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084B1 - 유성식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유성식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084B1
KR101549084B1 KR1020130039178A KR20130039178A KR101549084B1 KR 101549084 B1 KR101549084 B1 KR 101549084B1 KR 1020130039178 A KR1020130039178 A KR 1020130039178A KR 20130039178 A KR20130039178 A KR 20130039178A KR 101549084 B1 KR101549084 B1 KR 10154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ase
stirring
stirring barrel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464A (ko
Inventor
최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씨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씨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씨엔이
Priority to KR102013003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0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1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with receptacles rotated about two different axes, e.g. receptacles having planetary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60Mixing sol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70Pre-treatment of the materials to be mixed
    • B01F23/703Degassing or de-aerating materials; Replacing one gas within the materials by anothe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3Transmissions; Means for modifying the speed or direction of rotation
    • B01F35/332Transmissions; Means for modifying the speed or direction of rotation alternately chang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외관 몸체를 형성하며, 내부에 설치 공간을 가지는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둘레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접시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면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위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교반 대상물이 담겨진 교반통이 안착되는 복수의 교반통 안착부;
상단은 베이스부의 저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내부는 축 방향으로 관통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면서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샤프트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제1샤프트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샤프트;
상기 제1구동부와는 별도의 동작 제어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제2샤프트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 그리고,
상기 제2샤프트와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 간을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제2샤프트의 회전력으로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를 일괄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식 교반장치.

Description

유성식 교반장치{planetary mixer drive}
본 발명은 유성식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면서도 대용량 교반이 가능하며,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함과 더불어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성식 교반장치는 전자소재나 화학소재 등의 분체와 같은 다양한 교반 대상물을 교반 및 탈포하는 장치이다.
상기 유성식 교반장치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23053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410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45649호, 일본공개특허 2008-284474호, 일본공개특허 2011-218300호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제시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면서 둘레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접시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경사진 둘레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면서 혼합물이 수용되는 교반통과, 상기 베이스와 구동모터 간의 동력 전달 및 각 교반통의 회전을 위한 복수의 기어나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두 교반통에 혼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접시형의 베이스를 회전시켜 상기 두 교반통이 구동축의 축 중심으로부터 공전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각 교반통은 상기 구동축의 회전과는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전되도록 함으로써 각 교반통이 공전 및 자전됨에 의해 상기 교반통 내의 혼합물에 대한 교반 및 탈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의 구조는 연구소나 실험실 등에서 연구 및 실험 용도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소용량의 구조로만 개발되었음에 따라 산업용과 같이 대용량의 교반을 위한 구성에는 동작 신뢰성 및 내구성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는 소용량에 적합한 구조로 각종 기어나 벨트 혹은, 구동축에 대한 배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구조를 그대로 대형화할 경우 각종 부위로부터 제공되는 하중이나 모멘트 등이 크게 변동됨에 따라 동작 신뢰도가 저하될 수밖에 없었으며, 내구성 역시 우려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는 각각의 교반통을 회전시키는 구성이 베이스의 회전을 위한 구성과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각 교반통과 연동되게 구축되거나 혹은, 각 교반통에 해당 교반통의 회전을 위한 각각의 모터가 추가로 구비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교반장치의 전체적인 크기 역시 커질 수밖에 없었고, 그 제어 역시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 역시 있으며, 각 교반통 모두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지 못한다는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면서도 대용량 교반이 가능하며,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함과 더불어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성식 교반장치에 따르면 외관 몸체를 형성하며, 내부에 설치 공간을 가지는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둘레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접시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면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위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교반 대상물이 담겨진 교반통이 안착되는 복수의 교반통 안착부; 상단은 베이스부의 저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내부는 축 방향으로 관통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면서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샤프트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제1샤프트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샤프트; 상기 제1구동부와는 별도의 동작 제어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제2샤프트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 그리고, 상기 제2샤프트와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 간을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제2샤프트의 회전력으로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를 일괄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저면에 