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317B1 - 반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317B1
KR101544317B1 KR1020140067043A KR20140067043A KR101544317B1 KR 101544317 B1 KR101544317 B1 KR 101544317B1 KR 1020140067043 A KR1020140067043 A KR 1020140067043A KR 20140067043 A KR20140067043 A KR 20140067043A KR 101544317 B1 KR101544317 B1 KR 10154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erovskite solar
solar cell
nanoparticles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희
차국헌
이성훈
이현호
송지연
임재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Planar perovskite solar cells)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판 상에 순차 적층 된 투명 전극, 전자 추출 층, 광 활성 층, 정공 이동 층 및 금속 전극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추출 층은 금속 산화물 박막 위에 반도체 나노입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변환 효율이 우수한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Planar perovskite solar cells containing semiconductor nanoparticle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나노입자를 이용한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추출 층으로 형성 된 금속 산화물 박막 위에 반도체 나노입자를 형성시킨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로서 고효율 저비용 용액공정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을 갖는다. 단일 소자의 전력 변환 효율이 15% 이상 될 정도이며 단가 또한 0.5$/W 정도로 매우 저렴하다. 또한 저온 공정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도 개발되고 있어서 유연한 기판 위의 유연한 태양전지 제작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110)/ 투명 전극 (120)/ 전자 추출 층 (130)/ 광 활성 층 (150)/ 정공 추출 층 (160)/ 금속 전극 층 (170)으로 구성되며, 낮은 일함수를 갖는 ITO (Indium Tin Oxide) 또는 FTO(Fluorine doped Tin Oxide)를 투명전극 (120, 음극)으로, 높은 일함수를 갖는 Au 또는 Ag 등을 금속 전극 (170, 양극) 물질로 사용한다.
상기 광 활성 층 (150)은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결정성 광 흡수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광 활성 층은 엑시톤(exiton, 전자-정공 쌍)의 확산 거리(diffusion length)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는 엑시톤 확산 거리가 긴 CH3NH3IxPbCl3-x를 광 활성 층으로 사용한다.
현재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전자 추출층(130)으로 사용되는 금속 산화물의 경우 주로 이산화 타이타늄 (TiO2), 산화 아연 (ZnO) 등이 사용되는데, 이 경우 전자 이동도가 낮기 때문에 고효율 태양전지 제작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고효율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현을 위해서는 전자 추출층의 전자 이동도를 높이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효율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구조에서 전자 추출 층 위에 n-형 반도체 나노입자를 형성 함으로써 전자 이동을 증대시켜 전력 변환 효율이 향상된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투명 전극이 구비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투명 전극 위에 금속 산화물을 적층하는 단계, 금속 산화물 위에 반도체 나노입자를 적층하는 단계, 광 흡수층인 페로브스카이트 층을 적층하는 단계, 정공 수송 층을 적층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정공 수송 층 위에 금속 전극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데에 있어서, 기판 위에 졸젤방법 (sol-gel)으로 금속 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금속 산화물 층 위에 반도체 나노입자 용액을 도포하여 나노입자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입자 박막에 페로브스카이트 용액을 도포하여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소자 제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했듯이 반도체 나노입자를 금속 산화물 위에 형성시켰을 경우 기존의 반도체 나노입자가 없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비 10% 향상된 전류 밀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의 효율은 다른 요소들이 동일 하다는 가정하에 전류밀도에 비례하므로 약 10% 향상된 전력 변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사지상형의 CdSe 나노입자(140)를 포함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전자 추출층 (130) 위에 사지상형의 CdSe 나노입자(140)가 형성된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4는 사지상형의 CdSe 나노입자(140)가 형성된 광 활성 층 (150)과 형성되지 않은 광 활성 층 (150)의 흡수 스펙트럼이다.
도 5는 사지상형의 CdSe 나노입자(140)가 형성된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형성되지 않은 태양전지의 전류 전압 특성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은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되고, 치환되고, 결합되고, 도안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예상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
도2는 반도체 나노입자 중에서도 사지상형(tetrapod)의 형태를 가지는 나노입자를 적용한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반도체 나노입자가 적용된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판 (110) 위에 투명 전극 (120) / 전자 추출 층 (130)/ 사지상형의 나노입자 (140)/ 광 활성 층 (150)/ 정공 추출 층 (160)/ 금속 전극 (170) 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기판 (110)은 용도에 따라 실리콘, 플라스틱, 종이, 세라믹, 유리 등 다양하게 바꿀 수 있으며 본 실시 예 에서는 0.7mm의 유리 기판을 사용하였다.
투명 전극 (120)은 투과도가 높고 저항이 작아서 전류가 잘 흐르는 인듐틴옥사이드 (Indium Tin Oxide, ITO), 불소도핑주석산화물(Fluorine doped Tin Oxide, FTO), 은 나노선(Silver nanowire) 등의 물질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 에서는 저항이 10~15 Ω/□, 두께는 150nm인 인듐틴옥사이드를 사용하였다.
