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530B1 -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 Google Patents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530B1
KR101551530B1 KR1020130052819A KR20130052819A KR101551530B1 KR 101551530 B1 KR101551530 B1 KR 101551530B1 KR 1020130052819 A KR1020130052819 A KR 1020130052819A KR 20130052819 A KR20130052819 A KR 20130052819A KR 101551530 B1 KR101551530 B1 KR 10155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ame
stone
filled
dimensio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146A (ko
Inventor
송근직
Original Assignee
송근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근직 filed Critical 송근직
Priority to KR102013005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530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직사각 형태를 갖는 프레임과, 전방으로 아치형상의 구배가 형성되게 결합되는 격자구조의 철선으로 이루어지는 철망과, 상기 철망의 내부로 석재가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 세로빔과 철망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제 1연결철선과, 상기 철망의 전면에 그림 또는 문자의 형태를 갖도록 내부가 빈 형태로 용접결합되는 구획철선으로 구성되는 골조; 및 상기 골조의 철망 내부로 충진되는 석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골조의 구획철선은 철망의 내부에 충진되는 석재의 유입을 간섭하여 속이 빈 입체공간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GABION WITH THREE-DIMENSIONAL SPACE}
본 발명은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속이 빈 입체공간부가 형성된 그림 또는 문자의 형태 갖도록 하여 개비온의 너머 실내외부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또한 개비온의 철망 중앙을 아치형상으로 구배를 형성하여 내부로 석재가 충진될 경우 무게 중심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안정적인 개비온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된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비온(gabion)은 철망으로 된 사각틀 안에 깬돌이나 자연석과 같은 석재를 채워 넣은 구조물로 옹벽용 또는 호안보호용 또는 기존벽체 미적용으로 주로 설치된다.
상기 개비온 구조물은 시공성뿐만 아니라 철망을 통해 석재의 아름다운 자연 질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옹벽 뿐만 아니라 건출물의 내.외장 인테리어에도 활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개비온 구조물은 직경이 작은 철선을 이용해 개비온을 만들기 때문에 자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석재의 자중을 이용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비온 내부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석재가 많이 필요하다.
종래의 개비온(제10-0919169호)에 따르면, 상기 개비온의 구조가 직사각형의 구조로 되어 있어 무게 중심이 분산되어 쉽게 쓰러지므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비온의 내부에 지주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지주를 설치하기 때문에 옹벽구축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고, 상기 지주를 설치하는데 있어 지면을 기초공사가 필수적이므로 옹벽구축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까지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개비온은 내부에 석재만 충진시켜 미적감각이 떨어지고 획일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속이 빈 입체공간부가 형성된 그림 또는 문자의 형태 갖도록 하여 개비온의 너머 실내외부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또한 개비온의 철망 중앙을 아치형상으로 구배를 형성하여 내부로 석재가 충진될 경우 무게 중심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안정적인 개비온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된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속이 빈 입체공간부를 통해 사용자가 개비온을 사이에 두고 대화는 물론, 집배원이나 배달원이 편지나 음식을 전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철망 내부로 충진되는 석재를 줄일 수 있어 제작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개비온의 각 골조는 선택적으로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개비온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골조와 철망을 용접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시 철망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발명은,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직사각 형태를 갖는 프레임과, 전방으로 아치형상의 구배가 형성되게 결합되는 격자구조의 철선으로 이루어지는 철망과, 상기 철망의 내부로 석재가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 세로빔과 철망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제 1연결철선과, 상기 철망의 전면에 그림 또는 문자의 형태를 갖도록 내부가 빈 형태로 용접결합되는 구획철선으로 구성되는 골조; 및 상기 골조는 상기 구획철선과 연결되어 철망의 내부에 충진되는 석재의 유입을 간섭할 수 있도록 속이 빈 입체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프레임이 대면하도록 2개가 대칭되게 결합되어 옹벽으로 사용되고, 상기 입체공간부는 구획철선에서 철망의 내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제 2연결철선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각 골조는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연결철선 및 제 2연결철선은 양측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각각 장너트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장너트는 내부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이 중앙을 기점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각 철망은 그림 또는 문자 형태로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수평연장된 제 3연결철선을 통해 돌출입체공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돌출입체공간부의 내부에는 철망의 내부에 충진된 석재와 서로 다른 색상의 색상석재가 충진되고, 3연결철선의 연장 단부에는 구획철선을 