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469A -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469A
KR20140090469A KR1020130002564A KR20130002564A KR20140090469A KR 20140090469 A KR20140090469 A KR 20140090469A KR 1020130002564 A KR1020130002564 A KR 1020130002564A KR 20130002564 A KR20130002564 A KR 20130002564A KR 20140090469 A KR20140090469 A KR 20140090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sound field
genre
unit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혜원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2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0469A/ko
Publication of KR2014009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8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udi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에 기초한 결과 데이터를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소정 음장 모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음장 모드를 자동으로 적용하고 변경할 수 있고, 음장을 최적화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음장 모드를 자동으로 적용하고 변경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여,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시행에 따라,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는 고품질의 오디오 출력을 위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 및 오디오 처리 장치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사운드가 전파되는 음장 공간에 따라, 청취자에게 달리 전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원음에 보다 가까운 사운드를 청취하기 위해서, 음장 최적화가 중요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장 최적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에 기초한 결과 데이터를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소정 음장 모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장 모드를 자동으로 적용하고 변경할 수 있고, 음장을 최적화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씨어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오디오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오디오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도 7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씨어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오디오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홈씨어터 시스템(10)은, 오디오 처리 장치(100), 및 영상표시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0)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인터페이스(110), 오디오 처리부(120), 증폭부(130), 복수의 스피커(151,152...156), 및 마이크(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17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170)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는, 다중 채널 모드(Multi channel mode)의 오디오 신호(audio signal)가 수신될 수 있다. 특히,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17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오디오 처리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그 외, 인터페이스(110)는, 삽입되는 미디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디스크 미디어 또는 메모리 등의 미디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미디어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 장치(100)가, 미디어 플레이어(160), 예를 들어, 광디스크 플레이어와 결합된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160)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300)로 송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자체적으로 생성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오디오 신호 처리에 따라, 다중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처리부(12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거나,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채널 분리하거나, 복호화 또는 채널 분리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별 계수를 조정하거나, 주파수 밴드별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12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오디오 처리부(120)는, 자동으로 음장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장 조정 모드시, 오디오 처리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거나, 자체 생성되는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70)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된 오디오 신호,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 및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음장(sound field)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처리부(120)는,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 및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출력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 별 게인(gain)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마이크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수록, 출력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 별 게인이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거리(r)에 대해, 주파수별 게인 감쇠율이, 1/r2 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주파수 밴드 별 게인이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20)는, 출력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각 주파수의 게인이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20)는, 마이크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좌측 스피커와 우측 스피커의 중간 위치가 아닌 경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 또는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중간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즉, 마이크와, 사용자 사이의 각도가 더 커질수록, 위상 조절시의 위상 보상값의 크기가 더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음장 조정 모드에서의 주파수 밴드 별 게인(gain) 또는 위상의 조정에 의해, 음장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향후,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음장 최적화된 상태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다중 채널 오디오 신호는 각각 증폭부(130)를 거쳐 복수개의 스피커(151,152...156)로 분리 입력되게 된다.
복수의 스피커는, 5.1 채널 모드에 맞추어, 전면 좌,우 스피커(151,152), 서라운드 좌,우 스피커(153,154), 센터 스피커(155), 및 우퍼(156)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다중 채널 모드(Multi channel mode)에서의 각 채널의 오디오 신호(audio signal)일 수 있다.
한편, 미디어 플레이어(160)는, 오디오 처리 장치(100)의 리시버(receiver)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디어 플레이어(160)는, 상술한, 인터페이스(110), 오디오 처리부(120), 증폭부(130),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70)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개의 스피커(151,152...156)에서,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한다. 이때, 수집되는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는, 다중 채널 모드(Multi channel mode)의 오디오 신호(audio signal)일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70)는 수집되는 오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스(110)로 전달한다.
