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04B1 -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104B1
KR101549104B1 KR1020090116643A KR20090116643A KR101549104B1 KR 101549104 B1 KR101549104 B1 KR 101549104B1 KR 1020090116643 A KR1020090116643 A KR 1020090116643A KR 20090116643 A KR20090116643 A KR 20090116643A KR 101549104 B1 KR101549104 B1 KR 10154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injection unit
reservoir tank
auxiliary injec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439A (ko
Inventor
구기삼
윤신원
송용진
이상현
민옥렬
김준호
박세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758,079 priority Critical patent/US9261013B2/en
Priority to CN2010101960607A priority patent/CN101865017B/zh
Publication of KR20100113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낮이가 조절이 가능한 보조주입부(Filler Neck)가 구비되어 주행 시에는 내측으로 인입되고, 냉각수의 보충 시에는 인출되어 냉각수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으며, 탱크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에 관한 것이다.
리저버탱크, 냉각수, 필러넥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Reservoir Tank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낮이가 조절이 가능한 보조주입부(Filler Neck)가 구비되어 주행 시에는 내측으로 인입되고, 냉각수의 보충 시에는 인출되어 냉각수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으며, 탱크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엔진의 가동 시 발생하는 열이 실린더 헤드, 피스톤, 밸브 등에 전도되며, 이로 인하여 이 부품들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면 열팽창이나 열화에 따라 부품의 강도가 떨어지고, 엔진 수명이 단축되며, 연소상태도 나빠져 노킹이나 조기점화가 발생하여 엔진의 출력도 저하된다.
또한, 엔진의 냉각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실린더 내주면의 유막이 끊어지는 등 윤활기능도 저하됨과 아울러 엔진오일이 변질됨으로써 실린더의 이상마모를 일으키게 될 뿐만 아니라 피스톤이 실린더 내벽 면에 융착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엔진의 냉각을 위하여 자동차에는 통상 수냉식 냉각장치가 설치된다.
수냉식 냉각장치는 워터펌프에 의하여 냉각수가 실린더 블록 및 실린더 헤드 를 순환하면서 그 온도를 낮추는 것이며, 냉각수의 방열을 위하여 라디에이터, 냉각팬 및 수온조절기 등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리저버 탱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리저버 탱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라디에이터(1)는 엔진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를 냉각하는 장치로서, 상/하부 탱크어셈블리(2,2)와, 튜브(3a) 및 상기 튜브(3a) 사이에 개재되는 핀(3b)을 포함하는 라디에이터 코어(3)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상/하부 탱크어셈블리(2,2)는 상기 라디에이터 코어(3)의 튜브(3a)가 결합되는 헤더(2a) 및 헤더(2a)를 감싸 유로를 형성하는 탱크(2b)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디에이터(1) 내부는 냉각수가 유동되면서 온도 변화에 따른 부피변화로 인해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될 수 있으며, 충분한 냉각수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라디에이터(1)는 리저버 탱크(보조 탱크)(10)와 연통되어 라디에이터(1)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였을 때 라디에이터(1) 내부의 냉각수가 리저버 탱크(10)로 배출되고, 내부의 온도 또는 압력이 하강될 경우에는 라디에이터(1) 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상기 리저버탱크(10)는 내부 냉각수의 보충을 위한 주입부(4)가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상기 주입부(4) 측에 오버플로 파이프(4a)가 형성되어 라디에이터(1)와 연결된다.
