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827B1 -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827B1
KR101548827B1 KR1020130161070A KR20130161070A KR101548827B1 KR 101548827 B1 KR101548827 B1 KR 101548827B1 KR 1020130161070 A KR1020130161070 A KR 1020130161070A KR 20130161070 A KR20130161070 A KR 20130161070A KR 101548827 B1 KR101548827 B1 KR 101548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dpe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pva
polyvin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408A (ko
Inventor
서종철
김도완
임미진
정제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8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35Five-membered rings
    • C08K5/1539Cyclic an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비닐 알코올(PVA)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이를 도포한 필름 및 그러한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비닐 알코올(PVA)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한 필름은 우수한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분 및 가스의 유입을 차단해야 할 필요성이 높은 전기/전자제품의 패키징 및 식품, 의약품, 의료 기계 등의 패키징 분야에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Composition with water and gas barrier properties comprising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polyvinyl alcohol}
본 발명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이를 도포한 필름 및 그러한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어떤 물질 또는 에너지가 자신이 포함된 계에서 다른 계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것을 배리어(Barrier)라 하며, 이러한 성질을 갖는 물질을 배리어(Barrier) 물질이라고 한다. 수분, 습도, 산소, 탄산가스, 질소, 자외선, 빛, 미생물, 열 등이 대상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이라 할 수 있는데, 의약품, 의료기계, 전자제품, 식품 패키징 분야 등에서는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도 수분과 산소 등에 대해 하이 배리어(high barrier)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많은 연구와 상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방수, 절연 및 자외선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백 시트(Back Sheet)의 경우, 수분 투과에 의하여 태양전지의 부식을 일으켜 모듈의 출력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높은 온도 및 습도 환경에서도 잘 견딜 수 있고, 우수한 내구성과 내후성을 가지는 하이 배리어성의 소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차세대 기술로서 각광받고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분야에 있어서는, 시계처럼 손목에 차는 휴대전화, 두루마리 형태의 전자북, 옷처럼 입고 다니는 PC 등 다양한 형태로 접거나 구부릴 수 있는 기술의 구현을 위해 기존의 유리 기판 대신 투명하고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핵심소자는 수분 침투로 인한 급격한 수명 감소로 인하여 실용화에 제약이 많아 하이 배리어성 필름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패키징(포장) 산업 분야의 경우, 육류, 치즈 등의 신선제품과 김 가루 및 과자류와 같은 건조식품에 있어 수분 및 가스(특히, 산소)의 패키징 내 제품으로의 이동이 유통 기한(shelf life)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하이 배리어성 필름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의약품 및 의료기계 패키징에 있어서는, 유통 과정상 수분 및 기체 등과 같은 외부의 환경으로부터의 오염이 환자에게 악영향을 끼치므로 하이 배리어성 포장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하이 배리어성 소재인 에틸렌비닐알코올(Ethylene Vinyl Alcohol, EVOH) 고분자를 복합화한 필름(다층 필름)의 경우,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고분자가 우수한 가스 차단성, 향 차단성, 투명도 및 광택도, 내약품성 및 인쇄적성을 보유하고 있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매력적인 소재이다. 또한 표면 처리 없이도 표면 장력이 높아 접착성이 우수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고분자는 각 성분의 함량 비율에 따라 여러 가지 특성을 나타낸다. 에틸렌의 함량이 증가하면 용융온도, 연화점이 낮아져 필름 생산시 가공성이 향상되며 또한 습도에 강해진다. 반면 비닐알코올의 함량이 많아지면 가스(산소) 차단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에틸렌비닐알코올(EVOH)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에 그 제조 원가가 비싸고, 고온 및 고습 하에서는 수분 및 가스에 대한 차단성이 급격히 떨어져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못하고 다층 구조의 필름으로 도포되어야 하는 바, 다층 구조에 따른 재활용의 어려움(환경 오염의 문제) 및 공정상의 복잡성 등이 단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단일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어 다층 필름 구조로 인한 환경 오염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단순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면서도, 수분 및 가스에 대한 우수한 차단성을 갖는 경제적인 필름 소재의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 차단성이 우수한 경제성이 있는 고분자와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경제성이 있는 고분자를 혼합하여 수분과 가스 차단 특성이 모두 우수한 하이배리어성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한 단일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비닐 알코올(PVA)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소제는 물, 글리세린 및 말레산 무수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가소제: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합산 중량의 중량비는 0.02:1 내지 0.2: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함량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80 내지 9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함량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점토(Clay) 및 박리된 그라파이트(Exfoiled Graphite, EFG)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도포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a)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건조하는 단계; b) 교반기(Kneader)에 가소제와 상기 건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PVA)을 혼합하여 용융시켜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마스터 배치에 추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및 d) 건조된 조성물을 압출기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 a)단계의 건조는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수행된다.
