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44B1 - Position recording device - Google Patents

Position recor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144B1
KR101549144B1 KR1020140168870A KR20140168870A KR101549144B1 KR 101549144 B1 KR101549144 B1 KR 101549144B1 KR 1020140168870 A KR1020140168870 A KR 1020140168870A KR 20140168870 A KR20140168870 A KR 20140168870A KR 101549144 B1 KR101549144 B1 KR 101549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titude
data
traveling
traveling devi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도묵
Original Assignee
에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투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1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position recording apparatus. A smart phon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speed, distance, angle variation obtained from trajectory data and altitude variation obtained from altitude data with correlation, classifies a traveling into a normal traveling and a slow traveling, and then displays traveling apparatus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a final destination in a map imag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easy to figure out a position of a traveling apparatus by displaying a floor of a building where the traveling apparatus is parked on the smart phone as being useful regardless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or a ground parking lot, by recognizing a traveling path and the parking position of the traveling apparatus through analyzing the moving trajectory data and the altitude data without regard to the reception of a GPS signal.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a driver to move to the traveling apparatus rapidly as the position relation between the parking position of a vehicle and the driver becomes clear, by displaying walk moving trajectory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driver on the smart phone in case the driver is deviated from the traveling apparatus.

Description

위치기록장치{Position recording device}[0001] POSITION RECORDING DEVICE [0002]

본 발명은 위치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GPS신호 수신에 관계없이 속도와 거리변화량 및 고도변화량을 이용하여 주행장치의 이동경로와 주차위치를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와 주차된 차량간의 관계를 이동경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주차된 차량으로 신속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a traveling route and a parking position of a traveling apparatus by using a speed, a distance variation and an altitude variation regardless of reception of a GPS signal, Type display to quickly and accurately reach a parke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내 장착된 장치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주차위치 및 사용자와 주차된 차량간의 위치관게를 나타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a parking position and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user and a parked vehicle through a smart phone carried by a user as well as a device mounted in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과 같은 주행장치에는 사고시 사고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나, 목적지까지의 이동정보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차량용 전자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도난시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차량 위치 추적 장치가 널리 장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traveling device such as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vehic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video recording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recording an accident video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navigation for guiding movement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Recently, Traceable vehicle location systems are widely deployed.

이러한 차량용 전자장치들은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고 발생시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These automotive electronic devices provide convenience to the driver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flexibly cope with an accident.

하지만, 다층의 지하주차장과 같은 곳에 차량을 주차한 후, 업무를 마친 차량의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때, 주차위치를 잊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However, it is often the case that after parking a vehicle in the same place as a multi-level underground parking lot, a driver of a finished vehicle forgets to park the vehicle when his or her vehicle is about to move to the parked position.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주차장의 주차된 차량을 찾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In this case, there is a difficulty in finding a parked vehicle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by us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운전자는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찾기 위하여 층마다 확인하면서 돌아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Therefore, the driver has to travel around each floor to find the position of the parked vehicle.

특히, 최근에는 대형 마트, 대형 쇼핑몰 또는 주차장 통합 아파트 단지와 같은 초대형 주차시설이 구비된 곳에서 업무를 마친 차량 운전자가 주차 층을 잊어버린 경우, 주차영역이 매우 넓고 다층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량이 주차된 곳까지 찾아가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a driver of a vehicle who has finished working in a large-sized mart, a large shopping mall, or an apartment complex with an integrated parking lot forgets a parking lot, since the parking area is very wide and multi- It is very difficult to get to where it is.

만약,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차량 위치 추적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차량 위치 추적 장치는 대부분이 GPS정보와 맵을 통해 운용되는데, 여기서, GPS정보는 신호의 특성상 지하주차장까지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차량이 지하 몇층에 주차되었는지를 모르게 된다.When the vehicle position track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vehicle position tracking device operates through the GPS information and the map. Here, the GPS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underground parking lot Most of the time, you do not know how many cars are parked in the basement.

나아가,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에서 제공하는 맵은 전국의 맵을 블록단위와 건물단위로 나누어 출력할 뿐, 주차장의 주차구역과 같은 세부적인 지도 데이터는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주차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는 차량 운전자가 차량의 위치 추적 장치에서 출력하는 맵에 의지하여 차량을 찾는데에는 실질적으로 실효성이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Further, since the map provided by the vehicle location tracking device outputs the map of the whole country divided into block units and building units and does not provide detailed map data such as the parking area of the parking lot, It has been practically impossible to find a vehicle based on a map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outputs from the position tracking device of the vehicle.

이와 같은 종래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094153호인 주차 안내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은, 전국 주차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통합 관리하면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필요 정보를 되돌려 주도록 구축된 인터넷 상의 주차 관리 서버인 통합 주차장 정보 관리시스템; 운전자의 차량에 탑재되며, GPS 및 전자나침반, 자이로센서, 3축가속도센서, 고도센서로부터 제공된 위치 정보를 연산처리하여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LBS 기반의 차량 위치 추적시스템 및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통합 주차장 정보 관리시스템과 통신하여 상기 차량 위치 추적시스템을 통한 차량 위치별 진입 주차장에 대한 맵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선호 위치를 반영하여 빈 주차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제공하며, 운전자의 선택에 따른 목표 주차 공간까지 최적 경로를 안내하는 인터넷 연동 네비시스템이 탑재된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안내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을 제공한다.As such conventional prior art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94153 discloses an integrated system for parking guidance and parking lot management, which integrates management of national parking lot information into a database, receives and analyzes a request message, An integrated parking lo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is a parking management server on the parking lot; An LBS-based vehicle position tracking system mounted on a driver's vehicle for computing a position of a vehicle by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a GPS, an electronic compass, a gyro sensor, a triaxial acceleration sensor, and an altitude sensor, A map for an entrance parking lot for each vehicle location through the vehicle location tracking system by communicating with the integrated parking lo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about an empty parking space reflecting the driver's preference position, And a navig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Internet-linked navigation system for guiding an optimal route to a target parking sp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system for parking guidance and parking lot management.

이 기술에 따르면, 차량 내 탑재된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는 단말과 메인 서버인 통합 주차장 정보 관리 시스템만으로 기존 GPS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확장하여 GPS 정보가 도달하지 않는 주차장 주차 관리까지 가능하며, 개별 주차 관리시스템이 아닌 하나의 메인 서버 관리하에 제어되는 전국적인 주차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existing GPS-based navigation system using only the integrated parking lo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is a terminal including the sub-system mounted in the vehicle and a main server,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nationwide parking management system which is controlled under the control of one main server, rather than one.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은 주차장에 진입시 운전자에게 주차장 경로를 알려주기 위한 별도의 맵을 전국에 배치되는 주차장 각각마다 생성한 상태에서 이용해야 하므로, 전국의 주차장에 관한 별도의 맵을 생성하기 위하여 비용이 추가로 드는 문제점과, 추가 맵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해야만하는 추가 관리 비용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map for informing the driver of the parking lot path at the time of entry into the parking lot should be used in a state of being generated for each parking lot disposed in the whole country.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a separate map There is a problem of additional cost and a problem of additional management cost that must be updated periodically.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094153호(2011. 12. 08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94153 (registered on December 08, 2011)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02266호(2005. 11. 22 등록)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02266 (Registered on Nov. 22, 20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GPS신호 수신에 관계없이 속도와 거리변화량 및 고도변화량을 이용하여 주행장치의 이동경로와 주차위치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 위치 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vigation system,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ecording medium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와 주차된 차량간의 관계를 도보이동궤적데이터로 디스플레이하여 주차된 차량으로 신속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 위치 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ition recorder capable of display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river and a parked vehicle as walking motion locus data and reaching a parked vehicle quickly and accurate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 기록 장치는, 주행장치의 가속량을 검출하는 가속도센서; 주행장치의 회전가속량을 검출하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속도센서가 측정하는 가속도값을 입력받아 직선거리상의 속도 및 거리를 산출하고, 자이로센서가 측정하는 각가속도값을 입력받아 회전경로에 관한 회전속도 및 회전각의 산출을 위해, 주행장치의 가속도값과 각가속도값을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주행장치가 이동한 경로에 관한 궤적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궤적연산부; 주행장치의 고도량을 검출하는 고도센서; 및 고도센서가 검출한 고도값을 입력받아 주행장치의 고도이동경로에 관한 고도데이터를 생성하는 고도연산부로 구성된 위치기록장치에 있어서, 이동궤적연산부 및 고도연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통신에 의해 궤적데이터와 고도데이터를 전송하고, 주행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에 대해 할당된 고유접속권한에 의해 통신부를 통해 궤적데이터 및 고도데이터를 입력받고, 궤적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속도, 거리, 각도 변화량과 고도데이터로부터 얻어진 고도변화량을 상관관계를 가지고 연산하여 일반주행과 서행주행으로 구분한 후, 주행장치 이동 방향정보 및 최종 종착지를 맵 이미지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이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sition recorder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an acceleration amount of a traveling device; A gyro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The gyro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receives the acceleration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calculates the speed and distance on the straight line distance, receives the angular velocity value measured by the gyro sensor, A movement locus calculating unit for periodically detecting the acceleration value and the angular acceleration value of the traveling device to generate locus data about the traveled route of the traveling device; An altitude sensor for detecting a high level of the traveling device; And an elevation compu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ltitude data related to an altitude movement path of the traveling apparatus based on an altitude value detected by the altitude sensor, the position recorder comprising: an altitude calcula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ltitude calculation unit and the altitude calculation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and the altitude data and driving the power supply uni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locus data and the altitude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inherent access right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unit, calculating the velocity, distance, angle change amount obtained from the locus data and the altitude change amount obtained from the altitude data, And a smart phone for displaying driving devic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a final destination in the form of a map image is further constructed.