도 1은, 마이크(170)의 위치가 센터 스피커(155)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마이크(170)가 센터 스피커(155) 상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센터 스피커(155)를 바라보고 앉게 되므로, 마이크(170)와 사용자(50) 사이의 각도는, 0°가 되게 된다. 이러한 설정을 바탕으로, 음장 조정 모드에서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300)는, 방송 표시 가능한 티브이(TV), 모니터,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플레이어(160)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각각의 디스플레이(도 4의 380)와 오디오 출력부(도 4의 38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오디오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 처리부(120)는, 음상 정위부(235), 이퀄라이제이션부(240), 서브 밴드 분석부(245), 위상 게인 조정부(250), 및 서브 밴드 합성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음상 정위부(235)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음상 정위를 제어한다.
여기서, 음상 정위(Sound image Localization)는, 감각적으로 지각되는 음상의 위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좌, 우 채널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 대해, 각 채널의 오디오 신호가 동일한 경우, 음상 정위는,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의 중간일 수 있다.
음상을 정위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청취자의 각 귀에 도달하는 음성 신호의 위상차(시간 차)와 레벨 비율(음압 레벨 비율)에 기초하여, 음장 공간에서의 특정 위치(특정 방향)에 음원을 느끼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음상 정위 제어를 위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머리 전달 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필터링을 사용할 수 있다.
머리 전달 함수(HRTF)는 임의의 위치를 갖는 음원에서 나오는 음파와 귀의 고막에 도달하는 음파 사이의 전달 함수(transfer function)를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 청취자의 귀 속 또는 사람의 모양을 한 모형의 귀 속에 마이크를 넣고, 특정 각도에 대해 오디오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측정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머리 전달 함수(HRTF)는, 음원의 방위와 고도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진다. 또한, 청취자의 머리 모양, 머리 크기 또는 귀의 모양 등과 같은 신체 특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다음, 이퀄라이제이션부(equalization unit)(240)는, 음상 정위 제어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와의 거리 정보 또는 배치 정보에 대응하여, 이퀄라이제이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와 청취자의 거리, 스피커의 배치 등에 따른 이퀄라이져를 적용한다. 이를 위해, 이퀄라이제이션부(240)는, 청취자와 스피커 사이에 대한 세분화된 정보 또는 스피커 배치 정보를 별도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퀄라이제이션 이후에, 이러한 정보들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퀄라이제이션 수행은,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 수행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간 영역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이퀄라이제이션부(equalization unit)(240)는 음상 정위 제어된 오디오 신호의 크로스 토크 저감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크로스 토크 저감부(cross-talk canceller)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오디오 처리 장치는 왼쪽 귀에 도달하도록 연산 처리되어 발신된 음이 오른쪽 귀에도 도달하여 가상 음원의 방향을 인식할 수 없게 되는 크로스 토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를 지우기 위한 부가 오디오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채널의 오디오 신호 및 좌측 채널의 오디오 신호의 차이 신호에 대해서 지연 시간을 가진 다수의 잔향 성분을 부가할 수도 있다.이에 따라, 좌측 오디오 신호와 우측 오디오 신호는 청취자의 해당 귀에만 들리게 된다.
다음, 서브 밴드 분석부(245)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서브 밴드 분석 필터링한다. 즉, 서브 밴드(sub-band) 분석 필터 뱅크를 구비하여, 음상 정위 제어된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킨다. 서브 밴드 분석부(245)에서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의 서브 밴드는 32개의 서브 밴드 또는 64개의 서브 밴드 또는 FFT 서브 밴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대역 별로 구분된 오디오 신호는 이하의 위상 게인 조정부(250)에서 주파수 대역 별로, 또는 주파수 대역 그룹별로 위상 조정 또는 게인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위상 게인 조정부(frequency dependent phase/gain controller)(250)는,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밴드별로, 위상 조정 또는 게인 조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위상 게인 조정부(250)는, 서브밴드 분석 신호에 산출된 깊이에 따른 complex value factor를 산출하고 이를 적용하여, 깊이에 최적화된 factor산출 및 재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위상 게인 조정부(250)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채널간의 부호를 바꾸거나,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만 밴드 혹은 대역을 나누어 채널간의 부호를 바꾸거나,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 그룹으로 묶어서 채널간의 부호를 바꾸거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채널간의 Complex value 를 조절하거나,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만 밴드 혹은 대역을 나누어 채널간의 Complex value 를 조절하거나,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 그룹으로 묶어서 채널간의 Complex value 를 조절할 수 있다.서브밴드 분석 신호에 산출된 깊이에 따른 complex value factor를 산출하고 이를 적용하여, 깊이에 최적화된 factor 산출 및 재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상 게인 조정부(250)는, 대역별로 분리된 주파수 대역별로 위상(phase)을 조정할 수 있다.
