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291B1 -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291B1
KR101548291B1 KR1020150040013A KR20150040013A KR101548291B1 KR 101548291 B1 KR101548291 B1 KR 101548291B1 KR 1020150040013 A KR1020150040013 A KR 1020150040013A KR 20150040013 A KR20150040013 A KR 20150040013A KR 101548291 B1 KR101548291 B1 KR 10154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output
unit
signal
screen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희
Original Assignee
(주) 케이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투이 filed Critical (주) 케이투이
Priority to KR102015004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5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of au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신호용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KFS 신호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다중 화면으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모니터링시 신호가 원활하게 처리되는지, 문제 발생시 해당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LKFS 신호를 추출하여 LKFS관련 정보를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 LKFS를 포함한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하여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송신호수신부(100);입력모드조작부(200);모니터모드조작부(300);화면출력위치저장부(400);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제1화면출력부(600);제2화면출력부(700)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The monitoring equipment for outputting broadcating signal information containing Loudness Meter to multitude screens}
본 발명은 오디오 음량 측정 등을 포함한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신호용 모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oudness Meter가 포함된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신호가원활하게 처리되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모니터링하고, 문제 발생 시 해당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입력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측정하고 다양하게 화면에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일상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환경에 놓이며 다양한 소리에 노출된다.
사람들이 노출되는 소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사람이 청취 하였을 때 불쾌함을 발생하는 환경 소음, 사람을 즐겁게 하는 멀티미디어 사운드 및 음악, 그리고 사람 사이에서 대화 및 정보를 주고 받을 때 발생하는 소리 등이 있다.
사람들 주변의 여러 소리는 사운드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사람에게 고통을 줄 수도 있고, 즐거움을 줄 수도 있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는 사람의 청각 구조는 공기로 전달된 사운드의 음압 레벨을 통해 소리를 인지하므로, 사운드 크기 및 강도는 소리에 의한 청각적 피로도 및 소리의 물리적 특징을 정의하는 유용한 수치가 되고 있다.
소리를 평가하는 방법 중 오디오 음량은 어떠한 소리가 사람 귀에 전달되었을 때 사람의 청각시스템이 인지하는 주관적인 사운드 크기이며, 소리의 강도(intensity)는 사람의 청각시스템에 전달된 객관적인 사운드의 강도로서 소리의 파워를 뜻하며,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데시벨로 측정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 사이의 대화는 60 ~ 70 dB이고, 교통량이 많고 소음이 심한 대로변은 약 80dB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약 70dB 범위에서 사람들이 편안함을 느낀다.
현대 사람들은 오디오를 접하는 방법과 기회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휴대용 멀티미디어 오디오 기기의 발달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어느 상황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오디오에서는 1990년대 후반 MP3(MPEG-1 Layer III)의 등장과 인터넷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면서 MP3로 압축된 디지털 음원을 인터넷을 통해 쉽게 다운받고 청취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상업적인 오디오 음원 시장은 멀티미디어 기기의 대중화와 융합되어 급격히 팽창되었고, 오디오 음원은 영역에서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오디오 음원의 재생 가능한 최대 음향과 최소 음향 차이의 비(dynamic range)가 급격히 감소하고, 파형의 최대값이 증가하여 오디오 사운드 크기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한편, 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과 방송 광고의 음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음량 기준 및 운용 방법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규정에 의거한 방송 신호인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를 보급하고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의 크기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는 2000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ITU에서 오디오 신호 크기 측정에 대한 표준인 ITU-R BS. 1770-1을 2006년에 발표하였고, Gating 방식이 추가된 ITU-R BS.1770-2이 2011년도에 발표되었으며 현재 BS.1770-3을 사용하고 있다.
