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345B1 -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345B1
KR101215345B1 KR1020120002307A KR20120002307A KR101215345B1 KR 101215345 B1 KR101215345 B1 KR 101215345B1 KR 1020120002307 A KR1020120002307 A KR 1020120002307A KR 20120002307 A KR20120002307 A KR 20120002307A KR 101215345 B1 KR101215345 B1 KR 10121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vehicle
driving information
power
ob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남
박현진
우승주
Original Assignee
한동엘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엘앤씨(주) filed Critical 한동엘앤씨(주)
Priority to KR102012000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이 개시된다. 본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는, 차량 운행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운행정보에 관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시동 개시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제어부, 차량전원을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공급부, 및 OBD-II 모듈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를 동작시키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Apparatus for collecting driving information of vehicl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차량의 시동 개시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OBD(On Board Diagnosis)-II는 차량에 마련된 차량 진단 커넥터(OBD-II 커넥터)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문제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나 정비사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즉, 차량의 각 부분에 장치된 센서들을 통해 차량의 전반적인 상태가 센싱되고, 센싱된 정보가 차량 내의 OBD-II 커넥터를 통해 수집되면, 사용자나 정비사는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운행중의 고장정보, 상태정보 등을 감시 및 분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 진단을 위해서는 별도의 차량 진단 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차량 진단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 업소 등에 마련되어 정비사들에 의해 정보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 대한 진단을 위해, 사용자는 차량 정비 업소를 방문하여 OBD-II 커넥터에 차량 진단 장치를 연결시키고 정비사들을 통해 차량의 고장 유무를 진단받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네비게이션이나 블랙박스와 통합 제작되거나 이와 별도로 제작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는 수집된 정보를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로 전달하여 분석하도록 한 후 사용자에게 피드백해주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경우에도 차량의 OBD-II 커넥터를 통해 차량과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간의 통신으로 고장 유무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차량과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간의 통신은 시동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시동 개시 시점에 대한 판단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방법들 중 하나로서, 시동 감지 라인을 직접 결선하여 와이어를 통해 시동 전압의 출렁임이 감지되거나 OBD-II 커넥터를 통해 수신된 시동 전압의 출렁임이 감지되면, 시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할 경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추후 시동 전압의 출렁임이 해소되면 시동 개시를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고 배선 상의 문제로 인해 노이즈가 유입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적인 방식으로 시동의 개시를 판단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시동의 개시를 판단하며, 이와 더불어 효과적인 전력 관리를 통해 최소한의 전원으로 시동 감지하고,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의 화면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드웨어적인 방식에 따라 전압의 변동을 감지하여 시동의 개시를 판단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에 따라 시동의 개시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II 모듈을 통해 차량 내 OBD-II 커넥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장치는, 상기 차량 운행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OBD-II 커넥터를 통해 상시 공급되는 차량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고, 상기 OBD-II 모듈로부터 상기 운행정보에 관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시동 개시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시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차량전원을 상기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장치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고, 상기 OBD-II 모듈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를 동작시키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나서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ON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OBD-II 모듈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시동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OFF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OFF되고 나서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거나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장치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시동이 재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ON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운행정보는, 복수의 센서 정보로 구성되어 상기 OBD-II 모듈에서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로 one wire 시리얼 통신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시동이 개시되거나 상기 시동이 종료된 상태에서 다수 회 연속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시동이 개시되거나 상기 시동이 종료된 상태가 아닌 경우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중 KEY 센서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의 BYTE가 1 또는 0 중 어느 하나이면 시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BYTE가 1 또는 0 중 다른 하나이면 시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정보 수집 시스템은, 차량 내 OBD-II 커넥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OBD-II 모듈; 및 상기 OBD-II 커넥터를 통해 상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OBD-II 모듈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시동이 개시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시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2 제어부로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차량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OBD-II 커넥터를 통해 상시 차량전원을 공급받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제어부로 구성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의 운행정보 수집방법은,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OBD-II 커넥터에 연결된 OBD-II 모듈을 통해 상기 운행정보에 관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시동 개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차량전원이 상기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전원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장치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상기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하드웨어적인 방식으로 시동의 개시를 판단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시동의 개시를 판단함으로써, 시동 전압의 출렁임 문제가 해소되더라도 시동의 개시에 대한 판단이 가능해지며 노이즈 유입이 배제되어 시동의 개시 여부에 대한 판단이 용이해진다.