투명 전극 (120)이 패턴(pattern)되어 올라간 기판 (110)은 아세톤 (Acetone), 이소프로필알코올 (Isopropyl alcohol, IPA), 증류수 (DI water)로 각각 15분씩 초음파 세척하였다. 이 후 120℃ 정도의 오븐에 30분이상 보관하여 기판에 남아있는 용매를 건조하였다.
상기 세척된 투명 전극 (120)위에 전자 추출 층 (130)을 적층한다. 전자 추출 층 (130)으로는 통상적으로 금속 산화물 계열 또는 유기물, 유무기 합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산화 타이타늄 (TiO2), 산화아연 (ZnO), 이산화주석(SnO2) 등이 있다. 본 실시 예 에서는 졸젤방법을 통한 이산화 타이타늄(TiO2)을 사용하였다. 이산화 타이타늄 (TiO2)의 선구체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4.75ml의 에탄올 (Ethanol) 또는 부탄올 (1-buthanol)과 이산화 타이타늄 (Titanium isoproxide acac) 0.25ml를 섞는다.
이렇게 만든 이산화 타이타늄의 선구체 용액을 2500rpm 30초로 스핀코팅하고, 공기 중에서 125℃ 5분 열처리를 한다. 위의 과정을 두 번 반복한 후 퍼니스(furnace)를 이용해서 450℃ 2시간 열처리를 하여 이산화 타이타늄 박막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전자 추출 층 위에 n-형 또는 p-형의 비등방성 반도체 나노입자를 도포한다. 도포 후 열처리 및/또는 세척을 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클로로포름(Chloroform)에 분산된 사지상형 형태의 CdSe 나노입자 용액을 스핀코팅하여 나노입자 박막을 형성하고, 150℃ 20분 열처리를 통해 금속 산화물 층 위에 고정시켰다. 그 후 에탄올로 2회 세척하여 나노입자 박막에서 유기물을 제거하고, 120℃ 10분 열처리를 통해 남아있는 용매를 제거한다. 박막 상태의 나노입자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헥실아민(hexylamine)과 아세톤이 혼합된 용액을 스핀코팅하고 100℃ 10분 건조함으로써 표면개질된 효과적인 나노입자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해 반도체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사용되는 나노입자의 형태 및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나노입자는 구형, 막대형, 사지상형(tetrapod), 또는 다지형(多指形) 등의 다양항 형상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나노입자의 구성원소는 II-VI족 (CdS, CdSe, CdTe, ZnS, ZnSe, ZnTe, HgS, HgSe, 또는 HgTe), III-V족 (InP, InAs, GaP, 또는 GaAs), IV-VI족 (PbS, PbSe, 또는 PbTe), IV족 (Si, 또는 Ge), 또는 II, III, VI, V, VI족의 산화물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상기 반도체 나노입자 층(140) 위에 광 활성 층 (150)을 적층한다. 광 활성 층 (150)은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유기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광 활성 층 (150)에는 주로 아이오딘화납(lead iodide), 염화연(lead chloride) 또는 납브로마이드(lead bromide)를 이용한 혹은 그들의 화합물을 이용한 물질을 사용한다. 메틸 요오드화 암모늄(Methyl ammonium iodide)과 위의 화합물들이 결합한 CH3NH3PbI3, CH3NH3IxPbCl3-x 혹은 CH3NH3PbIxBr3-x 와 같은 형태의 박막이 광 활성 층 (150)을 이룬다. 본 실시 예 에서는 CH3NH3IxPbCl3-x를 광 활성층 (150)인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에 사용하였다. 위의 광 활성층 (150)은 진공증착 또는 스핀코팅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 에서는 스핀 코팅을 사용하였으며, 스핀 코팅에 사용되는 용액을 만들기 위해 메틸 요오드화 암모늄 과 염화납(PbCl2) 를 3:1 비율로 유기 용매인 다이메틸폼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에 섞은 후 하루 동안 70℃에서 교반시켰다. 다이메틸폼아마이드 외에 감마부티로락톤(Gamma butyrolactone, GBR), 다이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 등의 솔벤트 역시 사용 가능하다. 상기 용액을 2000rpm 1분, 3000rpm 1분 스핀코팅을 통해 박막을 형성하고, 90℃ 2시간 30분 열처리를 통해 결정화된 페로브스카이트 광 활성 층 (150)을 형성 하였다. 이렇게 약 350nm 정도의 광 활성 층 (150)을 적층하였다.