상기 제1샤프트가 결합 고정됨과 더불어 둘레면은 상단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베이스체와, 상기 제1베이스체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제1베이스체와는 이격설치되며, 둘레면은 상단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베이스체와, 상기 제1베이스체의 내측면과 제2베이스체의 외측면 간을 결합 고정하는 결합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교반통 안착부는 내부에 교반통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을 갖는 통체로 형성되면서 둘레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제1베이스체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용통과, 일단은 상기 수용통의 저면 중앙에 고정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베이스체의 둘레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샤프트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2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며, 둘레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된 단일의 메인 베벨기어와, 상기 베이스부의 각 부위 중 각 교반통 안착부의 인접 부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복수의 서브 베벨기어와, 상기 각 서브 베벨기어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각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의 둘레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주동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해당 교반통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종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기본체는 상기 베이스부가 위치되는 상부공간과 상기 각 샤프트 및 각 구동부가 위치되는 하부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두 공간은 구획플레이트로 구획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기본체 내에는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상기 제1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구획플레이트 간의 결합 부위에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하우징부를 통해 제공되는 진동이나 충격하중이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통해 기기본체로 제공됨을 방지하는 방진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샤프트와 제1구동부 간은 벨트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샤프트의 직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2샤프트와 직결식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는 교반통의 공전을 위한 구동원과 상기 교반통의 자전을 위한 구동원을 달리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교반통의 자전을 위한 구동원은 하나로만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교반 작업의 종류나 교반 대상물의 종류 혹은, 여타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는 각 샤프트가 중첩되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음과 더불어 설치 공간의 축소를 이룰 수 있며, 이로 인해 케이스의 하부 공간 내에 대한 공간 활용을 더욱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각 샤프트 간의 중첩 구조로 인해 각종 수직 하중이 모두 하우징부로 집중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하우징부에 대한 방진 구조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산업용을 위한 대용량 교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기의 크기를 키운다 하더라도 안정적인 하중의 지지가 가능함과 더불어 동작 신뢰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는 베이스부가 두 베이스체를 적층하여 구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각 교반통 안착부는 상기 각 베이스체에 의해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셋 이상의 교반통을 설치할 수 있는 대용량으로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 중 기기본체를 제외한 구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 중 기기본체를 제외한 구조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유성식 교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는 크게 기기본체(100)와, 베이스부(200)와, 복수의 교반통 안착부(300)와, 제1샤프트(410) 및 제1구동부(420)와, 제2샤프트(510) 및 제2구동부(520) 그리고,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각 샤프트(410,510)는 서로 중첩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각 교반통 안착부(300)는 제2샤프트(510)의 회전에 의해 모두 일괄 회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기기본체(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의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기기본체(100)는 내부에 설치 공간을 갖도록 형성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내의 설치 공간을 교반작업의 진행을 위한 상부공간 및 각 구동부(420,520)의 안착을 위한 하부공간으로 구분하여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획플레이트(120)는 단일의 평판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 내의 하부공간 전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하부공간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구획플레이트(120)의 중앙측 부위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중앙측 부위로는 하우징부(130)의 일부가 관통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30)는 후술될 각 샤프트(410,5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각 구성요소들에 의한 하중을 일괄적으로 제공받아 상기 구획플레이트(120)와 함께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하우징부(130)의 상단인 상기 구획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케이스(110)의 상부 공간 내에 위치되는 부위의 둘레면에는 링형 플랜지(13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링형 플랜지(131)의 저면과 상기 구획플레이트(120)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진동이나 충격하중을 감쇠하여 해당 진동이나 하중이 상기 구획플레이트(120)를 통해 기기본체(100)로 온전히 제공됨을 방지하는 방진부(140)가 개재된다. 이때 상기 방진부(140)는 고무나, 우레탄 혹은, 실리콘 등의 방진 재질로 형성된 블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기기본체(100)를 이루는 케이스(110)의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해당 개방 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11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개방된 케이스(110)의 상면을 통해 작업자는 각 교반통(10)을 후술될 각 교반통 안착부(30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부(200)는 기기본체(100) 내의 상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전자소재나 화학소재 등의 분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교반 대상물을 교반 및 탈포하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베이스부(200)가 제1베이스체(210)와 제2베이스체(220) 및 결합플랜지(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러한 이중 베이스체(210,220)의 구조에 의해 후술될 각 교반통 안착부(300)가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각 교반통 안착부(30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반 용량의 대용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체(210)는 후술될 동력전달부의 장착 및 각 교반통 안착부(300)의 장착을 위한 부위이고, 상기 제2베이스체(220)는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기기본체(100)에 구비된 덮개(111)를 개방할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이다.
