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313B1 -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313B1
KR101544313B1 KR1020140042725A KR20140042725A KR101544313B1 KR 101544313 B1 KR101544313 B1 KR 101544313B1 KR 1020140042725 A KR1020140042725 A KR 1020140042725A KR 20140042725 A KR20140042725 A KR 20140042725A KR 101544313 B1 KR101544313 B1 KR 10154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ating film
adhesive layer
water repellent
perfluorohex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승완철
곽성수
이정환
이근영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Abstract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이 개시된다.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은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접착층에 지지필름에 부착된 발수성 폴리머층을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과 상기 폴리머층이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필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WATER REPELLENT COATING FILM}
본 발명은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온에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발수성을 갖는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체표면의 젖음성의 직관적인 지표로 수적(액적)의 접촉각 θ(contact angle)의 측정을 통하여 발수성이 분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수성(소수성)은 수적의 접촉각이 90°이상인 경우를 말하고, 접촉각이 110° 내지 150° 이면 고발수성, 접촉각이 150°이상이되면 초발수성(superhydrophobic)으로 분류하고 있다.
젖음 현상은 일상 주변에서 중요한 계면현상으로 학술적인 표면과학 분야 뿐만 아니라 세정, 염색, 가공 등의 섬유 공정에서부터 건축자재, 화장품, 전자용 부재 등 넓은 산업분야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종래에는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복잡한 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일 예로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려는 베이스 기재의 표면에 발수성 액상 폴리머를 코팅한 후 코팅된 액상 폴리머를 경화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열을 가하거나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액상폴리머를 경화시킴으로써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열을 가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가열장치 또는 자외선 조사장치가 반드시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 공정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구비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액상 폴리머를 코팅한 후 열을 가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반드시 거쳐야 했기 때문에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2937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온에서 간단한 공정으로 발수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은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접착층에 지지필름에 부착된 발수성 폴리머층을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과 상기 폴리머층이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필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접착층과 상기 폴리머층의 접착 및 상기 지지필름의 분리는 각각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지지필름을 분리는, 상기 지지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탈착한 후 탈착된 부분에 장력(張力)을 인가하여 분리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지지필름이 분리되어 상기 폴리머층의 발수성 폴리머 물질이 적어도 일부 잔존하고, 잔존하는 상기 발수성 폴리머 물질은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서 일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를 갖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발수성 폴리머 물질이 잔존하는 상기 접착층은, 수적의 접촉각이 140°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폴리머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 PTFE)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폴리머층은 발수성을 가지는 실란계, 실록산계 또는 불소계 발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실란계 발수제는, (메타)아크릴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알킬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실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옥시알킬트리클로로실란, 페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드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드옥시알킬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드옥시알킬트리클로로실란, 퍼플루오로알킬트리알콕시실란, 퍼플루오로메틸알킬트리알콕시실란, 퍼플루오로알킬트리클로로실란 및 폴리메틸-페닐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실록산계 발수제는, 특수 관능기를 함유한 폴리실록산, 저분자량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불소계 