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557B1 -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 - Google Patents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557B1
KR101545557B1 KR1020140057873A KR20140057873A KR101545557B1 KR 101545557 B1 KR101545557 B1 KR 101545557B1 KR 1020140057873 A KR1020140057873 A KR 1020140057873A KR 20140057873 A KR20140057873 A KR 20140057873A KR 101545557 B1 KR101545557 B1 KR 101545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wash
vehicle
booth
blocking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목
Original Assignee
안상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목 filed Critical 안상목
Priority to KR102014005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차장에서 사용하는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이용자에게는 세차장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함으로써 쾌적하고 독립적 공간을 제공하는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차장에 다수개로 설치된 세차부스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입구 천장에는 롤(Roll) 형태로 권취된 후 모터의 작동으로 하강하며 펴지는 차단막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막이 설치되는 세차부스의 입구측에는 진입차량이나 물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를 형성하며, 상기 세차부스의 내부 중앙 측에는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를 형성하여, 상기 제1감지센서에 차량이나 물체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동시에 제2감지센서에는 진입한 차량을 지속적으로 감지한 임의의 설정시간이 되면 차단막은 세차부스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하강 작동하고, 세차부스에서 차량이 이탈한 시점 즉, 제2감지센서에 차량이 감지되지 않아 감지가 해제되면 임의의 설정시간 후 차단막은 세차부스의 내부를 개방하도록 상승 작동하게 함으로써; 차단막을 가동시켜 세차시 발생하는 물의 비산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Water car wash equipment skimp screening position}
본 발명은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프세차장에서 차량을 세차할 시 사용하는 물이 세차장 근처를 지나가는 보행자에게 물보라로 씌워지거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을 세차하는 이용자의 민망스런 광경이나 세차장 앞을 지나가면서 들여다보는 사람들의 시야로부터 차단하는;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학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기반시설인 도로망이 사통오달로 통하는 작금에, 자동차는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처럼 사람의 발품을 대신하여 주는 아주 편리한 교통수단이 되었습니다. 생활이 풍요로워짐에 따라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개인적으로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형편과 사정이 허락하는 한 모두가 차량을 소유하는 오너가 되어, 어디든지 일일생활권으로 볼일을 보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옷이 때가 타면 세탁을 하고, 사람도 일상생활에서 날마다 세수를 하고 손발을 씻듯이 차량도 오염되거나 더러우면 세차를 주기적으로 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차량소유자는 주유소에서 고속회전솔에 의한 마찰로 야기되는 차량도장면의 스크래치(잔기스)를 감수하면서까지 편리한 자동세차기를 이용하거나 비싼 요금을 지불하는 손세차장에 차량을 맡겨서 차량세차를 하는데; 차량을 아끼는 운전자와 세차비용을 보다 경제적으로 사용하는 분들은 셀프세차장에서 자가로 차량세차를 합니다.
최근에 들어서는 차량의 고급화로 잔기스를 우려하는 주유소 자동세차를 꺼리는 운전자들이 많아지고 직업의식보다는 이윤만 추구하는 손세차장의 서비스가 불만인 운전자들이 부쩍 늘어나면서, 오히려 자가로 차량세차를 하는 것이 차량을 더 깨끗이 세차하고 차량내부를 더 세밀히 청소할 수 있다는 셀프세차의 장점으로 많은 운전자들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셀프세차장을 더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셀프세차장의 구조는 연립형태의 부스구조물로 되어있으며, 이 부스구조물 내부에서 차량세차를 하도록 세차설비가 시설된 관계로 차량진입은 주로 대로변에서 인도를 점유하여 들어가도록 되어있습니다. 또한 차량세차를 하는 부스구조물이 도로변에서 인도가장자리에서 불과 몇 미터 떨어지지 않은 관계로 분사건을 사용하면, 세차를 위한 물분사 시에 약간의 미풍만으로도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물이 날려갈 수 있는 소지가 다분하였고, 보행자의 민원이 야기가 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종래 기술에 따른 셀프세차장의 세차부스는 차량이 진출입하는 통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세차시는 개방된 통로를 통하여 물이 비산되어 근처를 지나가는 보행자 등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차량의 진입이나 이탈을 감지하여 차단막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세차시 발생하는 물의 비산방지 및 도로변이나 인도에서 세차부스를 들여다보는 외부 사람들의 시야를 차단함으로써, 세차작업을 위한 이용자들에게 보다 안락한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해주는 차단막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특허출원 제10-2012-0037477호 (셀프세차용 거품발포장치) 2. 특허출원 제10-2012-0026779호 (셀프 세차장의 세차부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진입과 이탈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차단막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막을 가동시켜 세차시 발생하는 물의 비산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단막을 가동시켜 도로변을 지나는 차량 내부의 사람 및 인도를 지나는 보행자들이 세차장 안을 들여다보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세차작업자의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차장에 다수개로 설치된 세차부스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입구 천장에는 롤(Roll) 형태로 권취된 후 모터의 작동으로 하강하며 펴지는 차단막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막이 설치되는 세차부스의 입구측에 진입차량이나 물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를 형성하며, 상기 세차부스의 내부 중앙 측에는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를 형성하여, 상기 제1감지센서에 차량이나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감지센서에 임의의 설정시간 동안 차량이 감지되면 차단막은 세차부스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하강 작동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에 차량이 감지되지 않아 감지가 해제되면 임의의 설정시간 후 세차부스의 내부를 개방하도록 차단막을 상승 작동하게 구성하고,