위상 조정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만 밴드 혹은 대역을 나누어 채널간의 부호를 바꾸거나,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 그룹으로 묶어서 채널간의 부호를 바꾸거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채널간의 위상을 조절하거나,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만 밴드 혹은 대역을 나누어 채널간의 위상을 조절하거나,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 그룹으로 묶어서 채널간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위상 게인 조정부(250)는, 대역별로 분리된 주파수 대역별로 게인(gain)을 조정할 수 있다.
게인 조정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게인을 조절하거나,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만 밴드 혹은 대역을 나누어 게인을 조절하거나,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 그룹으로 묶어서 그룹별로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상 게인 조정부(250)는, 음장 조정 모드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Sc),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Sm)을 입력받는다. 이때의 출력된 오디오 신호(Sc)는, 저장부(140)에서 저장된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위상 게인 조정부(250)는, 출력된 오디오 신호(Sc),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Sm), 및 사용자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음장 조정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상 게인 조정부(250)는, 출력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 별 게인(gain)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한다.
위상 게인 조정부(250)는, 마이크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수록, 출력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 별 게인이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위상 게인 조정부(250)는, 출력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각 주파수의 게인이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위상 게인 조정부(250)는, 마이크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좌측 스피커와 우측 스피커의 중간 위치가 아닌 경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 또는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중간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즉, 마이크와, 사용자 사이의 각도가 더 커질수록, 위상 조절시의 위상 보상값의 크기가 더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음장 조정 모드에서의 주파수 밴드 별 게인(gain) 또는 위상의 조정에 의해, 음장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향후,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음장 최적화된 상태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서브 밴드 합성부(subband synthesis unit)(255)는, 주파수 밴드별로 상기 위상 또는 게인 조정된 오디오 신호를 서브 밴드 합성 필터링한다.
서브 밴드 합성부(255)는, 주파수 밴드별로 위상 또는 게인 조정된 오디오 신호를 서브 밴드 합성 필터링한다. 즉, 서브 밴드 합성 필터 뱅크를 구비하여, 개의 서브 밴드 또는 64개의 서브 밴드 등으로 구분된 서브 밴드를 합성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깊이에 따라, 음상 정위, 위상 조정, 게인 조정 등이 수행된, 멀티 채널의 오디오 신호(multi-channel audio output)가 출력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장치는, 영상표시장장치(300)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장 최적화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오디오 처리 장치가 구비되는 영상표시장치(300)의 내부 블록도를 예시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300)는, 방송 표시 가능한 티브이(TV), 모니터,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표시장치(300)로서, 방송 표시가 가능한, 티브이(TV)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방송 수신부(3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0), 저장부(3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370), 디스플레이(380), 오디오 출력부(3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305)는, 튜너부(310), 복조부(3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310)와 복조부(3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310)와 복조부(3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310)는,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320)는 튜너부(3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3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3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3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3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0)는, 접속된 외부 장치(3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5)는, 영상표시장치(3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저장부(340)는, 제어부(3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저장부(340)는,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는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신호, 핑크 노이즈 신호 등일 수 있다.