발수제는, 플루오로알리파틱폴리머, 플루오로폴리머, 메틸노나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테트라플루오로에탄, 펜타플루오로에탄, 퍼플루오로에탄, 펜타플루오로프로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헵타플루오로프로판, 퍼플루오로프로판, 헥사플루오로부탄, 헵타플루오로부탄, 옥타플루오로부탄, 노나플루오로부탄, 퍼플루오로부탄, 헵타플루오로펜탄, 옥타플루오로펜탄, 노나플루오로펜탄, 데카플루오로펜탄, 운데카플루오로펜탄, 퍼플루오로펜탄, 옥타플루오로헥산, 노나플루오로헥산, 데카플루오로헥산, 운데카플루오로헥산, 도데카플루오로헥산, 트리데카플루오로헥산, 퍼플루오로헥산, 3-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 1,1,1,3,3,5,5,5-옥타플루오로펜탄, 4-트리플루오로메틸-1,1,1,2,2,3,3,5,5,5-데카플루오로펜탄, 4-트리플루오로메틸-1,1,1,2,2,5,5,5-옥타플루오로펜탄, 4-트리플루오로메틸-1,1,1,2,2,3,5,5,5-노나플루오로펜탄, 1,1,1,2,3,4,4,5,5,5-데카플루오로펜탄, 1,1,1,2,2,3,3,4,4,5,6-운데카플루오로헥산, 1,1,2,2,3,3,4,4-옥타플루오로부탄, 1,1,1,2,2,3,3,4,4-노나플루오로부탄-4-메틸에테르, 1,1,1,2,2,3,4,4,4-노나플루오로이소부탄-3-메틸에테르, 1,1,1,2,2,3,3,4,4-노나플루오로부탄-4-에틸에테르, 1,1,1,2,2,3,4,4,4-노나플루오로이소부탄-3-에틸에테르, 1,1,2,2,3,3,4,5-옥타플루오로사이클로펜탄, 펜타플루오로에탄, 디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트리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디클로로-펜타플루오로프로판,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클로로-펜타플루오로프로판, 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클로로-헥사플루오로프로판, 펜타클로로-디플루오로프로판, 테트라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판,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판, 펜타플루오로프로판, 노나플루오로부틸에틸렌(PFBET),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TFPM), 2,2,3,4,4,4-헥사플루오로부틸아크릴레이트(HFBA), 2,2,3,4,4,4-헥사플루오로부틸메타크릴레이트(HFBM) 및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탄아크릴레이트(OFP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접착층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표면에 발수성 폴리머층이 부착된 지지필름을 접착하여 지지필름을 분리하는 공정으로 발수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발수 코팅막 형성공정이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접촉각이 매우 우수한 발수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수 코팅막의 형성이 상온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한 가열장치 또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장치 또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저렴한 비용으로 발수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고,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열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할 필요가 없어 발수 코팅막 형성을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접착층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표면에 발수성 폴리머층이 부착된 지지필름을 접착하여 지지필름만을 분리하면 되기 때문에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적 제약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발수 코팅막 표면의 SEM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발수 코팅막의 접촉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테프론 테이프 표면의 접촉각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은 표면에 접착층(10)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20)의 접착층(10)에 지지필름(30)에 부착된 발수성 폴리머층(40)을 접착시키는 단계(S1) 및 상기 접착층(10)과 상기 폴리머층(40)이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필름(30)을 분리하는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면에 접착층(10)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20)의 표면에 지지필름(30)에 부착된 발수성 폴리머층(40)을 접착시킨다.
상기 베이스 기재(20)의 종류 및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기재(20)는 자동차 부품, 전자장치, 가구, 기타 발수처리가 필요한 물건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기재(20)는 유리, 금속, 합금, 플라스틱, 나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층(10)은 접착력을 가지는 층으로서, 아크릴, 실리콘, 고무 또는 에폭시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필름(30)으로는 유연성을 가지는 폴리머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수성 폴리머층(40)은 발수성을 가지는 실란계, 실록산계 또는 불소계 발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실란계 발수제로는 (메타)아크릴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알킬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실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옥시알킬트리클로로실란, 페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드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드옥시알킬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드옥시알킬트리클로로실란, 퍼플루오로알킬트리알콕시실란, 퍼플루오로메틸알킬트리알콕시실란, 퍼플루오로알킬트리클로로실란 또는 폴리메틸-페닐 실리콘(Tego사 Phobe1000)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실록산계 