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997B1 -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997B1
KR101544997B1 KR1020140056811A KR20140056811A KR101544997B1 KR 101544997 B1 KR101544997 B1 KR 101544997B1 KR 1020140056811 A KR1020140056811 A KR 1020140056811A KR 20140056811 A KR20140056811 A KR 20140056811A KR 101544997 B1 KR101544997 B1 KR 10154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wheel guard
woven fabric
nonwoven fabric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준우
Original Assignee
제이와이오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와이오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와이오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6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8Parts or details thereof, e.g. mudguard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바퀴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차체인 자동차 휠가드에 장착되어 바퀴에서 튀는 흙, 오염물 또는 물과 같은 이물질에 의한 소음을 줄이기 위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이물질이 휠가드에 튀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주되게 방지하는 부직포와 부직포의 상부에 코팅되어 부직포를 통과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방지하고 부직포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되어 부직포를 적실 수 있는 오염수 또는 기름을 차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의 상부면에 방수성 및 내구성을 발휘하는 방수혼합물이 코팅된 코팅층을 가져, 패드의 상부로 떨어지는 오염수 또는 기름으로 인하여 부직포가 젖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오염수 또는 기름으로 인한 부직포의 젖음을 방지하여 패드의 흡음성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방수혼합물에 포함된 기본수지를 통하여 방수성을 확보하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를 통하여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하여, 패드의 결빙에 의한 내구성 및 오염수 또는 기름으로 인한 패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Pad for wheel guard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바퀴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차체인 자동차 휠가드에 장착되어 바퀴에서 튀는 흙, 오염물 또는 물과 같은 이물질에 의한 소음을 줄이기 위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이물질이 휠가드에 튀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부직포와 부직포의 상부에 코팅되어 부직포를 통과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방지하고 부직포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되어 부직포를 적실 수 있는 오염수 또는 기름을 차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인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는 다수의 단섬유를 서로 얽히게 하여 구성된 부직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로 형성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는 서로 얽힌 섬유 사이에 형성된 무수한 틈새가 이물질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므로, 내충격성이나 방음성(특히 흡음성)을 갖는다. 그러나, 차음 성능이 낮아 방음성능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에 부착된 물이 내부로까지 침투하므로, 물이 언 경우, 얼음이 내부로까지 성장하여 패드가 찢어지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또한 바퀴에서 튕겨진 자갈 등의 충돌, 및 물웅덩이 주행 시 흙물 등의 비산, 충돌 등으로부터 휀더를 보호하기 위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를 이용한 성형품이나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경질(硬質)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를 배합한 경질 섬유판을 이용한 성형품 등이 알려져 있다. 이 경질 섬유판을 이용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는 자갈 등의 충돌에 의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의 변형,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에 있어서 부직포인 것에 비해 우수하다. 그러나, 경질 섬유판 수지는 흡음성능을 갖지 않으며 차음성능이 낮다. 따라서, 엔진소음 및 도로소음이 충분하게 저감되지 않는 현실이였다. 