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940B1 - 비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940B1
KR101548940B1 KR1020140114506A KR20140114506A KR101548940B1 KR 101548940 B1 KR101548940 B1 KR 101548940B1 KR 1020140114506 A KR1020140114506 A KR 1020140114506A KR 20140114506 A KR20140114506 A KR 20140114506A KR 101548940 B1 KR101548940 B1 KR 101548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bidet
control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기
권준경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젠 filed Critical (주) 아이젠
Priority to KR102014011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6Cisterns for periodical dischar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탱크를 내장하고 있는 비데에서 물탱크 내에서 세균 등의 미생물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서 제어부가 물 빼기 타이머를 동작시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지 않은 경과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물 빼기 타이머의 카운트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물 빼기 설정시간동안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모두 출수시키고 상기 물 빼기 타이머를 클리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BIDET}
본 발명은 물탱크를 내장하고 있는 비데에 있어서, 물탱크 내에서 세균 및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비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비데를 사용하는 가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비데도 단순한 세정기능만 가진 것 이상으로 여러 가지의 부가적인 기능을 갖추고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부가가능 중의 하나로서 세균 및 곰팡이 등과 같은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살균작용이 요구되고 있다.
왜냐하면, 비데는 용변 후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물로 씻어냄으로써, 위생상 안전한 효과가 있지만, 완전히 세정이 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인체에 해로운 균이 국부에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여성의 경우에는 신체의 구조상 생식기 부분이 세균에 감염되기 쉬우므로 세정과 동시에 살균작용도 뛰어난 비데가 요구된다.
다시 말하면, 세정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제거함과 동시에, 세정 중에 인체에 남아 있는 대장균도 함께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비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비데에는 수돗물을 유입하여 물탱크에 저장하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쾌변, 세정 및 비데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수돗물에는 염소 등과 같은 소독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세균 및 곰팡이 등과 같은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된다.
그러나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수돗물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염소 등과 같은 소독 성분이 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는 미생물이 번식하게 되어 비데의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해외 출장을 가거나 또는 장기간의 여행 등으로 비데를 2∼3일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수돗물의 소독 성분이 모두 사라지게 되고, 미생물이 번식되기 시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많은 비데에서는 물탱크에서 미생물이 번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74759호에서는 전해수를 생성하여 살균 및 탈취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71630호에서는 오존을 발생하여 살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별도로 전해수 생성장치 및 오존 발생장치 등을 구비해야 되는 것으로서 제품의 생산원가를 상승시키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많은 경제적인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74759호(2005. 01. 24. 등록)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71630호(2002. 03. 29.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물탱크에서의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비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미생물이 발생할 수 있는 시간 이상 경과될 경우에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모두 배출시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비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로부터 물이 정상으로 유입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물탱크의 파손 등으로 물이 저장되지 않는 등의 에러가 발생할 경우에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정지시키고, 경보를 발생하는 비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제어부가 물 빼기 타이머를 동작시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지 않은 경과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물 빼기 타이머의 카운트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물 빼기 설정시간동안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모두 출수시키고 상기 물 빼기 타이머를 클리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물 빼기 타이머를 동작시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지 않은 경과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는, 쾌변 동작, 세정 동작 또는 비데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였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 빼기 타이머의 카운트 시간을 클리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수위센서의 신호로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판단하고 만수위가 아닐 경우에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물탱크에 물을 유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킨 후 미리 설정된 입수 설정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수 설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물탱크의 만수위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정지시키고 에러의 발생을 경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빼기 타이머의 카운트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물 빼기 설정시간동안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모두 출수시키고 상기 물 빼기 타이머를 클리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사노즐을 비데의 몸체에서 인출하지 않고, 셀렉트 모터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상기 물탱크에서 출수되는 물이 상기 분사노즐의 세정 노즐, 비데 노즐 또는 쾌변 노즐을 통해 출수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데의 제어방법은 물탱크에 물을 저장한 후 경과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미생물이 발생할 시간이 될 경우에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모두 출수하고, 새롭게 입수되는 물을 물탱크에 저장한다.