도 4의 저장부(340)가 제어부(3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340)는 제어부(3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3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제어부(370)는, 튜너부(310) 또는 복조부(3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3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음장 조정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음장 조정 모드에서의, 음장 조정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저장부(340)에 저장되거나, 자체 생성되는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375)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된 오디오 신호,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 및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음장(sound field)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70)는,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 및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출력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 별 게인(gain)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70)는, 출력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각 주파수의 게인이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70)는, 마이크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좌측 스피커와 우측 스피커의 중간 위치가 아닌 경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 또는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중간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즉, 마이크와, 사용자 사이의 각도가 더 커질수록, 위상 조절시의 위상 보상값의 크기가 더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음장 조정 모드에서의 주파수 밴드 별 게인(gain) 또는 위상의 조정에 의해, 음장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향후,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음장 최적화된 상태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3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마이크(375)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오디오 출력부(385)에서,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한다. 이때, 수집되는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는, 다중 채널 모드(Multi channel mode)의 오디오 신호(audio signal)일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375)는 수집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오디오 출력부(385)는, 제어부(3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는 복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부(385)는, 상술한 도 1과 같이, 전면 좌,우 스피커(151,152), 서라운드 좌,우 스피커(153,154), 센터 스피커(155), 및 우퍼(15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오디오 출력부(385)는, 음장 조정 모드 진입시, 음장 조정용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로 송신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3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3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원격제어장치(200)의 키 버튼, 또는 그 움직임 동작 등에 의해, 음장 조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3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3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4의 도시된 튜너부(310)와 복조부(3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370)는, 역다중화부(510), 오디오 처리부(515), 영상 처리부(520), 프로세서(530), OSD 생성부(540), 믹서(5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0), 포맷터(5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5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5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310) 또는 복조부(3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515)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515)는 다양한 오디오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515)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에와 관련하여, 자동으로 음장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515)는, 도 3과 같이, 음상 정위부(235), 이퀄라이제이션부(240), 서브 밴드 분석부(245), 위상 게인 조정부(250), 및 서브 밴드 합성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515)의 동작은, 도 2 내지 도 5 등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5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520)는, 영상 디코더(525), 및 스케일러(5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5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5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3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5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해당 규격의 디코더에 따라 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530)는, 영상표시장치(300) 내 또는 제어부(3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음장 조정 모드에서의 음장 조정 오디오 신호 처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5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음장 조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오에스디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장 조정 모드용 유저 인터페이스 등은, 디스플레이(380)에 표시되게 된다.
믹서(545)는, OSD 생성부(5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5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5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5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가변하거나, 별도의 변환 없이, 바이패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으로 변환하거나, 3D 영상 포맷을 변경하거나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 포맷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어부(3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3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0), 및 포맷터(560)는 제어부(3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홈씨어터 시스템,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표시장치를 중심으로 실시예들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300)는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화면의 좌우에 전면 좌,우 스피커(611, 612)를 구비하거나, 화면의 하단에 좌,우 스피커(621, 6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300)는 3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하거나, 예시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스피커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300)는 2채널의 스피커 환경에서 음상 정위(sound image localization) 기능과 사운드 믹싱(sound mixing) 기능을 이용하여 4채널 및 5.1채널의 입체 음향을 생성하는 버추얼 서라운드 음향( virtual surround sound)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로는 전방의 2채널 스피커밖에 존재하지 않지만 청취자는 4채널이나 5.1채널의 환경에서 음향을 감상하는 것 같이 느끼게 된다. 2채널의 스테레오 음향을 음원으로 받아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주파수 반응을 구면좌표계상의 모든 방향에 대해 측정하여 만든 3차원적인 함수, 머리 전달 함수를 활용하여, 주파수를 필터링하고, 볼륨을 조절하며, 위상차를 만들어 실제 사운드가 인간의 귀에 도달하는 방식을 그대로 흉내 내어 가상의 입체감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8 내지 도 14는 도 7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고,(S710) 상기 분석에 기초한 결과 데이터를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의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S720)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되는 소스로부터 비디오 신호(810)와 오디오 신호(82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거나,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채널 분리하거나, 복호화 또는 채널 분리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별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별 계수를 조정하거나, 주파수 밴드별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 단계(S710)는, 상기 분석에 기초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장르별로 분류된 패턴 데이터들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저장부(340)에는 음악, 보이스(voice), 영화, 스포츠 등 컨텐츠 장르 별로 표준화된 오디호 신호의 패턴 또는 수치 데이터들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장르별 패턴 데이터들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제조사를 통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비교 단계(S710)에서 제어부(37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장르 속성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 단계(S710)에서 제어부(370)는 상기 분석에 기초한 결과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장르별로 분류된 패턴 데이터들과의 유사도(통계적 확률)를 판별할 수 있다.