상기 차단막은 감겨지는 폭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보강대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차단막 자동개폐방식과 병행하여, 감지센서의 고장이나 차단막이 자동개폐되지 않는 등의 기타 사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직접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방식을 함께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진입과 이탈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차단막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단막을 가동시켜 세차시 발생하는 물의 비산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막을 가동시켜 외부 사람들의 시야를 차단함으로써, 세차작업 사용자의 독립적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차단막 자동개폐방식과 병행하여,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직접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감지센서의 고장이나 차단막이 자동개폐되지 않는 등의 기타 사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조작부와 보조조작부, 감지센서 및 모터의 신호전달 연결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감지센서가 세차부스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감지센서가 세차부스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이 적용된 세차부스에서 차량이 이탈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이 상승하여 세차부스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이 강풍에 의해 휘어져 바람을 빠져나가게 해주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이 적용된 세차부스에 차량이 진입하는 과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이 적용된 세차부스에서 차량이 이탈하는 과정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는 세차부스(10)에 설치되는 모터(21), 상기 모터(21)의 작동으로 승/하강하는 차단막(20),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30), 차량의 부재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40), 상기 차단막(20)의 자동/수동 조작을 위한 보조조작부(50), 각종 전원 및 제1,2감지센서(30)(40)의 동작여부를 표시하고 판단하는 메인조작부(60)로 차단막장치(100)가 구성된다.
먼저, 세차장에 다수개로 설치된 상기 세차부스(10)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입구 천장에는 롤(Roll) 형태로 권취된 후, 정역으로 회전하는 모터(21)의 작동으로 상승/하강하며 접히고 펴지는 차단막(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차단막(20)은 세차부스(10)의 입구측 일부 천장프레임(11)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모터(2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2)에 의해 감겨지고 펴진다.
상기 모터(21)는 정역회전하는 정역모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외부의 돌출상황이나 감지센서의 오작동 등으로 인한 과도한 운전에 대비하여 과부하보호장치가 내장된 구조로 설계하고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20)에는 감겨지는 폭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강대(23)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대(23)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보강대(23)는 기둥(12)에 설비된 가이드(13) 내측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고, 강풍이나 어떠한 조건에서도 가이드(13) 밖으로 밀려나지 않을 무게가 있고 튼튼한 강봉 형태로 차단막(20)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2)과 최하부 보강대(23) 사이에 위치하는 나머지 보강대(23)들은 미풍에는 가이드(13) 내측을 따라 오르내리고 강풍에는 바람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가이드(13) 바깥으로 밀려나는 유연성 있는 납작한 형태의 스텐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회전축(22)에 차단막(20)과 함께 접혀서 돌돌 말릴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하며, 물론 상기 차단막(20)도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축(22)의 양측에는 기둥(12)을 따라 내측에 가이드(13)가 설치되는데, 차단막(20) 중간에 설치된 보강대(23)들이 가이드(13) 내측 홈을 따라 회전축(22)의 하방에서 오르내리며 차단막(20)의 이송을 원활하게 해준다.
즉, 상기 회전축(22)과 최하부 보강대(23) 사이에 있는 보강대(23)들은 미풍에는 가이드(13) 내측을 따라 오르내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풍에는 바람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가이드(13) 바깥으로 밀려나는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20)은 세차부스(10)의 출구측에서 들어오는 강풍은 막으면서 세차부스(10)에서 출구쪽 즉, 도로쪽 인도로 강풍이 부는 경우에는 세차시 발생하는 물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상기 강풍에 의해 틈이 벌어진 차단막(20)과 기둥(12) 사이에 형성된 측면 공간으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타인의 피해를 방비하고 이용자의 차량 세차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또한, 통상적인 운전상태 즉, 상기 차단막(20)이 상승하여 회전축(22)에 감겨질 때는 가이드(13) 상방 끝부분이 열려있는 관계로 회전축(22)을 따라 잘 권취되었다가, 차단막(20)이 하강할 때는 가이드(13) 내측 홈을 따라 최하부 보강대(23)에 위치하는 강봉의 무게에 의해 중력을 받아 평평하게 펴진다.
