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682B1 -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 Google Patents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682B1
KR101550682B1 KR1020140060607A KR20140060607A KR101550682B1 KR 101550682 B1 KR101550682 B1 KR 101550682B1 KR 1020140060607 A KR1020140060607 A KR 1020140060607A KR 20140060607 A KR20140060607 A KR 20140060607A KR 101550682 B1 KR101550682 B1 KR 101550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icroscope
lens holder
eyepiec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진
Original Assignee
정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진 filed Critical 정해진
Priority to KR102014006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2Mechanical details, e.g. mountings for the camera or image sensor,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16Technical microscopes, e.g. for inspection or measuring in industrial production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1Optical details, e.g. image relay to the camera or image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안착영역이 형성되고, 폭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 홀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위치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결합되며, 접안렌즈가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현미경에 놓여진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인하도록 마련되는 렌즈홀더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안착된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그립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Holder for smart phone photographing of microscope}
본 발명은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를 설치하여, 관찰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관찰대상물을 안정적이고 선명한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은 과학분야에서 연구와 학습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실험기구로서, 인체의 눈으로는 직접 관찰할 수 없는 대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현미경은 관찰자가 관찰대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렌즈에 눈을 직접적으로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관찰자의 눈이 쉽게 피로하거나 관찰자가 관찰대상을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어렵다.
이를 위해,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수단을 현미경에 결합시켜, 관찰대상을 촬영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별도의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그에 따라 현미경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08705호(등록일 : 2000.10.17)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를 설치하여, 관찰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관찰대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스마트폰 안착영역이 형성되고, 폭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 홀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위치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결합되며, 접안렌즈가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현미경에 놓여진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인하도록 마련되는 렌즈홀더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안착된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그립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홀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며, 영상 확인 홀이 설치되는 슬라이드 이동부와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의 내주면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개의 접안렌즈가 구비되는 렌즈홀더부 및 상기 렌즈홀더부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삽입되며, 상기 렌즈홀더부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형성되는 경통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홀 상에서의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의 슬라이드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는 상기 스토퍼가 승강하도록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렌즈홀더부와 상기 경통부가 단차를 가지며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홀더부의 일단면이 상기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걸림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렌즈홀더부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현미경의 종류에 따른 접안렌즈 설치 위치의 서로 다른 구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어댑터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렌즈홀더부의 외주면에 결합된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단차를 가지며 형성되고, 단차진 영역이 상기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걸림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그립 유닛은 상기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고정 형성되는 제1그립부와 상기 제1그립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레일 결합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폭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제2그립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그립부와의 체결을 통해 상기 제2그립부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스마트폰 안착영역이 형성되고, 폭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 홀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위치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현미경의 접안렌즈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현미경에 놓여진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렌즈홀더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안착된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그립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접안렌즈부에 삽입되는 일단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절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체결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접안렌즈부를 가압 고정하는 체결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접안렌즈부에 삽입되고,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가압영역을 형성하며, 체결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가압영역의 내경이 조절된다.