도 9는 오디오 신호의 에너지 변화 및 주파수 분포에 따른 장르 특징을 간단히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에너지 변화는 음압레벨이 변화하는 빈도수를 나타낸 것이다. 즉, 자주 음압레벨이 바뀔수록 에너지 변화가 크게 나타낸다.
도 9의 예에서는, 컨텐츠의 장르를 음악(music), 보이스(voice), 영화(cinema)의 3종류 장르로 분류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보이스(voice)는 에너지 변화가 크고 주파수 영역은 좁다. 음악(music)의 경우에는, 에너지 변화가 작고 주파수 영역은 넓고, 영화(cinema)의 경우는, 에너지 변화는 중간이고 주파수 영역은 넓다. 따라서, 오디호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성분 분석 및 변화 분석하고, 기저장된 데이터들과 수치 또는 패턴을 비교하여 장르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0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820)를 분석하여 보이스 표준 패턴(a), 음악 표준 패턴(b), 영화 표준 패턴(c)과 통계적으로 비교 및 판단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체 확률을 100%로 가정했을 때,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보이스 표준 패턴(a)은 20%, 음악 표준 패턴(b)은 20%, 영화 표준 패턴(c)은 60% 정도가 유사하다고 판별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70)는 디스플레이(380)에 상기 비교 결과를 표시하고(S730),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소정 음장 모드를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40) 음장 모드를 적용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 결과 표시 단계(S730)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장르별 유사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장르별 유사도는 업데이트(update)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입력 소스의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1110)이 디스플레이(380)에 표시되고, 디스플레이(380)의 일영역에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장르별 유사도를 비교 결과(1120)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교 결과(1120)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어떻게 분석했는지, 어떤 음장 모드를 적용할 지 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장르별 유사도 등 비교 결과(1120)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 결과(1120)의 내용은 계속해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 결과 표시 단계(S730)에 표시되는, 결과 UI(1120)에 포함되는 장르의 종류, 개수,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는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비교 결과 표시 단계(S730)는, 상기 오디오 신호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별된 장르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판별된 장르에 대응하는 음장 모드의 자동 적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소정 영상(1210)이 디스플레이(380)에 표시되고, 디스플레이(380)의 일영역에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장르별 유사도를 비교 결과(1220)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비교 결과(1220)는 판정된 장르, 'cinema mode'만을 표시하거나, 다른 메시지 또는 항목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시점에 음장 모드가 적용되는지를 표시하거나,(1221) 즉시 판정된 장르에 대응하는 음장 모드 적용을 승인할 수 있는 메뉴 항목(1222), 음장 모드의 자동 적용을 취소할 수 있는 메뉴 항목(1223)들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소정 항목(1222, 1223)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원격제어장치(200)에 확인, 취소 등에 할당된 핫키를 통하여 소정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음장 모드는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열화를 보상하여 그의 제작시 원음을 채집한 현장에서 재현하는 효과를 줌으로써, 평면적 음향을 입체적으로 만들어 현장감을 살려줄 수 있다.
