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481B1 - 자동차용 워셔탱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워셔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481B1
KR101357481B1 KR1020120045204A KR20120045204A KR101357481B1 KR 101357481 B1 KR101357481 B1 KR 101357481B1 KR 1020120045204 A KR1020120045204 A KR 1020120045204A KR 20120045204 A KR20120045204 A KR 20120045204A KR 101357481 B1 KR101357481 B1 KR 101357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pipe
washer
auxiliary
washer fluid
auxiliary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124A (ko
Inventor
문영국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48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워셔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워셔탱크에서는 워셔액의 보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주입관내에 설치되는 안내주입관이 상승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구조가 없어 사용자가 한손으로 안내주입관을 잡아준 상태에서 다른손을 이용하여 워셔액용기를 들고 안내주입관으로 워셔액을 주입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과 한손으로 워셔액용기를 잡고 주입하므로 정확성이 떨어져 워셔액이 외부로 흘러 워셔액의 낭비를 초래하고, 보조안내관을 상승시킬 때 별도의 손잡이가 없어 보조안내관을 잡고 상승시켜야 함에 따라 워셔액이 손에 묻어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워셔탱크몸체(100)의 주입관(110) 내부에 보조주입관(120)을 외부로 승강 출입되게 설치하여 주입구 높이가 조절되는 자동차용 워셔탱크에 있어서, 주입관(110)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일정 높이의 걸림돌턱(111)을 형성하고, 보조주입관(120) 하단부에는 걸림돌턱(111) 통과시 절결부(122)에 의해 구경이 신축 조절되는 상걸림단부(123)와 돌턱수용부(124) 및 하걸림단부(125)를 차례로 형성하여 돌턱수용부(124)가 걸림돌턱(111)에 걸려 수용되면 보조주입관(120)의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며, 보조주입관(120) 상단에 형성한 힌지부(126)에는 손잡이를 겸하면서 보조주입관(120)의 입구(121)를 개폐하는 캡(200)을 설치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보조주입관(120)을 상승시켜 일정 높이에서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보조주입관(120)을 잡아주지 않은 상태에서 워셔액을 보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두 손으로 워셔액용기를 잡고 주입할 수 있음에 따라 정확성이 높아져 워셔액의 낭비를 방지하고 보조주입관(120)을 상승시킬 때에는 캡(200)을 잡고 들어 올릴수 있음에 따라 워셔액이 손에 묻을 우려가 극히 적어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워셔탱크{washer tank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워셔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워셔액의 보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워셔탱크의 주입관에 설치되는 보조주입관을 일정높이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여 일일이 손으로 잡아주지 않은 상태에서 워셔액을 주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워셔액을 외부로 흘리지 않고 안정되게 주입 할수 있어 워셔액의 낭비와 엔진룸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보조주입관을 들어 올릴 때 손에 워셔액이 묻지 않도록 하여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워셔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글래스에 먼지가 많이 끼거나 우천시 먼지나 빗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와이퍼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와이퍼장치에는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용이하게 닦기 위해 워셔액이 저장된 워셔탱크를 설치하며 이 워셔탱크는 엔진룸이나 크래쉬패드의 안쪽에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퍼장치는 워셔탱크 외에 워셔펌프, 워셔노즐, 와이퍼로 구성되어 워셔액 펌프에서 가압된 워셔액을 워셔노즐을 경유하여 윈드실드 글래스에 분사함과 동시에 와이퍼수단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좌우로 구동하여 윈드실드 글래스에 낙하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닦아서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 있다.
한편, 워셔탱크에 채워진 워셔액은 사용 빈도에 따라 수시로 보충을 해줘야 하고 이러한 워셔액의 유지 관리는 숙련된 자동자 정비기술자부터 정비지식이 부족한 초보 운전자까지 누구나 손쉽게 유지관리 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워셔탱크몸체에 형성된 주입관의 마개를 열고 워셔액을 보충하여 준 후 다시 마개를 닫는 아주 간단한 방법이다.
