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279B1 -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및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및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279B1
KR101550279B1 KR1020140073633A KR20140073633A KR101550279B1 KR 101550279 B1 KR101550279 B1 KR 101550279B1 KR 1020140073633 A KR1020140073633 A KR 1020140073633A KR 20140073633 A KR20140073633 A KR 20140073633A KR 101550279 B1 KR101550279 B1 KR 10155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flame retardant
flame
me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순
Original Assignee
신용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순 filed Critical 신용순
Priority to KR102014007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 단열시트의 건조 시간을 절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층과 금속층이 접착된 금속 전사지의 금속층의 일면 또는 제1 난연성시트의 일면에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하여 도포면과 비도포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상기 금속층의 일면에 제1 난연성시트를 맞붙이는 단계 또는 상기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제1 난연성시트의 일면에 금속 전사지를 맞붙이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전사지의 필름층 분리에 의한 타공 형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공은 상기 금속층 또는 상기 제1 난연성시트의 비도포면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및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Flame-resisting insulatior insulat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having improved sound absolbing structure}
본 발명은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및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로 인하여 건물이 붕괴되고, 유독가스가 배출되어 심각한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난연성 시트를 건물의 시공시에 사용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난연성과 단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리섬유 직물을 다겹으로 제조하여 이용하고 있다.
유리섬유 직물의 다겹 제조는 제조과정이 용이하지 않아 유리섬유 직물 겹 사이에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중간층에 금속 박지를 삽입하여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금속 박지를 이용하면 흡음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는 금속 박지에 타공을 형성하여 해결하고 있다.
종래 기술은 금속층에 타공을 형성하기 위해 물리적인 힘을 가하거나, 화학적인 방법으로 금속층을 부식시켜 타공을 형성하여 타공을 형성하였지만,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타공하는 방법은 타공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고 화학적 부식 방법은 화학약품을 이용하므로 제조공정이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난연 단열시트의 타공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및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를 제안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층과 금속층이 접착된 금속 전사지의 금속층의 일면 또는 제1 난연성시트의 일면에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하여 도포면과 비도포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상기 금속층의 일면에 제1 난연성시트를 맞붙이는 단계 또는 상기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제1 난연성시트의 일면에 금속 전사지를 맞붙이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전사지의 필름층 분리에 의한 타공 형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공은 상기 금속층 또는 상기 제1 난연성시트의 비도포면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포장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도포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 장치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포부는 접착제 도포면과 비도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은 상기 복수의 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도포면은 상기 복수의 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이 제거되어 타공이 형성된 금속층에 제2 난연성시트를 맞붙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도포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난연성시트는 유리 섬유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난연성시트는 일면 또는 양면에 불연코팅제가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포부 외주면을 통해 대상물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도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부의 표면은 도포면과 비도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비도포면은 면적이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비도포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측면에 따르면, 난연 단열시트의 흡음 효과를 위해 용이한 타공 공정을 제공함으로써 시공성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전사지를 이용하여 금속층에 타공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도포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도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금속층에 타공을 형성하기 위해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타공을 형성하거나, 화학적인 방법으로 금속층을 부식시켜 타공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금속 전사지를 이용하여 전사지의 필름층을 분리함으로써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해 타공을 형성할 수 있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전사지를 이용하여 금속층에 타공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은 홈이 형성된 도포장치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105), 금속 전사지 및 난연성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는 단계(S110),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금속 전사지와 난연성 시트를 서로 맞붙이는 단계 또는 상기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난연성시트와 금속 전사지를 서로 맞붙이는 단계(S115), 접착제 건조 단계(S120), 금속 전사지의 필름층 분리 공정에 의해 상기 금속 전사지에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S125) 및 타공이 형성된 금속전사지의 일면에 난연성시트를 맞붙이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5에서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도포장치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305) 및 도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305)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표면으로 구비된 도포부(307)를 구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포부(307)의 표면은 접착제(310)가 입혀지는 도포면(311)면과 접착제(310)가 입혀지지 않는 비도포면(309)으로 구성되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착제 도포장치(305)는 도포부(307)에 형성된 홈에 접착제(310)가 입혀지지 않도록 하여 접착제(310)가 도포되는 대상, 본 발명에서는 금속 전사지(210) 또는 제1 난연성시트(220)에 접착제(310)가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접착제 도포장치(305)는 롤러 형태를 구비하고, 롤러를 회전하면서 표면에 입혀진 접착제(310)를 도포 대상에 도포할 수 있다.