ITU-R에서 표준화된 오디오 음량값은 ITU-R BS 1770-3에서 제시된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앞으로 방송 신호 측정에는 음량값을 포함시켜야 되는데, 현재 모니터링 장치들의 경우에는 한 개의 화면에 각종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수많은 모니터링 정보들을 편리하게 보여줄 수 없는 한계점이 발생하며, 사용자가 모니터링시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강제적으로 방송신호 송출에 음량 평균을 맞추어야 함으로서 관리자가 모니터링시 신호가 원활하게 송출되는지 여부를 신속히 파악하고, 문제 발생시 해당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음량을 측정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게 현실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53959호(2008.08.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에 음량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으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모니터링시 신호가 원활하게 처리되는지, 문제 발생시 해당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며, 평균 loudness range 값 및 최대 피크치의 오디오 값을 화면에 출력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oudness Meter(LM)를 포함한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는, LM을 포함하고 있는 방송 신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신호수신부(100)와; SDI, DOLBY, AES/EBU, 아날로그 오디오, Loudness Meter, WFM 를 포함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모드조작부(200)와; CUT, 알람, SCALE, PHASE를 포함한 모니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니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니터모드조작부(300)와;
다수의 화면출력부 중 입력 모드별, 모니터 모드별 표출될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화면출력위치저장부(400)와;
상기 입력모드조작부 및 모니터모드조작부에 의해 조작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화면출력위치저장부의 화면출력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 신호를 각각의 화면출력부에 출력하기 위한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와
입력모드조작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1화면출력부(600)와,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2화면출력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는,
Loudness Meter를 포함하고 있는 방송 신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신호수신부 (100)와 SDI, DOLBY, AES/EBU, 아날로그 오디오, Loudness Meter, WFM를 포함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모니터링장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력모드조작부(200)와 CUT, 알람, SCALE, PHASE를 포함한 모니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모니터링장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모드조작부(300)와 제1화면출력부 및 제2화면출력부 중 입력 모드별, 모니터 모드별 표출될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화면출력위치저장부(400)와 상기 입력모드조작부 및 모니터모드조작부에 의해 조작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화면출력위치저장부의 화면출력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 신호 정보를 제1,2화면출력부 (600,700)에 출력하기 위한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와 상기 입력모드조작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 정보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1화면출력부(600)와, 상기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 정보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2화면출력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면패널(1000)과 3G, HD, SD 인/아웃포트(2100)와,DOLBY 인/아웃포트(2200)와,AES/EBU 인/아웃포트(2300)와 아날로그 오디오 인/아웃포트(2400)와 PGM 아웃포트(2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후면패널(20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신호용 모니터링 치는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에 방송신호정보를 다중으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모니터링시 신호가 원활하게 처리되는지를 쉽게 파악하고, 문제발생시 해당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음량을 분석하여 화면에 출력해주며, 동시에 평균 loudness range값 및 최대 피크치의 오디오 값을 면에 출력시킬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의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의 전면패널 구성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입력모드조작부와 모니터모드조작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의 SDI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6은 DOLBY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7은 AES/EBU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
도 8은 아날로그 오디오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9는 멀티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10은 디스플레이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11은 LKFS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12는 LKFS 버튼 선택시 다른 화면 예시도
도 13은 WFM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14는 MENU, SAVE/LOAD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의 CUT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16은 SELECT, MIX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17은 알람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18은 SCALE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19는 PHASE 버튼 선택시 화면 예시도
도 20은 LKFS/LUFS 정보를 표시한 화면 예시도
도 21은 후면패널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는, 방송신호수신부(100)와 입력모드조작부(200)와, 모니터모드조작부(300)와, 화면출력위치저장부(400)와,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송신호수신부(100)는 Loudness Meter를 포함하고 있는 방송 신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방송 신호는 헤더와 패킷으로 이루어지고, 헤더에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가 들어 있고, 패킷에는 AV정보와 자막 (caption)정보가 들어 있을 수 있고, PSI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의 일부가 들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AES/EBU로 알려진 AES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AES recommended practice for digital audio engineering-Serial audio data' 라는 타이틀이 붙여진 AES3(ANSI 4.40) 규격에 적합한 신호이다.
AES/EBU 디지털 오디오 규격은 오디오 엔지니어링 학회(Audio Engineering Society)와 유럽 방송연맹(European Broadcasting Union)간에 통합된 것이다.
또한, SDI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SDI(Serial Digital Interconnect)가 가진 중요한 장점 중의 하나는 복수의 디지털 오디오 채널을 디지털 비디오와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SDI의 표준인 SMPTE 259M 신호를 작성하기에 알맞으며, 특히 고려할 사항 중 하나는 컴퍼지트 시리얼 디지털 신호만으로 한정된 부속 데이터 (Ancillary Data)공간에 적어도 4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한다는 것이다.