본 발명은,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를 설치함으로써, 관찰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관찰대상물을 안정적이고 선명한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구비된 접안렌즈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제조사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스마트폰 카메라에 대응하며 효과적으로 관찰대상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의 구경에 따라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어댑터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현미경의 종류에 상관없이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가 안정적으로 걸림 위치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렌즈홀더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스토퍼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그립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3실시예의 A-A'를 보여주는 상부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상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렌즈홀더 유닛(200) 및 그립 유닛(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스마트폰 안착영역이 형성되고, 폭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110)이 설치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스마트폰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구비되고, 일측에 후술 될 렌즈홀더 유닛(200)이 레일부재(112)에 걸림 위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홀(110)이 관통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제조사에 따른 제품 마다 카메라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여 렌즈홀더 유닛(20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폭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는 상기 슬라이딩 홀(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홀(110)에 결합되어 스마트폰 카메라 위치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내부에 복수개의 접안렌즈(10)가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현미경에 놓여진 관찰대상을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슬라이딩 홀(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 이동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영상 확인 홀(212)의 위치와 상기 스마트폰 카메라의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현미경에 놓여진 관찰대상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만일, 관찰자가 현미경에 놓여진 관찰대상을 관찰하는 경우에 접안렌즈에 관찰자의 눈을 직접적으로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관찰자의 눈이 쉽게 피로하거나 관찰자가 관찰대상을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스마트폰 카메라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딩 홀(110) 상에서 렌즈홀더 유닛(20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영상 확인 홀(212)을 통해 스마트폰이 관찰대상을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관찰자가 스마트폰 화면을 통해 관찰대상을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현미경의 경우 접안렌즈가 경사를 가지며 설치되고, 그 위치에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이 결합되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면서 관찰대상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스마트폰의 위치가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후술 될 그립 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그립 유닛(3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설치되고,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안착된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그립 유닛(300)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양측을 가압하여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 유닛(3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서 폭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폭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스토퍼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슬라이딩 홀(110) 상에서 렌즈홀더 유닛(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스토퍼(240)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슬라이드 이동부(210) 및 렌즈홀더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는, 슬라이딩 홀(110)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부에서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 영상 확인 홀(2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는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단차면이 상기 슬라이딩 홀(110)의 레일부재(112)에 걸림 위치되어 하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부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렌즈홀더부(220)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내주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개의 접안렌즈(10)가 구비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여기서, 스토퍼(240)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24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슬라이딩 홀(110) 상에서의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슬라이드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는 상기 스토퍼(240)가 결합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된다.
즉, 스토퍼(240)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와 나사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부면을 가압하도록 승강하여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스토퍼(240)는 스마트폰 카메라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딩 홀(110) 상에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가 이동하는 경우,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위치를 고정해제 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된 상기 스토퍼(240)의 회전에 의한 체결을 통해, 효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상기 슬라이딩 홀(110) 상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접안렌즈가 구비되어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현미경에 놓여진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렌즈홀더 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내주면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복수개의 접안렌즈(10)가 구비되는 렌즈홀더부(220)와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형성되는 경통부(23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렌즈홀더부(2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내부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상기 렌즈홀더부(220)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 상에서 양방향의 회전을 통해 승강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렌즈홀더부(220) 내부에 설치된 접안렌즈(1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승강을 통해 렌즈홀더 유닛(200)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 내부에 구비된 접안렌즈(10)와 현미경의 내부에 설치된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관찰대상에 대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경통부(230)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단부와 나사 결합되며, 그에 따라 회전에 의해 상기 렌즈홀더부(220) 상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경통부(230)는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단부와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양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통부(230)는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결합되기 때문에 단차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단차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일단면이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걸림 위치되도록 한다.
이하,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그립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설치되고,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안착된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그립 유닛(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그립 유닛(300)은 제1그립부(310), 제2그립부(320) 및 고정부(330)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제1그립부(310)는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고정 형성된다.