통해 상호 연결시켜 그림 또는 문자 형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구획철선의 내부에는 돌출입체공간부로 충진된 석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철선으로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에 따르면, 속이 빈 입체공간부가 형성된 그림 또는 문자의 형태 갖도록 하여 개비온의 너머 실내외부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또한 개비온의 철망 중앙을 아치형상으로 구배를 형성하여 내부로 석재가 충진될 경우 무게 중심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안정적인 개비온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속이 빈 입체공간부를 통해 사용자가 개비온을 사이에 두고 대화는 물론, 집배원이나 배달원이 편지나 음식을 전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철망 내부로 충진되는 석재를 줄일 수 있어 제작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비온의 각 골조는 선택적으로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개비온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골조와 철망을 용접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시 철망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입체공간부를 통해 철망의 내부에 충진된 석재와 서로 다른 색상의 색상석재가 충진되며 보다 입체적인 그림과 문양을 형성시켜 획일화된 개비온의 미적감각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되는 골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골조의 간격조절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되는 골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골조의 간격조절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속이 빈 입체공간부가 형성된 그림 또는 문자의 형태 갖도록 하여 개비온 너머 실내외부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3)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공간부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골조(1)와 석재(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골조(1)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세부적으로는 프레임(11)과, 철망(12)과, 제 1연결철선(13)과, 구획철선(14)과, 제 2연결철선(151)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골조(1)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각 프레임(11)이 대면하도록 2개가 대칭되게 결합되어 옹벽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며, 다른 실시예로는 기존벽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각 골조(1)의 프레임(11)은 상호 간 용접결합시키거나, 볼트와 너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상호 간 체결시키거나, 별도의 와이어를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용접결합시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은 세로빔(111)과 가로빔(112)이 상호 간 용접결합되어 직사각 형태를 갖는 구조이며, 철망(12)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철망(12)은 제 1연결철선(13)을 통해 상기 프레임(11)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철망(12)은 전방으로 아치형상의 구배가 형성되는 격자구조의 철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내부로 석재(2)가 충진될 경우 무게 중심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안정적인 개비온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구획철선(14)은 상기 철망(12)의 전면에 그림 또는 문자의 형태를 갖도록 용접결합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구획철선(14)의 내부로는 철선을 제거하여 내부가 빈 형태로 구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철선(14)은 철망(12)의 내부에 충진되는 석재(2)의 유입을 간섭하여 속이 빈 입체공간부(15)을 갖도록 격자구조의 제 2연결철선(151)이 후방으로 더 연장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그림 또는 문자 형태의 구획철선(14)을 통해 개비온 너머 실내외부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어 개비온의 미적감각을 높이고, 또한 사용자가 개비온(3)을 사이에 두고 대화는 물론, 집배원이나 배달원이 편지나 음식을 전달 수 있도록 기능을 겸할 수 있으며, 또한 철망 내부로 충진되는 석재를 양을 줄일 수 있어 제작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각 골조(1)는 선택적으로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개비온(3)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골조(1)와 철망(12)을 용접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시 철망(12)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각 골조(1)의 철망(12)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 세로빔(111)과 철망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제 1연결철선(13)을 통해 결합된다.
이 때 상기 각 골조(1)는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연결철선(13) 및 제 2연결철선(151)의 양측에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장너트(17)를 매개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장너트(17)는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이 중앙을 기점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 (b)와 같이, 프레임(11)과 철망(12)의 간격조절은 양측에 제 1연결철선(13)이 체결결합된 장너트(17)를 중심에 두고 상기 장너트(17)의 회전방향에 따라 프레임(11)과 철망(1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의 (a), (b)와 같이, 상기 각 입체공간부(15) 역시 양측에 제 2연결철선(151)이 체결결합된 장너트(17)를 중심에 두고 상기 장너트(17)의 회전방향에 따라 프레임(11)과 철망(12)의 간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철망(12)은 그림 또는 문자 형태로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수평연장된 제 3연결철선(161)을 통해 돌출입체공간부(16)가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3연결철선(161)의 연장 단부에는 구획철선(14)을 통해 상호 연결시켜 그림 또는 문자 형태를 유지시키고, 또한 구획철선(14)의 내부에는 돌출입체공간부(16)로 충진된 색상석재(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철선(162)으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돌출입체공간부(16)는 철망(12)의 내부에 충진된 석재(2)와 서로 다른 색상의 색상석재(21)가 충진되며 보다 입체적인 그림과 문양을 형성시켜 획일화된 개비온의 미적감각을 증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에 따르면, 속이 빈 입체공간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철망의 전면에 형성된 구획철선에는 투명의 아크릴를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개방된 입체공간부일 경우에는 바닥면에 흙을 일부 채우고, 다양한 식물을 식재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 색상석재를 충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옹벽용으로 구성하였지만 건축물의 실내 인테리어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골조 11: 프레임 111: 세로빔