상기 주입부(4)의 상측은 개구된 영역을 폐쇄하는 압력밸브가 내재된 라디에이터용 캡이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리저버 탱크(1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주보는 하부와 상부가 각각 개구된 상부 탱크(11)와 하부 탱크(12)가 결합되어 그 내부에 냉각수 저장부(13)가 구비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탱크(11)의 일측에는 리저버 탱크(10)에 저장된 냉각수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냉각수 배출구(11a)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냉각수를 보충하기 위한 냉각수 주입부(11b)가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 배출구(11a)에는 드레인 호스(11c)가 연결되고, 냉각수 주입부(11b)에는 이를 밀폐하는 캡(14)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캡(14)의 내면에는 냉각수 주입부(11b)에 밀착되어 냉각수가 넘치지 않도록 하는 캡실링부(14a)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탱크(12)의 일측에는 주입부(4)(도 1 참조)의 오버플로 파이프(4a)와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구(12a)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냉각수 리저버 탱크는 냉각수 주입부(11b)가 리저버 탱크(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데, 상기 주입부(11b)의 높이가 낮 게 형성되면 냉각수 주입 시 공간이 협소하여 냉각수를 주입하기 용이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냉각수 주입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주입부(11b)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면 엔진룸 내부에서 그만큼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설계(Layout)상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주입부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면, 보행자가 자동차 전면에 충돌되는 경우에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더욱 증가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의 주입 시, 인출되어 냉각수를 안내하는 보조주입부가 형성되어 냉각수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경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일측에 냉각수의 보충을 위한 냉각수 주입부(110)(Filler Neck) 및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를 밀폐하는 캡(120)이 구비되며, 라디에이터와 연통되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의 냉각수 양을 조절하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냉각수 주입용 보조주입부(200)(Sub Filler Neck)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로, 상측에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에 걸림고정되어 인입 정도를 제한하는 걸림턱(2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23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냉각수의 보충 시,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일정영역이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의 상측으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 상단에 걸림고정되도록 돌출되며 탄성이 부가된 스토퍼(210)(Stopper)가 높이방향으로 상기 돌출부(23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토퍼(21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양측에 형성되되, 돌출된 양측 및 하측 둘레 부분이 중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2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 및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와 연결되는 탱크(100) 내면에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가이드(2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인입 및 인출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에 인접하여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와 연통되는 연통홀(2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는 냉각수의 주입 시 인출되어 냉각수를 안내하는 보조주입부가 형성됨으로써 냉각수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상기 보조주입부가 자동차 주행 시에는 탱크 내측에 인입되어 캡에 의해 고정되며, 냉각수 보충 시에는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는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의 장착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의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의 주행 시, 및 냉각수 보충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의 보조주입부(200)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의 다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라디에이터와 연통되어 냉각수 양을 조절하도록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냉각수의 보충을 위해 개구되는 냉각수 주입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에 구비되는 보조주입부(200), 및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를 밀폐하는 캡(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라디에이터와 연결되어 라디에이터의 과도 압력에 의해 넘치는 냉각수가 이동되어 저장하게 되며, 라디에이터 내부에 냉각수가 부족하게 되면 라디에이터 내부로 냉각수가 이동되어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수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는 냉각수의 보충을 위해 탱크(100)의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탱크(100)의 용량을 확대하고 사용자가 냉각수를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탱크(1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캡(120)에 의해 개페가능하도록 일정 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캡(120)은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내측에 실링부재(1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120)은 자동차의 주행 시에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를 폐쇄하고, 냉각수의 보충이 필요할 경우에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를 개방한다.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자동차의 주행 시에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 내측에 인입되어 상기 캡(120)에 의해 고정되며,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에 냉각수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120)의 개방 후, 상측으로 인출되어 냉각수의 보충을 안내한 다.
종래에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에 직접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탱크(100)의 높이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어 설계가 어렵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냉각수 저장 용량 및 프론트 엔드 모듈 구성 등의 기본 설계에 따라 제작된 후, 보조주입부(200)가 냉각수 주입부(110)에 삽입 형성되어 냉각수의 주입이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보조주입부(200)를 인출함으로써 냉각수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고, 형성 높이를 필요 이상으로 높이지 않아도 되어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형성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높은 높이를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자동차 충돌 시,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보조주입부(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에 인입 시, 최상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측에 걸림턱(24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40)은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상측 외주가 돌출되어 단차지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의 상측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인입 정도를 제한한다.