일반주행은 고도변화량을 측정하여 변화량이 소정범위 내에 있을시 층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크고, 고도 변화량이 소정범위를 이탈시 경사도로 주행 중으로 인식하며,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크고, 고도변화량이 소정범위 안에 있고, 각도 변화량이 크면 곡선도로 주행 중으로 인식하며, 서행주행은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작을 경우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change amou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floor, and when the altitude change amount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range, it is recognized that the altitude change is running. And when the degree of change in altitud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angle is large, it is recognized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curve, and the slow travel is recognized when the speed and the amount of distance change are small.

스마트폰은, 상기 서행주행 인식 중 차량 시동 오프시 지상1층 주차로 인식함을 기준으로,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작으면서 상각도 변화량이 있고, 고도 변화량이 소정범위를 이탈 후 일정시간 동안 일정고도를 유지할시 상층 이동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차량 시동 오프에 따라 지상층 주차로 인식하고,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작으면서 하각도 변화량이 있고, 고도 변화량이 소정범위를 이탈 후 일정시간 동안 일정고도를 유지할시 하층 이동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차량 시동 오프에 따라 지하층 주차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phone has a change in the degree of depreciation while the speed and the distance change amount are small and the altitude change amount is a constant altitude during a certain time after leaving the predetermined range The vehicle is recognized as a ground floor parking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recognizing it as an upper floor movement when the vehicle is kept at the starting position, And recognizes the parking lot as parking in the basement according to the vehicle start-off while repeating the operation of recognizing the vehicle as a lower floor movement.

스마트폰은 제2가속도센서를 포함하며, 평면경로맵과 건물의 층수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제2가속도센서의 가속도값을 연산하고, 상기 가속도값을 토대로 도보이동궤적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평면경로맵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phone includes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and displays a plane path map and the number of floors of a building, calculates an acceleration value of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generates walking movement locus data based on the acceleration value, And outputs it to the map.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도보이동궤적데이터는 스마트폰을 소유한채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보폭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발걸음 수를 토대로 생성되고,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관한 방향과 주행장치의 최종 종착지를 이미지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lking trajectory data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s generated based on the stride data of the user who is moving with ownership of the smartphone and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and the direction related to the user's moving route and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traveling device And displays the image.

스마트폰은 GPS 연결이 끊기는 시점을 기준으로 차량의 이동궤적, 방향 및 층간 이동을 인식하여 주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mart phone recognizes the movement trajectory, direction, and inter-floor movemen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point of time when the GPS connection is disconnected, thereby displaying the park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위치기록장치에 따르면, GPS 신호의 수신여부에 관계없이 이동궤적데이터를 토대로 한 속도 및 거리 변화량과 고도데이터를 토대로 고도변화량을 분석하여 주행장치의 주행경로와 주차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 주차장이나 지상 주차장 구분없이 유용하고, 주행장치가 주차된 건축물의 층을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주행장치의 위치 파악이 매우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osition reco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titude change amount i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velocity and the distance variation amount based on the moving trajectory data and the altitude data regardless of whether the GPS signal is received or not so that the traveling path and the parking position of the traveling apparatus can be recognized Thus, it is very easy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device by displaying the floor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traveling device is parked on the smartphone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the ground parking lo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주행장치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운전자의 이동경로에 따른 도보이동궤적이터를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차량의 주차위치와 운전자간의 위치 관계가 명확하게 되어 운전자의 주행장치로의 신속 정확한 이동이 가능하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r moves away from the traveling device, the walking movement trace data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path of the driver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o th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er becomes clear, Accurate movement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기록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태에 관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위치 기록 장치의 구동의 흐름에 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 및 도 6은 스마트폰의 GPS 신호가 끊기는 시점부터 주행장치의 주행경로와 주차위치를 분석하는 예시도로서, 도 5는 건물 주차장 맵이 없는 경우, 도 6은 건물 주차장 맵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sition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a smartphone output on a screen when the position recorder shown in FIG. 1 is used. FIG.
Fig. 3 is a flowchart related to the flow of driving the position recorder shown in Fig. 1;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sition reco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travel path and a parking position of the traveling device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GPS signal of the smartphone is disconnected. FIG. 5 shows a case where there is no building parking map, What is show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장치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osition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장치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rst, each structure of a position rec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장치는, 가속도센서(10), 자이로센서(20), 이동궤적연산부(30), 고도센서(40), 고도연산부(50), 통신부(60) 및, 스마트폰(70)을 포함한다.The position recor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10, a gyro sensor 20, a movement locus calculation unit 30, an altitude sensor 40, an altitude calculation unit 50, a communication unit 60, And a smart phone 70.

상기 가속도센서(10)는 주행장치(1)에 설치되며, 주행장치(1)의 이동시 발생하는 가속량을 검출하여 가속도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The acceleration sensor 10 is installed in the traveling device 1 and detects an acceleration amount generated when the traveling device 1 is moved to generate an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cceleration.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주행장치(1)는 자동차, 이륜 자동차와 같이 동력기관을 이용하여 될 수 있는 모든 동력 구동 장치에 해당한다. The traveling device 1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corresponds to all the power driving devices that can be powered by a power engine such as an automobile or a two-wheeled automobile.