SMPTE 259M에는 컴퍼지트 비디오신호에 대한 임베디드 오디오 신호의 기본 포맷이 문서화되어 있어, 이 방법을 채용한 기기가 컴퍼지트 신호와 컴포넌트 신호의 양쪽 분야에서 실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임베디드 오디오의 표준화 작업의 최초의 초안이 SMPTE 272M이라는 이름으로 1994년 4월에 발행되었으며 1997년-SMPTE299M은 HD-TV를 위한 24Bit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규정하고 있다.
SMPTE 272M은 컴퍼지트 디지털 신호의 부속 데이터 공간 내에서의 오디오 샘플 데이터의 배치 방법이나 24 비트 샘플 데이터의 전송 방법, 비동기클록 생성 방법, 48kHz 이외의 샘플링 주파수, 그리고 컴퍼지트 디지털신호로의 오디오 신호의 다중화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SMPTE 259M으로 정의되어 있는 임베디드 오디오는 비디오신호에 동기된 48kHz 클록으로, 샘플링된 20비트 오디오 데이터를 4채널로 전송한다.
SMPTE 259M은 컴퍼지트 디지털 신호의 임베디드 오디오 신호에 관해서만 규정하고 컴포넌트 디지털 신호의 임베디드 오디오도 같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화면에 출력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FPGA 로직 블록을 이용하고 있는데, SDI 입력으로 들어오는 오디오 신호를 화면 상에 레벨 메타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는 사람의 청각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계산된 음량값의 단위로서, LKFS 단위에서 1dB의 레벨 증감은 1 LKFS의 음량값의 증감과 동일하게 표현된다.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음량의 측정이란, 사람이 실제 느끼는 소리의 감각적인 크기를 ITU-R의 권고안의 음량(Loudness)이라는 개념으로 수치화하여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음량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파통신부문(ITUR권고안 인 '오디오 프로그램의 음량과 트루피크 오디오 레벨 측정알고리즘'(Algorithms to measure audio programme loudness and truepeak audio level, ITU-R BS.1770-3)의 방법에 따라 측정되어야 하며, 측정된 음량값의 단위는 'TU-R BS.1770-3' 권고안의 측정 단위인 LKFS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한 오디오 신호들을 모니터링하여 수신된 신호 상의 문제점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입력모드조작부(200)는 SDI, DOLBY, AES/EBU, 아날로그 오디오, LKFS, WFM 를 포함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의 경우에는 전면패널(1000)과 후면패널(20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되는데, 전면패널의 어느 일측에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 모드를 설정하도록 버튼 형태 혹은 터치패널 형태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모드조작부(300)는 CUT, 알람, SCALE, PHASE를 포함한 모니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니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또한, 전면패널의 타측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니터 모드를 설정하도록 버튼 형태 혹은 터치패널 형태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면출력위치저장부(400)는 다수의 화면출력부 중 입력 모드별, 모니터 모드별 표출될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즉, 어느 입력 모드를 입력하였고, 모니터 모드는 무엇을 입력하였는지에 따라 표출되는 화면출력부는 미리 설정된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화면출력부에 표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는 입력모드조작부 및 모니터모드조작부에 의해 조작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화면출력위치저장부의 화면출력부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력된 방송 신호를 각각의 화면출력부에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화면 중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2개의 화면출력부를 구성하게 된다.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모드조작부(200)를 전면패널의 일측에 형성하고, 모니터모드조작부(300)를 타측에 형성하고, 입력모드조작부(200)와 모니터모드조작부(300)사이에 제1화면출력부(600)와 제2화면출력부(70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oudness Meter를 포함한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 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모니터링 장치의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는 SDI신호출력처리모듈(505)과, 돌비신호출력처리모듈(510)과, AES/EBU 신호출력처리모듈(515)과, 아날로그오디오신호출력처리모듈(520)과, Loudness Meter신호출력처리모듈(525)과, WFM신호출력처리모듈(530)과 멀티출력처리모듈(535)과 디스플레이 출력처리모듈(540)과 CUT 신호 출력처리모듈(545)과 알람신호 출력처리모듈(550)과 SCALE신호 처리출력모듈(555)과 PHASE신호 출력처리모듈(5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도 4(좌측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모드조작부(200)는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예를 