상기와 같은 제1베이스체(210) 및 제2베이스체(220)는 둘레면이 상단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진 접시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베이스체(220)는 상기 제1베이스체(210)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그의 둘레면 및 저면이 상기 제1베이스체(210)의 둘레면 및 저면과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서로 간은 상기 결합플랜지(230)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결합플랜지(230)는 일단이 상기 제2베이스체(220)의 둘레면 외벽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제1베이스체(210)의 둘레면 내벽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베이스체(220)와 제1베이스체(210) 간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이루면서 서로 일체화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체(210)의 중앙측 부위는 개방되게 형성되며, 이 개방된 부위와 상기 제2베이스체(220)의 저면 사이 공간에 후술될 동력전달부의 메인 베벨기어(6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300)는 그 내부로 교반통(10)이 각각 수용되는 부위로써, 수용통(310)과 회전샤프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통(310)은 상기 베이스부(200)를 이루는 제2베이스체(220)의 둘레면을 따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교반통(10)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을 갖는 통체로 형성되면서 둘레면이 상기 베이스부(200)의 제1베이스체(21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320)는 일단이 상기 수용통(310)의 저면 중앙에 고정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베이스체(220)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반통 안착부(300)가 네 개로 제공됨과 더불어 그 각각은 상기 제2베이스체(220)의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교반 용량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을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300)는 상기 제2베이스체(220)의 둘레면이 이루는 경사 구조로 인해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샤프트(410)는 제1구동부(4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부(20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써, 내부가 축 방향으로 관통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샤프트(410)는 기기본체(100)의 구획플레이트(120)에 상단이 고정된 하우징부(130) 내를 수직하게 관통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410)의 상단은 베이스부(200)를 이루는 제1베이스체(210)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30)의 내주면과 상기 제1샤프트(410)의 외주면 사이에는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베어링(411)이 개재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30)가 상기 제1샤프트(4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구동부(420)는 상기 하우징부(130)의 측부에 위치되는 모터로 구성되며, 그의 모터축(421)은 벨트(422)를 통해 상기 제1샤프트(410)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샤프트(510)는 제2구동부(5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각 교반통 안착부(30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써, 상기 제1샤프트(410)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샤프트(510)의 상단은 상기 제1샤프트(410)의 상부로 노출되면서 베이스부(200)를 이루는 제1베이스체(210)의 개방된 중앙측 부위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샤프트(510)의 내측 부위는 복수의 베어링(511)에 의해 상기 제1샤프트(41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구동부(520)는 상기 하우징부(130)의 하단에 결합 고정되는 모터로 구성되고, 그의 모터축(521)은 상기 제2샤프트(510)의 하단과 직결된다.
특히, 상기 제2구동부(520)는 상기 제1구동부(420)와는 별도의 동작 제어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제2샤프트(51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최소한의 구동원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으로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제1샤프트(410)와 제2샤프트(510)는 중첩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 설치 공간의 최소화(직경 방향측 크기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2샤프트(510)와 각 교반통 안착부(300) 간을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제2샤프트(510)의 회전력으로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300)를 일괄적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는 메인 베벨기어(610)와, 회전축(620)과, 복수의 서브 베벨기어(630)와, 주동기어(640) 및 종동기어(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베벨기어(610)는 저부로 갈수록 외향 경사진 형상의 둘레면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둘레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의 베벨기어로써, 상기 제2샤프트(510)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2샤프트(51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620)은 상기 베이스부(200)의 각 부위 중 각 교반통 안착부(300)의 인접 부위인 각 교반통 안착부(300)와 상기 메인 베벨기어(610) 사이의 중앙측 부위에 각각 위치되며,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200)를 이루는 제1베이스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베이스부(200)를 이루는 제2베이스체(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 서브 베벨기어(630)는 상기 각 회전축(620)에 각각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단일의 메인 베벨기어(610)에 일괄적으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주동기어(640)는 상기 각 회전축(620)의 각 부위 중 서브 베벨기어(630)가 설치된 부위와는 이격된 위치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각 회전축(620)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종동기어(650)는 각 교반통 안착부(300)의 둘레면에 각각 고정되면서 해당 교반통 안착부(300)에 인접되게 위치된 회전축(620)의 주동기어(640)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해당 교반통 안착부(30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는 전술된 구조로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교반통 안착부(300)에 설치되는 종동기어(640)를 상기 메인 베벨기어(610)에 직접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술된 각 서브 베벨기어(630)와 회전축(620)과 주동기어(640)를 생략하는 구성으로도 가능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준비된 각 교반통(10) 내에 교반 대상물을 각각 투입한 상태에서 기기본체(100)의 덮개(111)를 개방하여 상기 기기본체(100)를 이루는 케이스(110)의 상부공간 내에 위치된 각각의 교반통 안착부(300) 내에 상기 각 교반통(10)을 수용한 후 덮개(111)를 폐쇄한다.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1구동부(420) 및 제2구동부(520)의 동작 제어가 수행되면 상기 제1구동부(420) 및 제2구동부(520)가 선택적인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각 교반통(10) 내의 교반 대상물에 대한 교반 및 탈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즉, 제1구동부(420)의 구동력은 상기 제1구동부(420)의 모터축(421)과 벨트(422)로써 연결된 제1샤프트(410)로 제공되어 베이스부(200)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2구동부(520)의 구동력은 상기 제2구동부(520)의 모터축(521)과 직결된 제2샤프트(510)로 제공되어 각 교반통 안착부(300)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샤프트(410)가 회전되면 상기 제1샤프트(410)의 상단과 결합된 제1베이스체(210) 역시 상기 제1샤프트(410)와 함께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베이스체(210)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 제2베이스체(220) 역시 회전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베이스체(220)에 관통 설치된 각 교반통 안착부(300)는 상기 제1샤프트(410)의 축 중심을 공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구동부(520)의 구동에 의해 제2샤프트(510)가 회전되면 상기 제2샤프트(510)의 상단에 고정된 메인 베벨기어(610)도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베벨기어(610)에 맞물린 각 서브 베벨기어(630)들이 각각 회전되면서 그에 고정된 회전축(620)을 회전시키며, 상기 각 회전축(620)의 회전에 의해 해당 회전축(620)에 고정된 주동기어(640)가 회전됨과 더불어 이 주동기어(640)에 맞물린 종동기어(650) 역시 회전되면서 각각의 교반통 안착부(300)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300)는 그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하게 된다.