가속도센서(10)는 주행장치(1)의 동력 구동시 주행장치(1)에 연결된 발전장치 또는 발전장치와 연결되는 전기연결수단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주행장치(1)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같은 전기저장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연결수단은 주행장치(1) 내부의 유에스비 포트와 같은 구성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가속도센서(10)가 주행장치(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을 상기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acceleration sensor 10 receives power from an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traveling apparatus 1 or an electric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driving of the traveling apparatus 1 or a battery installed in the traveling apparatus 1 And can be driven by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the electric storage means. Here, the electrical connecting means corresponds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USB port inside the traveling device 1. [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ner in which the acceleration sensor 10 receives power from the traveling device 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자이로센서(20)는 가속도센서(10)와 함께 주행장치(1)에 설치되어, 주행장치(1)의 이동시 주행장치(1)의 회전가속량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자이로센서(20)는 주행장치(1)의 동력 구동시 주행장치(1)에 연결된 발전장치 또는 발전장치와 연결되는 전기연결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주행장치(1)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같은 전기저장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연결수단은 주행장치(1) 내부의 유에스비 포트와 같은 구성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자이로센서(20)가 주행장치(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을 상기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gyro sensor 20 is installed in the traveling device 1 together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10 to detect the rotational acceleration of the traveling device 1 when the traveling device 1 is moved and generate an electric signal accordingly. The gyro sensor 20 receives power from an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traveling apparatus 1 or an electric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driving the traveling apparatus 1, And can be driven by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the electric storage means. Here, the electrical connecting means corresponds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USB port inside the traveling device 1. [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ner in which the gyro sensor 20 receives power from the traveling device 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여기서, 가속도센서(10)는 3차원 공간상에서 3축의 각각의 직선이동에 관한 가속량을 검출하고, 자이로센서(20)는 3차원 공간상에서 3축의 각각의 회전이동에 관한 회전가속량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6축 자이로센서(20) 또는 9축 자이로센서(20)와 같이 직선 가속량과 회전가속량을 하나의 센서에서 검출하는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가속도센서(10)와 자이로센서(20)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센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가속도센서(10)와 자이로센서(20)가 검출할 수 있는 축의 개수 또는 가속도센서(10)와 자이로센서(20)의 일체형의 여부를 상기한 예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가속도센서(10)와 자이로센서(20)는 직선 가속량과 회전 가속량을 검출할 수 있는 모든 지자계센서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acceleration sensor 10 detects an acceleration amount with respect to each linear movement of three axe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the gyro sensor 20 is a sensor that detects a rotational acceleration relating to each rotational movement of three axes in a thre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by a method in which a linear acceleration amount and a rotational speed amount are detected by one sensor like the 6-axis gyro sensor 20 or the 9-axis gyro sensor 20. That i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10 and the gyro sensor 20 exemplifi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formed into a single senso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shafts which can be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0 and the gyro sensor 20, or whether the acceleration sensor 10 and the gyro sensor 20 are integrat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10 and the gyro sensor 20 exemplified in FIG. 1 can be replaced by all the earth magnetic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the linear acceleration amount and the rotational acceleration amount.

이동궤적연산부(30)는 가속도센서(10)와 자이로센서(2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이동궤적연산부(30)는 주행장치(1)에 설치되어 이용된다. 여기서, 이동궤적연산부(30)는 가속도센서(10)가 측정하는 가속도값을 입력받아 적분연산하여 직선거리상의 속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속도를 적분연산하여 거리값을 산출하며, 자이로센서(20)가 측정하는 각가속도값(회전가속도값)을 입력받아 적분연산하여 주행장치(1)의 회전경로에 관한 회전속도값을 연산하고, 회전속도값을 적분연산하여 회전각도량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가속도값과 각가속도값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궤적연산부(30)는 연산에 의해 검출된 주행장치(1)의 가속도값과 회전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주행장치(1)가 평면상에서 이동한 경로에 관한 궤적데이터(31)를 생성하게 된다. The movement locus calculating section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sensor 10 and the gyro sensor 2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movement locus calculating section 30 is installed in the traveling apparatus 1 and used. Here, the movement locus calculating unit 30 receives the acceleration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0, integrates the acceleration value to calculate a speed on the straight line distance, calculates the distance value by integrating the calculated speed, (Rotational acceleration value) measured by the angular speed sensor 1 and calculates an integral value of the angular velocity value (rotational acceleration value) measured by the angular velocity sensor 1 to calculate a rotational speed value related to the rotational path of the traveling device 1, integrates the rotational speed value, And the angular acceleration values are periodically detected. The movement locus arithmetic section 30 generates locus data 31 relating to the route on which the travel apparatus 1 travels on the plane by using the acceleration value and the rotation acceleration value of the travel apparatus 1 detected by the calculation do.

이러한 이동궤적연산부(30)는 주행장치(1)의 동력 구동시 주행장치(1)에 연결된 발전장치 또는 발전장치와 연결되는 전기연결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주행장치(1)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같은 전기저장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연결수단은 주행장치(1) 내부의 유에스비 포트와 같은 구성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이동궤적연산부(30)가 주행장치(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을 상기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moving locus calculating section 30 receives electric power from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traveling apparatus 1 or the electric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driving the traveling apparatus 1, And can be driven by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an electric storage means such as a battery. Here, the electrical connecting means corresponds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USB port inside the traveling device 1.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in which the movement trajectory calculating unit 30 receives electric power from the traveling device 1. [

고도센서(40)는 주행장치(1)의 고도량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고도센서(40)는 주행장치(1)의 동력 구동시 주행장치(1)에 연결된 발전장치 또는 발전장치와 연결되는 전기연결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주행장치(1)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같은 전기저장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연결수단은 주행장치(1) 내부의 유에스비 포트와 같은 구성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고도센서(40)가 주행장치(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을 상기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altitude sensor 40 detects the high level of the traveling device 1 and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The altitude sensor 40 receives electric power from an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traveling apparatus 1 or an electric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driving the traveling apparatus 1, And can be driven by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the same electric storage means. Here, the electrical connecting means corresponds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USB port inside the traveling device 1. [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ner in which the altitude sensor 40 receives power from the traveling device 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본 발명의 고도 센서는 대기압의 절대압력을 출력한다. 단위는 (hPa)로 m로 환산을 해서 높이를 얻을 수 있다. P0는 해발고도로 해당지역에 따라 해발고도를 보정해주어야 하지만 상대적인 높이를 적용하기 때문에 1013.25hPa로 고정해서 높이를 계산한다.The altitud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absolute pressure of the atmospheric pressure. The unit can be converted to m (hPa) to get the height. P0 should compensate for elevation according to the elevation at the elevation, but because the relative height is applied, the elevation is fixed at 1013.25hPa.

Figure 112014116053522-pat00001
Figure 112014116053522-pat00001

고도연산부(50)는 고도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도센서(40)가 검출한 고도값을 입력받아 주행장치(1)의 고도이동경로에 관한 고도데이터(51)를 생성한다. 이러한 고도연산부(50)는 주행장치(1)의 동력 구동시에 주행장치(1)에 연결된 발전장치 또는 발전장치와 연결되는 전기연결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주행장치(1)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같은 전기저장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연결수단은 주행장치(1) 내부의 유에스비 포트와 같은 구성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고도연산부(50)가 주행장치(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을 상기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altitude calculation unit 50 is connected to the altitude sensor 40 and receives the altitude value detected by the altitude sensor 40 to generate the altitude data 51 related to the altitude movement path of the traveling device 1. [ The altitude arithmetic unit 50 receives power from an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traveling apparatus 1 or an electric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power generation of the traveling apparatus 1 or a battery installed in the traveling apparatus 1 And can be driven by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the same electric storage means. Here, the electrical connecting means corresponds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USB port inside the traveling device 1. [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ner in which the altitude operation unit 50 receives power from the traveling device 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통신부(60)는 이동궤적연산부(30) 및 고도연산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통신 기능에 의해 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를 후술하는 스마트폰(70)으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통신부(60)와 스마트폰(70)의 통신 연결 수단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근거리 무선 통신(NFC)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통신부(60)와 스마트폰(70)의 통신 방식을 상기한 예들 가운데 어느 하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60)와 스마트폰(70)의 통신은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모든 무선 통신 방식으로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통신부(60)는 주행장치(1)의 동력 구동시에 주행장치(1)에 연결된 발전장치 또는 발전장치와 연결되는 전기연결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주행장치(1)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같은 전기저장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연결수단은 주행장치(1) 내부의 유에스비 포트와 같은 구성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통신부(60)가 주행장치(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을 상기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communication unit 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ement locus calculation unit 30 and the altitude calculation unit 50 and transmits the locus data 31 and the altitude data 51 to a smart phone 70 do. Her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60 and the smartphone 70 may be at least one of Wi-Fi, Bluetooth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unit 60 and the smartphone 70 is not limited to any one of the above examples,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60 and the smartphone 70 is not limited to an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course. Such a communication unit 60 receives electric power from an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traveling apparatus 1 or an electric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power generation of the traveling apparatus 1 or a battery installed in the traveling apparatus 1 And can be driven by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the electric storage means. Here, the electrical connecting means corresponds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USB port inside the traveling device 1. [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ner in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60 receives power from the traveling device 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한편, 통신부(60)는 스마트폰(70)과 통신시 주행장치(1)의 운전자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70)으로부터 고유한 접속권한(예를 들어, ID,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을 할당받고, 접속권한이 부여된 특정 스마트폰(70)과의 고유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60 transmits a unique access right (for example, an ID, a telephone number, and a password) from the smartphone 70 so that only the driver of the traveling device 1 can use the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70, And perform unique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smartphone 70 to which the access right is granted.