상기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 b)단계의 용융은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b) 단계의 마스터 배치에는 점토(Clay) 및 박리된 그라파이트(Exfoiled Graphite, EFG)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 c)단계의 건조는 9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0 내지 14시간 동안 수행되며, c)단계의 조성물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함량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80 내지 9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함량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소제의 경우, 가소제: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합산 중량의 중량비가 0.02:1 내지 0.2:1인 것이 적절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의 필름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비닐 알코올(PVA)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한 필름은 경제적이면서도 우수한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수분 및 가스의 유입을 차단해야 할 필요성이 높은 전기/전자제품의 패키징 및 식품, 의약품, 의료 기계 등의 패키징 분야에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PVA 및 LDPE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한 필름이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게 되는 개략적인 메카니즘에 관한 설명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니더기(Kneader)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압출기(Extruder)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필름을 나타낸다.
도 5는 PVA와 LDPE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 필름의 산소 투과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PVA와 LDPE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 필름의 수분 투과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MMT(montmorillonite) 점토를 함유하는 LDPE/PVA 필름을 나타낸다.
현재 태양전지, 전기전자 디스플레이, 패키징(포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분 및 가스(특히 산소)의 패키징 내 제품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다층 구조 형태의 필름의 재활용상의 어려움 역시 당면 과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복잡한 공정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수분과 산소에 대한 차단성이 동시에 우수한 소재 및 이에 대한 공정 기술, 그리고 친환경성과 경제성 또한 갖춘 유니 소재(uni-material)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패키징 소재로서 가공이 용이하며, 경제적이며, 수분 차단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기체 차단성이 요구되는 패키징에서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다층 구조 형태의 필름으로 사용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폴리비닐 알코올(PVA)은 우수한 산소 차단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지만 가장 큰 취약점인 내수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한다. 특히, 폴리비닐 알코올(PVA)은 외부 습도에 따라 팽윤 또는 용해되는 특성이 있어 산소 및 수분차단성, 기계적 강도 등의 물성이 크게 떨어진다.
본 발명자들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이러한 물성적 특징에 착안하여, 혼합(blend) 기법을 이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와 폴리비닐 알코올(PVA)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개발하고 압출 공정을 통해 압출함으로써 수분 및 가스 차단 측면에서 하이배리어성을 갖는 복합화된 단일 PVA/LDPE 유니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비닐 알코올(PVA)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가소제는 물, 글리세린 및 말레산 무수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함량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80 내지 98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함량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가소제: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합산 중량의 중량비는 0.02:1 내지 0.2:1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점토(Clay) 및 박리된 그라파이트(Exfoiled Graphite, EFG)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도포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a)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건조하는 단계; b) 교반기(Kneader)에 가소제와 상기 건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PVA)을 혼합하여 용융시켜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마스터 배치에 추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및 d) 건조된 조성물을 압출기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a)단계의 건조는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b)단계의 용융은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b)단계의 마스터 배치에는 점토(Clay) 및 박리된 그라파이트(Exfoiled Graphite, EFG)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c)단계의 건조는 9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0 내지 1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c)단계의 조성물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함량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80 내지 98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c)단계의 조성물은,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함량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c)단계의 조성물은, 가소제: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합산 중량의 중량비가 0.02:1 내지 0.2:1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의 필름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려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실시예 1. LDPE/PVA 마스터 배치의 제조
LDPE/PVA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난 함량비를 이용하여 니더기(Kneader, 도 2)에서 175℃, 30분 조건으로 용융 혼합시켜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마스터 배치를 압출기에 넣기 위하여, 분쇄기(IKA)를 이용해 분쇄하였다.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기 전, 추가적인 수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LDPE와 PVA 수지를 건조기에서 80℃, 24시간 건조시켰다.