112: 가로빔 12: 철망
13: 제 1연결철선 14: 구획철선
15: 입체공간부 151: 제 2연결철선
16: 돌출입체공간부 161: 제 3연결철선
162: 마감철선 17: 장너트
2: 석재 21: 색상석재
3: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Claims (6)

  1. 직사각 형태를 갖는 프레임(11)과, 전방으로 아치형상의 구배가 형성되는 철망(12)과, 상기 철망(12)의 내부로 석재(2)가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1)의 양측 세로빔(111)과 철망(12)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제 1연결철선(13)과,
    상기 철망(12)의 전면에 그림 또는 문자의 형태를 갖도록 내부가 빈 형태로 용접결합되는 구획철선(14)으로 구성되는 골조(1); 및
    상기 골조(1)의 철망(12) 내부로 충진되는 석재(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골조(1)는 상기 구획철선(14)과 연결되어 철망(12)의 내부에 충진되는 석재의 유입을 간섭할 수 있도록 속이 빈 입체공간부(15)가 형성되고, 상기 각 프레임(11)이 대면하도록 2개가 대칭되게 결합되어 옹벽으로 사용되며,
    상기 입체공간부(15)는 구획철선(14)에서 철망(12)의 내측으로 수평연장되어 결합되는 제 2연결철선(151)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각 골조(1)는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연결철선(13) 및 제 2연결철선(151)은 양측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각각 장너트(17)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장너트(17)는 내부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이 중앙을 기점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철망(12)은 그림 또는 문자 형태로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수평연장된 제 3연결철선(161)을 통해 돌출입체공간부(16)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입체공간부(16)의 내부에는 철망(12)의 내부에 충진된 석재(2)와 서로 다른 색상의 색상석재(21)가 충진되고, 제 3연결철선(161)의 연장 단부에는 구획철선(14)을 통해 상호 연결시켜 그림 또는 문자 형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구획철선(14)의 내부에는 돌출입체공간부(16)로 충진된 석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철선(162)으로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KR1020130052819A 2013-05-10 2013-05-10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KR10155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819A KR101551530B1 (ko) 2013-05-10 2013-05-10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819A KR101551530B1 (ko) 2013-05-10 2013-05-10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46A KR20140133146A (ko) 2014-11-19
KR101551530B1 true KR101551530B1 (ko) 2015-09-08

Family

ID=5245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819A KR101551530B1 (ko) 2013-05-10 2013-05-10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874B1 (ko) * 2018-02-08 2020-02-26 지평토건(주) 경량 개비온 옹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772Y1 (ko) * 2001-01-18 2001-07-19 길인환 돌망태용 조립식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772Y1 (ko) * 2001-01-18 2001-07-19 길인환 돌망태용 조립식 프레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호철망 홈페이지(2012.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46A (ko)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1148B2 (ja) 植物が植えられる壁のための構造体
KR101246268B1 (ko)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EP3268551B1 (en) Prefabricated panel formwork, suitable for being used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nd gardens
US9951520B2 (en) Column for supporting a covering and screen construction comprising such a column
KR101536970B1 (ko) 높낮이 및 폭이 조절되는 조립식 가구용 파티션
KR101551530B1 (ko)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US1950397A (en) Wall structure and building unit
KR20170003836U (ko)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KR101195308B1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정 프레임
KR101569789B1 (ko) 조립식 토목 블록
JP2015168925A (ja) 篭体および篭構造体
ITRM20110490A1 (it) Edificio grattacielo scalettato ecologico.
KR20160003411U (ko) 개비온 화분
JP2011083200A (ja) 屋外構築物及び網状容器
KR101290272B1 (ko) 게비온 및 이를 이용한 게비온벽
JP2005061144A (ja) 法面の緑化工法
JP3161412U (ja) 組立式フェンス
CN202809876U (zh) 一种消音墙结构
KR20190001191U (ko) 건축공사용 가설펜스
KR101467149B1 (ko) 자연친화용 휀스
KR101586005B1 (ko) 다기능 한식담장 및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KR101259291B1 (ko) 이동식 엄폐구조물
JP4656882B2 (ja) ブロックの開口施工方法
JP6530958B2 (ja) 構造物
CN213228153U (zh) 景观造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