그런데 워셔탱크의 주입구 높이는 후드패널의 닫힘을 위한 공간확보를 고려하여 주변 구조물들과 비슷한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워셔탱크 주입구가 낮아 일반 시중에서 유통되는 워셔액 용기에 담긴 워셔액을 흘리지 않고 주입구내로 주입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제안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8-0007751호(1998.04.30. 공개)(고안의 명칭: 자동차의 워셔탱크)(이하, "종래기술"이라 약칭함)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기술은 워셔탱크의 주입관 내에 슬라이드되는 주입안내관을 설치하여 워셔액을 보충할 경우에는 주입안내관을 상승시켜 워셔액이 담긴 용기의 접근성을 좋게하여 워셔액을 흘리지 않고 보충하고 보충이 끝나면 주입안내관을 다시 하강시켜 주입관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8-0007751호(1998.04.30. 공개)(고안의 명칭: 자동차의 워셔탱크)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워셔액을 보충하기 위하여 주입관 내부에 설치된 주입안내관을 상승시켜 주입관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주입안내관을 고정시키는 구조가 없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 돌출된 주입안내관을 잡아주고 다른 손을 이용하여 워셔액을 보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것은 물론 워셔액 용기를 한 손으로 잡고 보충하게 되면 정확성이 떨어져 워셔액을 흘리게 되어 워셔액의 낭비는 물론 엔진룸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입안내관을 위로 들어 올리고자 할 경우 별도의 손잡이가 없어 주입안내관의 상단부를 잡고 들어 올려주어야 하므로 작업자의 손에 워셔액이 묻게 되어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워셔액을 주입 시 보조주입관을 상승시켜 주입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여 워셔액을 보충할 수 있어 두손으로 워셔액용기를 잡고 안정적으로 워셔액의 보충을 마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워셔액 보충 시 흘리는 것을 최소화 하여 워셔액의 낭비와 엔진룸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보조주입관을 들어 올릴 시 사용자의 손에 워셔액이 묻지 않도록 하여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워셔액 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워셔탱크몸체의 주입관 내부에 보조주입관을 외부로 승강 출입되게 설치하여 주입구 높이가 조절되는 자동차용 워셔탱크에 있어서, 주입관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일정 높이의 걸림돌턱을 형성하고,보조주입관 하단부에는 걸림돌턱 통과 시 절결부에 의해 구경이 신축 조절되는 상걸림단부와 돌턱수용부 및 하걸림단부를 차례로 형성하여 걸림돌턱이 돌턱수용부에 수용되면 보조주입관의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며, 보조주입관 상단에 형성한 힌지부에는 손잡이를 겸하면서 보조주입관의 입구를 개폐하는 캡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조주입관을 주입관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여 보조주입관을 잡지 않은 상태에서 워셔액을 주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두손으로 워셔액용기를 잡고 주입할 수 있어 안정적인 주입이 이루어져 워셔액을 외부로 흘리지 않아 워셔액의 낭비와 엔진룸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보조주입관을 들어 올릴 시 손에 워셔액이 묻을 우려가 없어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주입관을 예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캡을 예시한 사시도.
도 3a, 3b 는 본 발명에 따라 보조주입관이 승강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로서 도 3a는 보조주입관을 사용치 않을 때를 예시한 것이고 3b는 보조주입관을 사용하기 위해 상승시킨 상태이다.
도 4a, 4b 는 본 발명에 따라 보조주입관이 승강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로서 도 4a는 보조주입관을 사용치 않을 때를 예시한 것이고, 4b는 보조주입관을 사용하기 의해 상승시킨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주입관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캡을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a, 3b 는 본 발명에 따라 보조주입관이 승강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로서 도 3a는 보조주입관을 사용치 않을 때를 예시한 것이고 3b는 보조주입관을 사용하기 위해 상승시킨 상태이고, 도 4a, 4b 는 본 발명에 따라 보조주입관이 승강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로서 도 4a는 보조주입관을 사용치 않을 때를 예시한 것이고, 4b는 보조주입관을 사용하기 위해 상승시킨 상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워셔탱크몸체(100)의 주입관(110) 내부에 보조주입관 (120)을 외부로 승강 출입되게 설치하여 주입구 높이가 조절되는 자동차용 워셔탱크에 있어서, 주입관(110)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일정 높이의 걸림돌턱(111)을 형성하고, 보조주입관(120) 하단부에는 걸림돌턱(111) 통과시 절결부(122)에 의해 구경이 신축 조절되는 상걸림단부(123)와 돌턱수용부(124) 및 하걸림단부(125)를 차례로 형성하여 걸림돌턱(111)이 돌턱수용부(124)에 수용되면 보조주입관(120)의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보조주입관(120) 상단에 형성한 힌지부(126)에는 손잡이를 겸하면서 보조주입관(120)의 입구(121)를 개폐하는 캡(200)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워셔탱크몸체(100)내에 와셔액이 부족할 경우 보충하기 위하여 보조주입관(120)을 주입관(110)외부로 돌출되게 한 상태에서 보조주입관 (120)을 통하여 워셔액을 주입토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보조주입관(120)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여 사용자가 한손으로 보조주입관(120)을 잡아주지 않고서도 워셔액을 보조주입관(120)내로 주입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워셔액용기를 두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워셔액을 안정적으로 보조주입관(120)으로 주입할 수 있어 워셔액을 외부로 흘리지 않아 워셔액의 낭비와 엔진룸의 오염을 방지하고, 아울러 보조주입관(120)을 들어 올릴 시 손에 워셔액이 묻지 않도록 하여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주입관(110)의 내측에 걸림돌턱(111)을 형성하고 보조주입관(120)의 하단부에는 상걸림단부(123)와 돌턱수용부(124) 그리고 하걸림단부(125)를 차례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워셔탱크몸체(100)에 워셔액을 보충하기 위하여 주입관(110)내에 설치된 보조주입관(110)을 들어 올려 보조주입관(110)에 형성된 돌턱수용부(124)에 걸림돌턱(111)이 수용되면 상걸림단부(123)와 하걸림단부(125)는 각각 걸림돌턱(111)의 상부와 하부에 걸려 보조주입관(110)이 상승된 상태에서 고정이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보조주입관(110)의 상단에 힌지부(126)를 형성하고 그 힌지부(126)에 보조주입관(120)의 입구(121)를 개폐하는 캡(200)을 설치하였다.