또한, 최소한의 전원으로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의 시동 여부가 감지되면 메인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전력 관리 및 시동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시동이 개시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고 나서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후에 백라이트가 ON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팅과정에 대한 출력을 배제하여,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의 화면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혼란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시동이 종료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후에 전원을 차단시키고,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기 전에 시동이 재개시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백라이트만이 먼저 OFF되도록 함으로써, 종료 프로세스를 거치기 전에 전원이 차단되는 비정상 종료 상황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정보 수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종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지 않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종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정보 수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정보 수집 시스템은 OBD(On Board Diagnosis)-II 모듈(100),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 및 서버들(310, 320, 330, 340)로 구성된다.
OBD-II 모듈(100)은 차량 내의 OBD-II 커넥터(미도시)에 연결되어, OBD-II 커넥터를 통해 엔진장치, 제동장치, 현가장치, 변속장치 등 차량을 구성하는 각 요소에 배치된 센서들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운행정보(이하, '차량 정보'로 총칭)를 수집한다. 이러한 차량 정보는 복수의 센서 정보들로 구성된다.
OBD-II 커넥터에서 OBD-II 모듈(100)로 전달되는 신호 중 배터리 전압 센서 출력핀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배터리 전압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기존의 시동 감지 장치들은, 이러한 OBD-II 모듈(100)로 전달되는 배터리 전압의 차이인 아날로그 신호의 차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 개시 여부 및 시동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하드웨어적인 방법을 이용하였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정보 수집 시스템은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로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여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차량의 시동 개시 및 종료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시동이 개시되면, OBD-II 모듈(100)은 UART(Universal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Receiver and Transmitter)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인 복수의 센서 정보를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로 다수 회 전송하게 된다. 복수의 센서 정보를 다수 회 전송하는 이유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의 센서 정보 수신 확실성을 위한 것이며, 1회 전송하도록 구현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한편, 시동이 개시되거나 시동이 종료되는 등 특별한 이슈가 없는 상태에서, 차량 정보는 특정한 시간 간격마다 제1 제어부(210) 및 제2 제어부(230)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복수의 센서 정보에 대한 내용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센서 정보는 OBD-II 모듈(100)과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 간에 미리 정의된 패킷 프로토콜에 따라 OBD-II 모듈(100)과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로 전달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정보는 차량 내 각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정보들로 구성되며,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는 이러한 디지털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시동 개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일 예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가 10번째 byte의 'key+'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key+'값이 1이면 시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0이면 시동의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10번째 byte의 'key+'값으로 시동의 개시 여부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센서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 개시 여부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이 개시되면, 03번째 byte의 '엔진 회전수 HIGH'값이나 04번째 byte의 '엔진 회전수 LOW'값이 시동이 종료된 경우와 다른 값을 가지게 될 것이며, 이를 기초로 시동의 개시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예시든 것처럼, 시동의 개시나 종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반드시 1 또는 0이라는 값으로 전송될 필요는 없으며, 이 외의 인식 가능한 디지털 값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로 전달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시동의 개시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는, 도 2에 된 패킷 프로토콜처럼 별도의 프로토콜로 정의되어 OBD-II 모듈(100)에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로 전달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STX(Start of Text) + ID + Length + Data + CS(Check Sum) + ETX(End of Text)라는 포맷의 프로토콜로 정의된 경우,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는 메세지 중 Data 부분이 0×01인지 0×00인지 여부를 기초로 시동이 개시되었는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에 대해 설명하면,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는 OBD-II 모듈(10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정보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외부 서버들(310, 320, 330, 340)로부터 처리되어 피드백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는 블랙박스, 네비게이션, 하이패스 등 차량 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자장치들 중 일부 또는 전부와 일체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의 화면에는, 차량 내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들이 아이콘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아이콘으로는, WCDMA 활성화 아이콘(401), GPS 활성화 아이콘(402), 과속시간 아이콘(403), 시동 후 유류비 아이콘(404), 평균연비 아이콘(405), CO2 배출량 아이콘(406), 차량 시속 아이콘(407), 운행거리 아이콘(408), 서브 메뉴 아이콘(409) 등을 들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아이콘들 중 일부를 선택하여 필요한 사항들을 확인/점검/관리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아이콘들이 나타내는 각 센서 정보들 중 일부는 OBD-II 모듈(100)을 통해 수신하여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에서 직접 사용자로 제공되는 정보이고, 나머지 일부는 전술한 외부 서버들(310, 320, 330, 340)로부터 처리되거나 가공되어 피드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이다. 