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396B1 -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396B1
KR101553396B1 KR1020140043099A KR20140043099A KR101553396B1 KR 101553396 B1 KR101553396 B1 KR 101553396B1 KR 1020140043099 A KR1020140043099 A KR 1020140043099A KR 20140043099 A KR20140043099 A KR 20140043099A KR 101553396 B1 KR101553396 B1 KR 10155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ttery power
power supply
control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열
노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산업
Priority to KR102014004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CAN 트랜시버와 마이크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CAN 트랜시버는 OBD(On Board Diagnostics) 커넥터와 연결되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하며, 마이크로 제어 유닛은 CAN 수신 인터럽트에 의해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 되어 배터리 전원을 차량에 장착된 전자 모듈들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Description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s battery power supply}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특히 차량의 시동 온 시에 배터리 전원을 차량에 장착된 전자 모듈들로 공급하는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로 감지될 경우에 배터리 전원을 차량 내부 전장으로 공급하는 기술이 잘 알려져 있다. 알려진 기술로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여 그 변동 정도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차량 내의 전자 장치들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술이 있다. 즉, 배터리 전압 차이에 근거하여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494841호 (2005. 06. 02)
차량의 시동 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보장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배터리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는 CAN 트랜시버와 마이크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CAN 트랜시버는 OBD(On Board Diagnostics) 커넥터와 연결되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제어 유닛은 CAN 수신 인터럽트에 의해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 되어 배터리 전원을 차량에 장착된 전자 모듈들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 제어 유닛은 CAN 통신을 통해 얻어지는 엔진 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 정보, 또는 엔진 회전수 정보와 차량 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배터리 전원을 전자 모듈들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 제어 유닛은 차량 시동 온 시 엔진 회전수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배터리 전원을 전자 모듈들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 제어 유닛은 차량 시동 온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 이상이고 차량이 주행중인 경우에 배터리 전원을 전자 모듈들로 공급한다.
개시된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 감지를 CAN 통신 데이터 수신 유무로 판단하기 때문에, 배터리 전압의 차이를 이용한 방식보다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며, 차량 상태에 따른 오류 발생 가능성이 없다.
또한 개시된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는 차량의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차량의 상태, 예를 들어 엔진 회전수와 차량 속도에 따라 배터리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바, 배터리 전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방법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는 OBD 커넥터(20)에 연결된다. 여기서 OBD(On board diagnostics) 커넥터는 OBD-Ⅱ 커넥터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는 CAN 트랜시버(100)와 마이크로 제어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200)을 포함한다. 또한 전원부(300)와 전원 스위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CAN 트랜시버(1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로서, OBD 커넥터(20)를 통해 차량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CAN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은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차량에 장착된 전자 모듈(40)들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전자 모듈(40)은 차량에 내장된 것일 수도 있고, 내비게이션 단말, 블랙박스, 하이패스 단말 등과 같이 별도로 장착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은 슬립(sleep) 상태 또는 활성(active) 상태로 동작할 수 있는데, 슬립 상태는 전원 절감(power down)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활성 상태에 비해 매우 적은 전류를 소비한다. 예를 들어, 슬립 상태의 MCU의 소모 전류는 0.3mA 정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소모 전류는 레귤레이터 CAN 트랜시버, MCU 종류에 따라 0.3mA 정도에서 크거나 작을 수 있다. 그리고 활성 상태는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wakeup) 되어 정상 동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은 활성 상태에서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전자 모듈(40)들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전원부(300)는 CAN 트랜시버(100)와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OBD 커넥터(20)를 통해 배터리 전원(VBAT)을 공급받아 이를 강하시켜 CAN 트랜시버(100)와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OBD 커넥터(20)를 통해 전원부(300)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은 주 배터리(30) 전원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전원 스위치(400)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되는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전원 스위치(400)는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전자 모듈(40)들로 공급하기 위한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 될 수 있으며, 반대로 공급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오프 될 수 있다.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립 상태에 있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은 CAN 트랜시버(100)에서 출력되는 CAN 수신(RX)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 된다. 여기서 CAN RX 신호는 차량의 CAN 통신이 정상 작동시 출력되는 신호를 의미하며, OBD 커넥터(20)를 통해 CAN 통신 데이터가 수신된다. CAN 통신 데이터인 CAN RX 신호에 의해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업 되어 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활성 상태의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은 주 배터리(30) 전원이 전자 모듈(40)들로 공급되도록 전원 스위치(4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 배터리(30)의 전원은 전자 모듈(40)들로 공급된다. 전자 모듈(40)들로 주 배터리(30)의 전원이 공급된 이후에,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은 CAN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일정 시간 동안 CAN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은 주 배터리(30)의 전원이 전자 모듈(40)들로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 스위치(4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은 활성 상태에서 무조건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전자 모듈(40)들로 공급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설정된 전원 온 조건(power on)이 달성될 시에만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전자 모듈(40)들로 공급시킨다. 여기서 기설정된 전원 온 조건이라 함은 엔진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 이상이거나, 혹은 엔진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 이상이며 차량 속도가 0km 이상인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차량 시동시의 전원 온 조건은 엔진 RPM이 500 이상일 수 있으며, 차량 시동 온 상태에서의 전원 온 조건은 엔진 RPM이 500보다 크고 차량 속도가 0km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정보와 차량 속도 정보는 CAN 통신을 통해 얻어진다. 즉,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정보, 또는 엔진 회전수 정보와 차량 속도 정보가 담긴 CAN 메시지를 CAN 트랜시버(100)를 통해 전달받는다.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은 CAN 메시지에 담긴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정보와 차량 속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차량의 엔진 회전수와 차량 속도가 전원 온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주 배터리(30)의 전원이 전자 모듈(40)들로 공급되도록 전원 스위치(4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인 예로, 마이크로 제어 유닛(200)은 차량 시동시의 경우, 즉 활성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는 엔진 RPM이 500 이상일 경우에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온 제어한다. 그리고 차량 시동 온 상태, 즉 활성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엔진 RPM이 500 이상이며 차량 속도가 0km 이상일 경우에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온 제어한다. 참고로, 차량이 시동만 걸린 상태에서의 엔진 RPM은 약 700RPM 전후를 유지한다.
그리고 주 배터리(30)의 전원이 온 제어되는 상태에서는 기설정된 전원 오프(power off) 조건이 달성될 시에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차단한다. 기설정된 전원 오프 조건은 차량이 시동이 꺼지거나 차량이 정지한 때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RPM이 1보다 작을 때는 차량이 시동이 꺼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바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차단하며, 엔진 RPM이 500보다 크고 차량 속도가 0km일 때는 차량이 정지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바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방법 흐름도이다.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이하, 편의상 ‘제어기’라 칭한다)(10)를 OBD에 장착한 후 제어기(10)를 초기화하며, 초기화된 제어기(10)는 슬립 상태로 대기한다. 차량이 시동 온 되어 CAN RX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기(10)는 웨이크업 된다(S100)(S200). 웨이크업 되어 활성 상태로 전환된 제어기(10)는 CAN 메시지(CAN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전원 온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통신 데이터로는 각 차량의 고유 데이터와 표준 OBD-Ⅱ(KOBD)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기설정된 전원 온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기(10)는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온 제어한다(S300). 즉,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차량 내부의 전자 모듈들로 공급시킨다. 주 배터리(30)의 전원을 공급한 이후부터, 활성 상태의 제어기(10)는 CAN 메시지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지정된 시간 동안 CAN 메시지 수신이 없으면 주 배터리(3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S400)(S500)(S600). 주 배터리(30)의 전원 공급 차단 후, 제어기(10)는 슬립 상태로 전환하여 차량의 CAN 메시지 수신을 기다린다(S70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CAN 트랜시버 200 : 마이크로 제어 유닛
300 : 전원부 400 : 전원 스위치