발수제로는 특수 관능기를 함유한 폴리실록산(Tego사, Phobe 1500N), 저분자량 변성 폴리실록산(Tego사, HL 100),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Tego사, Glide 432, 435, 440, 450),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BYK Chemie사 BYK-330, BYK-301, BYK-335) 또는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BYK Chemie사 BYK-302, BYK-331, BYK-332)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불소계 발수제로는 플루오로알리파틱폴리머(3M사, FC-4430), 플루오로폴리머(3M사, ECC-1000), 메틸노나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3M사, EGC-1000), 테트라플루오로에탄, 펜타플루오로에탄, 퍼플루오로에탄, 펜타플루오로프로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헵타플루오로프로판, 퍼플루오로프로판, 헥사플루오로부탄, 헵타플루오로부탄, 옥타플루오로부탄, 노나플루오로부탄, 퍼플루오로부탄, 헵타플루오로펜탄, 옥타플루오로펜탄, 노나플루오로펜탄, 데카플루오로펜탄, 운데카플루오로펜탄, 퍼플루오로펜탄, 옥타플루오로헥산, 노나플루오로헥산, 데카플루오로헥산, 운데카플루오로헥산, 도데카플루오로헥산, 트리데카플루오로헥산, 퍼플루오로헥산, 3-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 1,1,1,3,3,5,5,5-옥타플루오로펜탄, 4-트리플루오로메틸-1,1,1,2,2,3,3,5,5,5-데카플루오로펜탄, 4-트리플루오로메틸-1,1,1,2,2,5,5,5-옥타플루오로펜탄, 4-트리플루오로메틸-1,1,1,2,2,3,5,5,5-노나플루오로펜탄, 1,1,1,2,3,4,4,5,5,5-데카플루오로펜탄, 1,1,1,2,2,3,3,4,4,5,6-운데카플루오로헥산, 1,1,2,2,3,3,4,4-옥타플루오로부탄, 1,1,1,2,2,3,3,4,4-노나플루오로부탄-4-메틸에테르, 1,1,1,2,2,3,4,4,4-노나플루오로이소부탄-3-메틸에테르, 1,1,1,2,2,3,3,4,4-노나플루오로부탄-4-에틸에테르, 1,1,1,2,2,3,4,4,4-노나플루오로이소부탄-3-에틸에테르, 1,1,2,2,3,3,4,5-옥타플루오로사이클로펜탄, 펜타플루오로에탄, 디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트리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디클로로-펜타플루오로프로판,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클로로-펜타플루오로프로판, 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클로로-헥사플루오로프로판, 펜타클로로-디플루오로프로판, 테트라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판,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판, 펜타플루오로프로판, 노나플루오로부틸에틸렌(PFBET),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TFPM), 2,2,3,4,4,4-헥사플루오로부틸아크릴레이트(HFBA), 2,2,3,4,4,4-헥사플루오로부틸메타크릴레이트(HFBM) 또는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탄아크릴레이트(OFPA)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필름(30) 및 상기 발수성 폴리머층(40)으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 PTFE)을 포함하는 테프론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층(10)과 상기 폴리머층(40)이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필름(30)을 분리한다(S2).
지지필름(30)을 분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지필름(30)의 가장자리 부분을 탈착한 후 탈착된 부분에 장력(張力)을 인가함으로써 분리할 수 있다. 지지필름(30)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필름(30)을 분리하는 경우, 베이스 기재(20)의 접착층(10)과 폴리머층(40)의 접착력에 의하여 접착층(10)의 표면에는 폴리머층(40)의 발수성 폴리머 물질이 적어도 일부 잔존하고, 잔존하는 발수성 폴리머 물질은 지지필름(3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인가된 장력 및 접착층(10)과 폴리머층(40) 사이의 접착력에 의하여 상기 접착층(10)의 표면에서 일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를 갖는다. 일 예로 상기 발수성 폴리머 물질이 잔존하는 상기 접착층(10)은 수적의 접촉각이 140°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은 발수성 폴리머층(40)이 부착된 지지필름(30)의 발수성 폴리머층(40)을 표면에 접착층(10)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20)의 접착층(10)에 접착한 후 지지필름(30)을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발수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는 공정이 매우 간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한 가열장치 또는 자외선 조사 장치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발수 코팅막 형성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발수 코팅막 표면의 SEM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착층과 폴리머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접착층의 표면에는 폴리머층의 발수성 폴리머 물질이 적어도 일부 잔존하고, 잔존하는 발수성 폴리머 물질은 접착층의 표면에서 일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폴리머 물질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선이 늘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다수의 선은 폴리머 물질이 지지필름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인가된 장력 및 접착층과 폴리머층 사이의 접착력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늘어진 형태를 갖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발수 코팅막의 접촉각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일반적인 테프론 테이프 표면의 접촉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코팅막의 접촉각은 약 142.7°으로 측정되었고, 방수 실링을 위하여 사용되는 일반적인 테프론 테이프의 접촉각은 약 98.5°로 측정되었다.