아울러 HDPE수지를 이용한 성형품이나 경질 섬유판으로는 자갈 등의 충돌 및 흙물 등의 비산, 충돌 등의 충격을 사람에게 잘 들리는 주파수역(域)의 음으로 바꾸기 때문에 방음성능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다음은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6-0013468호는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재료를 통해 접착되어 상호 연결된 두 개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음 방출원 쪽으로 향해 있는 부직포는 2 내지 15㎜ 범위 내의 층 두께와, 50 내지 500㎏/㎥ 범위 내의 밀도와, 0.1 내지 5㎏/㎡ 범위 내의 표면적당 중량과, 50 내지 1000kNs/m4 범위 내의 내유동성을 가지며, 또한 음 방출원과 반대쪽으로 향해 있는 부직포는 10 내지 100㎜ 범위 내의 층 두께와, 20 내지 100㎏/㎥ 범위 내의 밀도와, 0.5 내지 1㎏/㎡ 범위 내의 표면적당 중량과, 10 내지 40kNs/m4 범위 내의 내유동성을 가지며, 흡음재의 전체 두께는 12 내지 30㎜ 범위 내이고, 흡음재의 표면적당 전체 중량은 0.5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종래기술은 두께, 밀도, 중량 및 내유동성이 서로 다른 부직포를 중첩시킨 이중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자동차의 주행시에 튀는 오염수 또는 기름으로 인하여 부직포가 젖는 것로 인한 다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는 합성수지 재질의 가는실을 압착하여 만든 부직포로 만들어지고 휠가드의 상부의 일정부분에 하부면이 부착되어, 휠가드로 튀는 이물질에 의한 소음을 흡수하는 목적을 가졌으나, 차체와 휠가드 사이로 유입되어 휠가드용 패드의 상부로 떨어지는 오염수 또는 기름으로 인하여 부직포가 젖어 쉽게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오염수 또는 기름으로 인한 부직포의 젖음과 마름의 반복으로 인하여 패드의 내구성이 떨어져 패드의 흡음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겨울철 부직포 재질의 패드가 오염수 또는 기름을 흡수한 후 결빙되면 얼음으로 인하여 패드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자동차 바퀴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차체에 장착되는 자동차 휠가드에 부착되는 패드에 있어서, 휠가드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부착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상부면에 코팅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EVA),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공중합체 수지 3~7중량부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방수혼합물이 10~50㎛의 두께로 코팅되어 구성되는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는 부직포의 상부면에 방수성 및 내구성을 발휘하는 방수혼합물이 코팅된 코팅층을 가져, 패드의 상부로 떨어지는 오염수 또는 기름으로 인하여 부직포가 젖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오염수 또는 기름으로 인한 부직포의 젖음을 방지하여 패드의 흡음성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방수혼합물에 포함된 기본수지를 통하여 방수성을 확보하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를 통하여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하여, 패드의 결빙에 의한 내구성 및 오염수 또는 기름으로 인한 패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패드가 장착된 자동차 휠가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패드가 장착된 자동차 휠가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패드가 장착된 자동차 휠가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한 패드의 흡음률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자동차 바퀴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차체인 자동차 휠가드에 장착되어 바퀴에서 튀는 흙, 오염물 또는 물과 같은 이물질에 의한 소음을 줄이기 위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바퀴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차체에 장착되는 자동차 휠가드에 부착되는 패드에 있어서, 휠가드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부착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상부면에 코팅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EVA),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공중합체 수지 3~7중량부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방수혼합물이 10~50㎛의 두께로 코팅되어 구성되는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동차용 휠가드(이하, '휠가드'라 함.)는 도 1과 같이 자동차 바퀴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차체에 장착되는 휠가드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바퀴의 회전에 의하여 차체 방향으로 튀는 흙, 오염물 또는 물과 같은 이물질이 휠가드의 내부에 부딪치며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자동차 주행시의 소음을 줄여주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휠가드는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고, 휠가드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본 발명에 의한 패드는 도 2 내지 3과 같이 휠가드가 차체에 장착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휠가드에 부착되고,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휠가드 상부면 전체 또는 일부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의 주된 흡음성을 제공하는 부직포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가는실을 직물형태로 만든 시트로서, 휠가드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부착되어 이물질이 휠가드에 튀면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간섭작용을 하여 소음을 흡수하는 구성이다.
이때, 부직포는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과 같은 일반적인 합성수지 재질(상기에서 기재한 합성수지 재질 이외의 것도 무방)의 것을 모두 이용가능하고, 부직포의 밀도 역시 이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종류 또는 요구되는 흡음성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것을 모두 이용가능하며, 부직포의 두께 또한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것을 모두 이용가능하다.