들어, SDI, DOLBY, AES/EBU, MULTI, DISPLAY, LKFS, WFM, MENU, SAVE/LOAD 버튼 혹은 터치패널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모드 종류는 상기한 모드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SDI 버튼은 SDI-1, SDI-2 입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이며, DOLBY 버튼은 DOLBY-1, DOLBY-2, DOLBY-3 입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이며, AES/EBU 버튼은 AES/EBU 75ohm, 110 ohm 입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이며, MULTI 버튼은 두 가지 입력 신호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드이며, DISPLAY 버튼은 왼쪽, 오른쪽 화면 출력부 상의 화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드이며, LKFS 버튼은 Audio Loudness(LUFS/LKFS)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드이며, WFM 버튼은 입력 신호의 비디오 VECTORSCOPE, WAVEFORM-Y, WAVEFORM-YCBCR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드이며, MENU 버튼은 장비입출력 구성, 화면밝기 변경 등 장비 설정에 대한 세부 내용들을 변경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LKFS, PHASE, AUDIO X-Y VECTOR를 표시하고 있는 화면출력부의 메뉴 버튼을 눌렀을 경우에 해당 기능에 대한 하위 메뉴설정을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SAVE/LOAD 버튼은 장치의 현재 설정 정보를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는 모드이다. 따라서, 상기 조작된 정보들은 화면출력위치저장부에 저장되어 관리되게 된다.
다음은 설정된 모드에 따라 화면에 처리되는 구성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SDI신호출력처리모듈(505)은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SDI 설정일 경우에, SDI 채널 내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며, 오디오 신호를 다른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SDI 버튼 선택 시 SDI-1, SDI-2번 채널에 입력되어 있는 SDI Embed 신호를 볼 수 있는데, 화면출력위치저장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비디오 신호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한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게 되며, 오디오 신호는 다른 한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게 된다.
즉, SDI 내에 들어 있는 비디오는 좌측 화면출력부에서, 오디오 신호를 우측 화면출력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되고, Display 버튼을 눌러 좌,우 화면을 바꿀 수도 있다.
상기 돌비신호출력처리모듈(510)은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DOLBY 설정일 경우에, 돌비 채널에 포함된 신호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DOLBY 버튼 선택 시에, DOLBY-1, DOLBY-2번 채널에 입력되어 있는 DOLBY E, AC3 DECODER & SDI-DOLBY E, AC3 Audio Process신호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DOLBY-3번은 SDI-1 or SDI-2번 채널에 Embed 되어 오는 DOLBY 신호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보여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OSD MENU의 DOLBY > SDI Ch Select 설정에서 Auto, AES/EBU 1~8까지 Embed 채널로 선택 가능하다.
그리고, Dolby, Analog Audio 입력 채널은 1~8번까지의 채널만을 사용하고 9~10번까지는 멀티 기능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AES/EBU신호출력처리모듈(515)은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AES/EBU 설정일 경우에, AES/EBU 채널에 포함된 신호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AES/EBU 버튼 선택 시, AES 75 ohm 1/2 ~ 15/16번의 8CH에 입력되어 있는 AES/EBU 신호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AES/EBU 버튼을 1회 더 누르면 AES 110 ohm 1/2~ 15/16번의 8CH에 입력되어 있는 AES/EBU 신호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오디오신호출력처리모듈(520)은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아날로그 오디오 설정일 경우에, 아날로그 채널에 포함된 신호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ANALOG 버튼 선택 시 Analog Audio 입력 1~8번 채널에 입력되어 있는 Analog Audio 신호를 볼 수 있는 모드이다.
이때, Dolby, Analog Audio 입력 채널은 1~8번까지의 채널만을 사용하고, 9~10번까지는 멀티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출력처리모듈(535)을 구성할 수 있는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MULTI 버튼 선택시, 두 가지 입력신호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SDI, DOLBY, AES/EBU, ANALOG의 입력 신호를 1~8과 9~16번의 채널에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동시에 신호를 볼 수 있는 모드이다.
