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010B1 -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010B1
KR101552010B1 KR1020130081410A KR20130081410A KR101552010B1 KR 101552010 B1 KR101552010 B1 KR 101552010B1 KR 1020130081410 A KR1020130081410 A KR 1020130081410A KR 20130081410 A KR20130081410 A KR 20130081410A KR 101552010 B1 KR101552010 B1 KR 101552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extract
porphyra
micro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238A (ko
Inventor
모상현
정대현
이정훈
서효현
정해수
조문진
이현이
신동선
이유리
이진형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to KR102013008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0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9/00Hybrid peptides, i.e. peptides covalently bound to nucleic acids, or non-covalently bound protein-protein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 조류 추출물에서 유래한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과 뉴로펩타이드가 결합된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자극이 적어 일상 생활에서의 자외선 차단 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Anti-UV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Peptide derivatives from Extract of Microalga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 조류 추출물에서 유래한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과 뉴로펩타이드가 결합된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은 UV A(자외선 A)라고 불리는 장파장(대략 320-400nm의 영역)과 UV B(자외선 B)라 불리는 단파장(대략 290-320nm)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광선 중에서 자외선 A 및 B는 약 6%가 지표면에 도달되는데 자외선 C는 지상의 오존층과 대기권에서 흡수산란되어 지표면에는 도달되지 않는다.
이들 자외선은 체내에서 비타민 D의 합성, 피부병치료, 살균효과 등의 이로운 점도 있으나, 일광화상(Sunburn), 피부암, 피부노화, 광과민성 피부병, 돌연변이 유발 같은 해로운 측면도 있다. 자외선 A는 진피층까지 침투하여 주로 색소 침착 및 피부노화를 유발하고 또 광과민성 피부병 발생에 관여하며, 자외선 B는 보다 단파장의 고에너지 광선으로 표피와 진피 상부에 침투하여 일광화상, 색소침착 및 피부암 발생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태양광선의 이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 고대부터 일광을 차단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자외선 차단제의 종류로는 화학적 자외선차단제(Chemical sunscreen agent)와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Physical sunscreen agent)가 있는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주로 일광의 흡수를 통해서,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는 반사 및 산란을 통해 일광의 침투을 막는다.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품의 성능은 통상 자외선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자외선차단지수는 UV B에 대한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지수로 자외선차단제품을 도포하지 않은 부위에 UV B를 조사하여 얻은 최소홍반량(Minimum Erythemal Dose; MED)을 자외선차단제품을 사용하여 얻은 최소홍반량으로 나눈 상대값이다. 최소홍반량은 UV B를 사람의 피부에 조사하여 1624 시간 경과 후에 조사영역의 거의 대부분에 홍반이 나타나게 되는 최소한의 자외선량을 말한다.
반면, UV A를 조사하여 24 시간 경과 후 조사 영역의 전 영역에 기본적으로 희미한 흑화가 인식되는 최소 자외선 조사량을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inial Persistent Pigment darkening Dose; MPPD)이라 한다. 이때 제품도포부위와 무도포부위의 MPPD 비를 자외선 A 차단지수(Protection Factor of UV A; PFA)라 한다. 자외선 A 차단등급(PA)는 UV A 차단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고대에는 햇빛을 피하거나 가리는 물리적 방법과 타르, 약초, 진흙 등을 혼합하여 피부에 바르는 시도 등이 있었다. 피부에 햇빛을 조사되면 피부 표피층의 멜라닌 양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 멜라닌이 생체내 물질로서 자외선을 산란흡수하는 능력이 있고,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자외선 등에 의하여 생성된 프리라디칼을 제거해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멜라닌은 피부손상을 막아주는 아주 중요하고 훌륭한 생체 자외선 차단제의 역할을 하여 왔다.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들은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분이 한 개 이상 함유되어 있는 데, 자외선 B를 주로 막는 PABA, PABA esters(Amyl dimethyl PABA, octyl dimethyl PABA), Cinnamates(Cinoxate), Salicylate(Homomenthyl salicylate), Camphor 등과, 자외선 A를 주로 막는 Benzophenone(Oxybenzone,Dioxybenzone, Suliso benzene), Dibenzoyl methane,Anthranilate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들은 자외선을 흡수차단하는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어느 정도는 피부나 눈에 자극이 있고(PABA, PABA esters, benzophenones, cinnamates 등 은 접촉성 피부염을 초래하는 것으로 많이 보고되고 있다), 피부의 광과민성 반응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보고되어 사용을 제한하거나 사용량에 한계를 두고 있다.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는 자연에 존재하는 성분들로서 피부에 침투하는 자외선을 반사와 산란하여 피부를 보호한다.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탈크(Talc; Magnesium silicate),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 산화아연(Zinc oxide), 카올린(Kaolin) 등이 있다.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A와 B 모두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실현할 수 있고 접촉성 피부염 같은 부작용이 없고 물에 잘 지워지지 않는 장점도 있는 반면 원하는 제형을 실현하면서 유효한 함유량을 유지하기 어렵고, 피부에 도포시에 백탁현상 등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유기 혹은 무기 자외선 차단소재들은 화장품 제형내에서 일정량 이상 포함시 안정성이 떨어진다거나 피부트러블이 생기는 등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으며, 자외선 차단제의 안전성 및 유효성 그리고 안정성은 화장품의 중요한 화두이다. 화장품의 특성상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화장품의 경우, 자외선 차단 역할을 할 수 있는 소재가 자연친화적이며, 친환경, 피부적합도가 높으면서 그리고 또한,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시킬 수 있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소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자외선 차단 소재의 경우도 최근 자연친화적이면서 친환경적인 식물소재에서 찾고자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며, 특히 유럽에서 식물소재에서 추출된 성분들을 Eco-CERT같은 인증을 통해 소비자하게 Natural Cosmetics 혹은 Organic Cosmetics으로 소비자에게 친근히 다가가고자하는 노력이 돋보인다.