기존에는 컨텐츠에 따라 사용자가 영화, 음악 등 음장 모드를 매번 설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사용자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컨텐츠에 따라 직접 대응하는 음장 모드를 설정 메뉴에서 변경하거나, 적용하고자 하는 음장 모드를 직접 설정해야 했다. 예를 들어 웅장한 느낌을 원하면 시네마 모드, 박진감을 원하면 스포츠 모드, 생생한 느낌을 원하면 게임 모드 등을 수동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음악, 영화, 뉴스, 게임 모드 등을 아우르는 통합적이며, 모든 컨텐츠에서 항상 동작하는 음장 모드를 제공한다. 또한, 컨텐츠와 컨텐츠간 음장 모드 천이가 자연스럽게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분석 판독하여 소정 장르로 분류하고 자동으로 적합한 음장 효과를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최적의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장 모드 적용 단계(S740)는, 출력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 별 게인(gain)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소정 장르 별로 설정된 음장 모드에서 가장 적합한 주파수 밴드 별 게인(gain) 또는 위상값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장르 별로 설정된 음장 효과 설정값 중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장르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적용할 수 있다. 각 주파수 밴드별로 그 크기(amplitude) 또는 위상, 다양한 이퀄라이저 설정값을 파라미터 별로 더 세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오디오 신호의 장르를 대사가 중요한 보이스 모드로 판별한 경우에, 목소리 왜곡 없이 최대한 보이스가 자연스럽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370)는 음상 정위를 조정하거나, 보이스 성분을 증폭하거나, 다른 성분을 필터링하는 등의 오디오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대사 부분만을 추출하여 대사부분과 배경음악 혹은 효과음 부분의 음장 효과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오디오 신호의 장르를 음악 모드로 판별한 경우에, 저음과 고음 대역을 강조하여 사운드 스테이지(sound stage)를 넓히면서, 서라운드(surround) 효과, 에코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오디오 신호의 장르를 영화 모드로 판별한 경우 서라운드 효과 외에 추가로 버추얼 서라운드 효과를 더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보이스 표준 패턴(a)은 20%, 음악 표준 패턴(b)은 20%, 영화 표준 패턴(c)은 60% 정도가 유사하다고 판별된 경우, 제어부(370)는 영화 음장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좌,우 써라운드 외에 추가로 버추얼 서라운드 효과를 더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장르 별로 설정된 음장 효과 설정값들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혼합하여 생성한 설정값을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각 유사도에 비례하도록 음장 효과를 혼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장르는 하나의 장르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영화 몇 %, 음악 몇 %, 목소리 몇 %등의 복합 신호로 결정될 수 있다. 각 장르에 대해서 이미 프리셋(preset)된 음장 효과가 있고, 각 장르 별 비중에 의해 프리셋 음장 효과의 강도가 정해지고 모든 프리셋preset 음장 효과가 각자 비중으로 혼합(mix)되어 전체 음장 효과가 될 수 있다. 이 프리셋은 보이스일 때는 보이스가 명료하게 들리는 EQ나 목소리 부분을 추출해서 명료하게 하는 알고리듬을 사용한 설정, 음악일 때는 사운드 스테이지(sound stage)가 넓어지며 저음감, 고음감 및 목소리가 좋아져 라이브(live)의 생생한 음악을 전달하는 음장 효과, 영화나 스포츠 등에서는 서라운드(surround) 효과 등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표시된 비교 결과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세부 설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예시된 비교 결과(1120)를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선택하면 설정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기타 원격제어장치(200)의 핫키 입력 등을 통하여 설정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 화면은 자동 음장 변경 모드의 적용 여부를 켜거나 끌 수 있는 설정 항목(1310), 이용하는 스피커의 형태를 설정하는 항목(1320), 이용할 음장 모드의 종류, 가중치를 보여주고, 추가, 삭제, 변경이 가능한 설정 항목(13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설정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판별한 장르의 유사도가 동일한 경우에 어느 모드를 우선 적용할 지를 상기 가중치 설정에 추가 또는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피커 설정 항목(1330)도 연결된 스피커에 따라 자동 적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컨텐츠 속성을 분석한 후 주요 카테고리로 분류해서 그에 맞는 최적의 사운드(sound)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음악 프로그램(1410)에는 음악 모드(1411)를 적용하고, 뉴스 프로그램(1420)에는 보이스 모드(1421), 영화 프로그램(1430)에는 영화 모드(1431)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EPG, 메타데이터 등을 통하여 컨텐츠의 속성을 파악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음장 모드 적용 단계(S740)는,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에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복수의 음장 모드를 변경하면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프로그램의 경우에, 가수가 말을 하는 부분이 있고, 노래를 하는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가수가 말을 하는 부분에는 보이스 모드를 적용하고, 노래를 하는 부분에는 음악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에 따라 사용자가 음장 모드를 매번 설정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으면 제공되는 음장 효과를 활용하지 못하는데, 자동으로 컨텐츠에 따라 효과를 주기 때문에 음장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오디오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 오디오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표시장치, 오디오 처리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3)

