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733B1 - 동박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동박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733B1
KR101545733B1 KR1020130154819A KR20130154819A KR101545733B1 KR 101545733 B1 KR101545733 B1 KR 101545733B1 KR 1020130154819 A KR1020130154819 A KR 1020130154819A KR 20130154819 A KR20130154819 A KR 20130154819A KR 101545733 B1 KR101545733 B1 KR 101545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pper foil
moving member
heat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768A (ko
Inventor
이정인
이주연
윤소희
Original Assignee
이정인
이주연
윤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인, 이주연, 윤소희 filed Critical 이정인
Priority to KR102013015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7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박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속이 비고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 가능하며 기판에 대하여 동박을 누르는 누름면을 구비한 금속의 프레스 부재; 상기 프레스 부재에 수용되는 히터;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동박이 손상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동박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새로운 동박을 부착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동박부착장치{COPPER FOIL ATTA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동박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동박이 손상되었을 경우 간편하게 새로운 동박을 부착시킬 수 있는 동박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실습용 PCB 기판(일명 "만능기판", 이하 "기판"이라 함)은 각종 전기부품이 설치되는 실장면과, 전기배선을 위한 동박면으로 구성된다(도 1 참조).
동박면은 상기 전기부품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자를 도선을 이용하여 납땜으로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 둘레에는 땜납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동박이 열압착되어 있다.
그런데, 평소 기판제작을 위한 실습시 납땜을 하는 도중 납땜기의 온도조절을 잘못하거나 납땜 인두를 능숙하게 다루지 못한 관계로 동박을 태우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경우, 동박이 손상되지 않은 다른 삽입공에서 납땜을 진행하거나 다른 삽입공에 있는 동박을 떼어내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삽입공에서 납땜을 진행하면 회로가 바뀔 수 있어서 전체 회로를 다시 점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다른 삽입공에 있는 동박을 떼어내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작업 자체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패하기도 쉬운 단점이 있었다.
-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51219호(2000.08.16) : 고주파 회로 시험용 기판 구조 - 선행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1090197호(2011.11.30) : 칩온 필름용 동박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동박이 손상되었을 경우 간편하게 새로운 동박을 부착시킬 수 있는 동박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박부착장치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속이 비고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 가능하며 기판에 대하여 동박을 누르는 누름면을 구비한 금속의 프레스 부재;
상기 프레스 부재에 수용되는 히터;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는 세라믹 히터 또는 또는 전기저항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프레스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이동수용편; 및,
상기 이동수용편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수용편의 둘레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면접촉하는 가이드편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편의 아래와 상기 케이스 하단의 제2턱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턱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스 부재 선단의 누름면은 원뿔면과, 상기 원뿔면의 둘레에 형성된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원뿔면의 첨단은 상기 케이스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와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전선이 상기 이동부재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동박이 손상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동박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새로운 동박을 부착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박이 손상된 경우 새로운 기판을 구입하는 대신 동박을 부착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만능 기판의 실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일반적인 만능 기판의 동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부착장치의 종단면도로서, 동박의 압착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부착장치의 종단면도로서, 동박을 압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동박을 포함하는 스티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박부착장치(10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속이 비고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부재(200), 상기 이동부재(200)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 가능하며 기판(S)에 대하여 동박(C)을 누르는 누름면(330)을 구비한 금속의 프레스 부재(300), 상기 프레스 부재(300)에 수용되는 히터(400), 및 상기 이동부재(200)를 상기 케이스(100)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히터(400)는 세라믹 히터 또는 전기저항 히터일 수 있으나 공지된 다른 히터가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00)는, 상기 프레스 부재(300)의 일부를 수용하는 이동수용편(210) 및, 상기 이동수용편(210)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130)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누름편(22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200)는, 상기 이동수용편(210)의 둘레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면에 면접촉하는 가이드편(230)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500)은 상기 가이드편(230)의 아래와 상기 케이스(100) 하단의 제2턱부(1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편(230)을 통해 프레스 부재(300)가 케이스(100) 내에서 흔들림 없이 이동하여 동박(C)을 누름으로써 동박 부착작업에서의 불량이 최소화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편(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턱부(1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스프링(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 턱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500)은 상기 이동부재(200)를 감싸는 상태로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평상시에 상기 케이스(100)의 제2 턱부(120)에 대하여 가이드편(230)을 탄성적으로 미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 부재(300) 선단의 누름면(330)은 원뿔면(310)과, 상기 원뿔면(310)의 둘레에 형성된 수평면(3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뿔면(310)은 상기 동박(C)에 형성된 구멍(C1)에 삽입되어 상기 구멍(C1)을 확장시키면서 상기 동박(C)을 기판(S)의 삽입공(H) 내면으로 절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수평면(320)은 상기 동박(C)을 기판(S)에 대하여 압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원뿔면(310)의 첨단은 상기 케이스(100)의 타단(120)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교체할 동박(C)의 구멍(C1)에 미리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재(200)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있어 프레스 부재(300)로부터 발생한 열의 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대신 내열성이 있으며 열적 절연체로 사용되는 공지의 소재를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재(200)가 케이스(100)의 하단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프레스 부재(300)로부터 발생한 열이 스프링(500)이나 케이스(100)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 열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400)와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전선(430)이 상기 이동부재(200)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200)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치(440)가 설치될 수 있다.
실제로 동박(C)을 기판(S)에 부착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열지(P)에 동박(C)이 다수 개 부착된 스티커(600)를 기판(S)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동박부착장치(1000)를 작동시켜서 열압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먼저 동박부착장치(1000)를 구성하는 프레스 부재(300)의 원뿔면(310)과 스티커(600)의 동박(C)에 형성된 구멍(C1) 및 기판(S)의 삽입공(H)을 정렬시킨다.
그리고 스위치(440)를 켠 후,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이동부재(200)의 누름편(220)을 눌러서 프레스 부재(300)가 동박(C)을 눌러서 기판(S)에 열압착되도록 한다.
다음, 누름편(220)으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스프링(500)이 복원되어 프레스 부재(300)가 약간 상승하면서 동박(C)으로부터 분리된다. 엄밀하게는, 프레스 부재(300)가 동박(C)에 부착된 내열지(P)로부터 분리되며, 마지막으로 동박(C)으로부터 내열지(P)를 떼어내면 동박의 부착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케이스
200... 이동부재
300... 프레스 부재
400... 히터
500... 스프링
600... 스티커