아울러 코팅층은 상기 부직포의 상부면에 10~50㎛의 두께로 코팅되는 구성으로서, 부직포의 상부에서 부직포 안쪽으로 스며들 수 있는 액체 상의 오염수 또는 기름을 차단하여, 부직포가 젖게 되거나 패드 전체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코팅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EVA),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기본수지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공중합체 수지를 혼합한 방수혼합물을 부직포의 상부면에 코팅시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기본수지는 액상의 형태의 것을 이용하여 고형 또는 액상의 형태를 하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이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의 상부면에 대한 안정적인 코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제시한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부직포의 재질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EVA),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 중에 선택되는 상기 종류의 기본수지는 경화되었을 때 물 또는 기름이 흡수되지 않는 방수성을 가지고, 유연성 및 탄성력을 가져 제조완료된 패드가 곡면의 휠가드에 부착될 때 코팅층이 쪼개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즉, 일반적인 자동차는 주행시에 바퀴의 회전에 의하여, 바퀴에 묻은 오염물질이 포함된 빗물 또는 제설재가 포함된 빙수 등과 같은 오염수가 바퀴의 상부에 위치된 휠가드의 하부에 튀게 되고, 휠가드의 미세한 홀(결합부의 틈 또는 볼트 홀)을 통하여 오염수가 휠가드의 상부로 유출되어, 휠가드의 곡면을 따라 유동되어 휠가드의 상부면에 부착된 흡음용 부직포(휠가드용 패드)를 젖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흡음용 부직포의 반복된 젖음과 마름에 의하여 흠음용 부직포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차체의 주유구 쪽에 위치하는 휠가드의 상부면에 부착된 흡음용 부직포는 주유시에 주유구와 주유건 사이로 유출된 기름이 흡음용 부직포의 상부로 떨어져 흡음용 부직포가 젖고, 기름에 의한 반복된 흠음용 부직포의 젖음과 마름에 의하여 음용 부직포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흡음용 부직포는 대부분은 하부면은 휠가드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고정 부착되기 때문에, 흡음용 부직포의 하부면은 오염수 또는 기름에 대하여 노출되지 않으나 상부면은 오염수 또는 기름에 대하여 쉽게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은 부직포의 상부면에 코팅되어 오염수 또는 기름에 의하여 부직포가 젖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코팅층을 구성하는 방수혼합물의 기본수지가 방수성을 가져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을 실현한다.
아울러 상기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7중량부로 방수혼합물에 혼합되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공중합체 수지는
Figure 112014044548756-pat00001
구조가 반복 구성되는 선형 방향족 폴리머 또는 상기 구조를 기본 구조체로 하는 공중합체 수지로서, 용융점이 대략 343℃를 가져 화기에 대한 열적안정성을 가지고, 더욱이 경화되었을 때 강도가 우수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코팅층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며, 방향족 폴리머의 특성에 기인하여 방수혼합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코팅층의 내화학성을 증가시켜 오염수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는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7중량부의 조성비로 방수혼합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가 3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조성비가 미미하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에 의한 코팅층의 강도, 내구성 및 내화학성 등의 물성 향상 효과가 미흡해지고, 7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방수혼합물이 경화되면서 깨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방수혼합물에 포함되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는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파우더 상태)의 것을 모두 이용가능하다. 이때, 고체 상태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는 방수혼합물에 포함되는 다른 조성물과의 원활한 혼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100~600nm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0nm 미만이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의 입자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 고형 또는 액상의 기본수지에 대한 분산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고, 평균 입자 크기가 600nm를 초과하면 입자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서 기본수지에 대한 이물감이 크기 발생함과 동시에, 방수혼합물의 부직포에 대한 코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방수혼합물은 코팅층의 형성방법에 따라 용제, 점도조절제, 경화제 또는 소포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첨가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액상의 방수혼합물을 직접 부직포의 상부면에 도포하여 코팅하는 경우에는 방수혼합물에 용제, 점도조절제, 경화제 또는 소포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첨가물을 일반적인 조성비로 첨가하여 구성할 수 있고, 고형의 방수혼합물을 용융 압출시켜 필름 형태로 코팅층을 만든 후 코팅층을 부직포의 상부면에 부착(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열융착 또는 레이저 융착 등의 방법을 포함하는 개념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첨가물을 미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코팅층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는 방수혼합물을 부직포의 상부면에 10~50㎛의 두께로 코팅시켜 만들어지는 구성으로서, 코팅층의 두께가 10㎛미만이면 코팅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 코팅층이 부직포에서 쉽게 박리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고, 50㎛를 초과하면 코팅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 경제성이 떨어지고 부직포에 대한 코팅층의 코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방수혼합물이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 1~3중량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는 일반적으로 '테프론'이라 알려진 조성물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수지로서, 화학적인 결합이 매우 안정하여 산성 또는 염기성을 갖는 오염물질에 대한 내화학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에 상기의 특성들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방수혼합물에 포함되는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는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파우더 