  1.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에 기초한 결과 데이터를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소정 음장 모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분석에 기초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장르별로 분류된 패턴 데이터들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분석에 기초한 결과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장르별로 분류된 패턴 데이터들과의 유사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장르 속성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표시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별된 장르의 명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표시 단계는, 상기 판별된 장르에 대응하는 음장 모드의 자동 적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표시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장르별 유사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장르별 유사도는 업데이트(updat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표시 단계에 표시되는, 장르의 종류, 개수,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는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비교 결과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세부 설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장 모드 적용 단계는, 출력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밴드 별 게인(gain)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장 모드 적용 단계는, 장르 별로 설정된 음장 효과 설정값들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혼합하여 생성한 설정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장 모드 적용 단계는,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에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복수의 음장 모드를 변경하면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002564A 2013-01-09 2013-01-09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90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564A KR20140090469A (ko) 2013-01-09 2013-01-09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564A KR20140090469A (ko) 2013-01-09 2013-01-09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469A true KR20140090469A (ko) 2014-07-17

Family

ID=5173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564A KR20140090469A (ko) 2013-01-09 2013-01-09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04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434A (ko) * 2014-09-16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디오 시스템의 이퀄라이저 제어 방법
KR20160002319U (ko) * 2015-01-06 2016-07-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
US9812168B2 (en) 2015-02-16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back image data
CN111432273A (zh) * 2019-01-08 2020-07-17 Lg电子株式会社 信号处理装置和包括该信号处理装置的图像显示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434A (ko) * 2014-09-16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디오 시스템의 이퀄라이저 제어 방법
KR20160002319U (ko) * 2015-01-06 2016-07-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
US9812168B2 (en) 2015-02-16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back image data
CN111432273A (zh) * 2019-01-08 2020-07-17 Lg电子株式会社 信号处理装置和包括该信号处理装置的图像显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8503B2 (en) System for rendering and playback of object based audio in various listening environments
US10725726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igning three-dimensional spatial data to sounds and audio files
TWI489887B (zh) 用於喇叭或耳機播放之虛擬音訊處理技術
CN104937843B (zh) 测量高阶高保真度立体声响复制响度级的方法及设备
JP4913038B2 (ja) 音声レベル制御
US20160315722A1 (en) Audio stem delivery and control
MX2010010195A (es) Aparato de visualizacion que tiene indicacion de coordenada de sonido 3d orientada por objeto.
CN105075295A (zh) 用于生成和渲染具有条件渲染元数据的基于对象的音频的方法和系统
CN102972047A (zh) 用于再现立体声的方法和设备
JP2006025439A (ja) 立体音響を生成する装置及び方法(ApparatusandMethodforCreating3DSound)
Francombe et al. Qualitative evaluation of media device orchestration for immersive spatial audio reproduction
GB2540407A (en) Personal audio mixer
JP2009260458A (ja) 音響再生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映像音声視聴システム
KR20140090469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JP5338053B2 (ja) 波面合成信号変換装置および波面合成信号変換方法
KR102468799B1 (ko)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그 컴퓨터프로그램제품
Herre et al. MPEG-H 3D audio: Immersive audio coding
JP6647063B2 (ja) 音声信号の特性調整装置、及び、音声信号の特性調整プログラム
US20240163626A1 (en) Adaptive sound image width enhancement
US20230421981A1 (en) Reproducing device, reproduc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00027713A (ko) 홈시어터 시스템의 사운드 셋팅 장치 및 방법
US20240163629A1 (en) Adaptive sound scene rotation
US20230269552A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0118977A (ja) 音像定位制御装置および音像定位制御方法
KR20160077284A (ko)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 및 그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