム
JP2012254305A (ja) 2006-06-28 2012-12-27 Alcon Inc 制御ディスプレイ位置決めシステム
US20130118503A1 (en) 2011-11-16 2013-05-16 David E. Galatas Light, light fixture assembly, and patient module for use in a medical set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854A (ja) 2001-08-28 2003-03-11 Park Ja-Ryoung 患者用回転いす
JP2008538301A (ja) 2005-03-28 2008-10-23 コンプビュー・コーポレーション 病院手術室の映像及び医療設備の位置調整のための多関節ブーム
JP2012254305A (ja) 2006-06-28 2012-12-27 Alcon Inc 制御ディスプレイ位置決めシステム
US20130118503A1 (en) 2011-11-16 2013-05-16 David E. Galatas Light, light fixture assembly, and patient module for use in a medical se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130A (ko) 201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0954B2 (ja) 固定具
JP5083895B2 (ja) 自動二輪車のウィンカ装置
KR101553640B1 (ko)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JP2009262226A (ja) ワイヤ送給装置
CN105008095B (zh) 可折弯的保持装置
TW201540599A (zh) 供穿入腳踏車支架之可撓連結構件用的引導裝置
JP2009530125A (ja) スイベルケーブル継手を備える電動工具
CN110948450B (zh) 一种安装拆卸装置及安装拆卸方法
KR100978889B1 (ko) 배관 내부 검사 장치
US10302120B2 (en) Fixture connection device
JP2008029047A (ja) 間接活線工具の先端工具
JP2007244096A (ja) 電動機
CN211517373U (zh) 一种安装拆卸装置及放射源安装拆卸装置
CN210077118U (zh) 一种转动座椅用的限位转轴
CN211399229U (zh) 一种消防监控设备
CN216085964U (zh) 一种绝缘子校正工具及装置
EP2103510A3 (en) Bicycle accessory device
CN2764643Y (zh) 胎压侦测器壳体的改良结构
JP3185507U (ja) 直管形のled照明器具
CN101500389B (zh) 一种连接装置及其装配工具和装配方法
JP2009113191A (ja) ボルト又はナットの締緩用工具
CN219792238U (zh) 侧装吊臂
JP2590903Y2 (ja) 配線用ケーブル掛け具
JP6920692B2 (ja) 電線管支持具
JP4551208B2 (ja) Av機器の転倒防止構造および該構造を用いたav機器用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