상기 제1그립부(3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고정 설치되고, 스마트폰의 일측과 접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제2그립부(3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1그립부(310)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그립부(32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를 가지는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내부에 형성된 삽입 홀(114)에 삽입되어 레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그립부(320)는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폭방향의 길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스마트폰의 타측을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그립부(3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수직하게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된 일단부의 높이가 상기 제1그립부(3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3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 홀(322)에 삽입되고, 상기 제2그립부(320)의 하부와의 체결을 통해 상기 제2그립부(320)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부(33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써, 상기 체결 홀(322)에 길이를 가지며 삽입되어 있다가 상기 제2그립부(320)의 위치 고정 시 회전을 통해 상기 제2그립부(320)의 하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그립부(320)의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제1그립부(310), 상기 제2그립부(320) 및 상기 고정부(330)를 통해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위치된 스마트폰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상기 제2그립부(320)가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종류에 따른 폭 방향의 길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스마트폰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렌즈홀더 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경통부(230)가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삽입되는 경우, 렌즈홀더부(220)의 일단면이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걸림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현미경은 접안렌즈의 직경에 따라 접안렌즈 설치 위치의 구경이 30(Ø), 23.2(Ø) 두가지 종류를 가지며 형성되고, 이때 상기 경통부(230)는 23.2(Ø)를 가지는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만일,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의 구경이 30(Ø)인 경우에는 렌즈홀더부(220)에 나사 결합된 경통부(230)를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분리하고, 후술 될 어댑터(250)를 결합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어댑터(250)는 렌즈홀더부(220)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현미경의 종류에 따른 접안렌즈 설치 위치의 서로 다른 구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어댑터(250)는 경통부(230)가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과 다르게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구경이 30(Ø)인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250)는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외주면에 결합된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단차를 가지며 형성되고. 단차진 영역이 구경이 30(Ø)인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걸림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어댑터(250)는,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도록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외주면에도 소정의 범위를 가지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어댑터(250)는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의 구경에 따라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접안렌즈 설치 위치의 구경에 대응하며 효과적으로 렌즈홀더 유닛(200)의 걸림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어댑터(250)는 상기 렌즈홀더부(220)의 외주면 상에서 양방향의 회전을 통해 승강하도록 구비되고, 그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에 경통부(230)로 교체하여 23.2(Ø)를 가지는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3실시예의 A-A'를 보여주는 상부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렌즈홀더 유닛(200) 및 그립 유닛(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그립 유닛(300)은 전술된 상세한 설명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렌즈홀더 유닛(200)은 슬라이딩 홀(110)에 결합되어 스마트폰 카메라 위치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현미경의 접안렌즈부(20)에 삽입되며,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현미경에 놓여진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상기 접안렌즈부(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일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복수개로 절개되어 절개부(280)를 형성한다.
즉,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스토퍼(240)가 승강하는 영역을 제외한 일측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상기 절개부(280)를 형성하며 절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절개부(280)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접안렌즈부(2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즉, 현미경은 접안렌즈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접안렌즈부(20)의 직경이 미세하게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렌즈홀더 유닛(200)은 상기 접안렌즈부(20)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기 절개부(280)를 구비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상기 절개부(280)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접안렌즈부(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260) 및 체결부(270)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260)는, 상기 절개부(28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결합부(260)는 상기 절개부(28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후술 될 체결부(270)를 통해 복수개의 절개부(280)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270)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부(260)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체결부재(400)의 체결을 통해 상기 절개부(280)의 간격을 조절하여 접안렌즈부(20)를 가압 고정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400)는 볼트 및 너트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270)에 설치된 결합 홀(270a)을 함께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절개부(28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는 