상태)의 것을 모두 이용가능하고, 고체 상태의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의 평균 입자 크기와 동일한 범위 내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는,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3중량부 내의 조성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가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조성비가 미미하여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의한 코팅층의 내화학성 향상 효과가 다소 미흡해지고, 3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에 의한 물성 향상은 더욱 우수해지나 경제성이 떨어지고, 방수혼합물이 경화되면서 깨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방수혼합물이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30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다이아스포(diaspore) 0.5~2중량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다이아스포(diaspore)는 알루미늄(Al)을 다량 함유한 수산화 광물로서 알루미늄 산화물 혼합체이다. 즉, 방수혼합물에 더 포함되는 다이아스포는 알루미늄을 다량 함유하여 알루미늄 성분에 의한 코팅층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고,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알루미늄 자체를 방수혼합물에 포함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무기광물을 자체인 다이아스포가 방수혼합물에 포함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기본수지에 대한 이물감이 적고 기본수지가 다이아스포의 표면에 견고하게 접착되어, 본 발명에 의한 패드가 자동차의 휠가드에 오랜 기간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여도 경화된 기본수지에서 다이아스포가 분리되거나 기본수지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다이아스포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0nm 미만이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의 입자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 고형 또는 액상의 기본수지에 대한 분산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고, 평균 입자 크기가 300nm를 초과하면 입자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서 기본수지에 대한 이물감이 크기 발생함과 동시에, 방수혼합물의 부직포에 대한 코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이아스포는,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2중량부 내의 조성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이아스포가 0.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조성비가 미미하여 다이아스포에 의한 코팅층의 내구성 및 내화학성 향상 효과가 다소 미흡해지고, 2중량부를 초과하면 다이아스포에 의한 물성 향상은 더욱 우수해지나 경제성이 떨어지고, 경화된 기본수지에 대한 다이아스포의 박리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은 기본수지가 액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방수혼합물은 상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 또는 다이아스포가 더 포함된 경우에는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 또는 다이아스포를 포함함.)가 기본수지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산제는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3중량부의 조성비로 포함되는데, 분산제가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조성비가 미미하여 기본수지에 대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의 분산이 미미할 수 있고, 3중량부를 초과하면 기본수지에 의한 부직포에 대한 접착력을 저해할 우려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산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유기 분산제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2-2-2-메톡시에톡시 에톡시 아세틱산(2-2-2-Methoxyethoxy ethoxy acetic acid), 5-메톡시 펜틸옥시 아세틱산(5-Methoxy pentyloxy acetic acid), 3,6,9-트리옥사데칸산(3,6,9-Trioxadecane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벤조산(Benzo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소듐 폴리아크릴레트(Sodium polyacrylate), 암모늄폴리아크릴레이트(Ammonium polyacrylate),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 폴리아크릴소듐염(Polyacrylic sodium salt),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Dodecyl benzene sulfonate) 혹은 소듐도데실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산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류의 분산제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 또는 다이아스포가 더 포함된 경우에는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 또는 다이아스포를 포함함.)와 용이하게 흡착가능한 카복시산(R-COOH; carboxylic acid), 카복시산염(R-COO-; carboxylate), 알코올(R-OH; alcohol), 글리콜(R-(OH)2; glycol), 암모늄염(R-NH3+; ammoniate), 소듐염(R-Na+; sodium salt), 설포네이트(R-SO3-; sulfonate) 혹은 설페이트(SO42-; sulfate) 중 어느 하나의 작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종류의 작용기와 결합하는 알킬(-R) 혹은 알콕시(-OR) 탄소사슬로 구성된 계면활성제이다.
상기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분산제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와 친화성이 있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공중합체 수지가 분산제 표면에 흡착되어 기본수지에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기를 갖기 때문에 일반적 분산제에 비하여 분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1. 액상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0g과 평균입자크기가 300㎚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15g을 교반혼합하여 방수혼합물을 만든다.
2. 상기 방수혼합물을 가로×세로×두께가 1,000mm×1,520mm×0.2mm인 부직포(쓰리엠)의 상부면에 30㎛의 두께로 분사하여 코팅한다.
3. 상기 2.처리된 부직포를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를 만든다.
1. 액상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0g, 평균입자크기가 300㎚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15g 및 평균입자크기가 300㎚인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 6g을 교반혼합하여 방수혼합물을 만든다.
2. 상기 방수혼합물을 가로×세로×두께가 1,000mm×1,520mm×0.2mm인 부직포(쓰리엠)의 상부면에 30㎛의 두께로 분사하여 코팅한다.