육상식물 중에 자외선 조사에 대한 방어기작의 일환으로 갈릭산, 카페익산 등의 Flavonoid 계통의 색소와 페닐알라닌, 타이로신, 트립토판과 퓨린 및 피리미딘 계열의 방향족 화합물 합성을 유도하는 경우가 있는데, 육상식물보다 더 직접적으로 UV 조사에 영향을 받는 해양식물체의 UV 방어 기작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된 바 없고, 최근에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를 중심으로 UV protection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세조류에서 유래한 MAAs은 대표적으로 Asterina, Shinorine, Porphyra가 있으며, 이들이 신경계 질환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것이 선행기술로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8-7031246호)
따라서, 피부에 무거운 느낌 또는 잔여물에 의한 이물감을 주지 않으면서 동시에 자극성 피부염, 접촉 피부염, 광 알레르기성 피부염 등의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 반응 및 독성 등과 같이 부작용이 없는 자외선 차단제용 천연 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87031246호 신경계 질환, 신경변성질환 및 기분 장애의 치료를 위한 아파니조메논 플로스 아쿠애 제제, 그의 추출물 및 그의 정제된 성분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흡수능이 있지만, 인위배양 및 분리정제조건이 까다로워 소재 산업화의 어려운 점이 있는 해양자원인 미세조류 (Chlamydomonas sp . 및 Chlamydomonas hedleyi ) 를 이용하여, 이로부터 Mycosporine-like amino acid (MAA)를 분리 정제 하여 피부세포활성을 갖는 Neuropeptide인 Enkephalin, Neoendorphin, 및 식물유래 펩타이드인 Exorphin을 이용한 MAA-Neuropeptides 를 Solid-Phase Peptide Synthesis(SPPS)방법으로 새롭게 합성하였고, 이들의 자외선 차단능을 새롭게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에 뉴로펩타이드가 결합된 펩타이드 유도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에 뉴로펩타이드가 결합된 펩타이드 유도체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써, 본 발명은 포르피라 334 (Porphyra 334), 시노린(Shinorine), 팔리틴(Palythine) 및 아스테린(Aster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에 네오엔돌핀, 엑소핀, 및 엔케팔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뉴로펩타이드가 결합된 펩타이드 유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자극이 적어 일상 생활에서의 자외선 차단 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유도체 제조에 있어서 필요한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을 클라미도모나스 종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 추출(메탄올 용액), 폴리사카라이드 분획 제거 및 농축(로토증발 및 동결건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클라미도모나스 종으로부터 분리된 시노린의 HPLC 크로마토 그램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클라미도모나스 종으로부터 분리된 아스테린 330, 팔리틴 및 시노린이 혼합된 추출 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추시노린의 HPLC 크로마토 그램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클라미도모나스 종으로부터 분리된 미코스포린-글리신(micosporine-glycine, M-Gly) 추출 분획의 HPLC 크로마토 그램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클라미도모나스 종으로부터 분리된 포르피라 334, 시노린, 팔리틴 및 아스테린이 혼합된 추출 분획의 HPLC 크로마토 그램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클라미도모나스 종(Chlamydomonas sp .)로부터 자외선 흡수능을 지닌 추출 분획물을 분리정제하여 얻어진 물질과 피부세포에 활성을 갖는 뉴로펩타이드를 이용하여 Asterine-Neoendorphin, Asterine-Enkephalin, Asterine-Exorphin, Shinorine-Neoendorphin, Shinorine-Enkephalin, Shinorine-Exorphin, Porphyra-Neoendorphin, Porphyra-Enkephalin, Porphyra-Exorphin 등을 합성하였고, 이들이 자외선 차단능이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에 뉴로펩타이드가 결합된 펩타이드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은 약 20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MAA 종류와 구조에 대해서는, J. Phycol. 34, 418430 (1998)에 각각의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들의 화학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일 구체예로 제시된 MAAs인 포르피라 334, 시노린, 팔리틴 및 아스테린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그림 1] porphyra 334
Figure 112013062355177-pat00001

[그림 2] shinorine
Figure 112013062355177-pat00002

[그림 3] asterine
Figure 112013062355177-pat00003

[그림 4] palythine
Figure 112013062355177-pat00004
이들 MAA는 클라미도모나스 (Chlamydomonas) 미세조류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클라미도모나스 미세조류는 한국해양연구원으로부터 분양받았으나, 그 외에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부터도 입수가 가능하다. 이러한 클라미도모나스 미세조류를 종래 공지되어 있는 미세 조류 배양을 위한 다양한 배양 배지 및 배양 조건을 통해 배양이 가능하며, 실시예에서 제시된 배양 조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클로미도모나스 종(Chlamydonomas sp.) 또는 클라미도모나스 헤드레이(Chlamydomonas hedleyi)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은 클라미도모나스 미세 조류로부터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추출한 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생약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약제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 여기에 특별히 언급되지 아니한 공지의 다양한 추출 방법, 예컨대, 물리적 방법,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법 등을 통해서도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로써는 도 1에 개시된 분리과정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실시예 1-2 및 도 1에 개시된 내용에 따라, 클라미도모나스로부터 추출된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의 분리 결과는 도 2 내지 도 5에 제시된 HPLC 크로마토 그램 분석 그래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총 4개의 추출 분획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도 2 내지 도 5의 추출분획은 각각 도 2는 시노린, 도 3은 아스테린 330과 팔리틴과 시노린 혼합 추출분획, 도 4는 미코스포린-글리신 추출분획 그리고 도 5는 포르피라 334, 시노린, 팔리틴, 아스테린 혼합 추출분획에 관한 것이며, 이들은 C8 크로마토그래픽 컬럼에서 이동상으로 물 내에 0.1% 아세트산(v/v) 2.5% 수용성 메탄올(v/v)를 이용하여 추출 과정을 거친 후 얻어진 추출분획이다. 