현미경에 설치된 접안렌즈부(20)를 별도로 탈거하지 않고, 상기 절개부(280)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홀더 유닛(200)이 상기 접안렌즈부(20)에 삽입 및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을 상기 접안렌즈부(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대한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상부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홀더 유닛(200)은 슬라이딩 홀(110)에 결합되어 스마트폰 카메라 위치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현미경의 접안렌즈부(20)에 삽입되며,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현미경에 놓여진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상기 접안렌즈부(20)에 삽입되고, 일단부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가압영역(A)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체결부재(400)의 체결을 통해 상기 가압영역(A)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개방된 상기 가압영역(A)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영역(A)의 절곡된 일측을 체결하여 내경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렌즈홀더 유닛(200)은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의 중심부의 양측에서 상기 가압영역(A)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영역(A)의 일단부가 각각 외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절곡된 부위에 체결부재(400)를 체결하여 상기 가압영역(A)의 내경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된 부위에는 결합 홀(270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홀(270a)을 관통하는 상기 체결부재(400)의 체결 방향을 가변을 통해 접안렌즈부(20)와의 고정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는 상기 체결부재(400)의 일방향 회전을 통해 가압영역(A)의 내부 직경의 크기가 커진 상태에서 상기 접안렌즈부(20)에 삽입되고, 이후에 상기 체결부재(40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가압영역(A)의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안렌즈부(20)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상기 가압영역(A)의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로 삽입된 상기 접안렌즈부(20)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그에 따라 효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210) 상에서 상기 접안렌즈부(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를 설치함으로써, 관찰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관찰대상물을 안정적이고 선명한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구비된 접안렌즈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제조사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스마트폰 카메라에 대응하며 효과적으로 관찰대상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의 구경에 따라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에 어댑터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현미경의 종류에 상관없이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가 안정적으로 걸림 위치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접안렌즈 20 : 접안렌즈부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슬라이딩 홀
112 : 레일부재 114 : 삽입 홀
200 : 렌즈홀더 유닛 210 : 슬라이드 이동부
212 : 영상 확인 홀 220 : 렌즈홀더부
230 : 경통부 240 : 스토퍼
250 : 어댑터 260 : 결합부
270 : 체결부 270a : 결합 홀
280 : 절개부 300 : 그립 유닛
310 : 제1그립부 320 : 제2그립부
330 : 고정부 322 : 체결 홀
400 : 체결부재 A : 가압영역

Claims (12)

  1. 스마트폰 안착영역이 형성되고, 폭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 홀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위치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결합되며, 접안렌즈가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현미경에 놓여진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렌즈홀더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안착된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그립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홀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며, 영상 확인 홀이 설치되는 슬라이드 이동부;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의 내주면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개의 접안렌즈가 구비되는 렌즈홀더부;
    상기 렌즈홀더부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삽입되며, 상기 렌즈홀더부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형성되는 경통부; 및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홀 상에서의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의 슬라이드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는,
    상기 스토퍼가 승강하도록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렌즈홀더부와 상기 경통부가 단차를 가지며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홀더부의 일단면이 상기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걸림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렌즈홀더부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현미경의 종류에 따른 접안렌즈 설치 위치의 서로 다른 구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어댑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렌즈홀더부의 외주면에 결합된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단차를 가지며 형성되고, 단차진 영역이 상기 현미경의 접안렌즈 설치 위치에 걸림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유닛은,
    상기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고정 형성되는 제1그립부;
    상기 제1그립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레일 결합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폭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제2그립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그립부와의 체결을 통해 상기 제2그립부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9. 스마트폰 안착영역이 형성되고, 폭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 홀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위치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현미경의 접안렌즈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현미경에 놓여진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렌즈홀더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 안착영역에 안착된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그립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외주면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홀 상에서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접안렌즈부에 삽입되는 일단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절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체결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접안렌즈부를 가압 고정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 유닛은,