그러므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물탱크에서 미생물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자가 장기간 비데를 사용하지 않더라고 최적의 상태로 비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물이 정상으로 유입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물탱크의 파손 등으로 물이 저장되지 않는 등의 에러가 발생할 경우에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정지시킴으로써 더 이상의 물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비데의 배관도 및 회로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비데의 배관도 및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100), 입수관(102), 물탱크(104), 수위센서(106), 출수관(108), 분사노즐(110), 디스크(112), 셀렉트 모터(114) 및 제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외부로부터 물을 입수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되어 수돗물을 입수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입수관(102)는,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통해 입수되는 물을 상기 물탱크(104)의 하부로 입수시킨다.
상기 물탱크(104)는 상기 입수관(102)을 통해 하부로 입수되는 물을 저장하고, 오버 플로우되는 물을 토출한다.
상기 수위센서(106)는 상기 물탱크(104)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104)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수위센서(106)는 상기 물탱크(104)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인 만수위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출수관(108)은 상기 물탱크(104)에서 오버 플로우되어 토출되는 물을 출수한다.
상기 110은 분사노즐이다. 상기 분사노즐(110)은 상기 물탱크(104)에서 오버 플로우되어 상기 출수관(108)으로 출수되는 물을 분사하여 세정, 비데 또는 쾌변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분사노즐(110)은 세정 노즐, 비데 노즐 및 쾌변 노즐을 비롯하여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출수관(108)으로 출수되는 물을 세정 노즐, 비데 노즐 및 쾌변 노즐을 통해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세정, 비데 및 쾌변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디스크(112)는 상기 출수관(108) 및 상기 분사노즐(110)의 사이에 구비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출수관(108)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세정 노즐, 비데 노즐 및 쾌변 노즐로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세정, 비데 및 쾌변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셀렉트 모터(114)는 상기 디스크(112)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출수관(108)으로 출수되는 물을 상기 분사노즐(110)에 구비된 세정 노즐, 비데 노즐 및 쾌변 노즐로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116)는 비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수위센서(106)의 검출신호로 상기 물탱크(104)의 만 수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물탱크(104)가 만수위가 아닐 경우에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구동시켜 외부의 물이 상기 물탱크(104)로 유입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미리 설정된 입수 설정시간이 구동시켜도 상기 물탱크(104)가 만수위가 아닐 경우에 에러의 발생을 경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물탱크(104)에 저장된 물의 배출동작을 수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물의 배출동작을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에 강제로 상기 물탱크(104)에 저장된 물의 배출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물탱크(104)에서 미생물의 번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제어부(116)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16)는 수위센서(106)의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물탱크(104) 내의 수위가 만수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0).
판단 결과 물탱크(104)에 저장된 물이 만수위가 아닐 경우에 상기 제어부(116)는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가 구동되면, 외부의 물이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입수관(102)을 통해 물탱크(104) 내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6)는 미리 설정된 입수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4).
여기서, 상기 입수 설정시간은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통해 입수되는 물에 의해 상기 물탱크(104)에 저장된 물이 만수위로 되는 충분한 시간으로 미리 설정된다.
상기 판단 결과 입수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단계(S200)로 복귀하여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계속 구동시키면서 외부의 물을 유입 및 물탱크(104) 내에 저장하고, 입수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입수 설정시간이 경과되어도 물탱크(104)의 만수위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 외부로부터 물이 정상으로 유입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물탱크(104)의 파손 등으로 물이 저장되지 않는 등의 에러가 발생한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정지시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S206), 경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제어하여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경보하며(S208), 비데의 동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입수 설정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만수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16)는 물 배출동작을 수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0). 즉, 사용자가 키 입력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의 쾌변 키, 세정 키 또는 비데 키를 조작함에 따라 물탱크(104)의 물을 분사노즐(110)로 출수하여 쾌변, 세정 또는 비데의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물탱크(104)의 물을 배출하는 동작을 수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물 배출동작을 수행하였을 경우에 물 빼기 타이머의 카운트 값을 클리어하고(S212), 상기 단계(S200)부터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210)에서 물 빼기 동작을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16)는 물 빼기 타이머를 카운트하여 물 배출동작을 수행한 마지막 시간부터의 경과시간을 카운트하고(S214), 카운트한 물 빼기 타이머의 값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6).
상기 판단 결과 카운트한 물 빼기 타이머의 값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이 아닐 경우에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단계(S200)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카운트한 물 빼기 타이머의 값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116)는 셀렉트 모터(114)를 제어하여 디스크(112)를, 분사노즐(110)이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시킨다(S218). 즉,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분사노즐(110)의 세정 노즐, 비데 노즐 및 쾌변 노즐을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디스크(112)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16)는 미리 설정된 물 빼기 설정시간동안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구동시킨다(S220).