또한,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상기 걸림턱(240)과 반대로,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돌출부(230)가 더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 내부의 하측과 맞닿아 상기 보조주입부(200)가 외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돌출부(23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하측에 탱크(100) 내측으로는 삽입이 용이하며, 반대방향으로는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즉, 상기 돌출부(2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조주입부(200)를 냉각수 주입부(110)에 조립할 때는 상기 돌출부(230)의 경사부를 따라 상기 보조주입부(200)가 냉각수 주입부(110) 내부로 삽입되며, 그 반대방향으로 상기 보조주입부(200)를 분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 때,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하측은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정 영역이 삭제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냉각수의 주입 시,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일정 영역이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 상측으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어 냉각수의 주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이를 위하여 스토퍼(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1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 상단에 걸림고정되도록 돌출되며 탄성이 부가된 형태로, 상기 돌출부(23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인출 시, 최대 인출 정도를 제 한하고, 상기 스토퍼(21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스토퍼(210)는 상측으로(상기 보조주입부(200)를 인출하는 방향)의 이동은 용이하며, 하측으로(상기 보조주입부(200)를 인입하는 방향)의 이동은 용이하지 않도록 외측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10)는 안정적으로 보조주입부(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이 작용되도록 돌출된 부분의 양측 및 하측 둘레가 중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냉각수의 주입이 완료된 후, 하측 방향의 힘에 의해 보조주입부(200)가 다시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 내측으로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230)와 스토퍼(210)의 사이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의 형성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보조주입부(200)가 용이하게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에 가이드(220)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 및 냉각수 주입부(110)와 연결되는 탱크(100) 내면에 가이드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2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11)은 상기 가이드(2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인입 및 인출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인입 및 인출 시, 상기 가이드(220)가 가이드홈(111)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되므로, 상기 보조주입부(200)가 회전되지 않아 주행 시, 소음 등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며,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홈(111)은 상기 가이드(220)가 형성되는 높이만큼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 및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와 연결되는 탱크(100) 내면의 일정 영역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면에서, 상기 가이드(220) 및 가이드홈(111)이 하나씩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필요에 따라 그 하나 이상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일측에 탱크(100)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홀(2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주입부(200)가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내부와 탱크(100) 내부에 압력차가 형성될 수 있는 데, 이러한 경우에, 탱크(100) 내부에 냉각수가 꽉 차있지 않는 상태에서도 냉각수가 오버플로우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 내부와 탱크(100) 내부를 서로 연통하는 연통홀(250)을 형성함으로써 압력차가 유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통홀(250)은 작업자의 손가락 일정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정 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250)에 의해 작업자 손가락이 걸림고정되어 용이하게 보조주입부(2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주입부(200) 상측 내부에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걸림돌기(2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60)의 높이는 상기 연통홀(250)과 같이, 작업자의 손가락 일정 부분이 걸림고정되어 상기 보조주입부(20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냉각수의 주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손가락이 걸림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 및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60)는 상기 연통홀(250)과 동시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연통홀(250) 및 걸림돌기(260)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의 다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의 주행 시, 및 냉각수 보충시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의 장착 단면도이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경사지는 방향은 엔진룸 측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를 따라 상기 보조주입부(200)가 이동되므로, 상기 보조주입부(200) 역시 경사지게 위치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보조주입부(200)를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할 수 있으며, 냉각수를 더욱 쉽게 보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보행자 중돌 시,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낮추기 위하여 본넷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론트 엔드 모듈(FEM, Front End Module)의 전체 높이가 낮아지므로, 이에 따라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의 기본 몸체를 형성하는 캐리어(330)의 높이 역시 낮아지고, 상기 캐리어(330)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 응축기(310), 라디에이터(320),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330)를 포함하는 쿨링모듈 역시 상기 캐리어(3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차량 전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 영역은 상기 캐리어(330)의 상측 부분에 의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가 엔진룸 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전체 높이가 낮아진다 할지라도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며, 냉각수를 안정적으로 보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냉각수의 주입 시 인출되어 냉각수를 안내하는 보조주입부(200)가 형성됨으로써 냉각수를 용이하 게 주입할 수 있으며, 탱크(100)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리저버 탱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리저버 탱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의 장착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의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냉각수 보충 시).