단계 110에서는 접착제 도포장치(305)의 홈이 형성된 롤러가 회전하면서 롤러의 표면에 있는 접착제를 도포면에 바른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착제 도포장치의 도포부(307)는 돌출 부분과 홈이 형성된 오목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돌출된 부분이 도포면(311)이고, 홈이 형성된 부분이 비도포면(309)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접착제 도포장치의 비도포면(309)는 접착제 도포 과정에서 금속 전사지(210) 또는 제1 난연성시트(220)와 접촉되지 않아 금속 전사지(210) 또는 제1 난연성시트(220) 일면에 부분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S110).
금속 전사지(210)의 접착제 도포면(205)은 필름층(203)과 접촉되지 않은 금속층(201)의 일면이고, 제1 난연성시트(220)의 접착제 도포면은 접착제 도포 후 금속전사지(210)와 맞붙는 면이다.
금속 전사지(210)의 접착제 비도포면(207)은 타공이 형성되는 면이다.
본 발명에서 금속전사지(210)는 필름층(203)과 금속층(201)이 접착되어 있으면서, 필름층(203)의 일시 접착 또는 박리성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의 금속층(201) 만을 대상에 전사시켜 옮길 수 있는 가공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405)의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착제 도포장치(405)의 도포부(407)에 접착제가 입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접착제가 접착제 도포장치(405)에 입혀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접착제 도포장치(405)가 접착제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조(412)에서 회전을 하면 도포부(407)의 표면에 접착제가 입혀질 수 있다.
접착제 도포장치(405)가 저장조(412)에서 회전하면서 접착제가 도포부(407) 표면의 도포면(409)과 비도포면(411)에 모두 입혀지게 된다.
도포부 표면의 도포면(409)은 채워진 접착제가 접착대상과 도포될 수 있는 부분이며, 비도포면(411)은 접착제가 접착대상에 도포되지 않는 부분이다.
도 3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와 비교할 때 홈이 형성된 부분에 도포면(409)이 형성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접착제 도포장치(405)의 외측 비도포면(411)과 접하는 위치에는 접착제 제거부(4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접착제 도포장치(405)의 회전에 따라 도포부(407)의 비도포면(411)의 표면이 접착제 제거부(415)를 지나가면서 입혀진 접착제(410)가 제거될 수있다.
여기서, 접착제 제거부(415)는 접착제 제거 나이프(knife), 스크래퍼, 밀칼과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날카로운 표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접착제 도포장치(405)가 저장조(412)에서 회전하면서, 저장조(412)에 있는 접착제(410)가 도포부(407)의 도포면(409)와 비도포면(411)의 표면에 모두 입혀지고, 접착제 제거부(415)에 의해 도포부(407)의 비도포면(411)의 접착제가 제거되면, 도포면(409)에만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도포부(407)의 도포면(409)에 채워진 접착제가 금속층(201) 도포면(403)에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포 방식들에 의해 도포면에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되 접착층(215)이 금속층(201)의 상부에 도포면(403)과 비도포면(401)이 형성된 것을 도 5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같은 방식으로 접착층(215)은 제1 난연성시트(2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215)이 금속 전사지(210)에 형성되면, 제1 난연성시트(220)와 맞붙인다(S115).
접착층(215)이 제1 난연성시트(220)에 형성되면 접착층이 형성 되지 않은 금속 전사지(210)를 맞붙일 수 있다.