한편, 디스플레이출력처리모듈(540)을 구성할 수 있는데, DISPLAY 버튼 선택시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화면출력부와 제2화면출력부 상의 화면 구성을 변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Loudness Meter신호출력처리모듈(525)은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LKFS 설정일 경우에,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Loudness Meter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선택되어 있는 신호에 대하여 loudness 상태를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Loudness Meter신호출력처리모듈(525)은 측정 시간 동안의 평균 loudness range 값을 출력시키기 위한 audio-range처리모듈(525a)과, 측정 시간 동안의 최대 피크치의 오디오 값을 출력시키기 위한 true-peak처리모듈(525b)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KFS 버튼 선택 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신호에 대하여 Loudness 상태를 보여주게 되며, LKFS 버튼을 누를 때마다 (LUFS : EBU +9), (LUFS : EBU +18)의 기준을 변경하여 상태를 표시하며, 한번 더 누르면 LKFS 메뉴를 나와서 영상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audio-range처리모듈에 의해 측정 시간 동안의 평균 Loudness Range 값을 보여주게 되며, true-peak처리모듈에 의해 측정 시간 동안의 최대 피크치의 오디오 값을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Momentary처리모듈을 구성하게 되면, MOMENTRY 상태로서, 0.4초 평균 LKFS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Short-term처리모듈을 구성하게 되면, Short term 상태로서, 3초 평균 LKFS 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Integrated처리모듈을 구성하게 되면, Integrated 상태로서, Start ~ Stop 시점까지의 평균치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Start/Stop처리모듈을 구성하여 Start ~ Stop 시점까지의 평균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며, Pause/Continue처리모듈을 구성하여 평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도록 일시 정지시킬 수도 있으며, RESET처리모듈을 구성하여 현재 시간까지 저장된 값을 리셋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추가적인 기능들은 화면출력부의 하위 메뉴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화면 상에 터치를 통해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WFM신호출력처리모듈(530)은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WFM 설정일 경우에, SDI 채널 내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의 vectorscope, waveform-Y, waveform-YCbCr의 값을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며, 오디오 신호는 다른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WFM 선택 시 현재 SDI-1, SDI-2번의 비디오 입력에 대한 입력된 신호의 Vectorscope, Waveform-Y, Waveform-YCbCr 의 값을 표시하는데, 오디오의 상태와 비디오 정보를 보여주게 된다.
이때, WFM 버튼을 선택 시 입력된 신호의 Vectorscope, Waveform-Y, Waveform-YCbCr 의 값을 표시하며 버튼을 계속 누르면 순환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화면에는 Vectorscope, Waveform Monitor 이외에도 신호 정보인 Format, Sampling, Sampling bit, Channel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메뉴 버튼 선택 시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MENU버튼으로 장비 입출력 구성, 화면밝기 변경 등 장비설정에 필요한 세부 내용들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아래의 기능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해당 기능에 대한 하위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며, MENU버튼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한 후 전면패널에 구성된 좌, 우측의 Balance/Setting 볼륨 버튼을 이용하여 변경 및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면 예시들은 다양한 화면 예시들로서, 모드 설정에 따라 OSD 설정에 따라 출력되는 정보의 내용이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SAVE/LOAD 버튼은 현재 장치의 디스플레이, 프리셋 설정 등의 정보를 저장 및 불러오는 기능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는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모듈을 하기와 같이 구성하게 된다.
즉, CUT신호출력처리모듈(545)은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CUT일 경우에, 선택된 채널의 다음 채널의 오디오를 선택하여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UT 버튼을 선택 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다음 채널의 오디오를 선택하고 출력한다.
예를 들어, 1/2, 3/4채널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CUT 버튼을 누르면 5/6채널의 오디오가 출력되고 이전 1/2, 3/4채널의 출력되고 있던 오디오 출력은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SELECT, MIX 버튼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셀렉트처리모듈과 믹스처리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ELECT 버튼을 선택하여 원하는 채널의 오디오를 선택하게 되며, 이때, 화면상단에 화살표 표시가 회색으로 제공되는데, 믹스 버튼을 눌러서 회색으로 점등된 화살표 표시를 확인 후 오디오를 합성하는 것이다.
이때, 화면 상단에 화살표 표시가 회색에서 주황색으로 변경되면서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알람신호출력처리모듈(550)은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알람일 경우에, 선택된 채널의 phase, no sig, silence의 설정 화면을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OSD 메뉴의 ALARM 설정에서 ALARM을 원하는 채널의 Phase, No Signal, Silence의 설정을 하면 1~8번까지의 해당 채널에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ALARM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LARM을 설정한 채널에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채널의 하단 Phase 표시 부분에 적색으로 해당 채널에 대한 ALARM 상태를 표시 및 경고음을 발생한다.