각각의 추출분획은 HPLC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뉴로펩타이드는 신경세포로부터 분비되는 펩타이드들로, 신경세포에 작용하여 활성을 유도하고, 다양한 신호전달과정으로 피부 조직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뉴로펩타이드들로는 네오엔돌핀, 알파엔돌핀, 감마엔돌핀, 엔케팔린, 엑소핀 등이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써는, 네오엔돌핀(YGGFLRKYPK: 서열번호 1), 엑소핀 (YGGWL:서열번호 2) 또는 엔케팔린 (YGGFL: 서열번호 3)일 수 있으며, 실시예 1-3에 제시된 방법을 통해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과 뉴로펩타이드는 일련의 합성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펩타이드 유도체로 제조되며, 그 구체적인 과정은 실시예 1-3에 기재된 다양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3을 통해 합성된 새로운 펩타이드 유도체의 예시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그림 5] 포르피라 334-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Figure 112013062355177-pat00005

[그림 6] 포르피라 334-엑소핀 펩타이드 유도체
Figure 112013062355177-pat00006

[그림 7] 포르피라 334-엔케팔린 펩타이드 유도체
Figure 112013062355177-pat00007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로써, 자외선 차단 효능을 가지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클라미도모나스 미세조류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0.1 중량% 미만인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안전성과 제형 안정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의 의미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정도로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뉴로펩타이드와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이 혼합된 자외선 차단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뉴로펩타이드와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을 일 종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뉴로펩타이드와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의 종류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고, 실시예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포르피라 334, 팔리틴, 아스테린, 및/또는 시노린과 뉴로펩타이드(네오엔돌핀, 엑소핀 및/또는 엔케팔린)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조되는 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종래에 알려져 있는 유/무기 자외선 차단제, 자외선 차단기능이 알려져있는 천연물 등을 추가적으로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에 뉴로펩타이드가 결합된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키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부제, 항료, 착색료, 정제수 등을 필요에 따라 미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화장수, 에센스, 젤,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또는 젤라틴 등의 피막이 있는 캅셀 (소프트 캅셀, 하드 캅셀) 제형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에 뉴로펩타이드가 결합된 펩타이드 유도체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실시예에 제시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제조방법을 일부 변형시킨 방법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본 발명에 특별히 개시된 제조방법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경우,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에 따른 피부 노화 방지 기능을 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 향료, 비타민, 및 항산화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면, 희석제로는 유당, 덱스트린, 타피오카(tapioca) 녹말,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탈크,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폴라크릴린칼륨, 또는 크로스포비돈,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솔비톨, 또는 아스파탐,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잔탄검,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또는 솔빈산칼륨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제제, 주사제, 좌제, 경피 투여제제, 및 경비 투여제제의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형은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엑스제와 같은 경구 투여용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1: 미세조류 Chlamydomonas sp .와 Chlamydomonas hedleyi 배양
본 발명의 Chlamydomonas sp .와 Chlamydomonas hedleyi 는 한국해양연구원(KORDI)로부터 입수하였다. 멸균된 해수(Seawater)를 이용하여 f/2 Medium (Guillard and Ryther 1962, Guillard 1975)를 제조하였다. 배양은 무균적으로 배양된 Chlamydomonas sp .와 Chlamydomonas hedleyi 를 f/2배지에서 2~ 3주의 일정기간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이후, 풍선형 생물반응기(삼성과학)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성의 액체 배지에서 온도 25℃ , 공기공급량 0.1vvm 및 광조건 30 E/m/s (18h day, 6h night) 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며 14일 간격으로 대량배양하였다.