Claims (4)

  1. OBD(On Board Diagnostics) 커넥터를 통해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에 연결되어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과 CAN 통신하는 CAN 트랜시버;
    CAN 트랜시버를 통해 CAN 통신 데이터가 수신되면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여 배터리 전원을 차량에 장착된 전자 모듈들로 공급하며, 웨이크업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CAN 통신 데이터가 미수신되면 전자 모듈들로의 배터리 전원 공급을 차단한 후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제어 유닛은 CAN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엔진 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 정보, 또는 엔진 회전수 정보와 차량 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배터리 전원을 전자 모듈들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제어 유닛은 차량 시동 온 시 엔진 회전수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배터리 전원을 전자 모듈들로 공급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제어 유닛은 차량 시동 온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 이상이고 차량이 주행중인 경우에 배터리 전원을 전자 모듈들로 공급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KR1020140043099A 2014-04-10 2014-04-10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KR10155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099A KR101553396B1 (ko) 2014-04-10 2014-04-10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099A KR101553396B1 (ko) 2014-04-10 2014-04-10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396B1 true KR101553396B1 (ko) 2015-09-15

Family

ID=5424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099A KR101553396B1 (ko) 2014-04-10 2014-04-10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3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8209A (zh) * 2016-08-04 2016-12-07 科力远混合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包管理系统电源电路
WO2023096260A1 (ko) *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 차량을 위한 차량 진단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026A (ja) 2007-02-01 2008-08-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車両用電源切替装置
JP2009101778A (ja) 2007-10-22 2009-05-14 Toyota Motor Corp 車両用電源装置
KR101215345B1 (ko) 2012-01-09 2012-12-26 한동엘앤씨(주)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026A (ja) 2007-02-01 2008-08-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車両用電源切替装置
JP2009101778A (ja) 2007-10-22 2009-05-14 Toyota Motor Corp 車両用電源装置
KR101215345B1 (ko) 2012-01-09 2012-12-26 한동엘앤씨(주)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8209A (zh) * 2016-08-04 2016-12-07 科力远混合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包管理系统电源电路
WO2023096260A1 (ko) *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 차량을 위한 차량 진단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25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attery saver utilizing a sleep and vacation strategy
US10780783B2 (en) Onboar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20140114503A1 (en) Remote Function Fob for a Vehicle Passive Entry Passive Star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170129425A1 (en) Remote control of a motor vehicle during a parked phase
US20130318380A1 (en) Handling of Wake-Up Messages in Controller Area Networks
US20220055556A1 (en) In-vehicle network system
EP2911909B1 (en) Control system
JP5598259B2 (ja) 処理システム、処理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US200402247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sav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1308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system module while conserving power by using two differen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RWC) protocols
CN103534663A (zh) 当在停止运转模式中时经由usb设备的usb主机唤醒
CN105818762B (zh) 用于汽车的智能中控系统及其启动方法
US20180321728A1 (en) Remote wake-up of mobile devices
CN111083025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车载通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018089A (zh) 网络中的通信节点的操作方法
TW201444314A (zh) 遠端喚醒系統和方法
US72898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module wake up in response to communication activity
KR101553396B1 (ko)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US2012000392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JP6471540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
JP5880148B2 (ja) 車両の充電制御装置
CN100383704C (zh) 一种具有通用串行总线端口的移动通信终端及驱动方法
KR20070121332A (ko) 차량의 대기 전류 관리 장치
KR20160038490A (ko) 차량용 배터리 방전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52677A (ko) 전기 자동차의 ldc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