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의 주행 시, 및 냉각수 보충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의 보조주입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의 다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의 다른 분해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의 주행 시, 및 냉각수 보충시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의 장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110 : 냉각수 주입부 111 : 가이드홈
120 : 캡 121 : 실링부재
200 : 보조주입부 210 : 스토퍼
220 : 가이드 230 : 돌출부
240 : 걸림턱 250 : 연통홀
260 : 걸림돌기
310 : 응축기 320 : 라디에이터
330 : 캐리어 340 :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Claims (10)

  1. 일측에 냉각수의 보충을 위한 냉각수 주입부(110)(Filler Neck) 및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를 밀폐하는 캡(120)이 구비되며, 라디에이터와 연통되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의 냉각수 양을 조절하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냉각수 주입용 보조주입부(200)(Sub Filler Neck)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부(230) 및 스토퍼(210)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100)의 내측으로는 쉽게 삽입되되 상기 리저버 탱크(100)의 외측으로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의 하단에 걸림 고정되게끔 외측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조 주입구(200)가 냉각수 주입부(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스토퍼(21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23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의 상단에 걸림 고정되도록 돌출된 부분을 가지는데, 상기 돌출된 부분의 양측 및 하측 둘레 부분이 중공 형성되며, 탄성이 부가된 상태로 외측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주입부(20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용이하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상측에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에 걸림고정되어 인입 정도를 제한하는 걸림턱(2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냉각수의 보충 시,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일정영역이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의 상측으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외면에 길이방향 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2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 및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와 연결되는 탱크(100) 내면에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가이드(2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주입부(200)의 인입 및 인출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에 인접하여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와 연통되는 연통홀(2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주입부(200)는 상측 내부에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걸림돌기(26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10. 제1항, 제2항, 제4항, 제7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100)는 상기 냉각수 주입부(110)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KR1020090116643A 2009-04-13 2009-11-30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KR101549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58,079 US9261013B2 (en) 2009-04-13 2010-04-12 Reservoir tank for an automobile
CN2010101960607A CN101865017B (zh) 2009-04-13 2010-04-13 用于汽车的储存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792 2009-04-13
KR20090031792 2009-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439A KR20100113439A (ko) 2010-10-21
KR101549104B1 true KR101549104B1 (ko) 2015-09-02

Family

ID=4313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643A KR101549104B1 (ko) 2009-04-13 2009-11-30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481B1 (ko) * 2012-04-30 2014-02-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워셔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439A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2119B2 (ja) 水冷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US7188588B2 (en) Cooling system and coolant reservoir for a cooling system
KR20180099007A (ko) 차량용 냉각수 리저버 탱크
KR101549104B1 (ko)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US20100258570A1 (en) Reservoir tank for an automobile
KR20210096343A (ko) 차량용 통합 리저버 탱크
US7980204B2 (en) Reserve tank
JP6275479B2 (ja) サーモスタットハウジング
JP4825700B2 (ja) リザーブタンクおよび同タンクを備えたエンジン冷却装置
KR100534893B1 (ko) 리저버탱크가 추가된 상용차용 냉각수 순환시스템
JP5044478B2 (ja) オイル貯留装置
KR102420928B1 (ko) 냉각수 리저버 탱크
KR200467904Y1 (ko) 차량용 냉각수 리저버 탱크
KR20200113731A (ko) 제트펌프를 이용한 가압식 리저버 탱크
KR20190143089A (ko) 차량용 리저버 탱크
KR100822534B1 (ko) 자동차용 냉각수 리저버 탱크
KR101694546B1 (ko) 라디에이터 캡
KR101719656B1 (ko) 라디에이터
CN221002928U (zh) 一种摩托车发动机的水冷结构
KR102595227B1 (ko) 차량용 리저버 탱크
KR100435946B1 (ko) 엔진의 냉각 시스템
CN221002929U (zh) 一种摩托车发动机
KR20090057574A (ko) 피스톤 냉각용 쿨링젯구조
KR101199727B1 (ko) 엔진의 피스톤
KR101316167B1 (ko) 자동차의 냉각수 리저버 탱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