상기 스마트폰(70)은 통신부(60)와 통신을 수행하여 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를 입력받게 된다. 이 경우, 스마트폰(70)은 평면상에 주행장치(1)가 이동한 평면상의 이동기록에 해당하는 궤적데이터(31)를 맵형태로 출력하여 평면경로맵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마트폰(70)은 주행장치(1)의 고도변화에 대한 기록인 고도데이터(51)를 주행장치(1)의 고도정보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The smartphone 7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60 to receive the sign data 31 and the elevation data 51. In this case, the smartphone 70 outputs the locus data 31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record on the plane on which the travel apparatus 1 has moved on a plane, in the form of a map, and displays the plane path map. At the same time, the smartphone 70 displays the altitude data 51, which is a record of the altitude change of the traveling device 1, as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device 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도변화량과 속도 및 거리 변화량을 기준으로 일반주행과 서행주행으로 구분하여 판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t is judged by dividing into a general driving and a slow driving based on the altitude change amount, the speed and the distance change amount.

일반주행은 고도변화량을 측정하여 변화량이 1m 범위 안에 있을시 층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크고, 고도 변화량이 1m 범위를 이탈시 경사도로 주행 중으로 인식하는 경우 및, 속도와 거리 변화량 크고, 고도변화량이 1m 범위 안에 있고, 각도 변화량이 크면 곡선도로 주행 중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In general driving, when the altitude change is measured,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no layer change when the change amount is within 1m range. When the speed and distance change amount is large and the altitude change amount is within 1m, If the distance change is large, the altitude change is within the range of 1m, and if the angle change is large, the road may be recognized as running on the curve.

또한 서행주행은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작을 경우 판단한다. Also, slow travel is judged when the speed and distance variation are small.

또한, 본 발명은 속도 및 거리 변화량과 고도 변화량에 따라 지상층, 지하층 주차로 구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assified into ground floor and underground parking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distance variation and altitude variation.

즉 서행주행 인식 중 차량 시동이 오프되는 경우 지상1층 주차로 인식한다.In other words, if the vehicle is turned off during recognition of slow travel, it is recognized as parking on the ground floor.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작고, 상각도 변화량이 있고, 고도 변화량이 1m 범위를 이탈 후 일정시간 동안 일정고도를 유지할시 상층 이동으로 인식한다.It is recognized that the speed and distance change are small, there is a change in the depreciation, and the altitude change is the upper layer movement when the altitude change is maintained at a constant altitude for a certain time after leaving the 1m range.

상층이동 인식 후 서행주행 모드에서 차량 시동이 오프시 지상2층 주차로 인식한다. After recognizing the upper layer movement, the vehicle starts in the slow travel mode and recognizes it as parking on the second floor above the ground.

상층이동 인식 후 서행주행 모드에서 상층이동을 인식하게 되면 주차 인식 전까지 상층수를 더하는 식으로 지상층수를 더하게 된다.When recognizing the upper layer movement in the slow travel mode after recognizing the upper layer movement, the number of the ground layer is added by adding the upper layer number before the parking recognition.

또한,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작고, 하각도 변화량이 있고, 고도 변화량이 1m 범위를 이탈 후 일정시간 동안 일정고도를 유지할시 지하층 이동으로 인식한다.In addition, it is recognized that if the speed and distance change are small, there is a downward angle change, and the altitude change amount is within a certain range for a certain time after leaving the range of 1m, it is regarded as a basement shift.

하층 이동 인식 후 서행주행 모드에서 차량 시동이 오프시에 지하1층 주차 인식한다.After recognizing the lower floor movement, in the slow travel mode, it recognizes the first floor parking on the ground when the vehicle is off.

하층 이동 인식 후 서행주행 모드에서 하층 이동 인식하게 되면 주차 인식 전까지 하층수를 더하는 식으로 지하층수를 더하게 된다.If the vehicle recognizes the lower floor movement in the slow travel mode after recognizing the lower floor movement, the number of the ground floor is added by adding the lower floor number before the parking recognition.

또한, 본 발명은 주차위치는 스마트폰의 GPS 연결이 끊기는 시점을 기준으로 해서 차량의 이동궤적, 방향 및 층간 이동을 인식하고 주차위치를 주차건물의 맵 데이터베이스(DB)가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로 구분하여 주차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position recognizes the movement locus, direction, and inter-floor movemen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point of time when the GPS connection of the smartphone is disconnected, and when the parking position is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map database Thereby displaying the parking information.

건물 주차장의 맵 DB가 없는 경우 스마트폰에 주차층 정보와 이동 궤적과 주차위치를 좌표값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동궤적은 2.5m 단위로 직진표시하고 좌표값은 5Mx5M 블록으로 하여 주차장 입구를 원점으로 2D 좌표계로 표시하게 된다.(도 5)If there is no map DB of the building parking lot, it displays parking lot information, moving trajectory and parking position on the smartphone as coordinate values. The moving trajectory is displayed in straight line in 2.5m increments, and the coordinate value is set to 5Mx5M blocks, and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is displayed as the origin in the 2D coordinate system (FIG. 5).

건물 주차장 맵 DB가 있는 경우 스마트폰에 주차층 정보와 주차위치를 맵핑하여 디스플레이한다.(도 6)When there is a building parking map DB, the parking lot information and the parking position are mapped and displayed on the smartphone (Fig. 6).

이하, 본 발명의 위치 기록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reco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위치 기록 장치는 가속도센서(10), 자이로센서(20), 이동궤적연산부(30), 고도센서(40), 고도연산부(50) 및, 통신부(60)가 주행장치(1)에 설치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된다.The position recor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10, the gyro sensor 20, the movement locus arithmetic unit 30, the altitude sensor 40, the altitude arithmetic unit 50 and the communication unit 60 are connected to the traveling device 1 And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이러한 가속도센서(10), 자이로센서(20), 이동궤적연산부(30), 고도센서(40), 고도연산부(50) 및, 통신부(60)는 주행장치(1)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박스형태의 일체형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acceleration sensor 10, the gyro sensor 20, the movement locus arithmetic unit 30, the altitude sensor 40, the altitude arithmetic unit 50 and the communication unit 60 are installed in the traveling device 1,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위치 기록 장치는, 주행장치(1)가 이동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궤적연산부(30)가 가속도센서(10)의 가속도값과 자이로센서(20)의 각가속도값을 입력받아 주행장치(1)의 평면상의 이동경로에 관한 궤적데이터(31)를 연산한다. 예를 들어, 이동궤적연산부(30)는 주행장치(1)의 최초 출발시에 발생하는 가속량들을 계속 적분연산하여 속도량을 검출한 후 속도를 검출하고, 속도에 따른 거리데이타를 적분연산하여 궤적데이터(31)를 계속적으로 연산한다. The position lo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acceleration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10 and the angular acceleration value of the gyro sensor 2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avel device 1 moves, (31) regarding the movement path on the plane of the vehicle (1). For example, the movement locus arithmetic unit 30 detects the velocity after detecting the velocity amount by continuously integrating the acceleration amounts generated at the initial start of the traveling apparatus 1, and integrates the distance data according to the velocity The locus data 31 is continuously calculated.

주행장치(1)의 회전시에는 회전가속도량에 따른 회전각속도를 적분연산하여 각속도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회전각을 산출하고, 직선경로에 관한 거리데이타와 회전경로에 관한 회전거리데이타를 계속적으로 연산하여 거리데이타와 회전거리데이타를 토대로 궤적데이터(31)를 연산한다.During the rotation of the traveling device 1,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acceleration amount is integrated to detect the angular velocity, and the rotational angle corresponding thereto is calculated, and the distance data about the straight line and the rotational distance data about the rotational path are continuously calculated And computes the locus data 31 based on the distance data and the rotation distance data.