LDPE/PVA 마스터 배치 함량비
샘플코드 LDPE / PVA 마스터배치 Total (g)
LDPE (g) PVA (g) 물 또는 글리세린 (g)
LDPE / PVA 2% 44 6 6 56
LDPE / PVA 5% 35 15 15 65
LDPE / PVA 10% 70 30 30 100
LDPE / PVA 20% 140 60 60 260
실시예 2. LDPE / PVA 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필름의 압출공정을 수행하기 전, 수분 제거를 위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LDPE/PVA 마스터 배치와 추가의 LDPE를 105 ℃의 건조기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으며, 그 함량비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압출 공정을 통해 제조된 필름의 물성 비교를 위하여, 순수 LDPE 역시 동일 조건 하에서 건조하였다.
LDPE/PVA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함량비
샘플코드 LDPE (g) LDPE / PVA 마스터배치 Total (g)
LDPE (g) PVA (g) 물 또는 글리세린 (g)
Pure LDPE 300 0 0 0 300
LDPE / PVA 2% 250 44 6 6 306
LDPE / PVA 5% 250 35 15 15 315
LDPE / PVA 10% 200 70 30 30 330
LDPE / PVA 20% 100 140 60 60 360
실시예 3. 압출 공정
복합화된 단일 필름 제조를 위하여 ㈜바우테크사의 BA-19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 screw extruder, 도 3)를 이용하여 LDPE/PVA 복합화된 단일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트윈 스크류 압출기 배럴 (barrel)의 압력은 4.9 kgf/㎠이며, 압출기 구성 유닛별 온도는 헤더(Header)의 경우, 175 ℃, 구역(Zone) 1~6(계량 및 압축 구역, Metering and Compression Zone)의 경우, 175 ℃, 구역(Zone) 7 (배출 구역, Feed Zone)의 경우, 120 ℃였다. LDPE/PVA 복합화된 필름은 70±2 ㎛의 두께로 제조하였으며, 필름의 두께는 미츠요(Mituyo) 사의 디지매틱 마이크로미터(Digimatic Micrometer)로 확인하였다.
도 4는 상기 압출 공정을 통해 제조된 LDPE/PVA 복합화된 단일 필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기체 중 특히, 산소의 차단 특성을 확인한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PVA 함량이 감소하고 LDPE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소 투과도(Oxygen Transmission Rate, OTR)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분의 차단 특성을 확인한 결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PV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투과도(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가 증가하였고, 즉 수분차단성이 약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친수성(Hydrophilic)인 PV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하지만, 수분 투과도의 증가 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에서, 제조한 필름에 대한 수분 흡수율을 측정한 결과 수분 흡습 능력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를 근거로 산소에 대한 차단특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수분흡착제로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LDPE 필름 및 LDPE/PVA 필름의 수분흡수율
Pure LDPE LDPE/PVA
2%
LDPE/PVA
5%
LDPE/PVA
10%
LDPE/PVA
20%
수분흡수율(%) 0.00 0.36 0.94 4.98 12.86
실시예 4. 차단 특성 향상을 위한 LDPE/PVA/필러의 복합화
1. 점토(Clay)
추가적인 수분 및 기체(산소)에 대한 차단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자전/공전 방식 및 초음파 파쇄법으로 가소제(물, Glycerin)와 점토(clay)를 박리 및 분산시킨 뒤, 분산된 가소제/점토 조성물을 니더기(Kneader)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LDPE/PVA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마스터 배치 제조하였다. 도 7은 MMT(montmorillonite)점토는 0.5%, 2% 함유하도록 제조된 LDPE/PVA 필름을 나타낸다.
2. 박리된 그라파이트(Exfoliated Graphite, EFG)
선행 출원된 특허(고분자 및 박리된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하이 배리어성 조성물, 출원번호: 10-2013-0007667, 2013.01.23)에 기재된 방식으로 제조한 박리된 그라파이트를 니더기(Kneader)를 이용하여 가소제(물, Glycerin)에 분산시키고, 분산된 가소제/EFG조성물을 니더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LDPE/PVA 마스터 배치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마스터 배치 제조하였다.