    상기 접안렌즈부에 삽입되고,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가압영역을 형성하며, 체결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가압영역의 내경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KR1020140060607A 2014-05-20 2014-05-20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KR101550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607A KR101550682B1 (ko) 2014-05-20 2014-05-20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607A KR101550682B1 (ko) 2014-05-20 2014-05-20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682B1 true KR101550682B1 (ko) 2015-09-10

Family

ID=5424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607A KR101550682B1 (ko) 2014-05-20 2014-05-20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68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810A1 (en) * 2016-05-31 2017-12-07 Du Cheng Imaging adapter for microscope and portable elecronic device
US10139712B2 (en) 2016-04-18 2018-11-27 Yo Shik Shin Magnification-purpose external optical module external to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and magnification image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9210326A (zh) * 2017-07-06 2019-01-15 北京邮来邮网络科技有限公司 智能手机用微距拍摄仪
CN109669281A (zh) * 2019-02-18 2019-04-23 河源超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带微型摄像头的智能眼镜以及其拍摄方法
CN110296937A (zh) * 2019-07-23 2019-10-01 徐州豪立电子有限公司 一种现场金相显微镜用的快速安装微动支架及使用方法
US10728433B2 (en) 2018-04-27 2020-07-28 Skope, LLC Adjustable smartphone assembly for an optical device eyepiece
CN113589508A (zh) * 2021-08-19 2021-11-02 绍兴格物光学有限公司 一种基于便携式显微镜的图像采集方法
CN116548912A (zh) * 2023-05-12 2023-08-08 西南医科大学 一种便于手机摄像的裂隙灯显微镜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403Y1 (ko) * 2000-08-08 2001-01-15 기한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거치대
JP3171985B2 (ja) * 1992-04-17 2001-06-0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マイクロフィルムカメラ
JP2002006195A (ja) * 2000-06-26 2002-01-09 Tanihara Dobutsu Byoin:Kk 顕微鏡写真撮影用カメラアダプタ
US20130016963A1 (en) * 2011-07-14 2013-01-17 Andrew Miller Device for fastening imaging units on a microsco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1985B2 (ja) * 1992-04-17 2001-06-0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マイクロフィルムカメラ
JP2002006195A (ja) * 2000-06-26 2002-01-09 Tanihara Dobutsu Byoin:Kk 顕微鏡写真撮影用カメラアダプタ
KR200210403Y1 (ko) * 2000-08-08 2001-01-15 기한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거치대
US20130016963A1 (en) * 2011-07-14 2013-01-17 Andrew Miller Device for fastening imaging units on a microscop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9712B2 (en) 2016-04-18 2018-11-27 Yo Shik Shin Magnification-purpose external optical module external to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and magnification image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7209810A1 (en) * 2016-05-31 2017-12-07 Du Cheng Imaging adapter for microscope and portable elecronic device
CN109210326A (zh) * 2017-07-06 2019-01-15 北京邮来邮网络科技有限公司 智能手机用微距拍摄仪
CN109210326B (zh) * 2017-07-06 2023-10-20 北京邮来邮网络科技有限公司 智能手机用微距拍摄仪
US10728433B2 (en) 2018-04-27 2020-07-28 Skope, LLC Adjustable smartphone assembly for an optical device eyepiece
CN109669281A (zh) * 2019-02-18 2019-04-23 河源超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带微型摄像头的智能眼镜以及其拍摄方法
CN110296937A (zh) * 2019-07-23 2019-10-01 徐州豪立电子有限公司 一种现场金相显微镜用的快速安装微动支架及使用方法
CN113589508A (zh) * 2021-08-19 2021-11-02 绍兴格物光学有限公司 一种基于便携式显微镜的图像采集方法
CN116548912A (zh) * 2023-05-12 2023-08-08 西南医科大学 一种便于手机摄像的裂隙灯显微镜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682B1 (ko) 현미경의 스마트폰 촬영용 홀더
US8717693B2 (en) Movable lens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s
US9131132B2 (en) Phone camera mount
KR101591902B1 (ko) 현미경 연결용 스마트폰 거치대
EP3127475A3 (en) Wide-field retinal imaging system
JPWO2016039147A1 (ja) レンズ鏡筒、撮影装置本体、及び撮影装置
US11675252B2 (en) Interface facility
JP5944174B2 (ja) 顕微鏡とカメラの接続具
US10126538B2 (en) Optical device for generating with three-dimensional effect
US20150256817A1 (en) Imaging Adapter and Method of recording and playback
EP2310891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steuerung von aperturblenden
US11896311B2 (en) Ophthalmic imaging system
WO2018115320A3 (en) Optical system
WO2018178493A3 (es) Procedimiento de diseño de un par de lentes oftálmicas y dispositivo para medidas ópticas
JP3190190U (ja) 顕微鏡用簡易型カメラアダプタ
KR101551802B1 (ko) 광학장치의 스마트폰 고정용 홀더
JP2015152780A (ja) 光学系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20170105620A1 (en) Stereo-optic surgical contact lens
WO2016046123A1 (de) Anzeigevorrichtung, die auf den kopf eines benutzers aufsetzbar ist,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olchen anzeigevorrichtung
DE102014107445A1 (de) Optisches Beobachtungsgerät,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Parameterwertes für ein optisches Beobachtungsgerät und Verfahren zum Aufnehmen von Bild- oder Videodaten von einem Beobachtungsobjekt mit Hilfe eines optischen Beobachtungsgerätes
KR101179803B1 (ko) 현미경용 디스플레이장치
JP3171985U (ja) 顕微鏡用カメラアダプタ
KR101355686B1 (ko) 모바일에 부착 가능한 보조 어셈블리
US20190056642A1 (en) Microscope ocular lens camera adaptor
US20150168808A1 (en) Detachable viewf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