3. 상기 2.처리된 부직포를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를 만든다.
1. 액상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0g, 평균입자크기가 300㎚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15g 및 평균입자크기가 200㎚인 다이아스포 1g을 교반혼합하여 방수혼합물을 만든다.
2. 상기 방수혼합물을 가로×세로×두께가 1,000mm×1,520mm×0.2mm인 부직포(쓰리엠)의 상부면에 30㎛의 두께로 분사하여 코팅한다.
3. 상기 2.처리된 부직포를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를 만든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하여 만들어진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를 국내 자동차회사(현대자동차)의 휠가드용 패드에 관한 규격(MS 341-17)에 의한 시험방법에 의하여 흡음률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14044548756-pat00002
[결과]
MS 341-17의 흡음률 기준에 따르면,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는 500Hz의 주파수는 0.40 이상 / 1,000Hz의 주파수는 0.72 이상 / 2,000Hz의 주파수는 0.86 이상 / 3,150Hz의 주파수는 0.91 이상 / 5,000Hz의 주파수는 0.90 이상의 흡음률을 가져야 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한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는 상기의 흡음률 기준을 모두 만족할뿐만 아니라, 방수혼합물에 더 포함된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실시예 2) 또는 다이아스포(실시예 3)에 )는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 효과와 더불어 흡음성의 향상 효과도 상당함을 알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 바퀴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차체에 장착되는 자동차 휠가드에 부착되는 패드에 있어서,
    휠가드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부착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상부면에 코팅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EVA),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공중합체 수지 3~7중량부에 폴리불화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 1~3중량부 또는 100~300㎚의 평균입자크기를 가지는 다이아스포(diaspore) 0.5~2중량부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방수혼합물이 10~50㎛의 두께로 코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
  2. 삭제
  3. 삭제
KR1020140056811A 2014-05-12 2014-05-12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 KR10154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811A KR101544997B1 (ko) 2014-05-12 2014-05-12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811A KR101544997B1 (ko) 2014-05-12 2014-05-12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997B1 true KR101544997B1 (ko) 2015-08-18

Family

ID=5406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811A KR101544997B1 (ko) 2014-05-12 2014-05-12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9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7695A (ja) * 2006-10-04 2008-04-17 Hirotani:Kk 自動車用防音・防水型マッドガー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7695A (ja) * 2006-10-04 2008-04-17 Hirotani:Kk 自動車用防音・防水型マッドガー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1248B2 (en) Abrasive articles including an anti-loading size layer
CN103805059B (zh) 一种缓释型三组分路面除冰融雪涂料及其制备方法
EP0825241A1 (en) Water repellent coating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ating films and coated articles using the same
JP2003519043A (ja) 乗物に使用する遮音製品
CN101215818A (zh) 排水性沥青路面专用防水粘结层及其设计方法
KR102141339B1 (ko) 도로면 발수 침투강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면의 그루빙 시공방법
DE19817567C2 (de) Radlaufteil für Fahrzeuge
KR101544997B1 (ko) 자동차 휠가드용 패드
DE3116938A1 (de) "formkoerper zur schalldaemmung und -daempfung"
JP2009298339A (ja) 自動車用路面側吸音フロアーアンダーカバー
AT500366A1 (de) Behandlungen gegen verschmieren
CN105293995A (zh) 一种长寿命超薄排水抗滑表层及其制备方法
KR102262433B1 (ko) 도로 설치용 그린월 미세먼지 저감시스템
JP2009298340A (ja) 自動車用耐水・耐久性向上吸音アンダーカバー
KR102250270B1 (ko) 교량 및 콘크리트 도로의 수밀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체 조성물
CN114700243A (zh) 一种改进阻尼涂料表面敷设甲板敷料的施工方法
KR101488320B1 (ko) 흡음재,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795171B (zh) 一种车用高吸音cmt增强聚氨酯泡沫复合材料
JPS61186602A (ja) 床張り用組成物及びそれにより形成された床張り面
DE102013101273B4 (de) Schalldämmelement
DE102010039619B4 (de) Verkleidungsbauteil
JP4502834B2 (ja) 騒音低減性を高めたアスファルト舗装体の施工方法
KR101043225B1 (ko) 도로의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지 시공방법
JPH07252434A (ja) 道路の舗装材
CN216427880U (zh) 一种泡沫沥青路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