실시예 1-2: 미세조류 Chlamydomonas sp .와 Chlamydomonas hedleyi 로부터 MAA 분리
본 발명의 미세조류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Chlamydomonas sp.와 Chlamydomonas hedleyi 배양체를 멸균된 정제수로 10,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로 3회 세척한 다음, Chlamydomonas sp .와 Chlamydomonas hedleyi 의 배양체(Pellet)를 수거한다. Chlamydomonas sp .와 Chlamydomonas hedleyi 미세조류의 유기용매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추출하였다. 용매 추출 분획은 진공감압 농축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고형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이들 고형물에 에탄올을 가하여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1).
실시예 1-3: Solid - Phase Peptide Synthesis ( SPPS ) 를 이용한 MAA Conjugated - Neuropeptides 합성
Chlamydomonas sp .로부터 분리정제된 shinorine (SH), asterine 330 (AS330) + palythine (PNE)+ shinorine(SH), micosporine-glycine(M-Gly), porphyra 334 (P-334)+ shinorine + palythine+ asterine에 Enkephalin, Exorphin, Neoendorphin을 결합하는 방법은 Fmoc을 이용한 고체상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을 사용했다.
(1) Porphyra334-Neoendorphin(YGGFLRKYPK: 서열번호 1) 합성
1. Fmoc-Lysine-loaded resin을 vessel안에 넣고, NMP(N-Methylpyrrolidinone)에 녹여서 20분 동안 레진을 부풀린다.
2. 부풀어진 레진에 piperidine(20%)과 NMP(80%)가 섞인 용액을 넣고 10분 동안 반응을 2회 반복하였다.
3. DCM(Dichloromethane)용액으로 3번, NMP 용액으로 3번 씻어준다.
4. Fmoc-Proline amino acid(Fmoc-Lysine-loaded resin의 10당량)를 NMP에 녹인 후, NHS (N-Hydroxysuccinimide)(Fmoc-Lysine-loaded resin의 10당량), DCC(Dicyclohexylcarbodiimide) (Fmoc-Lysine-loaded resin10당량)를 넣고 활성화시킨다.
5. Fmoc이 제거된 Lysine-loaded resin에 4의 용액을 넣고 섞어준다.
6. 서열 Decapeptide (sequence : YGGFLRKYPK)가 합성될 때 까지 25과정을 반복한다.
7. 실시예 1-2에서 분리한 Porphyra(Fmoc-Lysine-loaded resin의 10당량)를 NMP에 녹인 후, NHS(Fmoc-Lysine-loaded resin의 10당량), DCC(Fmoc-Lysine-loaded resin10당량)를 넣고 활성화시킨다.
8. 7용액을 Fmoc이 제거된YGGFLRKYPK-loaded resin에 넣고 반응시킨다.
9. 마지막 합성이 끝난 후에 DCM용액으로 3번, NMP용액으로 3번, DCM용액으로 3번 씻어준다. 진공상태에서 샘플을 건조시킨다.
10. Phenol, distillated water, EDT (Ethandithio), TFA (Trifluoroacetic acid), and Thioanisole이 홉합된 용액으로 Protecting group을 Cleavage한다.
11. 미리 차갑게 만들어둔 Ether를 처리한 후 원심 분리시킨다.
12. 솔리드 상태의 물질을 용매에 녹여 필터 한 후, C18 컬럼이 있는 Reverse Phase (RP)-HPLC(Waters system)을 이용하여 정제한다.
13. 정제한 물질을 동결건조 하여 Powder상태로 만들어 완성한다.