더불어, 상기 보강대(23)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보강대(23)는 차단막(20) 내부에 설치된 강봉에 의해 차단막(20)이 상승할 때 회전축(22)에 돌돌 말리지 않는 것으로서 차단막(20))의 정지선 즉, 끝선이 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막(20)이 상승할 때는 보강대(23)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보강대(23)가 회전축(22)에서 10cm 떨어진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20)이 하강할 때는 보강대(23)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보강대(23)가 지면에서 10cm 떨어진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20)이 설치되는 세차부스(10)의 입구측에 진입차량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3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1감지센서(30)는 입구 쪽 기둥(12)의 하부측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시 감지상태를 유지하며 차량의 진입으로 세차작업상황을 판단하는 제2감지센서(40)와 연계하여 차단막(20)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세차부스(10)의 내부 중앙측에는 진입한 차량의 정차시간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40)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2감지센서(40)는 세차부스(10)의 내부공간 중앙 내벽면이나 바닥면 혹은 천장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제1감지센서(30)와 제2감지센서(40)에 의해 차량진입과 차량정차시간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임의의 설정된 시간을 바탕으로 차단막(20)이 하강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세차부스(10)의 세차작업명령을 제어하는 코인기와 근접하여 사용자나 이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차단막(20)을 자동/수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보조조작부(50)를 구성하는데, 상기 보조조작부(50)에는 모터(21)를 작동시켜 차단막(20)을 개폐하는 작업을 사람이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수동과 감지센서에 의해 조작되는 자동 즉, 수동/자동 전환스위치(51)가 형성되고, 수동전환상태에서 차단막(20)의 열림을 위한 열림스위치(52)와 차단막(20)의 닫힘을 위한 닫힘스위치(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차부스(10)의 상부 일측에는 본 발명의 일체를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조작부(60)가 구성된다. 상기 메인조작부(60)에는 전원공급 관련된 파워스위치(61), 제1감지센서(30)의 작동여부를 표시하는 제1표시등(62), 제2감지센서(40)의 작동여부를 표시하는 제2표시등(63), 비상조작을 위한 비상스위치(64) 및 차단막(20)의 승/하강 수동조작이 가능한 업/다운 스위치(65)(66), 수동 및 자동으로 전환이 가능한 조작레버(67)가 형성된다.
즉, 상기 차단막장치(100)는 제1감지센서(30)에 세차부스(10)에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된 후 제2감지센서(40)에 차량정차를 판단케 하는 임의의 설정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제1감지센서(30)에 차량이나 기타 물체의 감지가 없는 상태에서 세차부스(10)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차단막(20)을 하강 작동시키고, 상기 차량이 세차를 완료하여 나가면서 제2감지센서(40)에 차량이 감지되지 않아 감지가 해제되면 임의의 짧은 설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세차부스(10)의 내부를 개방하도록 차단막(20)을 상승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장치(100)는 차단막(20)이 회전축(22)에 감겨진 상태로 권취되어 세차부스(10)에 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세차를 위하여 상기 차량이 세차부스(10)로 진입할 경우 제1감지센서(30)에 차량이 감지되면서 메인조작부(60)의 제1감지센서(30) 작동을 나타내는 제1표시등(62)이 점등되며, 상기 차량이 계속 이동하여 제1감지센서(30)를 벗어나면 제1표시등(62)은 점멸된다.
다음으로, 상기 차량이 세차부스(10)의 내부로 깊숙이 진입하는 동안 제2감지센서(40)에 감지되면 메인조작부(60)의 제2감지센서(40) 작동을 나타내는 제2표시등(63)이 점등된다.