여기서, 상기 물 빼기 설정시간은 상기 물탱크(104)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통해 입수되는 물에 의해 모두 오버플로우되어 출수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구동에 따라 외부의 물이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통해 입수되어 입수관(112)을 통해 물탱크(104)로 유입되고, 상기 물탱크(104)에 저장된 물은 오버플로우되어 출수관(108)을 통해 출수되며, 출수관(108)으로 출수되는 물은 디스크(112)를 통해 분사노즐(110)로 입수되어 변기로 출수된다.
이 때, 상기 분사노즐(110)은 비데의 몸체 내부에서 인출하지 않아 상기 분사노즐(110)을 통해 출수되는 물은 비산되지 않고, 비데의 몸체 내부에서 변기의 내부로 모두 출수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 102 : 입수관
104 : 물탱크 106 : 수위센서
108 : 출수관 110 : 분사노즐
112 : 디스크 114 : 셀렉트 모터
116 : 제어부

Claims (5)

  1. 제어부가 수위센서의 신호로 물탱크의 수위를 판단하고 만수위가 아닐 경우에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물탱크에 물을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킨 후 미리 설정된 입수 설정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수 설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물탱크의 만수위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정지시키고 에러의 발생을 경보하는 단계;
    상기 물탱크의 만수위가 검출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물 빼기 타이머를 동작시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지 않은 경과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물 빼기 타이머의 카운트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물 빼기 설정시간동안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모두 출수시키고 상기 물 빼기 타이머를 클리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만수위가 검출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물 빼기 타이머를 동작시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지 않은 경과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는,
    쾌변 동작, 세정 동작 또는 비데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였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 빼기 타이머의 카운트 시간을 클리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데의 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빼기 타이머의 카운트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물 빼기 설정시간동안 입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모두 출수시키고 상기 물 빼기 타이머를 클리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분사노즐을 비데의 몸체에서 인출하지 않고, 셀렉트 모터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상기 물탱크에서 출수되는 물이 분사노즐의 세정 노즐, 비데 노즐 또는 쾌변 노즐을 통해 출수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데의 제어방법.
KR1020140114506A 2014-08-29 2014-08-29 비데의 제어방법 KR101548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06A KR101548940B1 (ko) 2014-08-29 2014-08-29 비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06A KR101548940B1 (ko) 2014-08-29 2014-08-29 비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940B1 true KR101548940B1 (ko) 2015-09-11

Family

ID=5424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506A KR101548940B1 (ko) 2014-08-29 2014-08-29 비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2377A (zh) * 2018-02-06 2018-07-06 陈品 学校沟厕的节水减排降噪储能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2377A (zh) * 2018-02-06 2018-07-06 陈品 学校沟厕的节水减排降噪储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5341B (zh) Urinal
KR101548940B1 (ko) 비데의 제어방법
KR102133461B1 (ko) 급수배관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살균처리 할 수 있는 오염물질 세척방법
JPH119481A (ja) 浴室清掃装置
JP2009172079A (ja) 浴槽洗浄装置
KR101186156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자가 세척방법
WO2018231131A1 (en) A method for disinfection and cleaning of at least one part of a device intended for recycling of water
KR101972928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비데의 제어방법
KR102128626B1 (ko) 스팀공급기를 구비한 월풀욕조
KR101772190B1 (ko) 비데의 살균 시스템
JP3121951U (ja) ナノバブル式水殺菌装置
KR20160077591A (ko)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JP3823171B2 (ja) 内視鏡洗滌装置
JP2002322698A (ja) 洗浄水を用いる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KR20110019912A (ko) 생활배수의 처리방법 및 생활배수 처리장치
JP5232711B2 (ja) 電解水を用いた手指洗浄殺菌装置
CN105060591A (zh) 纯化水的存储及分配系统
JP2015119883A (ja) 空気清浄機
JP2005264638A (ja) 自動手洗消毒装置
JP2018080465A (ja) 洗面台
KR20130016551A (ko) 수처리기의 얼음 탱크의 살균 방법
CN111166157B (zh) 一种蒸箱及其清洁方法
JP6980459B2 (ja) 洗浄機
KR102187887B1 (ko) 음식물 가열 포트
JP6991101B2 (ja) オゾン水消毒機の消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