14. MALDI-TOF mass spectrometry (Voyager DE-STR)로 분자량을 확인한다.
Shinorine - Neoendorphin
Shinorine - Neoendorphin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Shinorine을 사용한다.
Palythine - Neoendorphin
Palythine-Neoendorphin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Palythine을 사용한다.
Asterine - Neoendorphin
Asterine-Neoendorphin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Asterine을 사용한다.
Porphyra 334+ shinorine + palythine + Asterine Neoendorphin
Porphyra 334+shinorine+ palythine+Asterine Neoendorphin 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Porphyra 334+shinorine+ palythine+Asterine 을 사용한다.
(2) Porphyra334-Exorphin(YGGWL: 서열번호 2) 합성
1. Fmoc-Leucine-loaded resin을 vessel안에 넣고, NMP(N-Methylpyrrolidinone)에 녹여서 20분 동안 레진을 부풀린다.
2. 부풀어진 레진에 piperidine(20%)과 NMP(80%)가 섞인 용액을 넣고 10분 동안 반응을 2회 반복하였다.
3. DCM(Dichloromethane)용액으로 3번, NMP 용액으로 3번 씻어준다.
4. Fmoc-Tryptophan amino acid(Fmoc-Leucine-loaded resin의 10당량)를 NMP에 녹인 후, NHS (N-Hydroxysuccinimide)(Fmoc- Leucine -loaded resin의 10당량), DCC(Dicyclohexylcarbodiimide) (Fmoc- Leucine -loaded resin10당량)를 넣고 활성화시킨다.
5. Fmoc이 제거된 Leucine -loaded resin에 4의 용액을 넣고 섞어준다.
6. 서열 Pentapeptide (sequence : YGGWL)가 합성될 때 까지 25과정을 반복한다.
7. 실시예 1-2에서 분리한 Porphyra (Fmoc- Leucine -loaded resin의 10당량)를 NMP에 녹인 후, NHS(Fmoc- Leucine -loaded resin의 10당량), DCC(Fmoc- Leucine -loaded resin10당량)를 넣고 활성화시킨다.
8. 7용액을 Fmoc이 제거된YGGWL-loaded resin에 넣고 반응시킨다.
9. 마지막 합성이 끝난 후에 DCM용액으로 3번, NMP용액으로 3번, DCM용액으로 3번 씻어준다. 진공상태에서 샘플을 건조시킨다.
10. Phenol, distillated water, EDT (Ethandithio), TFA (Trifluoroacetic acid), and Thioanisole이 홉합된 용액으로 Protecting group을 Cleavage한다.
11. 미리 차갑게 만들어둔 Ether를 처리한 후 원심 분리시킨다.
12. 솔리드 상태의 물질을 용매에 녹여 필터 한 후, C18 컬럼이 있는 Reverse Phase (RP)-HPLC(Waters system)을 이용하여 정제한다.
13. 정제한 물질을 동결건조 하여 Powder상태로 만들어 완성한다.
14. MALDI-TOF mass spectrometry (Voyager DE-STR)로 분자량을 확인한다.
Shinorine - Exorphin
Shinorine -Exorphin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Shinorine을 사용한다.
Palythine - Exorphin
Palythine-Exorphin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Palythine을 사용한다.
Asterine - Exorphin
Asterine-Exorphin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Asterine을 사용한다.
Porphyra 334+ shinorine + palythine + Asterine Exorphin
Porphyra 334+shinorine+ palythine+Asterine Exorphin 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Porphyra 334+shinorine+ palythine+Asterine 을 사용한다.
(3) Porphyra334-Enkephalin(YGGFL: 서열번호 3) 합성
1. Fmoc-Leucine-loaded resin을 vessel안에 넣고, NMP(N-Methylpyrrolidinone)에 녹여서 20분 동안 레진을 부풀린다.
2. 부풀어진 레진에 piperidine(20%)과 NMP(80%)가 섞인 용액을 넣고 10분 동안 반응을 2회 반복하였다.
3. DCM(Dichloromethane)용액으로 3번, NMP 용액으로 3번 씻어준다.
4. Fmoc-Phenylalanine amino acid(Fmoc-Leucine-loaded resin의 10당량)를 NMP에 녹인 후, NHS (N-Hydroxysuccinimide)(Fmoc- Leucine -loaded resin의 10당량), DCC(Dicyclohexylcarbodiimide) (Fmoc- Leucine -loaded resin10당량)를 넣고 활성화시킨다.
5. Fmoc이 제거된 Leucine -loaded resin에 4의 용액을 넣고 섞어준다.
6. 서열 Pentapeptide (sequence : YGGFL)가 합성될 때 까지 25과정을 반복한다.