전자의 예로는 과속시간 아이콘(403)에서 표시되는 과속시간을 들 수 있고, 후자의 예로는 서브메뉴 아이콘(409)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는 차계부 아이콘(미도시)에서 표시되는 차계부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에 대해 설명하면, 서버들(310, 320, 330, 340)은 WCDMA 통신을 통해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통합 서버(310)는 DTG(Digital Tacho Graph : 디지털 운행기록계) 서버로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토대로, 회원 관리, 차량 관리, 서비스 관리, 정보 분석, 정보 가공 등 차량 운행정보에 대한 총체적 관리 및 처리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보험사/정비사 서버(320)는 보험 관리, 차량 진단, 차량 정비 등의 역할을, 주유사 서버(330)는 주유 정보 관리, 포인트 관리 등의 역할을, 그리고, 통신사업자 인프라 서버(340)는 과금 관리, 인증 관리 등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서버들(310, 320, 330, 340)의 구성 및 역할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서버의 개수, 종류, 숫자, 용도 등은 도시된 바와 달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가 OBD-II 커넥터에 연결된 OBD-II 모듈(100)로부터 디지털화된 차량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하드웨어적인 방식으로 시동의 개시를 판단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시동의 개시를 판단하게 되며, 이에 의해, 시동 전압의 출렁임 문제가 해소되더라도 시동의 개시에 대한 판단이 가능해지고 노이즈 유입이 배제되어 시동의 개시 여부에 대한 판단이 용이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는 제1 제어부(210), 전원 공급부(220), 제2 제어부(230) 및 디스플레이부(240)로 구성된다.
제1 제어부(210)는 OBD-II 모듈(100)을 통해 상시 공급되는 차량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도 4에서 굵은 선으로 표기된 부분은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나타내며, 얇은 선으로 표기된 부분은 차량 정보 등의 데이터가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다.
OBD-II 모듈(100)은 디지털 차량 정보를 제1 제어부(210)와 제2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시동이 개시되기 전 상태라도, 제1 제어부(210)는 상시 전원을 공급받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차량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210)는 상시 공급되는 전원을 기초로 OBD-II 모듈(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확인하여 시동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체크하게 된다.
전원 공급부(220)는 OBD-II 모듈(100)을 통해 상시 공급되는 차량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전원 공급부(220)는 제1 제어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라는 신호를 수신하고, 전원 공급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제2 제어부(2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전원 공급부(220)는 LDO(Low Drop Out)라고도 불리며, 12V 또는 24V로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에서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2 제어부(230)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제1 제어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라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는, 제1 제어부(210)에 의해 차량의 시동이 개시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이다. 즉, 차량의 시동이 개시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제어부(210)는 제2 제어부(230)가 동작되도록 하여, 수신되는 차량 정보가 제2 제어부(23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제어부(210)는 차량의 시동 여부만 감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전원으로 상시 ON 상태를 유지하고, 차량의 시동 여부가 감지되면 차량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제2 제어부(230)를 ON시키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전력 관리 및 시동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OBD-II 모듈(100)은 UART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를 제1 제어부(210) 및 제2 제어부(230)로 전달하며, 시동이 개시되기 전이라도 제1 제어부(210)는 차량 정보를 실질적으로 수신하여 처리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반대로, 제2 제어부(230)는 시동이 개시되기 전에는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도 처리하지 못하며, 차량 정보를 실질적으로 수신한다고 볼 수 없다.
즉, 제2 제어부(230)는 전원 공급부(22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OBD-II 모듈(100)을 통해 수신된 차량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제1 제어부(210)는 시동이 개시되면 전원 공급부(220)를 제어하여 제2 제어부(2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이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후에 제2 제어부(230)로 디스플레이부(240)의 백라이트가 ON되도록 하는 신호를 전달한다.
기설정된 시간이라는 딜레이를 두는 이유는, 실제로 제2 제어부(2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2 제어부(230)가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까지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즉,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의 화면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혼란이 없도록, 제1 제어부(210)는 일정 시간 딜레이 후 백라이트가 ON되도록 하는 신호를 제2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시동이 개시된 후 종료되는 경우에도, 제1 제어부(210)는 OBD-II 모듈(10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시동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며, 전원 공급부(220)를 제어하여 제2 제어부(230)로 전달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다만, 제2 제어부(230)로 전달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기 전에, 제1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40)의 백라이트가 OFF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제2 제어부(230)로 전달하여 백라이트가 OFF되도록 하며, 이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후에 제2 제어부(230)로 전달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일정 시간 딜레이 후 전원을 차단시키는 이유는, 차량의 시동을 껐다가 곧바로 다시 켜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딜레이 없이 곧바로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곧바로 차량의 시동이 재개시된다면, 차량의 종료 프로세스를 다 거치기 전에 시동을 재개해야 하기 때문에 제2 제어부(230)를 포함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 전반의 구성들에 데미지가 가해지게 된다.