금속 전사지(210)와 제1 난연성시트(220)를 맞붙인 후 접착제가 건조(S120) 되면, 다음으로, 금속 전사지(210)와 제1 난연성시트(220)가 서로 맞붙여져 있는 상태에서 금속 전사지(210)의 필름층(203)을 제거한다(S125).
필름층(203)을 제거하면 금속 전사지(210)의 금속층(201)은 접착제 도포면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로 제1 난연성 시트(220)에 전사된다.
반면, 금속층의 접착제 비도포면(207)은 필름층(203)이 분리되면서 금속층(201)도 함께 분리되어 금속층(201)에 타공이 형성된다.
금속층의 접착제 비도포면(207)은 원형을 또는 다각형이 배열된 형태를 가져 필름이 제거되어 금속층에 형성된 타공의 형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금속 전사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금속 전사지의 필름층을 분리함으로써 간단하게 금속층에 타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필름층(203)을 분리시키는 방법은 필름 제거롤러에 통과시켜 분리할 수 있으며, 맞붙은 제1 난연성시트(220)와 금속 전사지(210)를 필름 제거롤러에 통과시켜 필름 제거롤러의 회전에 의해 맞붙은 난연성시트와 금속 전사지(210)가 가압되면 접착제(310)가 입혀진 부분은 제1 난연성시트(220)와 금속 전사지(210)를 보다 견고하게 접착되고, 금속층의 접착제 비도포면(207)은 롤러를 통과하면서 금속층(201)과 필름층(203)이 함께 제1 난연성시트(220)로부터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제1 난연성시트(220)의 접착의 접착제(310)가 도포된 부분에는 금속층(201)이 전사되고, 전사되지 않은 부분은 타공이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제1 난연성시트(220)의 일면에는 타공이 형성된 금속층(201)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금속층(201)의 일면에 타공이 형성되면 타공이 형성된 일면 제2 난연성시트(225)를 맞붙여 난연 단열시트 제조할 수 있다(S13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난연 단열시트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 단열시트는 양면에 난연성시트를 구비하고, 난연성시트 사이에 타공이 형성된 금속층을 확인할 수 있다.
금속층에 타공이 형성된 일면에 난연성시트를 덧붙이면 난연성시트와 금속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흡음 효과의 향상뿐만 아니라 난연 단열시트의 일면에 풀을 묻혀 도배와 같은 시공을 하는 경우 잔류 수분으로 인해 건조가 늦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타공에 의한 홀에 의해 공기가 통해서 잔류 수분이 쉽게 건조해지므로 건조 시간이 절약되고 이를 통해 빠른 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타공에 의한 홀은 불연 단열시트의 뻣뻣함을 유지하면서도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유연성은 롤링에 의해 제품 접합 시 제품의 말림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금속 전사지(210)의 금속층은 알루미늄, 구리, 은 등 기능에 따라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난연 또는 불연 효과를 더욱더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난연성시트(220, 225)는 유리직물, 유리섬유 직물일 수 있으며, 불연코팅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불연코팅층은 물과 멜라민 시누아레이트, 수성폴리우레탄, 표면처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표면처리제는 폴리 비닐 알콜(poly vinyl alchol, PVA) 그 밖의 물질일 수 있다.
또한, 난연성시트(220, 225)에 글라스울 보드, 폴리에틸렌 보드 등 흡음용 보드를 부착하는 추가적인 공정을 통해 흡음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305)의 롤러 표면은 도 6(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이 면적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롤러의 표면의 홈의 형태와 타공을 형태를 검토하면, 금속층(201)에 타공이 형성되는 면은 접착제 비도포면(207)이고 도포방식에 따라 도포부 표면의 비도포면(605)이 대응되는 부분이다.