7. Porphyra(Fmoc- Leucine -loaded resin의 10당량)를 NMP에 녹인 후, NHS(Fmoc- Leucine -loaded resin의 10당량), DCC(Fmoc- Leucine -loaded resin10당량)를 넣고 활성화시킨다.
8. 7용액을 Fmoc이 제거된YGGWL-loaded resin에 넣고 반응시킨다.
9. 마지막 합성이 끝난 후에 DCM용액으로 3번, NMP용액으로 3번, DCM용액으로 3번 씻어준다. 진공상태에서 샘플을 건조시킨다.
10. Phenol, distillated water, EDT (Ethandithio), TFA (Trifluoroacetic acid), and Thioanisole이 홉합된 용액으로 Protecting group을 Cleavage한다.
11. 미리 차갑게 만들어둔 Ether를 처리한 후 원심 분리시킨다.
12. 솔리드 상태의 물질을 용매에 녹여 필터 한 후, C18 컬럼이 있는 Reverse Phase (RP)-HPLC(Waters system)을 이용하여 정제한다.
13. 정제한 물질을 동결건조 하여 Powder상태로 만들어 완성한다.
14. MALDI-TOF mass spectrometry (Voyager DE-STR)로 분자량을 확인한다.
Shinorine - Enkephalin
Shinorine -Enkephalin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Shinorine을 사용한다.
Palythine - Enkephalin
Palythine-Enkephalin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Palythine을 사용한다.
Asterine - Enkephalin
Asterine-Enkephalin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Asterine을 사용한다.
Porphyra 334+ shinorine + palythine + Asterine Enkephalin
Porphyra 334+shinorine+ palythine+Asterine Enkephalin 의 경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나 다만 7)의 Porphyra대신 Porphyra 334+shinorine+ palythine+Asterine 을 사용한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Chlamydomonas sp .와 Chlamydomonas hedleyi 추출물 및 미세조류 추출물 유래 MAAs - Neuropeptide 피부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에 미치는 영향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세조류 Chlamydomonas sp ., Chlamydomonas hedleyi 추출물 및 미세조류 추출물 유래 MAAs -Neuropeptide에 대한 피부 세포의 증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각질형성 세포(human keratinocyte cell, HaCaT)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주 받아서 배양하였다. 각 세포를 1X104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 well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10% FBS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USA)을 사용하였다. 10% FBS를 함유하는 DMEM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배양용기 표면적의 25 ~ 30%만큼 배양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함유된 FBS-free DMEM으로 교체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롬화물 (MTT, Sigma M5655, USA) 용액 (2.5 mg/ml)을 50㎕ 첨가하고 3시간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well 당 200㎕ 의 Dimethylsulfoxide (DMSO, Sigma D2650, USA)용액을 가한 후 20분간 교반하여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녹인 다음, 100㎕ 씩을 96 well 로 취하여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57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세포의 증식 활성 정도는 순수한 물을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결과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수학식 1]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효과 (%) = [(실험군 흡광도 - 대조군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의 피부 세포 생존율 결과
Cell viability ( % of control)
0.5 % 2 %
Chlamydomonas sp. 추출물 103 108
Chlamydomonas hedleyi 추출물 105 115
본 발명의 융합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MAA와 뉴로펩타이드 혼합물의 피부 세포 생존율 결과
MAA 종류 Neuropeptide 종류 Cell viability ( % of control)
2 %
Porphyra 334 Neoendorphin 123.2
Exorphin 124.5
Enkephalin 108.6
Shinorine Neoendorphin 108.0
Exorphin 114.0
Enkephalin 106.8
Palythine Neoendorphin 124.5
Exorphin 123.2
Enkephalin 98.3
Asterine Neoendorphin 105.4
Exorphin 110.8
Enkephalin 112.0
Porphyra 334
+ Shinorine
+ Palythine
+ Asterine
Neoendorphin 102.6
Exorphin 105.1
Enkephalin 106.0
피부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시험 결과, 표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0.5 % 및 2 %의 미세조류 Chlamydomonas sp ., Chlamydomonas hedleyi 추출물 및 2% 미세조류 추출물 유래 MAAs인 각 Porphyra 334, Shinorine, Palythine, Asterine, Porphyra334+Shinorine+Palythine+Asterine 융합 Neuropeptide들인 Neoendorphin, Exorphin, Enkephalin 의해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즉,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Chlamydomonas sp .와 Chlamydomonas hedleyi 추출물 및 미세조류 추출물 유래 MAAs - Neuropeptide 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보호 효과
UV 조사에 사용할 광원으로는 302 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ultraviolet cross-linker CL-1000(Ultra-Violet Products, CA)을 사용하였다.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를 1x105 cells/ml 농도로 24-well plate에 넣고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액으로 세척하였다. 인산완충액을 500 ml 첨가한 다음 자외선을 10 mJ/cm2 로 조사 후 FBS를 포함하지 않은 신선한 세포배양배지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여기에, MTT(3- (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5 mg/ml을 첨가한 후 배양기에서 3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formazan을 DMSO에 녹이고, 96well plate로 옮긴 후 565 nm에서 ELISA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융합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MAA와 뉴로펩타이드 혼합물,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따른 세포 보호효과
UV조사 MAA 종류 Neuropeptide 종류 Cell viability ( % of control)
0.5 % 2 %
- 대조군 대조군 100







+

대조군 대조군 50