결국, 전술된 각 과정을 통해 각 교반통 안착부(300) 내에 안착된 각 교반통(10)은 공전 및 자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해당 교반통(10) 내의 교반 대상물은 원활한 교반 및 탈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300)의 공전 및 자전이 진행되는 도중 베이스부(200) 및 각 샤프트(410,510)를 통해 제공되는 수직하중 및 충격하중은 하우징부(130)에 고정된 링형 플랜지(131)와 기기본체(100)의 구획플레이트(120) 간의 결합 부위에 개재된 방진부(140)로 인해 감쇄되고, 이로 인해 기기본체(100)의 진동이나 떨림 및 이에 따른 소음 발생은 최소화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는 각 교반통(10)들이 공전 및 자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작업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작업의 종류나 교반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제1구동부(420)만 구동시켜 각 교반통(10)들이 공전만 수행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제2구동부(520)만 구동시켜 각 교반통(10)들이 자전만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구동부(420) 및 제2구동부(520)의 정역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는 필요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성식 교반장치는 각 샤프트(410,510)가 중첩되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음과 더불어 설치 공간의 축소를 이룰 수 있며, 이로 인해 케이스(110)의 하부 공간 내에 대한 공간 활용을 더욱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 공간 내부에 다양한 제어장치들의 추가적인 제공이나 수분의 제공 혹은, 수집을 위한 구조의 추가적 제공 등이 가능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각 샤프트(410,510) 간의 중첩 구조로 인해 각종 수직 하중이 모두 하우징부(130)로 집중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하우징부(130)에 대한 방진 구조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산업용을 위한 대용량 교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기의 크기를 키운다 하더라도 안정적인 하중의 지지가 가능함과 더불어 동작 신뢰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100. 기기본체 110. 케이스
111. 덮개 120. 구획플레이트
130. 하우징부 131. 링형 플랜지
140. 방진부 200. 베이스부
210. 제1베이스체 220. 제2베이스체
230. 결합 플랜지 300. 교반통 안착부
310. 수용통 320. 회전샤프트
410. 제1샤프트 411,511. 베어링
420. 제1구동부 421,521. 모터축
422. 벨트 510. 제2샤프트
520. 제2구동부 610. 메인 베벨기어
620. 회전축 630. 서브 베벨기어
640. 주동기어 650. 종동기어

Claims (7)

  1. 외관 몸체를 형성하며, 내부에 설치 공간을 가지는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면이 상단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진 접시형으로 형성된 제1베이스체와, 상기 제1베이스체의 내측에 위치됨과 더불어 제1베이스체와는 이격 설치되면서 둘레면은 상단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진 접시형으로 형성된 제2베이스체와, 상기 제1베이스체의 내측면과 제2베이스체의 외측면 간을 결합 고정하는 결합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베이스부;
    내부에 교반통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을 갖는 통체로 형성되면서 둘레면이 상기 제2베이스체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용통과, 일단은 상기 수용통의 저면 중앙에 고정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제1베이스체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교반통 안착부;
    상단은 베이스부의 저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내부는 축 방향으로 관통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면서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샤프트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제1샤프트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샤프트;
    상기 제1구동부와는 별도의 동작 제어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제2샤프트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 그리고,
    상기 제2샤프트와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의 회전샤프트 간을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제2샤프트의 회전력으로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를 일괄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식 교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샤프트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2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며, 둘레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된 단일의 메인 베벨기어와,
    상기 베이스부의 각 부위 중 각 교반통 안착부의 인접 부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복수의 서브 베벨기어와,
    상기 각 서브 베벨기어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를 이루는 제1베이스체 및 제2베이스체에 양 끝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각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각 교반통 안착부의 둘레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주동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해당 교반통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종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식 교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는 상기 베이스부가 위치되는 상부공간과 상기 각 샤프트 및 각 구동부가 위치되는 하부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두 공간은 구획플레이트로 구획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기본체 내에는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상기 제1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식 교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구획플레이트 간의 결합 부위에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하우징부를 통해 제공되는 진동이나 충격하중이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통해 기기본체로 제공됨을 방지하는 방진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식 교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와 제1구동부 간은 벨트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샤프트의 직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2샤프트와 직결식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식 교반장치.