또한, 도포면(610)은 접착제 도포장치에 접착제가 입혀지는 방식에 따라 홈이 형성된 부분 또는 홈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도포장치(305)의 접착제 비도포면(605)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도포장치(305)의 비도포면(605)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형태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다른 면적을 가진 홈이 롤러의 표면에 혼합되어 형성됨으로 써 홈 면적의 밀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늘려 향상된 흡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비도포면(605)이 균일하게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비도포면(605)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중간층에 삽입된 금속층 접착제의 부분 도포 기술로서 타공을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타공에 의해 건조 속도를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조비용 및 생산성 저하를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금속 전사지를 이용하여 금속층에 타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처리제의 흡수력도 향상되어 난연 단열시트의 염색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난연 단열시트의 장식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용이한 기술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 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디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1: 금속층 203: 필름층
203: 도포면 207: 비도포면
210: 금속 전사지 215: 접착층
220: 제1 제1 난연성시트 225: 제2 난연성시트
305: 접착제 도포장치 310: 접착제
405: 접착제 도포장치 407: 도포부
409: 접착제 도포장치의 도포면 411: 접착제 도포장치의 비도포면
605: 접착제 도포장치의 비도포면 610: 접착제 도포장치의 도포면

Claims (11)

  1.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층과 금속층이 접착된 금속 전사지의 금속층의 일면 또는 제1 난연성시트의 일면에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도포면과 비도포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상기 금속층의 일면에 제1 난연성시트를 맞붙이는 단계 또는 상기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제1 난연성시트의 일면에 금속 전사지를 맞붙이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전사지의 필름층 분리에 의한 타공 형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공은 상기 금속층 또는 상기 제1 난연성시트의 비도포면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장치의 표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도포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 장치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포부는 접착제 도포면과 비도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은 상기 복수의 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포면은 상기 복수의 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이 제거되어 타공이 형성된 금속층에 제2 난연성시트를 맞붙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포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난연성시트는 유리 섬유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난연성시트는 일면 또는 양면에 불연코팅제가 코팅된 것인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73633A 2014-06-17 2014-06-17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및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 KR10155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633A KR101550279B1 (ko) 2014-06-17 2014-06-17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및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633A KR101550279B1 (ko) 2014-06-17 2014-06-17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및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279B1 true KR101550279B1 (ko) 2015-09-11

Family

ID=5424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633A KR101550279B1 (ko) 2014-06-17 2014-06-17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및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291A (ko) 2020-10-12 2022-04-19 김윤경 항균성 단열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142B1 (ko) * 2009-08-14 2010-06-16 (주)현대케미칼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142B1 (ko) * 2009-08-14 2010-06-16 (주)현대케미칼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291A (ko) 2020-10-12 2022-04-19 김윤경 항균성 단열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3564B2 (ja) 不燃断熱シートとそ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318711B2 (en) Production method for fire resistant article
US11192332B2 (en) Backing layer of a thermal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having increased adhesion properties to an insulating layer
JP4950288B2 (ja) 屋根下遮蔽材
CN101172072A (zh) 医疗用粘性胶带或胶片
JP2015527226A5 (ko)
KR101423398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50279B1 (ko)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난연 단열시트 제조방법 및 난연 단열시트 제조장치
KR20150029252A (ko) 발포성 수지에 적합한 미네랄울을 이용한 천공 단열시트와 그 제조방법
JP2009243138A (ja) 電磁波シールド壁紙及び該壁紙を用いた電磁波シールド工法
DE102014218138A1 (de) Bauplatte mit dampfbremsenden bzw. dampfsperrenden Eigenschaf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elbiger
JP2006299717A (ja) 防水工事用シート及び防水工事方法
JP6228571B2 (ja) 吸音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00261A (ko)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WO2004082928A3 (en) Structural sandwich plate members
KR101470212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86139B1 (ko)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불연 단열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96719A (ko) 난연 시트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7398717B2 (ja) 準不燃の建築用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097347A1 (en) Flame retardant veneer panel
KR102547933B1 (ko) 항균성 단열시트
WO2003023166A1 (en) A fire retardant wallcovering
US10994518B2 (en) Thermally layered fire treated veneer panel
JP3167381U (ja) 難燃化粧合板材
JP6922517B2 (ja) 不燃化粧板、不燃化粧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