이 후 광 활성 층 (150) 위에 정공 추출 층 (160)을 적층 하였다. 정공 추출 층 (160) 으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 유기무기 합성물을 사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piro-MeoTAD (2,2'7,7'-tetrakis. (N,N-di-p-methoxyphenyl-amine)-9,9'-spirobifluorene), PEDOT: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 (styrenesulfonate)), MoO3, WO3, V2O5, CuPC 등이 있다. 본 실시 예 에서는 Spiro-MeoTAD를 스핀코팅 2000rpm 1분을 통해 200nm 적층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금속 전극 (170)은 알루미늄, 금, 은, Mg-Ag 합금 등의 금속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금을 60nm 진공 증착을 하여 사용하였다.
제작된 역구조 유기 태양전지는 solar simulator (Newport, 91160A)의 광원에서 나오는 빛에 대해서 Keithley 237 source meter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빛의 세기는 교정된 Si reference cell을 이용하여 AM 1.5G (100 [mW/cm2]) 으로 보정을 하였다. 파장에 따른 광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 Muller Xenon Lamp (300W) 에 AM1.5 필터와 monochromator (ARC SpectraPro-150)을 통해 빛을 분산시켰다.
도3은 전자 추출층 (130) 위에 사지상형의 CdSe 나노입자(140)가 형성된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이미지이다.
도4는 사지상형의 CdSe 나노입자(140)가 형성된 광 활성 층 (150)과 형성되지 않은 광 활성 층 (150)의 흡수 스펙트럼이다.
도5는 사지상형의 CdSe 나노입자(140)가 형성된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형성되지 않은 태양전지의 전류 전압 특성이다. 구체적으로 사지상형의 CdSe 나노입자(140)가 형성된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경우 그렇지 않은 태양전지 보다 전류 밀도가 10% 증가하며, 전력 변환효율 또한 10%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사지상형의 CdSe 나노입자(140)가 전자의 이동을 수월하게 해주어 광 활성 층에서 생성되고 분리된 전자가 투명전극으로 빠르게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110: 기판
120: 투명 전극
130: 전자 추출 층
140: 사지상형의 나노입자 층
150: 광 활성 층
160: 정공 추출 층
170: 금속 전극

Claims (9)

  1.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 위에 투명 전극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투명 전극 위에 전자 추출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전자 추출층 위에 반도체 나노입자를 도포하여 반도체 나노입자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나노입자 층 위에 광 활성층, 정공 추출층, 및 금속전극을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나노입자는 사지상형 또는 다지형(多指形) 형상을 갖는 CdSe 나노입자이고,
    상기 반도체 나노입자 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반도체 나노입자 층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헥실아민(hexylamine)과 아세톤이 혼합된 용액을 상기 반도체 나노입자 층 위에 스핀코팅하고 건조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나노입자를 표면개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나노입자 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반도체 나노입자를 상기 전자 추출층 위에 도포한 후 150℃ 열처리를 통해 상기 반도체 나노입자를 상기 전자 추출층 위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나노입자를 전자 추출층 위에 고정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반도체 나노입자 층을 에탄올로 2회 세척하여 반도체 나노입자 박막에서 유기물을 제거하고, 120℃ 열처리를 통해 남아있는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활성층이 CH3NH3IxPbCl3-x를 이용한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활성층이 스핀코팅에 의해 상기 반도체 나노입자 층 위에 적층되고,
    상기 스핀코팅에 사용되는 용액이,메틸 요오드화 암모늄(Methyl ammonium iodide)과 염화납(PbCl2)을 3:1 비율로 유기 용매인 다이메틸폼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에 섞은 후 하루 동안 70℃에서 교반시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추출 층은 Spiro-MeoTAD(2,2'7,7'-tetrakis. (N,N-di-p-methoxyphenyl-amine)-9,9'-spirobifluorene)를 200nm의 두께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극을 Al, Au, Ag, 및 Mg-Ag 합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 방법.