Claims (16)

  1.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비닐 알코올(PVA), 가소제 및 박리된 그라파이트(Exfoiled Graphite, EFG)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함량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80 내지 98 중량%이고,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함량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인,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가소제는 물, 글리세린 및 말레산 무수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가소제: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합산 중량의 중량비가 0.02:1 내지 0.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삭제
  7.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도포한 필름.
  8. a)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건조하는 단계;
    b) 교반기(Kneader)에 가소제와 상기 건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비닐 알코올(PVA) 및 박리된 그라파이트(Exfoiled Graphite, EFG)를 혼합하여 용융시켜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마스터 배치에 추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함량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80 내지 98 중량%이고,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함량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합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인, 조성물을 제조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및
    d) 건조된 조성물을 압출기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건조는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용융은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의 제조 방법.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건조는 9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0 내지 1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의 제조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조성물은, 가소제: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합산 중량의 중량비가 0.02:1 내지 0.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8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
KR1020130161070A 2013-12-23 2013-12-23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KR101548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070A KR101548827B1 (ko) 2013-12-23 2013-12-23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070A KR101548827B1 (ko) 2013-12-23 2013-12-23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408A KR20150073408A (ko) 2015-07-01
KR101548827B1 true KR101548827B1 (ko) 2015-09-01

Family

ID=5378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070A KR101548827B1 (ko) 2013-12-23 2013-12-23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463B1 (ko) * 2020-11-11 2021-08-10 이유식 폴리비닐알코올계 친환경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9695A1 (en) 1989-03-28 1990-10-03 Neste Oy Gastight material
JP2008189693A (ja) 2005-10-28 2008-08-21 Nippon Zeon Co Ltd 酸素吸収性バリアー樹脂組成物、これからなるフィルム、多層構造体及び包装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9695A1 (en) 1989-03-28 1990-10-03 Neste Oy Gastight material
JP2008189693A (ja) 2005-10-28 2008-08-21 Nippon Zeon Co Ltd 酸素吸収性バリアー樹脂組成物、これからなるフィルム、多層構造体及び包装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463B1 (ko) * 2020-11-11 2021-08-10 이유식 폴리비닐알코올계 친환경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408A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19865B (zh) 聚乳酸合金薄膜及应用
CN103112226B (zh) 七层共挤高阻隔透明膜及其制备方法
CN101323685B (zh) 线性低密度聚乙烯与乙烯-乙烯醇共聚物的共混膜及其制作方法
KR101209293B1 (ko) 기체 차단성 투명 고분자 필름
JP6784075B2 (ja) 積層フィルム
CN107629383B (zh) 一种氧化石墨烯复合薄膜材料及其制备方法、应用
CN111716857A (zh) 一种熔融共挤多层复合高阻隔薄膜、制备方法及其应用
CN111703165A (zh) 一种涂覆型多层复合高阻隔薄膜、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70080798A (ko) 그래핀 분산액 및 그래핀-고분자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리어 필름 제조방법
CN113185820A (zh) 一种可降解包装材料、包装膜袋及制备方法
CN102975451A (zh) 一种聚丙烯/聚乙烯复合医用包装膜
CN110920185A (zh) 一种高阻隔抗穿刺辐照交联型多层热收缩膜及其制备方法
CN114434929B (zh) 生物制药用一次性袋子的可降解薄膜及其应用
KR101548827B1 (ko)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분 및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조성물
CN111016118B (zh) 一种抗菌高氧阻隔pe复合膜及其制备方法
KR101543260B1 (ko) 수증기 차단성 투명 고분자 복합필름
WO2016174665A1 (en) Biodegradable sheets
CN112778938A (zh) 一种农药阻隔瓶用粘接树脂及其制备方法
CN104017348A (zh) 一种聚碳酸亚丙酯改性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45736B1 (ko) 하이 배리어성 코팅 조성물
CN104861246B (zh) 一种具有隔氧性的可降解塑料复合薄膜的制备方法
KR101850947B1 (ko) 특정 등급의 pva 및 lldpe를 포함하는 가요성(街撓性) 수분 차단 기재,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70008916A (ko) 특정 등급의 pva 및 lldpe를 포함하는 가요성(街撓性) 수분 차단 기재,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N105584182A (zh) 一种防静电银离子抗菌bopp制袋膜的制造工艺
CN115260711A (zh) 一种耐水解高阻隔性可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