이때, OSD 메뉴의 ALARM 설정에서 Phase, No Signal, Silence, Alarm Volume, Silence Time, Alarm Level(DBFS)의 세부 설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CALE신호출력처리모듈(555)은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SCALE일 경우에, 오디오 레벨 미터 scale의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화면을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SCALE 버튼을 선택시, Audio Level Meter Scale의 방식을 변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udio Level Meter 스타일을 AES, EBU, VU, PPM, BBC, Nordic, DIN and EXT 등 다른 설정 값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OSD 메뉴상의 LVM Scale 상에서도 동일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PHASE신호출력처리모듈(560)은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PHASE일 경우에, 선택된 채널에 대한 오디오의 위상 상태 정보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PHASE 버튼을 선택 시 현재 선택된 채널에 대한 오디오의 위상 상태 및 AUDIO X-Y VECTOR 그래픽을 보여주는 것이다.
부연 설명하자면, 두 개의 화면은 연동되어 선택된 하나의 채널에 비디오와 여러 개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PHASE가 역상이면 오디오 출력 레벨을 나타내는 화면 밑에 붉은색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 모드에 표시된 MUTE 버튼과 LOCK 버튼은 현재 스피커 출력을 음소거시키는 기능과 전면 스위치의 동작을 잠금 상태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장치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VHDM-4216G ~ FTD-310S 장비간에 RS-422로 통신하여 LKFS/LUFS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방송 신호를 설정된 모드에 맞게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서는 도 21과 같은 후면판넬을 구성하게 된다.
즉, 후면패널(2000)은 3G, HD, SD 인/아웃포트(2100)와, DOLBY 인/아웃포트(2200)와, AES/EBU 인/아웃포트(2300)와, 아날로그 오디오 인/아웃포트(2400)와, PGM 아웃포트(2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포트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AC INPUT 포트와, 이더넷 포트를 구성하여 오디오 모니터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3G/HD/SD INPUT 1,2 포트는 3G/HD/SD-SDI 신호의 SDI Embedded 영상 신호를 받을 수 있으며, 3G/HD/SD OUTPUT 1,2 포트는 D1-1, SDI-2 번 입력 신호 중에서 현재 선택된 3G/HD/SD-SDI VIDEO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DOLBY INPUT 1,2 포트는 DOLBY D, DOLBY E, AC3의 음성 신호를 받을 수 있으며, DOLBY OUTPUT-DOLBY 포트는 DOLBY-1, DOLBY-2 입력 신호 중에서 현재 선택된 돌비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DOLBY OUTPUT-AUX 포트는 현재 선택된 돌비 신호를 Down-mix하여 출력한다.
상기 AES/EBU 인/아웃포트(2300)에서, AES/EBU 75 ohm 1~8 INPUT 포트는 8 채널의 AES/EBU 70 ohm Audio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AES/EBU 75 ohm 1~8 OUTPUT 포트는 8 채널의 현재 입력되어 있는 AES/EBU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AES/EBU 110 ohm 1~8 INPUT 포트는 8채널의 AES/EBU Audio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AES/EBU 110 ohm 1~8 OUTPUT 포트는 8채널의 AES/EBU Audio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인/아웃포트(2400)에서, ANALOG AUDIO 1~8 INPUT 포트는 8 채널의 Analog Audio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ANALOG AUDIO 1~8 OUTPUT 포트는 8 채널의 현재 입력되어 있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PGM 아웃포트(2500)는 현재 스피커로 출력되고 있는 신호를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전면 패널에는 출력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이 구성될 수 있으며, 헤드폰을 구성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볼륨 버튼을 구성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에 대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에 따라,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에 방송 신호 정보를 다중으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모니터링시 신호가 원활하게 처리되는지, 문제 발생시 해당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방송신호수신부
200 : 입력모드조작부
300 : 모니터모드조작부
400 : 화면출력위치저장부
500 :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

Claims (10)

  1.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Loudness Meter를 포함하고 있는 방송 신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신호수신부(100)와;
    SDI, DOLBY, AES/EBU, 아날로그 오디오, Loudness Meter, WFM 를 포함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모드조작부(200)와;
    CUT, 알람, SCALE, PHASE를 포함한 모니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니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니터모드조작부(300)와;
    다수의 화면출력부 중 입력 모드별, 모니터 모드별 표출될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화면출력위치저장부(400)와;
    상기 입력모드조작부 및 모니터모드조작부에 의해 조작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화면출력위치저장부의 화면출력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 신호 정보를 제1,2 화면출력부(600,700)에 각각 출력하고, 입력되는 방송 신호 중 LKFS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며 그래픽화하여 제1화면 출력부(600) 또는 제2화면출력부(700)를 통하여 표시하기 위한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와
    상기 입력모드조작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 정보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1화면출력부(600)와,