만약, 주행장치(1)를 운행하는 차량 운전자가 지하에 대형 주차 시설이 마련된 초대형 건축물로 진입하여 주차를 하고자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는 경우(다른 예의 경우로는 주행장치(1)가 건축물의 지상의 고층에 마련된 주차장에 주차를 하기 위하여 올라가는 경우), 고도센서(40)는 주행장치(1)의 고도값을 검출하게 되고, 고도연산부(50)는 상기 고도값을 입력받아 고도데이터(51)를 연산하게 된다.If a driver of a vehicle traveling the traveling device 1 enters a large-sized building having a large parking facility underground and enters an underground parking lot for parking (in other cases, the traveling device 1 may be a ground- The altitude sensor 40 detects the altitude value of the traveling device 1 and the altitude calculation unit 50 receives the altitude value and outputs the altitude data 51 .

이와 같이, 주행장치(1)가 지하에 있는 대형 주차 시설에 진입하는 경우, 이동궤적연산부(30)와 고도연산부(50)는 이동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를 계속적으로 연산하여 주행장치(1)의 평면상에서의 궤적과 고도를 추출한다.In this way, when the traveling apparatus 1 enters a large parking facility in the basement, the movement locus arithmetic unit 30 and the altitude arithmetic unit 50 continuously calculate the movement locus data 31 and the elevation data 51 The trajectory and altitude on the plane of the traveling device 1 are extracted.

이러한 이동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는 통신부(60)의 무선통신을 통해 설정된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스마트폰(70)에 전송된다.The movement trajectory data 31 and the elevation data 51 ar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7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60.

여기서, 지하에 있는 대형 주차시설의 특정 주차공간에 주행장치(1)가 주차하는 경우, 주행장치(1)의 동력은 중지되고, 발전장치는 가속도센서(10), 자이로센서(20), 이동궤적연산부(30), 고도센서(40) 및, 고도연산부(50)로 공급되는 전력이 중단되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은 배터리와 같은 보조 전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된다.Here, when the traveling device 1 is parked in a specific parking space of a large parking lot underground, the power of the traveling device 1 is stopped and the power genera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sensor 10, the gyro sensor 20, The power supplied to the locus calculating unit 30, the altitude sensor 40, and the altitude arithmetic unit 50 is interrupted, so that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an auxiliary power such as a battery.

이와 같이 주행장치(1)의 동력이 중지되는 경우, 통신부(60)는 주행장치(1)의 동력이 중지되는 시점 또는 동력이 중지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스마트폰(70)으로 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를 전송하는 구동을 중지함으로써, 가속도센서(10), 자이로센서(20), 이동궤적연산부(30), 고도센서(40) 및, 고도연산부(50)가 계속적으로 주행장치(1)의 전력을 소모하여 주행장치(1)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마트폰(70)에 전송되는 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가 주행장치(1)의 정지시점에 관한 최종적인 경로데이타로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지하 대형 주차장에 주차된 상태의 주행장치(1)에 관한 위치정보를 스마트폰(70)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ower of the traveling device 1 is stopped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unit 60 transmits the trajectory to the smartphone 70 when the power of the traveling device 1 is stopped, or when a certain time has elapsed after the power is stopped, The acceleration sensor 10, the gyro sensor 20, the movement locus calculation unit 30, the altitude sensor 40 and the altitude calculation unit 50 are stopped by stopping the drive for transmitting the data 31 and the altitude data 5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of the traveling device 1 from being discharged by continuously consuming the power of the traveling device 1 and to prevent the sign data 31 and the elevation data 51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7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traveling device 1, It is possible to obtain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traveling device 1 parked in the underground large parking lot on the smartphone 70 by determining the final route data regarding the stopping point of the vehicle 1 as the final route data.

이와 같이, 지하 대형 주차장의 특정 층수에 주행장치(1)가 주차된 경우, 스마트폰(70)은 통신부(60)에서 전송된 이동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를 토대로 하여, 주행장치(1)의 궤적정보와 고도정보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When the traveling device 1 is parked in a certain number of floors of the underground large parking lot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phone 70 is configured to travel on the basis of the moving sign data 31 and the elevation data 51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 The sign information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device 1 are displayed in a map form as shown in Fig.

이때, 스마트폰(70)에서는 궤적데이터(31)를 맵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특정 층수에 진입하여 이동하는 경로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경로의 방향정보를 이미지 형태(예를 들어, 화살표 형상)로 표시하여 이동했던 방향을 표시하면서, 주행장치(1)가 주차한 경우와 같이 최종목적지를 알 수 있도록 이미지 형태(예를 들어, 특정 아이콘 형태)로 출력하여 주행장치(1)의 주차지점을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displaying the locus data 31 in the form of a map, the smart phone 70 displays the moving path by entering a specific number of layers, and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path is displayed in an image form (for exampl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specific icon) so that the final destination can be known as when the traveling device 1 is parked, while display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veling device 1 is parked, To the driver.

또한, 주행장치(1)의 주차시점과 같은 주행장치(1)의 동력 중지시점에 스마트폰(70)에 출력되는 고도정보는 건물의 층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70)은 고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고도정보의 변화가 계속 일어난 시점부터 고도정보의 변화가 끝난 시점까지를 건축물내의 하나의 층수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주행장치(1)가 대형 지하 주차장에 진입하여 지하 1층에서 지하 2층으로 내려가는 경우, 고도센서(40)는 주행장치(1)의 고도를 계속 검출한다. 이 경우 스마트폰(70)으로 전송되는 고도데이터(51)는 계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주행장치(1)가 지하 1층에서 지하 2층으로 진입 완료하는 경우, 고도센서(40)에는 고도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스마트폰(70)은 고도가 변화된 시점에서 고도의 변화가 완료되는 시점까지인 주행장치(1)가 지하1층에서 지하 2층까지 내려가는 경우를 하나의 층수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마트폰(70)은 고도변화의 변화시점에 따라 층수를 카운팅함으로써, 현재 주행장치(1)가 건축물내에서 지하 몇층 또는 지상 몇층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altitude information outputted to the smartphone 70 at the power stopping time of the traveling device 1 such as the parking time of the traveling device 1 is displayed in the form of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For this purpose, the smartphone 70 determines the number of layers in the building from when the altitude information changes continuously to when the altitude information changes, when the altitude information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traveling device 1 enters a larg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descends from the first floor to the second floor, the altitude sensor 40 continuously detects the altitude of the traveling device 1. [ In this case, the altitude data 51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70 continuously change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ltitude change in the altitude sensor 40 when the traveling device 1 completes entering from the first basement to the second basement. In this case, the smartphone 70 determines that the traveling device 1, which is from the time when the altitude is changed to the time when the altitude change is completed, goes down from the first floor to the second floor. In this way, the smartphone 70 counts the number of floors according to the change time of the altitude change,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raveling device 1 is located in several layers or underground layers in the building.

이에 대한 상세한 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행주행 인식 중 차량 시동 오프시 지상1층 주차로 인식함을 기준으로,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작으면서 상각도 변화량이 있고, 고도 변화량이 소정범위를 이탈 후 일정시간 동안 일정고도를 유지할시 상층 이동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차량 시동 오프에 따라 지상층 주차로 인식하고,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작으면서 하각도 변화량이 있고, 고도 변화량이 소정범위를 이탈 후 일정시간 동안 일정고도를 유지할시 하층 이동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차량 시동 오프에 따라 지하층 주차로 인식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change in the depression degree while the speed and the distance change amount are small and the altitude change amount is deviated from the predetermined range after the vehicle departs from the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altitud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recognized as the ground floor parking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recognizing it as the upper floor movement. While the speed and distance variation is small, When a certain altitude is maintained for a period of time, it is recognized as the underground parking in accordance with the start-off of the vehicle while repeating the operation of recognizing it as the lower floor movement.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7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서는 주행장치(1)의 동력이 마지막으로 중지된 경우까지의 궤적정보와 층수정보(52)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2에서는 주행장치(1)가 지하 3층에 위치한 경우에 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martphone 70, the trajectory information and the layer number information 52 until the power of the traveling device 1 is last stopped is displayed.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raveling device 1 is located in the third basement.

이때, 주행장치(1)의 운전자가 자신의 업무를 위해 주행장치(1)에서 이탈하여 다른 층으로 이동하여 업무를 마친 후, 운전자는 자신의 주행장치(1)가 어느 곳에 위치해 있는지를 종종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운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70)에 최종적으로 기록된 이동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를 토대로 주행장치(1)를 찾아가야 한다.At this time, after the driver of the traveling device 1 leaves the traveling device 1 for his / her work and moves to another floor and finishes his / her work, the driver often knows where his / her traveling device 1 is located In this case, the driver must go to the traveling device 1 based on the moving sign data 31 and the elevation data 51 which are finally recorded in his or her own smartphone 70.