KR1020140067043A 2014-06-02 2014-06-02 반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44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043A KR101544317B1 (ko) 2014-06-02 2014-06-02 반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043A KR101544317B1 (ko) 2014-06-02 2014-06-02 반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317B1 true KR101544317B1 (ko) 2015-08-13

Family

ID=5406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043A KR101544317B1 (ko) 2014-06-02 2014-06-02 반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31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239B1 (ko) * 2015-10-30 2017-02-02 재단법인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재생방법
KR101709668B1 (ko) * 2016-02-03 2017-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효율 광전자 장치의 제조를 위한 용액 공정용 첨가제를 선택하는 방법, 선택 시스템, 광전자 장치의 효율을 평가하는 방법 및 평가 시스템
KR101746337B1 (ko) 2016-03-29 2017-06-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입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전자 소자
KR101783223B1 (ko) 2015-10-05 2017-10-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순도 및 균일박막 형성 광활성화층을 가지는 고효율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제조 방법
WO2018021794A1 (ko) * 2016-07-29 2018-02-01 한국화학연구원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계 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CN110010770A (zh) * 2019-03-27 2019-07-12 济南大学 一种金双棱锥等离子增强的钙钛矿太阳能电池的制备
US10585228B2 (en) 2015-12-29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ntum dots, production methods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11124702B2 (en) 2015-10-28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ntum dots, production methods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11746290B2 (en) 2013-09-26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ocrystal particles and processes for synthesizing the same
US11997857B2 (en) 2019-11-29 2024-05-28 Ewha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o Heterojunction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374B1 (ko) * 2011-02-14 2012-08-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페로브스카이트계 염료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2015B1 (ko) * 2011-04-14 2012-12-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기포 음파발광 조건에서 초음파 발광법을 이용하여 ⅱ 내지 ⅵ 족 반도체 양자점 또는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양자점 또는 나노입자의 크기를 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374B1 (ko) * 2011-02-14 2012-08-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페로브스카이트계 염료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2015B1 (ko) * 2011-04-14 2012-12-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기포 음파발광 조건에서 초음파 발광법을 이용하여 ⅱ 내지 ⅵ 족 반도체 양자점 또는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양자점 또는 나노입자의 크기를 제어하는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6290B2 (en) 2013-09-26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ocrystal particles and processes for synthesizing the same
KR101783223B1 (ko) 2015-10-05 2017-10-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순도 및 균일박막 형성 광활성화층을 가지는 고효율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제조 방법
US11674079B2 (en) 2015-10-28 2023-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ntum dots, production methods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11124702B2 (en) 2015-10-28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ntum dots, production methods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WO2017073974A1 (ko) * 2015-10-30 2017-05-04 재단법인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광전변환소자의 재생방법
KR101702239B1 (ko) * 2015-10-30 2017-02-02 재단법인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재생방법
US10847324B2 (en) 2015-10-30 2020-11-24 Global Frontier Center for Multiscale Energy Method for recycling perovskite-base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US11280953B2 (en) 2015-12-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ntum dots, production methods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10585228B2 (en) 2015-12-29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ntum dots, production methods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KR101709668B1 (ko) * 2016-02-03 2017-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효율 광전자 장치의 제조를 위한 용액 공정용 첨가제를 선택하는 방법, 선택 시스템, 광전자 장치의 효율을 평가하는 방법 및 평가 시스템
KR101746337B1 (ko) 2016-03-29 2017-06-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입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전자 소자
WO2018021794A1 (ko) * 2016-07-29 2018-02-01 한국화학연구원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계 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CN110010770A (zh) * 2019-03-27 2019-07-12 济南大学 一种金双棱锥等离子增强的钙钛矿太阳能电池的制备
US11997857B2 (en) 2019-11-29 2024-05-28 Ewha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o Heterojunction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317B1 (ko) 반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Matteocci et al. Solid-state solar modules based on mesoscopic organometal halide perovskite: a route towards the up-scaling process
US9269840B2 (en) Method for forming a solar cell with tree-like nanostructure
KR101222940B1 (ko) 전기장 향상 효과에 의하여 개선된 광전환 효율을 나타내는 태양전지
AU2016333740A1 (en) Device architecture
Wang et al. Kinetics of electron recombination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TiO 2 nanorod arrays sensitized with different dyes
KR101462866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4850B1 (ko) 하이브리드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Im et al. Improved air stability of PbS-sensitized solar cell by incorporating ethanedithiol during spin-assisted successive ionic layer adsorption and reaction
US20130280847A1 (en) Transparent contacts organic solar panel by spray
KR20090123739A (ko) 유무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He et al. TiO2 single crystalline nanorod compact layer for high-performance CH3NH3PbI3 perovskite solar cells with an efficiency exceeding 17%
JP5626079B2 (ja) 色素増感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30263916A1 (en) All spray see-through organic solar array with encapsulation
KR101694803B1 (ko) 금속 나노선을 광전극으로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Li et al. TiO2 nanorod arrays modified with SnO2-Sb2O3 nanoparticles and application in perovskite solar cell
Noh et al. Preparation of anatase TiO2 thin film by low temperature annealing as an electron transport layer in inverted polymer solar cells
KR101458565B1 (ko)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09636A1 (ja) 太陽電池および光電変換素子
WO2014204696A1 (en) Transparent contacts organic solar panel by spray
KR101465397B1 (ko) 태양전지
EP2544256A1 (en) Two-component electron-selective buffer layer and photovoltaic cells using the same
KR20160139604A (ko) CYTOP을 이용한 수명 효율적 Planar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65360B1 (ko) 태양전지용 광전극 및 이를 포함한 태양전지
KR102135101B1 (ko) 반투명 및 유연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