즉, 보조주입관(110)의 입구(121)를 개폐하는 캡(200) 저면에는 보조주입관(120)의 입구(121)에 결합되는 내측결합부(210)와 주입관(110)의 입구(112)에 결합되는 외측결합부(220)를 함께 구비시켜서 주입관(110)과 보조주입관(120)의 입구(112)(121)를 함께 개폐되게 하였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캡(200)이 주입관(110)의 입구(112)와 보조주입관(120)의 입구(121)를 막어주어 주입관(110)이나 보조주입관(120)속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보조주입관(120)을 들어 올릴 경우에는 캡(200)이 손잡이 역할을 하여 즉, 캡(200)을 열어 젖힌 후 캡(200)을 잡고 들어 올리면 캡(200)이 보조주입관(120)의 힌지부(126)에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보조주입관(120)이 캡(200)에 의해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워셔액이 묻을 우려가 극히 적어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캡(200)에 의해 보조주입관(120)을 주입관(110)에서 돌출되게 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워셔액을 보조주입관(120)으로 주입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보조주입관 (120)을 일일이 잡아주지 않고서도 워셔액을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워셔액의 주입이 끝난 이후에는 열려진 캡(200)을 닫아 보조주입관(120)의 입구(121)에 접면시킨 상태에서 캡(200)을 상향에서 눌러 힘을 가하면 보조주입관(120)이 하강되면서 보조주입관(120)의 돌턱수용부(124)에서 걸림돌턱(111)이 빠져나감과 동시에 보조주입관(120)은 계속 하강하다가 캡(200)의 외측결합부(220)가 주입관(110)의 입구(112)주연에 밀착되면 더이상 하강되지 않는 것이고, 이후 캡(200)에 힘을 더 가하면 캡(200)의 내측결합부(210)는 보조주입관(120)의 입구(121)를 막아주고 외측결합부(220)는 주입관(110)의 입구(112)를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조주입관(120)의 하단부에는 절결부(122)를 형성하여 보조주입관(120)을 주입관(110)에 끼울 시 절결부(122)에 의해 신축되게 하여 주입관(110)내로 원활하게 끼워지게 한다.
또한, 보조주입관(110)의 하단부 밑면을 걸림돌턱(111)과의 접촉면적을 줄여주는 파형부(127)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주입관(110)에 보조주입관(120)을 처음 끼울때 파형부(127)에 의해 보조주입관(120)의 삽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주입관(110)은 걸림돌턱(111)을 기준으로 상단부(113)의 구경을 하단부(114) 구경보다 크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주입관(110)내에 보조주입관(120)을 삽입하면 주입관(110)의 상단부(114)와 보조주입관(120) 사이에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다.