Porphyra 334 Neoendorphin 65 70
Exorphin 69 67
Enkephalin 80 89
Shinorine Neoendorphin 55 57
Exorphin 51 53
Enkephalin 57 60
Palythine Neoendorphin 60 70
Exorphin 66 76
Enkephalin 68 78
Asterine Neoendorphin 51 54
Exorphin 52 55
Enkephalin 51 53
Porphyra 334
+ Shinorine
+ Palythine
+ Asterine
Neoendorphin 60 70
Exorphin 65 75
Enkephalin 68 78
Chlamydomonas sp. 55 60
Chlamydomonas hedleyi 59 65
0.5 % 및 2 %의 미세조류 Chlamydomonas sp ., Chlamydomonas hedleyi 추출물 및 2% 미세조류 추출물 유래 MAAs인 각 Porphyra 334, Shinorine, Palythine, Asterine, Porphyra334+Shinorine+Palythine+Asterine 융합 Neuropeptide들인 Neoendorphin, Exorphin, Enkephalin 의한 자외선에 대한 각질형성세포 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과 비교하여 자외선 조사에 대한 뛰어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in-vivo 테스트를 통하여 SPF(자외선 차단지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자외선 차단 정도를 보기 위하여 in-vivo 테스트를 통하여 SPF(자외선 차단지수)를 측정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융합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MAA와 뉴로펩타이드 혼합물,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을 정제수에 7% 농도로 함유시켜 표준시료로 하여 하였다. 10명 이상의 시험 대상자를 선정하여, 피부손상이 있거나 과도한 털, 색조가 특별히 차이가 있는 부분을 피하고 깨끗하고 마른 상태를 시험부위(등)로 하였다. 그 후, 시험대상자의 피부유형을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상되는 최소홍반량을 결정하여 Xenon arc lamp를 장착한 solar simulator 또는 이와 유사한 광원을 조사하였다. 조사가 끝난 후, 1624시간 사이에 시험대상자의 홍반상태를 판정하여, 전면에 홍반이 나타난 부위에 조사한 UVB의 광량 중 최소량을 최소홍반량으로 하였다. 다음, 시험대상자에 표준시료 도포부위와 제품 도포부위를 24cm2 이상으로 하여 0.5cm2 이상의 면적을 갖는 5개 이상의 조사부위로 구획하여, 2.0mg/cm2 또는 2.0L/cm2 의 양으로 도포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15분간 방치하여 건조한 다음, 제품 도포전의 최소 홍반량측정과 동일하게 최소홍반량을 측정하였다. 그 후, 자외선 차단 지수를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Figure 112013062355177-pat00008
본 발명의 융합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MAA와 뉴로펩타이드 혼합물,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따른 세포 보호효과
MAA 종류 구 분 SPF
1 대조군 1
2 Porphyra 334 Neoendorphin 10
3 Exorphin 10
4 Enkephalin 13
5 Shinorine Neoendorphin 15
6 Exorphin 18
7 Enkephalin 20
8 Palythine Neoendorphin 13
9 Exorphin 13
10 Enkephalin 13
11 Asterine Neoendorphin 12
12 Exorphin 14
13 Enkephalin 16
14 Porphyra 334
+ Shinorine
+ Palythine
+ Asterine
Neoendorphin 20
15 Exorphin 22
16 Enkephalin 25
17 Chlamydomonas sp. 8
18 Chlamydomonas hedleyi 10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세조류 Chlamydomonas sp ., Chlamydomonas hedleyi 추출물 및 미세조류 추출물 유래 MAAs인 각 Porphyra 334, Shinorine, Palythine, Asterine, Porphyra334+Shinorine+Palythine+Asterine 결합된 Neuropeptide들인 Neoendorphin, Exorphin, Enkephalin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지수는 25+까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융합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MAA와 뉴로펩타이드 혼합물,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으로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1: 화장수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화장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글리세린 5.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히아루론산 0.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1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틸 0.1
에탄올 5.0
방부제 0.15
항료 적량
착색료 적량
실시예 1의 융합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MAA와 뉴로펩타이드 혼합물,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 2.0~7.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2: 에센스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에센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쿠알란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실시예 1의 융합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MAA와 뉴로펩타이드 혼합물,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 2.0~7.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3: 로션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로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테아린산 0.5
유동파라핀 7.0
스쿠알란 5.0
마카데미아오일 3.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2.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카르복시폴리머 0.12
트리에탄올아민 0.15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실시예 1의 융합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MAA와 뉴로펩타이드 혼합물,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 2.0~5.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4: 크림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크림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5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1.5
밀납 0.5
유동파라핀 8.0
스쿠알란 7.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
정제호호바유 4.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6.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산탄검 0.06
트리에탄올아민 0.10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실시예 1의 융합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MAA와 뉴로펩타이드 혼합물,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 2.0~7.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5: 젤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w/w)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4.0