즉, 종료 프로세스를 거치기 전에 전원이 차단되는 비정상 종료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백라이트 OFF 시점과 전원 차단 시점 간의 이격을 두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 제어부(210)는 OBD-II 모듈(100)로부터 차량 정보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다(S510). 제1 제어부(210)는 수신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시동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20), 시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S520-Y) 제2 제어부(2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220)를 제어한다(S530).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것으로 판단되면(S540-Y), 제1 제어부(210)는 제2 제어부(230)로 백라이트가 ON되도록 하기 위한 커맨드를 전송한다(S580).
한편, 제2 제어부(230)는 전원 공급부(2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S550-Y),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를 초기화시키고(S560), 부팅 로고를 출력하게 된다(S570). 물론, 제2 제어부(230)는 부팅 로고에 관한 출력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240)로 전달되도록 하지만, 백라이트가 ON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되지는 않는다.
제1 제어부(210)로부터 백라이트 ON 커맨드가 수신되면(S580), 제2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하여 백라이트가 ON되도록 하여 부팅 로고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590).
이후, 제2 제어부(230)는 OBD-II 모듈(100)로부터 차량 정보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한다(S600).
이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후에 백라이트가 ON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팅과정에 대한 출력을 배제하여,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의 화면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혼란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종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지 않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제1 제어부(210)는 OBD-II 모듈(100)로부터 차량 정보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다(S610). 제1 제어부(210)는 수신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시동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20), 시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S620-Y) 제1 제어부(210)는 제2 제어부(230)로 백라이트가 OFF되도록 하기 위한 커맨드를 전송한다(S640).
제2 제어부(230)는 시동이 개시된 상태에서는 수집된 차량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S630), 제1 제어부(21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백라이트를 OFF 시킨다(S650).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이 재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S660-N, S670-Y), 제1 제어부(210)는 제2 제어부(230)로 백라이트가 ON되도록 하기 위한 커맨드를 전송한다(S680).
제2 제어부(230)는 제1 제어부(21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백라이트를 ON 시킨다(S69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종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단계 S710 내지 단계 S750는 전술한 단계 S610 내지 단계 S650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어부(210)는 시동이 종료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60),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면(S760-Y) 제2 제어부(23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 공급부(220)를 제어하게 된다(S770).
이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후에 전원을 차단시키고,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기 전에 시동이 재개시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백라이트만이 먼저 OFF되도록 함으로써, 종료 프로세스를 거치기 전에 전원이 차단되는 비정상 종료 상황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였는지,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기 전에 시동이 재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등, 제1 제어부(210)가 시간 딜레이를 기준으로 처리한다는 내용에 대해 설명한 바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였는지 여부를 따지지 않고, 제2 제어부(230)로부터 종료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종료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 시동이 재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등, 제1 제어부(210)가 제2 제어부(23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기준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UART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인 복수의 센서 정보를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로 전송한다고 상정한 바 있으나 이는 시리얼 통신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I2C(Inter-Integrated Circuit)통신,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통신, USB(Universal Serial Bus)통신,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등 UART 통신과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OBD-II 모듈(100)에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로 one wire 시리얼 통신으로 센서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상정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OBD-II 모듈(100)에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200)로 차량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OBD-II 모듈 200 :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210 : 제1 제어부 220 : 전원 공급부
230 : 제2 제어부 240 : 디스플레이부
310 : 통합 서버 320 : 보험사/정비사 서버
330 : 주유사 서버 340 : 통신사업자 인프라 서버

Claims (8)

  1. OBD(On Board Diagnosis)-II 모듈을 통해 차량 내 OBD-II 커넥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OBD-II 커넥터를 통해 상시 공급되는 차량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고, 상기 OBD-II 모듈로부터 상기 운행정보에 관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시동 개시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시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차량전원을 상기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장치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고, 상기 OBD-II 모듈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를 동작시키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OBD-II 모듈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시동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OFF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OFF되고 나서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거나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장치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시동이 재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시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후에 상기 제2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ON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정보는,
    복수의 센서 정보로 구성되어 상기 OBD-II 모듈에서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로 one wire 시리얼 통신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시동이 개시되거나 상기 시동이 종료된 상태에서 다수 회 연속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시동이 개시되거나 상기 시동이 종료된 상태가 아닌 경우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중 KEY 센서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의 BYTE가 1 또는 0 중 어느 하나이면 시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BYTE가 1 또는 0 중 다른 하나이면 시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7. 차량 내 OBD(On Board Diagnosis)-II 커넥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OBD-II 모듈; 및
    상기 OBD-II 커넥터를 통해 상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OBD-II 모듈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시동이 개시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시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2 제어부로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차량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OBD-II 모듈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시동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OFF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OFF되고 나서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거나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시동이 재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 시스템.