    상기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 정보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2화면출력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는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멀티 설정일 경우에, 입력된 SDI, 돌비, AES/EBU,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채널별로 구성하여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제공하여 멀티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멀티출력처리모듈(535)과,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디스플레이 설정일 경우에,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 출력된 정보의 위치를 변환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출력처리모듈(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
  2.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Loudness Meter를 포함하고 있는 방송 신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신호수신부(100)와;
    SDI, DOLBY, AES/EBU, 아날로그 오디오, LKFS, WFM를 포함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모니터링장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력모드조작부(200)와,
    CUT, 알람, SCALE, PHASE를 포함한 모니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모니터링장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모드조작부(300)와,
    제1화면출력부 및 제2화면출력부 중 입력 모드별, 모니터 모드별 표출될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화면출력위치저장부(400)와,
    상기 입력모드조작부 및 모니터모드조작부에 의해 조작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화면출력위치저장부의 화면출력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 신호 정보를 제1,2 화면출력부(600,700)에 출력하고, 입력되는 방송 신호 중 LKFS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며 그래픽화하여 제1화면 출력부(600) 또는 제2화면출력부(700)를 통하여 표시하기 위한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와,
    상기 입력모드조작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 정보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1화면출력부(600)와,
    상기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 정보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2화면출력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면패널(1000)과;
    3G, HD, SD 인/아웃포트(2100)와,DOLBY 인/아웃포트(2200)와,AES/EBU 인/아웃포트(2300)와,아날로그 오디오 인/아웃포트(2400)와,PGM 아웃포트(2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후면패널(20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는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멀티 설정일 경우에, 입력된 SDI, 돌비, AES/EBU,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채널별로 구성하여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제공하여 멀티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멀티출력처리모듈(535)과,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디스플레이 설정일 경우에,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 출력된 정보의 위치를 변환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출력처리모듈(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는,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SDI 설정일 경우에, SDI 채널 내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를 제1,2 화면출력부 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며, 오디오 신호를 다른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SDI신호출력처리모듈(505)과,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DOLBY 설정일 경우에, 돌비 채널에 포함된 신호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돌비신호출력처리모듈(510)과,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AES/EBU 설정일 경우에, AES/EBU 채널에 포함된 신호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AES/EBU신호출력처리모듈(515)과,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아날로그 오디오 설정일 경우에,
    아날로그 채널에 포함된 신호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아날로그오디오신호출력처리모듈(520)과,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LKFS 설정일 경우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Loudness Meter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LKFS신호출력처리모듈(525)과,
    입력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WFM 설정일 경우에, SDI 채널 내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의 vectorscope, waveform-Y, waveform-YCbCr의 값을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며, 오디오 신호는 다른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WFM신호출력처리모듈(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는,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CUT일 경우에, 선택된 채널의 다음 채널의 오디오를 선택하여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CUT신호출력처리모듈(545)과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알람일 경우에, 선택된 채널의 phase, no sig, silence의 설정 화면을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알람신호출력처리모듈(550)과,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SCALE일 경우에, 오디오 레벨 미터 scale의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화면을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SCALE신호출력처리모듈(555)과,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PHASE일 경우에, 선택된 채널에 대한 오디오의 위상 상태 정보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PHASE신호출력처리모듈(5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다화면출력처리부(500)는,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CUT일 경우에, 선택된 채널의 다음 채널의 오디오를 선택하여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CUT신호출력처리모듈(545)과 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알람일 경우에, 선택된 채널의 phase, no sig, silence의 설정 화면을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알람신호 출력처리모듈(550)과,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SCALE일 경우에, 오디오 레벨 미터 scale의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화면을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SCALE신호출력처리모듈(555)과,모니터모드조작부의 설정 정보가 PHASE일 경우에, 선택된 채널에 대한 오디오의 위상 상태 정보를 제1화면출력부 또는 제2 화면출력부중 어느 하나의 화면출력부에 제공하기 위한 PHASE신호출력처리모듈(5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7. 삭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LKFS신호출력처리모듈(525)은,