KR1020130039178A 2013-04-10 2013-04-10 유성식 교반장치 KR10154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178A KR101549084B1 (ko) 2013-04-10 2013-04-10 유성식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178A KR101549084B1 (ko) 2013-04-10 2013-04-10 유성식 교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464A KR20140122464A (ko) 2014-10-20
KR101549084B1 true KR101549084B1 (ko) 2015-09-09

Family

ID=5199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178A KR101549084B1 (ko) 2013-04-10 2013-04-10 유성식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0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646B1 (ko) * 2016-02-26 2017-06-01 김현종 이중 로터로 구동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원심 분리기
CN110142387A (zh) * 2019-06-20 2019-08-20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制备半固态坯料机械振动与旋转耦合搅拌装置
IT202100026975A1 (it) * 2021-10-20 2022-01-20 Hero Europe S R L Dispositivo di miscelazione per prodotti fluidi contenuti in contenitori
CN116840434B (zh) * 2023-07-07 2023-12-15 广东贝源检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水体中全氟化合物的筛育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313B1 (ko) * 2003-10-06 2005-08-02 이장희 유성식 교반 및 탈포장치
JP2007301525A (ja) 2006-05-15 2007-11-22 Watanabe Kk 遊星運動式撹拌脱泡装置
US20080192564A1 (en) 2005-04-28 2008-08-14 Jean-Luc Jouvin Method For Mixing Dental Impression Pastes, Mixer, And Bowl For Mixing
JP2011050814A (ja) * 2009-08-31 2011-03-17 Thinky Corp 攪拌脱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313B1 (ko) * 2003-10-06 2005-08-02 이장희 유성식 교반 및 탈포장치
US20080192564A1 (en) 2005-04-28 2008-08-14 Jean-Luc Jouvin Method For Mixing Dental Impression Pastes, Mixer, And Bowl For Mixing
JP2007301525A (ja) 2006-05-15 2007-11-22 Watanabe Kk 遊星運動式撹拌脱泡装置
JP2011050814A (ja) * 2009-08-31 2011-03-17 Thinky Corp 攪拌脱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464A (ko) 201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084B1 (ko) 유성식 교반장치
EP2722088B1 (en) Centrifugal processing device
JP4275923B2 (ja) 駆動部防震構造を有する洗濯機
EP2843264B1 (en) Construction machine drive device
JP4130956B2 (ja) 遊星運動式真空撹拌脱泡装置
EP1525914A2 (en) Gyroscopic mixer for mixing the content of a closed container
KR101682456B1 (ko) 유성식 교반 및 탈포장치
KR20170138523A (ko) 유체 제품들을 위한 혼합기
JP2021516607A (ja) 衛生混合器
JP4704201B2 (ja) 加工装置
CN107427796B (zh) 公转自转装置
KR101603081B1 (ko) 대용량 유성식 교반장치
JP2008119603A (ja) 撹拌装置
CN106939486B (zh) 顶部装载型洗衣机
CN205797036U (zh) 搅拌传动装置及具有该搅拌传动装置的乳化罐
JP2006289253A (ja) 遊星運動式真空撹拌脱泡装置
KR20050123053A (ko) 유성식 교반 및 탈포장치
JPH07194957A (ja) 自公転方式マグネチックスターラー
CN209985312U (zh) 一种槽型混合装置
JP2007245000A (ja) 撹拌装置
KR101003353B1 (ko) 드럼세탁기
KR100486942B1 (ko) 교반 및 탈포 장치
JP2013154273A (ja) 遠心処理装置
JP6232151B1 (ja) 攪拌・脱泡装置及び攪拌・脱泡方法
CN106253576A (zh) 一种减速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