  8. 차량 내 OBD(On Board Diagnosis)-II 커넥터를 통해 상시 차량전원을 공급받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제어부로 구성된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의 운행정보 수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OBD-II 커넥터에 연결된 OBD-II 모듈을 통해 상기 운행정보에 관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시동 개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차량전원이 상기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전원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장치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상기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OBD-II 모듈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시동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시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를 OFF 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가 OFF되고 나서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거나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장치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시동이 재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ON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
KR1020120002307A 2012-01-09 2012-01-09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 KR10121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307A KR101215345B1 (ko) 2012-01-09 2012-01-09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307A KR101215345B1 (ko) 2012-01-09 2012-01-09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345B1 true KR101215345B1 (ko) 2012-12-26

Family

ID=4790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307A KR101215345B1 (ko) 2012-01-09 2012-01-09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3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396B1 (ko) 2014-04-10 2015-09-15 주식회사 오토산업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KR20190054640A (ko) * 2017-11-14 2019-05-22 (주)세코인터페이스 Obd-ⅱ를 활용한 차량 can 데이터 자동 수집 단말기와 수집 방법
WO2019132197A1 (en) * 2017-12-27 2019-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vehicle and method for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032B1 (ko) * 2007-05-31 2007-09-21 (주)율시스템즈 주행안전을 위한 전원차단형 차량진단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032B1 (ko) * 2007-05-31 2007-09-21 (주)율시스템즈 주행안전을 위한 전원차단형 차량진단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396B1 (ko) 2014-04-10 2015-09-15 주식회사 오토산업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 제어 장치
KR20190054640A (ko) * 2017-11-14 2019-05-22 (주)세코인터페이스 Obd-ⅱ를 활용한 차량 can 데이터 자동 수집 단말기와 수집 방법
KR102041846B1 (ko) * 2017-11-14 2019-12-10 (주)세코인터페이스 Obd-ⅱ를 활용한 차량 can 데이터 자동 수집 단말기와 수집 방법
WO2019132197A1 (en) * 2017-12-27 2019-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vehicle and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05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individual parameters to transition from text-to-graph or graph-to-text
US8421864B2 (en) Operation management device to be mounted to a moving object,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nd computer program
US8838362B2 (en) Low-drain, self-contained monitoring device
CN103838231B (zh) 基于移动终端的汽车智能管理系统及方法
US20210309117A1 (en) Chargeability presenting method and chargeability presenting system
JP6011812B2 (ja) 充電サービス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充電サービス方法
US9858733B2 (en) Vehicle diagnostic data collecting apparatus, vehicle diagnostic data collecting method, vehicle diagnostic machine, and vehicle diagnosing method
US8823330B2 (en) Charging systems for use with electric vehicles and methods of monitoring same
JP6310332B2 (ja) 車両診断機及び車両診断方法
JP2017521025A (ja) 移動端末に基づく実時間車両運転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14002868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sumption display method
KR20060055517A (ko) 차량 진단방법, 차량 진단 시스템, 차량 및 센터
KR101215345B1 (ko)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수집방법
US20160285516A1 (en) Control method for battery storage apparatus, battery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terminal
US105658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warning light handling
WO2015156375A1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US11914840B2 (en) Charger map overlay and detail card
US9110775B2 (en)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2186331U (zh) 汽车后视镜及车载检测系统
CN113844285A (zh) 电动汽车无线充电系统、方法、电子终端及存储介质
TWI505223B (zh) A sensing system that detects electrical information and displays it graphically and its method
CN105480175A (zh) 车辆报警系统
CN102259593A (zh) 一种商用汽车用智能组合仪表
CN111703335A (zh) 一种低速锂电动车的单总线通讯系统及控制方法
KR100836688B1 (ko) 차량진단 및 운행정보 수집과 원격지 분석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