즉, 워셔액을 보충하게 되면 워셔액이 보조주입관(120)을 통해 워셔탱크몸체(100)로 들어가면서 점차 수위가 상승하는 것이기 때문에 적당량을 주입한 이후에는 주입을 멈추어야 워셔액이 넘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워셔액을 주입 시 주입관(110)과 보조주입관(120)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워셔액의 수위가 상승되는 것을 손쉽게 확인하면서 주입할 수 있음에 따라 워셔액이 넘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워셔탱크몸체 110 : 주입관
111 : 걸림돌턱 112,121 : 입구
113 : 상단부 114 : 하단부
120 : 보조주입관 122 : 절결부
123 : 상걸림단부 124 : 돌턱수용부
125 : 하걸림단부 126 : 힌지부
127 : 파형부 200 : 캡
210 : 내측결합부 220 : 외측결합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워셔탱크몸체(100)의 주입관(110) 내부에 보조주입관(120)을 외부로 승강 출입되게 설치하여 주입구 높이가 조절되는 자동차용 워셔탱크에 있어서,
    주입관(110)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일정 높이의 걸림돌턱(111)을 형성하고,
    보조주입관(120) 하단부에는 걸림돌턱(111) 통과시 절결부(122)에 의해 구경이 신축 조절되는 상걸림단부(123)와 돌턱수용부(124) 및 하걸림단부(125)를 차례로 형성하여 돌턱수용부(124)가 걸림돌턱(111)에 걸려 수용되면 보조주입관(120)의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며,
    보조주입관(120) 상단에 형성한 힌지부(126)에는 손잡이를 겸하면서 보조주입관(120)의 입구(121)를 개폐하는 캡(200)을 설치하고,
    주입관(110)은 걸림돌턱(111)을 기준으로 상단부(113)의 구경을 하단부(114) 구경보다 크게 확장시켜서
    주입관(110)의 상단부(113)와 보조주입관(120) 사이에 확보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워셔액의 만수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워셔탱크.
KR1020120045204A 2012-04-30 2012-04-30 자동차용 워셔탱크 KR101357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204A KR101357481B1 (ko) 2012-04-30 2012-04-30 자동차용 워셔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204A KR101357481B1 (ko) 2012-04-30 2012-04-30 자동차용 워셔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124A KR20130122124A (ko) 2013-11-07
KR101357481B1 true KR101357481B1 (ko) 2014-02-03

Family

ID=4985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204A KR101357481B1 (ko) 2012-04-30 2012-04-30 자동차용 워셔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57Y1 (ko) * 2014-06-19 2016-06-21 배지은 휘산액의 직접 주입이 가능한 휘산기
KR101712284B1 (ko) 2015-09-23 2017-03-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워셔탱크내 워셔액 잔유량 확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234A (ko) * 1996-10-29 1998-07-25 김영귀 자동차 윈드실드 와셔탱크용 캡의 구조
KR19990027657A (ko)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주입구 높이가 조절되는 와셔액용기
KR20100113439A (ko) * 2009-04-13 2010-10-21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KR101114208B1 (ko) 2009-07-31 2012-02-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라디에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234A (ko) * 1996-10-29 1998-07-25 김영귀 자동차 윈드실드 와셔탱크용 캡의 구조
KR19990027657A (ko)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주입구 높이가 조절되는 와셔액용기
KR20100113439A (ko) * 2009-04-13 2010-10-21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저버 탱크
KR101114208B1 (ko) 2009-07-31 2012-02-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라디에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124A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481B1 (ko) 자동차용 워셔탱크
CN108143339B (zh) 一种可加注清洁剂的马桶刷
US20100252143A1 (en) Filling structure of a painting device
KR20130019963A (ko) 선박의 휠하우스 윈도우 클리닝 시스템
CN205396032U (zh) 车窗用清洗液储存装置
CN102975692B (zh) 汽车玻璃清洗液罐组件及汽车
KR100372113B1 (ko) 연료 주입구 구조
KR20070113637A (ko) 식기 세척기
KR0128647Y1 (ko) 차량의 워셔액 탱크 자동마개
JP2019118671A (ja) 浴槽洗浄装置
KR100581165B1 (ko) 차량용 와셔 리저버
KR20070060248A (ko) 삽입형 깔때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워셔액 주입구
CN218943219U (zh) 一种可自动注水的清洁系统
CN203237561U (zh) 简易点滴清洁器
CN214385708U (zh) 一种病房医疗护理用床垫消毒装置
CN207374326U (zh) 一种雨刮片结构、雨刮器及汽车
CN209410634U (zh) 一种防冻液储存罐
JP6652892B2 (ja) ウォッシャ一体型ワイパ装置
KR19980062984A (ko) 자동차의 세정액탱크 주입구 구조
CN206046619U (zh) 自动清洗样品瓶
KR100419522B1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노즐
KR19980040170U (ko) 자동차의 와셔 세정액 탱크
CN2714444Y (zh) 拉拔式清洁液瓶瓶盖
KR19980042095U (ko) 세정액 탱크 주입구
KR100612180B1 (ko) 차량용 와셔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