이 경우, 운전자는 자신의 업무를 위하여 주행장치(1)에서 일정거리 멀어진 상태이므로, 자신이 주행장치(1)에서 얼마나 멀어졌는지를 판단해야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driver is distan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raveling device 1 for his / her work, he / she must determine how far he / she is from the traveling device 1.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70)에서는 운전자가 주행장치(1)에서 내려 업무를 보는 시점부터 다시 주행장치(1)로 돌아오는 시점까지의 이동경로에 관한 도보이동궤적데이터(71)를 출력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smartphone 70 can output the walking movement trajectory data 71 about the traveling route from the time when the driver descends from the traveling device 1 to the time when he returns to the traveling device 1 .

이와 같이 운전자의 이동경로가 스마트폰(70)에 디스플레이되기 위하여 스마트폰(70)은 내장 구성된 제2가속도센서(미도시)를 구동시킨다.In this way, the smartphone 70 drives a built-in second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so that the driver's movement path can b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70. [

이때, 스마트폰(70)의 화면에는 주행장치(1)의 층수정보(52)와 이동궤적데이터(3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이다. 즉, 스마트폰(70)의 화면에 평면경로맵과 건물의 층수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스마트폰(70)은 제2가속도센서(미도시)의 가속도값을 연산하고, 가속도값을 토대로 도보이동궤적데이터(71)를 생성하여 평면경로맵에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loor number information 52 and the moving locus data 31 of the traveling device 1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70. That is, in a state that the plane path map and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70, the smartphone 70 calculates the acceleration value of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and based on the acceleration value, The locus data 71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plane path map.

이 경우, 도보이동궤적데이터(71)는 스마트폰(70)을 소유한채로 이동하는 운전자의 보폭 데이터와 운전자의 발걸음 수를 토대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한발씩 발걸음을 옮기는 경우, 제2가속도센서(미도시)는 운전자의 도보시 가속도가 증가되는 시점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운전자가 발을 지면에 내딛어 가속도가 일정량 감소하는 시점을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상태에서 제2가속도센서(미도시)를 통해 이동속도를 연산하여 발걸음당 평균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발걸음 수를 카운팅한 후, 발걸음당 평균 이동거리를 곱하는 연산을 수행하여 운전자의 이동거리에 관한 도보이동궤적데이터(71)를 스마트폰(70)을 통해 맵형태로 출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walking movement locus data 71 is generated based on the stride data of the driver who owns the smartphone 70 and the number of steps of the driver. For example, when the driver moves a step by step,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periodically detects a time point at which the acceleration of the driver is increased, and when the driver takes the foot to the ground, Calculates an average moving distance per step by calculating a moving speed through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counts the number of steps, and then performs an operation of multiplying the average moving distance per step, And outputs the walking movement log data 71 relat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bile terminal 70 in the form of a map through the smartphone 70.

이 경우, 도보이동궤적데이터(71)에는 운전자가 이동한 방향에 관한 표식인 이미지(예를 들어, 화살표)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for the driver to recognize the direction by displaying an image (for example, an arrow) indicativ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r moved in the walking movement locus data 71. [

따라서 운전자는 도보이동궤적데이터(71)를 통해 자신이 주행장치(1)에서 내려 업무를 보는 경우 어느 경로로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업무를 마친 후, 자신의 도보이동궤적데이터(71)와 주행장치(1)의 궤적데이터(31) 정보 및 고도데이터(51)정보인 층수정보(52)를 맵형태로 보면서 주행장치(1)까지 찾아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river can determine the route to which the user travels when viewing his / her work from the traveling device 1 through the walking movement sign data 71. After completing his / her work, his or her walking sign data 71, The locus data 31 of the traveling device 1 and the number of floors 52 as the elevation data 51 in the form of a map.

또한, 스마트폰(70)은 부가적으로 스마트폰(70)의 GPS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장소에 있는 경우에 GPS정보를 이용하여 도보이동궤적데이터(71)를 보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70 may further correct the walking motion locus data 71 by using the GPS information when it is in a place where the GPS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70 can be recei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장치는, 지하 주차장이나 지상 주차장에 주행장치(1)를 주차시키는 경우 또는 주행장치(1)를 이동시키는 경우 주행장치(1)의 평면 이동경로를 궤적데이터(31)를 통해 평면경로맵 형태로 스마트폰(7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주행장치(1)의 고도데이터(51)를 통해 주행장치(1)가 위치한 건축물의 층수도 스마트폰(7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주행장치(1)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parking a traveling device 1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or a ground parking lot, or in a case where the traveling device 1 is moved, The number of buildings in which the traveling device 1 is located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70 in the form of a planar path map through the log data 31 by way of the altitude data 51 of the traveling device 1,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device 1 by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device 70.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장치는, 운전자가 주행장치(1)에서 벗어나는 경우 운전자의 이동경로에 따른 도보이동궤적이터를 주행장치(1)의 고도데이터(51) 및 층수정보(52)와 함께 스마트폰(7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가 주차된 주행장치(1)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position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driver leaves the traveling device 1, the walking movement trace data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path of the driver is stored in the altitude data 51 of the traveling device 1, And displays it on the smartphone 70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52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move to the parked traveling device 1. [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position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sition reco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장치는, 스마트폰(70)에 가속도센서(10), 자이로센서(20), 이동궤적연산부(30), 고도센서(40) 및, 고도연산부(50)를 구성한다.4, the position reco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10, a gyro sensor 20, a movement locus calculating unit 30, an altitude sensor 40 And an altitude arithmetic unit 50,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가속도센서(10), 자이로센서(20), 이동궤적연산부(30), 고도센서(40) 및, 고도연산부(50)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동하며,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으로는 가속도센서(10), 자이로센서(20), 이동궤적연산부, 고도센서(40) 및, 고도연산부(50)가 스마트폰(70)에 구성된다는 점이다.The acceleration sensor 10, the gyro sensor 20, the movement locus calculating unit 30, the altitude sensor 40 and the altitude arithmetic unit 50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are drive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is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10, the gyro sensor 20, the movement locus calculating unit, the altitude sensor 40 and the altitude arithmetic unit 50 are configured in the smartphone 70.

즉,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70)은 가속도센서(10), 자이로센서(20), 이동궤적연산부(30), 고도센서(40) 및, 고도연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1실시예의 통신부(60)의 구성은 불필요하고, 자체적으로 내장되는 가속도센서(10)와 자이로센서(20) 및 고도센서(40)를 이용하게 되므로 제1실시예의 제2가속도센서(미도시)도 불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동궤적연산부(30)와 고도연산부(50)는 앱(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at is, the smartphone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acceleration sensor 10, the gyro sensor 20, the movement locus calculating unit 30, the altitude sensor 40, and the altitude arithmetic unit 50,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60 of the embodiment is unnecessary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0, the gyro sensor 20, and the altitude sensor 40 which are built in themselves are used, so that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It becomes unnecessary. In this embodiment, the movement locus arithmetic unit 30 and the altitude arithmetic unit 50 can be implemented through an application (applica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장치는 스마트폰(70)을 통해 대부분의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므로 주행장치(1)의 동력이 중지된 시점 즉, 주행장치(1)의 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가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시점(예를 들어, 주행장치(1)의 주차시)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 전원 연결 장치, 예를 들어, 유에스비(USB) 충전단자에 스마트폰(70)을 연결한 상태에서 분리하는 경우 또는 주행장치(1)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와 스마트폰(70)이 무선통신 가용범위를 벗어난 경우 등을 스마트폰(70)에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지시점이 결정된 경우를 검출한 스마트폰(70)은 주행장치(1)의 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의 최종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주행장치(1)의 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가 산출되는 것을 중지하여 사용자의 도보 이용시 주행장치(1)의 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가 불필요하게 업데이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position reco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most of the functions through the smartphone 70, the position reco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time point when the power of the travel device 1 is stopped, 31) and the altitude data 51 are finally determined (for example, at the time of parking of the traveling device 1), the user can use a power connection device in the vehicle, for example, USB The smart phone 70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state where the smart phone 70 is connected or whe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traveling device 1 and the smart phone 70 are ou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sable range, Can be detected. The smartphone 70 that detects the determination of the stopping point as described above determines the final point of time of the sign data 31 and the elevation data 51 of the traveling device 1 so that the sign data 31 of the traveling device 1 And the altitude data 51 are prevented from being calculated to prevent the sign data 31 and the altitude data 51 of the traveling device 1 from being unnecessarily updated when the user is walking.