    측정 시간 동안의 평균 loudness range 값을 출력시키기 위한 audio-range처리모듈(525a)과, 측정 시간 동안의 최대 피크치의 오디오 값을 출력시키기 위한 true-peak처리모듈(52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9.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출력부(600) 및 제2화면출력부(700)는,
    둘 중 어느 하나에 비디오 신호가 출력될 경우, 다른 하나에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거나, 둘 모두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링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10. 삭제
KR1020150040013A 2015-03-23 2015-03-23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KR101548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013A KR101548291B1 (ko) 2015-03-23 2015-03-23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013A KR101548291B1 (ko) 2015-03-23 2015-03-23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291B1 true KR101548291B1 (ko) 2015-08-28

Family

ID=5406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013A KR101548291B1 (ko) 2015-03-23 2015-03-23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522B1 (ko) * 2015-09-25 2016-01-14 (주)케이투이 4K 및 HD 비디오 및 오디오 멀티포맷 Loudness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Loudness 방송신호 정보를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방법
KR20200064487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로와시스 방송신호의 음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844Y1 (ko) 1996-12-09 1999-10-15 장기선 오디오 및 비디오 모니터
JP2003309656A (ja) 2002-04-15 2003-10-31 Ricoh Co Ltd 端末状況監視装置、端末状況管理装置、端末状況監視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247185B1 (ko) 2012-03-13 2013-03-25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하이 임피던스 방송출력신호의 디지털 모니터링장치를 구비한 구내방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844Y1 (ko) 1996-12-09 1999-10-15 장기선 오디오 및 비디오 모니터
JP2003309656A (ja) 2002-04-15 2003-10-31 Ricoh Co Ltd 端末状況監視装置、端末状況管理装置、端末状況監視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247185B1 (ko) 2012-03-13 2013-03-25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하이 임피던스 방송출력신호의 디지털 모니터링장치를 구비한 구내방송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K2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522B1 (ko) * 2015-09-25 2016-01-14 (주)케이투이 4K 및 HD 비디오 및 오디오 멀티포맷 Loudness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Loudness 방송신호 정보를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방법
KR20200064487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로와시스 방송신호의 음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175401B1 (ko) * 2018-11-29 2020-11-06 주식회사 로와시스 방송신호의 음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6001B2 (en) Audio level control
US103624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34417B1 (en) Audio mixer
EP2750404B1 (en) Audio level based closed-captioning control
CN104937843A (zh) 测量高阶高保真度立体声响复制响度级的方法及设备
KR101558199B1 (ko) Gui를 통한 제어기능의 디지털 음원 믹싱 장치
JP2007329633A (ja) コントロール機器、同期補正方法および同期補正プログラム
KR101548291B1 (ko) Loudness Meter등을 포함한 방송신호 정보를 다중화면으로 출력시키는 방송 신호용 모니터링 장치
KR101729978B1 (ko) Uhd 4k 멀티 뷰어장치
US6879864B1 (en) Dual-bar audio level meter for digital audio with dynamic range control
KR101475265B1 (ko) 기능성 이어폰 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11178502B2 (en) Audio mixer and control method of audio mixer
JP5246085B2 (ja) ミキシングコンソール
KR20140090469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CN107682588B (zh) 模拟音视频信号输入输出的切换系统、方法及信号测量仪
JP6696574B2 (ja) 音処理装置及び方法
JP3122865U (ja) 放送受信装置
US20180359464A1 (en) Audio-Visual Signal Generator and Receiver for Signal Testing
KR101721406B1 (ko) 적응형 음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85522B1 (ko) 4K 및 HD 비디오 및 오디오 멀티포맷 Loudness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Loudness 방송신호 정보를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방법
JP6046433B2 (ja) ミキシング装置
JP2009232302A (ja) パラメータ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モニタ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7408955B2 (ja) 音信号処理方法、音信号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288035B2 (en) Audio signal processor and method of processing audio signal
KR10065307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