이렇게, 상기 제2감지센서(40)에 차량이 감지되는 임의의 설정시간 동안에 상기 제1감지센서(30)에 감지되는 차량 및 물체가 없는 상태에서, 차량정차 시간이 지나 차량주차 후 세차작업을 위한 예비시간이 흘렀다고 판단되는 설정시간치(10~15초)에 도달할 때, 비로소 메인조작부(60)에서 모터(21)를 작동시켜 차단막(20)을 하강하게 하여 세차부스(10)의 입구를 폐쇄함으로써, 세차시 이용하는 고압분사 세차수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안심하고 세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아늑한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세차부스(10) 내에서 세차를 완료한 후 차가 세차부스(10)를 이탈하게 되면 제2감지센서(40)에 차량 감지가 되지 않아 감지가 해제되면서 임의의 설정시간 약 3~4초가 지난 후에, 메인조작부(60)에서 모터(21)를 작동시켜 차단막(20)을 승강시키며 세차부스(10)의 입구를 개방함으로써, 세차를 하기 위한 다음 차량의 진입로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세차부스 11 : 천장프레임
12 : 기둥 13 : 가이드
20 : 차단막 21 : 모터
22 : 회전축 23 : 보강대
30 : 제1감지센서 40 : 제2감지센서
50 : 보조조작부 51 : 전환스위치
52 : 열림스위치 53 : 닫힘스위치
60 : 메인조작부 61 : 파워스위치
62 : 제1표시등 63 : 제2표시등
64 : 비상스위치 65 : 업스위치
66 : 다운스위치 67 : 조작레버
100 : 차단막장치

Claims (5)

  1. 삭제
  2. 세차장에 다수개로 설치된 세차부스(10)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입구 천장에는 롤(Roll) 형태로 권취된 후 모터(21)의 작동으로 하강하며 펴지는 차단막(20)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막(20)이 설치되는 세차부스(10)의 입구측에 진입차량이나 물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30)를 형성하며,
    상기 세차부스(10)의 내부 중앙 측에는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40)를 형성하여,
    상기 제1감지센서(30)에 차량이나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감지센서(40)에 임의의 설정시간 동안 차량이 감지되면 차단막(20)은 세차부스(10)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하강 작동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40)에 차량이 감지되지 않아 감지가 해제되면 임의의 설정시간 후 세차부스(10)의 내부를 개방하도록 차단막(20)을 상승 작동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0)은 감겨지는 폭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보강대(23)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차부스(10)의 일측에는 차단막(20)을 자동/수동으로 작동을 전환시키며, 수동 시 차단막(20)의 열림과 닫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보조조작부(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40057873A 2014-05-14 2014-05-14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 KR101545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73A KR101545557B1 (ko) 2014-05-14 2014-05-14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73A KR101545557B1 (ko) 2014-05-14 2014-05-14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557B1 true KR101545557B1 (ko) 2015-08-20

Family

ID=5406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873A KR101545557B1 (ko) 2014-05-14 2014-05-14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5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302B1 (ko) * 2017-09-13 2017-12-04 이달우 산업용 프레임커버 크리닝 장치 및 크리닝 방법
CN108674381A (zh) * 2018-05-04 2018-10-19 江苏泊朗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洗车房专用无人值守车辆吸尘器
KR20180120111A (ko) * 2017-04-26 2018-11-05 주식회사 씨케이에스 적외선 열처리를 이용하는 무인 셀프 세차 시스템
CN109398324A (zh) * 2018-12-01 2019-03-01 河北曲寨矿峰水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抑制车辆扬尘的洗车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1920A (ja) * 2001-05-08 2002-11-19 Yasui:Kk 洗車機の暖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1920A (ja) * 2001-05-08 2002-11-19 Yasui:Kk 洗車機の暖機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111A (ko) * 2017-04-26 2018-11-05 주식회사 씨케이에스 적외선 열처리를 이용하는 무인 셀프 세차 시스템
KR102074988B1 (ko) * 2017-04-26 2020-02-07 주식회사 씨케이에스 적외선 열처리를 이용하는 무인 셀프 세차 시스템
KR101804302B1 (ko) * 2017-09-13 2017-12-04 이달우 산업용 프레임커버 크리닝 장치 및 크리닝 방법
CN108674381A (zh) * 2018-05-04 2018-10-19 江苏泊朗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洗车房专用无人值守车辆吸尘器
CN109398324A (zh) * 2018-12-01 2019-03-01 河北曲寨矿峰水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抑制车辆扬尘的洗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557B1 (ko) 세차장 물날림 차단막 장치
KR101858538B1 (ko)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
KR101561800B1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KR20130030687A (ko) 스크린도어 안전장치
CN107148507A (zh) 智能型自动关闭门
KR101142521B1 (ko) 다중 슬라이딩 자동문
JP2013213331A (ja) 迷惑駐車防止装置
JP3708497B2 (ja) 混雑状況監視システム
US5855027A (en) Automatic bathroom door and toilet flushing system
KR20170046773A (ko) 엘리베이터 장치
US10100472B2 (en) Moveable boarding bridge
KR101589944B1 (ko) 스크린벨트 차단장치
KR101357476B1 (ko)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IT201900006919A1 (it) Piattaforma elevatrice e impianto elevatore comprendente la piattaforma elevatrice
CN205772704U (zh) 一种电梯安全门
KR101423281B1 (ko) 놀이기구 운행관리 장치
KR101930455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KR102584025B1 (ko) 비데
JP6501335B2 (ja) 透明体領域の情報表示装置
KR101670729B1 (ko) 바닥센서를 이용한 승강장안전시스템
KR102363074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인명구조 소방설비
EP2924191B1 (en) Anti-theft booth particularly for parking spaces for two-wheeled vehicles such as bicycles and the like
US20030034204A1 (en) Fire escape chute for a building
JP2018108868A (ja) 乗客コンベア用プレート収納・敷設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336129B1 (ko) 공동주택 복도 및 계단 공간부에 설치되는 우수 유입 방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