다음, 스마트폰(70)은 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의 최종시점이 결정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업무를 위해 도보 이동시 자체적으로 내장된 가속도센서(10)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발걸음에 관한 도보이동궤적데이터(71)를 생성하여 스마트폰(7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장치(1)에서 얼마나 이동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Next, after the final point of time of the locus data 31 and the altitude data 51 is determined, the smartphone 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river has performed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10 built- It is possible to easily know how far the driver has moved in the traveling device 1 by generating the walking movement log data 71 about the step as shown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70. [

본 실시예의 경우, 스마트폰(70)에서 가속도량과 각가속도량 및 고도량(압력)을 제공하는 경우(예를 들어, 9축 지자계센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하 주차장이나 지상 주차장에 주행장치(1)를 주차시키는 경우나 주행장치(1)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주행장치(1)의 평면 이동경로를 궤적데이터(31)를 통해 평면경로맵형태로 스마트폰(7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주행장치(1)의 고도데이터(51)를 통해 주행장치(1)가 위치한 건축물의 층수도 스마트폰(7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주행장치(1)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운전자가 주행장치(1)에서 벗어나는 경우 운전자의 이동경로에 따른 도보이동궤적이터를 주행장치(1)의 고도데이터(51) 및 층수정보(52)와 함께 스마트폰(7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가 주차된 주행장치(1)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cceleration degree, the angular acceleration amount and the high degree of pressure (pressure) are provided in the smartphone 70 (for example, When the device 1 is parked or when the traveling device 1 is moved, the plane moving path of the traveling device 1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70 in the form of a plane path map through the locus data 31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device 1 by display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s in which the traveling device 1 is located on the smart phone 70 via the altitude data 51 of the traveling device 1 in the smartphone 70. [ In this case, when the driver departs from the traveling device 1, the walking movement trace data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path of the driver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70 together with the altitude data 51 and the floor number information 52 of the traveling device 1 So that the driver can be easily moved to the parked traveling device 1. [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위치 기록 장치가 고도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주행장치(1)가 위치한 건물의 층수를 카운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위치 기록 방법에 의해서도 주행장치(1)가 위치한 건물의 층수를 판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apable of coun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s where the present traveling device 1 is located by using the altitude data, but also by the following position recording method, ) Can be identified.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방법은 주행장치(1)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구동된다.To this end, the position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using the electronic apparatus of the traveling apparatus 1. [

여기서, 주행장치(1)의 전자기기라함은 상술한 실시예의 스마트폰(70) 뿐만 아니라, 주행장치(1)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DMB시청기 및, 모니터출력장치 가운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apparatus of the traveling apparatus 1 may be configured not only to the smart phone 70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also to any one of navigation, DMB viewer, and monitor output apparatus installed in the traveling apparatus 1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주행장치(1)의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것으로써, 고도데이터 기록단계, 층수카운팅단계 및, 층수출력단계를 포함한다.The position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titude data recording step, a layer number counting step, and a layer number output step, which are installed in an electronic apparatus of the traveling apparatus 1 as described above.

상기 고도데이터 기록단계는 고도센서(40)로부터 고도데이터를 추출하여 기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고도데이터 기록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고도연산부(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altitude data recording step is a step of extracting altitude data from the altitude sensor 40 and recording the altitude data. This altitude data recording step may be performed by the altitude arithmetic unit 50 as described above.

상기 층수카운팅단계는 고도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 상기 고도데이터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태를 모니터링한 후, 고도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일정 고도에서 변화가 정지하는 경우 건물의 층수를 더하는 카운팅연산을 하고, 고도데이터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일정 고도에서 변화가 정지하는 경우 건물의 층수를 빼는 카운팅연산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층수카운팅단계는 상술한 스마트폰(70)을 이용하여 주행장치(1)의 고도변화시에 주행장치(1)가 위치한 건물의 층수를 카운팅하는 연산과 동일하다.Wherein the step of counting the number of counts is a step of counting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when the elevation data continuously increases or the elevation data continuously decreases after the elevation data continuously increases or the elevation data continuously increases and the change stops at a certain elevation And the altitude data is continuously decreasing. In the case where the change stops at a certain altitude, a coun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subtract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This layer counting step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counting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where the traveling device 1 is located when the altitude of the traveling device 1 is changed using the smartphone 70 described above.

상기 층수출력단계는 층수가운팅단계에 의해 카운팅된 횟수를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층수출력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인 스마트폰(70)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주행장치(1)가 위치한 층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연산과 동일하다.The number of layers output step is a step of outputting the number of times counted by the number of layers step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This layer number output step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floors in which the current traveling device 1 is located by using the display device of the smartphone 70, which is an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록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의 스마트폰(70)을 이용하여 주행장치(1)가 현재 위치한 건물의 층수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주행장치(1)에 설치된 전자기기를 통해서도 현재 주행장치(1)가 위치한 건물의 층수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운전자가 이를 보고 현재 주행장치(1)가 위치한 건물의 층수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isplays the number of the buildings in which the traveling device 1 is currently located by using the smart phone 7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rough the display device,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current traveling device 1 is located is display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1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where the current traveling device 1 is loca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 : 주행장치 10 : 가속도센서
20 : 자이로센서 30 : 이동궤적연산부
40 : 고도센서 50 : 고도연산부
60 : 통신부 70 : 스마트폰
1: traveling device 10: acceleration sensor
20: Gyro sensor 30: Moving locus calculating unit
40: altitude sensor 50: altitude operation unit
60: communication unit 70: smart phone

Claims (6)