Claims (11)

  1.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속이 비고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 가능하며 기판에 대하여 동박을 누르는 누름면을 구비한 금속의 프레스 부재;
    상기 프레스 부재에 수용되는 히터;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프레스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이동수용편;
    상기 이동수용편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누름편; 및,
    상기 이동수용편의 둘레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면접촉하는 가이드편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턱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 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편의 아래와 상기 케이스 하단의 제2턱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세라믹 히터 또는 또는 전기저항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부착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부재선단의 누름면은 원뿔면과, 상기 원뿔면의 둘레에 형성된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원뿔면의 첨단은 상기 케이스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부착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부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부착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전선이 상기 이동부재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부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부착장치.
KR1020130154819A 2013-12-12 2013-12-12 동박부착장치 KR101545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819A KR101545733B1 (ko) 2013-12-12 2013-12-12 동박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819A KR101545733B1 (ko) 2013-12-12 2013-12-12 동박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768A KR20150068768A (ko) 2015-06-22
KR101545733B1 true KR101545733B1 (ko) 2015-08-20

Family

ID=5351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819A KR101545733B1 (ko) 2013-12-12 2013-12-12 동박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424A (zh) * 2019-03-20 2019-05-28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应变测试的锡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768A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3111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receiving lead terminal in printed wiring board
JP4979288B2 (ja) 熱圧着ヘッドを用いた実装方法
JP2009512203A (ja) 冷却アッセンブリを備えたic構成素子
WO2003010856A3 (en) Self-adjusted subminiature coaxial connector
WO2020182753A3 (en) Aerosol provision device
KR101545733B1 (ko) 동박부착장치
JP2011159446A (ja) 実装部品、電子機器および実装方法
JP5737252B2 (ja) 回路装置とその製造方法
EP2814307A1 (en) Bus bar
WO2002097860A3 (en) Connector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med of material exhibiting physical-memory characteristics
KR20180057844A (ko) 전기접속단자
KR102629270B1 (ko) 온도 퓨즈 및 이에 적용되는 인쇄회로기판
CN101449433B (zh) 连接器
JP2006319265A (ja) プリント配線基板用表面実装部品取外し装置及び該表面実装部品取外し装置を使用可能なプリント配線基板並びに該プリント配線基板の表面実装部品取外し方法
CN202650918U (zh) 一种微动开关
US6580349B2 (en) Guiding device for guiding conducting wire soldered on printed circuit board
JP3194441U (ja) 温度ヒューズデバイス
JP2006245108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接続方法および接続構造
JP5885475B2 (ja) 半田ごて
JP2019050231A (ja) 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KR100808479B1 (ko) 인쇄회로 기판용 커넥터 핀
CN107633983A (zh) 一种pcb表面贴装式预张紧保险丝
ATE479319T1 (de) Diskrete elektronische komponente und montagemethode dafür
CN206639997U (zh) 一种pcb焊接式水晶头
JP3011621U (ja) スピーカ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