에탄올 1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1
카르복시폴리머 0.30
트리에탄올아민 0.3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실시예 1의 융합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MAA와 뉴로펩타이드 혼합물, 클라미도모나스 추출물 1.0~7.0
정제수 to 1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부호 없음
<110> BIO-FD&C Co.,Ltd <120> Anti-UV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Peptide derivatives from Extract of Microalgae Comprising the Same <130> CP13-133 <160> 3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eoendorphin <400> 1 Tyr Gly Gly Phe Leu Arg Lys Tyr Pro Lys 1 5 10 <210> 2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xorphin <400> 2 Tyr Gly Gly Trp Leu 1 5 <210> 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nkephalin <400> 3 Tyr Gly Gly Phe Leu 1 5

Claims (6)

  1. 포르피라 334 (Porphyra 334), 시노린(Shinorine), 팔리틴(Palythine) 및 아스테린(Aster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미코스포린 유사 아미노산에, 네오엔돌핀, 엑소핀, 및 엔케팔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뉴로펩타이드가 결합된 펩타이드 유도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오엔돌핀, 엑소핀 및 엔케팔린은 각각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의 서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펩타이드 유도체.
  5. 제1항에 따른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6. 삭제
KR1020130081410A 2013-07-11 2013-07-11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52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410A KR101552010B1 (ko) 2013-07-11 2013-07-11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410A KR101552010B1 (ko) 2013-07-11 2013-07-11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238A KR20150008238A (ko) 2015-01-22
KR101552010B1 true KR101552010B1 (ko) 2015-09-10

Family

ID=5257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410A KR101552010B1 (ko) 2013-07-11 2013-07-11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778A (ko) 2019-09-19 2021-03-29 훠리스트 주식회사 미세조류 심바이오디니움 속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899B1 (ko) * 2016-10-07 2018-01-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 세네데스무스속 조류 및 이의 추출물
US20220387295A1 (en) * 2019-01-31 2022-12-08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Novel microalgae having high loliolide productivity
KR102249252B1 (ko) * 2019-10-07 2021-05-0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조류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30680A (ko) * 2019-12-30 2022-09-27 주식회사 아데나 홍조류 유래 플로리도시드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N113980918B (zh) * 2021-10-18 2023-11-24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南极冰藻MAAs合成酶及其编码基因和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4086-4092, 2013년 8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778A (ko) 2019-09-19 2021-03-29 훠리스트 주식회사 미세조류 심바이오디니움 속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49424B1 (ko) * 2019-09-19 2021-05-07 훠리스트 주식회사 미세조류 심바이오디니움 속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238A (ko)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010B1 (ko) 미세 조류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858961B2 (ja) 純粋な形態又は植物抽出物としてのマンジフェリン又はその誘導体を活性成分として含有する化粧用又は医薬用組成物
CN101188995B (zh) 包含类胡萝卜素的遮光组合物
EP2514403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collagen synthesis in the skin cells
US8349803B2 (en) Use of an active principle from flax for use in a composition for activating cytochrome c
KR20090056397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US2017024610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skin
KR20200024235A (ko) 피부, 모발, 손톱 및/또는 점막의 치료 및/또는 관리에 유용한 화합물
ES2573792T3 (es)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paulownia y/o extractos de paulownia y usos de los mismos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6797B1 (ko) 레몬버베나 유래 액티오사이드 함유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2181A (ko) 대황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102184317B1 (ko) 피부 주름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102002997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작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2499608B1 (ko) 리쥬버네이팅 세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308750A (ja) 皮膚外用剤
US8685927B2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relieving peptidic hydrolyzate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2337A (ko)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5213B1 (ko) 레몬버베나 유래 루테오닌­7­디글루쿠로니드 함유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4103727B2 (ja) 紫外線防御剤
KR20100060709A (ko) 당귀 추출물로부터 데커신을 효율적으로 추출, 정제 및 가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데커신을 함유하는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