주행장치(1)의 가속량을 검출하는 가속도센서(10); 상기 주행장치(1)의 회전가속량을 검출하는 자이로센서(20); 상기 가속도센서(10) 및 자이로센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속도센서(10)가 측정하는 가속도값을 입력받아 직선거리상의 속도 및 거리를 산출하고, 자이로센서(20)가 측정하는 각가속도값을 입력받아 회전경로에 관한 회전속도 및 회전각의 산출을 위해, 주행장치(1)의 가속도값과 각가속도값을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주행장치(1)가 이동한 경로에 관한 궤적데이터(31)를 생성하는 이동궤적연산부(30); 상기 주행장치(1)의 고도량을 검출하는 고도센서(40); 및 상기 고도센서(40)가 검출한 고도값을 입력받아 주행장치(1)의 고도이동경로에 관한 고도데이터(51)를 생성하는 고도연산부(50)로 구성된 위치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궤적연산부(30) 및 고도연산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궤적데이터(31)와 고도데이터(51)를 전송하고, 상기 주행장치(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통신부(60); 및
상기 통신부(60)에 대해 할당된 고유접속권한에 의해 통신부(60)를 통해 상기 궤적데이터(31) 및 고도데이터(51)를 입력받고, 궤적데이터(31)로부터 얻어진 속도, 거리, 각도 변화량과 고도데이터(51)로부터 얻어진 고도변화량을 상관관계를 가지고 연산하여 일반주행과 서행주행으로 구분한 후, 주행장치(1)의 이동 방향정보 및 최종 종착지를 맵 이미지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70)이 추가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70)은
GPS 연결이 끊기는 시점을 기준으로 차량의 이동궤적, 방향 및 층간 이동을 인식하여 주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서행주행 인식 중 차량 시동 오프시 지상1층 주차로 인식함을 기준으로,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작으면서 상각도 변화량이 있고, 고도 변화량이 소정범위를 이탈 후 일정시간 동안 일정고도를 유지할시 상층 이동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차량 시동 오프에 따라 지상층 주차로 인식하고,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작으면서 하각도 변화량이 있고, 고도 변화량이 소정범위를 이탈 후 일정시간 동안 일정고도를 유지할시 하층 이동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차량 시동 오프에 따라 지하층 주차로 인식하며,
상기 일반주행은 고도변화량을 측정하여 변화량이 소정범위 내에 있을시 층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크고, 고도 변화량이 소정범위를 이탈시 경사도로 주행 중으로 인식하며,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크고, 고도변화량이 소정범위 안에 있고, 각도 변화량이 크면 곡선도로 주행 중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상기 서행주행은 속도와 거리 변화량이 작을 경우인 것으로 구분하고,
상기 스마트폰(70)은 제2가속도센서를 포함하며,
평면경로맵과 건물의 층수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제2가속도센서의 가속도값을 연산하고 상기 가속도값을 토대로 도보이동궤적데이터(71)를 생성하여 상기 평면경로맵에 출력하고,
상기 스마트폰(70)에 표시되는 도보이동궤적데이터(71)는 스마트폰(70)을 소유한채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보폭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발걸음 수를 토대로 생성되고,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관한 방향과 주행장치(1)의 최종 종착지를 이미지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록 장치.
An acceleration sensor (10) for detecting an acceleration amount of the traveling device (1); A gyro sensor (20)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acceleration of the traveling device (1); The acceleration sensor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sensor 10 and the gyro sensor 20 and receives an acceleration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0 to calculate a velocity and a distance on a straight line distance. Periodically detects the acceleration value and the angular acceleration value of the traveling device 1 and calculates the locus data 31 about the traveling path of the traveling device 1 in order to calculate the rotation speed and the rotation angle about the rotation path A movement trajectory calculating unit 30 for generating a trajectory; An altitude sensor (40) for detecting a high level of the traveling device (1); And an altitude arithmetic unit (50) for receiving the altitude value detected by the altitude sensor (40) and generating altitude data (51) about the altitude movement path of the traveling device (1)
The locus data 31 and the elevation data 5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ement locus arithmetic unit 30 and the altitude arithmetic unit 50 to transmit the locus data 31 and the elevation data 51, (60); And
The locus data 31 and the altitude data 51 are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unit 60 by the inherent access right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unit 60 and the velocity, A smart phone 70 for displaying the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device 1 and the final destination in the form of a map image after the altitude change data obtained from the altitude data 51 is calculated with a correlation and classified into general traveling and slow traveling, There are additional configurations.
The smartphone (70)
The parking information is displayed by recognizing the movement trajectory, the direction and the inter-floor movemen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point of time when the GPS connection is disconnected,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depression degree while the speed and the distance change amount are small and the altitude change amount is a certain level for a certain time after leaving the predetermined range, It is recognized as the ground floor parking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start-off while repeating the operation of recognizing the movement,
If the altitude variation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ange and the altitude chang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after leaving the predetermined range, it is recognized as the underground parking according to the vehicle start-
When the change amou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normal travel recognizes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layer when the change amou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recognizes that the speed and the distance change amount are large and the altitude change amount is running at the inclination when leaving the predetermined range. And if the altitude change amount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and the angle change amount is large,
The slow travel is classified into the case where the speed and the distance variation are small,
The smartphone 70 includes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Calculates the acceleration value of the second acceleration sensor, generates walking movement log data (71) based on the acceleration value, and outputs the generated walking movement log data (71) to the plane path map,
The walking movement locus data 71 displayed on the smartphone 70 is generated on the basis of the stride data of the user who owns the smartphone 70 and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And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traveling device (1) in the form of an im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68870A 2014-11-28 2014-11-28 Position recording device KR1015491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70A KR101549144B1 (en) 2014-11-28 2014-11-28 Position recor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70A KR101549144B1 (en) 2014-11-28 2014-11-28 Position record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144B1 true KR101549144B1 (en) 2015-09-02

Family

ID=5424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870A KR101549144B1 (en) 2014-11-28 2014-11-28 Position recor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44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0958A (en) * 2015-09-24 2015-12-23 上海车音网络科技有限公司 Navig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70086456A (en) * 2017-07-20 2017-07-26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positioning
KR101762507B1 (en) * 2015-09-25 2017-07-27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positioning
KR20180102969A (en) * 2017-03-08 2018-09-18 주식회사 아트뷰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Navig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CN110132266A (en) * 2019-05-05 2019-08-16 深圳市荣盛智能装备有限公司 Floor method of discrimina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143440A (en) * 2019-12-30 2020-05-12 北京中交兴路信息科技有限公司 Vehicle parking behavior determin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ehicle track and storage medium
KR20210114083A (en) * 2020-03-09 2021-09-23 김경식 System for producing parking map using deep-learning
WO2022186541A1 (en) * 2021-03-02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same
CN115195661A (en) * 2021-04-08 2022-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relay atta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266Y1 (en) * 2005-09-05 2005-11-29 홍영준 An apparatus for showing over the parking spot
KR101265472B1 (en) 2011-12-15 2013-05-16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A navig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for
KR101380958B1 (en) * 2014-01-02 2014-04-04 오충록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arking area using portable devic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266Y1 (en) * 2005-09-05 2005-11-29 홍영준 An apparatus for showing over the parking spot
KR101265472B1 (en) 2011-12-15 2013-05-16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A navig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for
KR101380958B1 (en) * 2014-01-02 2014-04-04 오충록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arking area using portable devic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0958A (en) * 2015-09-24 2015-12-23 上海车音网络科技有限公司 Navig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5180958B (en) * 2015-09-24 2021-06-18 上海车音网络科技有限公司 Navig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762507B1 (en) * 2015-09-25 2017-07-27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positioning
US10440518B2 (en) 2015-09-25 2019-10-08 Naver Business Platfor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indoor and outdoor positioning
KR20180102969A (en) * 2017-03-08 2018-09-18 주식회사 아트뷰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Navig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KR101957446B1 (en) * 2017-03-08 2019-06-19 주식회사 아트뷰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Navig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70086456A (en) * 2017-07-20 2017-07-26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positioning
KR102217911B1 (en) * 2017-07-20 2021-02-19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positioning
CN110132266B (en) * 2019-05-05 2020-06-30 深圳市荣盛智能装备有限公司 Floor discrimin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0132266A (en) * 2019-05-05 2019-08-16 深圳市荣盛智能装备有限公司 Floor method of discrimina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143440A (en) * 2019-12-30 2020-05-12 北京中交兴路信息科技有限公司 Vehicle parking behavior determin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ehicle track and storage medium
CN111143440B (en) * 2019-12-30 2023-07-25 北京中交兴路信息科技有限公司 Vehicle parking behavior determining method, determin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based on vehicle track
KR20210114083A (en) * 2020-03-09 2021-09-23 김경식 System for producing parking map using deep-learning
KR102393619B1 (en) * 2020-03-09 2022-05-02 김경식 System for producing parking map using deep-learning
WO2022186541A1 (en) * 2021-03-02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same
CN115195661A (en) * 2021-04-08 2022-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relay att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144B1 (en) Position recording device
EP3832422B1 (en)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precise map data of server
US11255974B2 (en) Method of determining position of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KR1023233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ing of a vehicle
CN104918817B (en) guide system and method
CN106167025B (en) Method for user-defined vehicle preparation
KR101779521B1 (en)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US10444019B2 (en) Generating map data
US9995585B2 (en) Method for navigation of a user between a first position within a building and a second position
KR20060090913A (en) Apparatus and method of guiding rout based on step
CN102089624A (en) Method and systems for the building up of a roadmap an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position of a vehicle
KR20170065200A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83056B2 (e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map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2057171B1 (en) Geodetic confirming system for measure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using gps coordinate
US200200820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a vehicle
CN110766962A (en) Intelligent vehicle searching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rver
JP2011027425A (en) Car finder system
KR20180012128A (en) Apparatus for estimating 3d posi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1673749B1 (en) Positioning system using directiv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CN115963785A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vehicle and storage medium
KR201200842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vehicle location
KR20170059352A (en) System for Reminding Parking Loc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Suitable for the Same
JP7401192B2 (en) Vehicle position presentation system, onboard equipment used therein, vehicle position presentation method, and program for vehicle position presentation
US7714745B2 (en) Wireless wheel-sensor system for dead reckoning navigation applications
CN108007460A (en) The method and system of mobile object location are determined in environment is predic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