일반적인 테프론 테이프의 접촉각이 약 90 내지 100°인 것으로 고려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발수 코팅막의 접촉각은 약 142.7°이므로 일반 테프론 테이프보다 접촉각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접착층 20: 베이스 기재
30: 지지필름 40: 발수성 폴리머층

Claims (10)

  1.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접착층에 지지필름에 부착된 발수성 폴리머층을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상기 폴리머층의 발수성 폴리머 물질이 직접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탈착한 후 탈착된 부분에 장력(張力)을 인가하여 상기 지지필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필름이 분리되어 상기 폴리머층의 발수성 폴리머 물질이 적어도 일부 잔존하고, 잔존하는 상기 발수성 폴리머 물질은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서 일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를 갖으며, 상기 발수성 폴리머 물질이 잔존하는 상기 접착층은 수적의 접촉각이 140°이상이고, 상기 발수성 폴리머 물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 PTF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상기 폴리머층의 접착 및 상기 지지필름의 분리는 각각 상온에서 수행되는,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발수성을 가지는 실란계, 실록산계 또는 불소계 발수제를 포함하는,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발수제는,
    (메타)아크릴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알킬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실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옥시알킬트리클로로실란, 페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드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드옥시알킬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드옥시알킬트리클로로실란, 퍼플루오로알킬트리알콕시실란, 퍼플루오로메틸알킬트리알콕시실란, 퍼플루오로알킬트리클로로실란 및 폴리메틸-페닐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계 발수제는,
    특수 관능기를 함유한 폴리실록산, 저분자량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발수제는,
    플루오로알리파틱폴리머, 플루오로폴리머, 메틸노나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테트라플루오로에탄, 펜타플루오로에탄, 퍼플루오로에탄, 펜타플루오로프로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헵타플루오로프로판, 퍼플루오로프로판, 헥사플루오로부탄, 헵타플루오로부탄, 옥타플루오로부탄, 노나플루오로부탄, 퍼플루오로부탄, 헵타플루오로펜탄, 옥타플루오로펜탄, 노나플루오로펜탄, 데카플루오로펜탄, 운데카플루오로펜탄, 퍼플루오로펜탄, 옥타플루오로헥산, 노나플루오로헥산, 데카플루오로헥산, 운데카플루오로헥산, 도데카플루오로헥산, 트리데카플루오로헥산, 퍼플루오로헥산, 3-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 1,1,1,3,3,5,5,5-옥타플루오로펜탄, 4-트리플루오로메틸-1,1,1,2,2,3,3,5,5,5-데카플루오로펜탄, 4-트리플루오로메틸-1,1,1,2,2,5,5,5-옥타플루오로펜탄, 4-트리플루오로메틸-1,1,1,2,2,3,5,5,5-노나플루오로펜탄, 1,1,1,2,3,4,4,5,5,5-데카플루오로펜탄, 1,1,1,2,2,3,3,4,4,5,6-운데카플루오로헥산, 1,1,2,2,3,3,4,4-옥타플루오로부탄, 1,1,1,2,2,3,3,4,4-노나플루오로부탄-4-메틸에테르, 1,1,1,2,2,3,4,4,4-노나플루오로이소부탄-3-메틸에테르, 1,1,1,2,2,3,3,4,4-노나플루오로부탄-4-에틸에테르, 1,1,1,2,2,3,4,4,4-노나플루오로이소부탄-3-에틸에테르, 1,1,2,2,3,3,4,5-옥타플루오로사이클로펜탄, 펜타플루오로에탄, 디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트리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디클로로-펜타플루오로프로판,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클로로-펜타플루오로프로판, 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클로로-헥사플루오로프로판, 펜타클로로-디플루오로프로판, 테트라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판,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판, 펜타플루오로프로판, 노나플루오로부틸에틸렌(PFBET),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TFPM), 2,2,3,4,4,4-헥사플루오로부틸아크릴레이트(HFBA), 2,2,3,4,4,4-헥사플루오로부틸메타크릴레이트(HFBM) 및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탄아크릴레이트(OFP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KR1020140042725A 2014-04-10 2014-04-10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KR101544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25A KR101544313B1 (ko) 2014-04-10 2014-04-10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25A KR101544313B1 (ko) 2014-04-10 2014-04-10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313B1 true KR101544313B1 (ko) 2015-08-12

Family

ID=5406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725A KR101544313B1 (ko) 2014-04-10 2014-04-10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3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752A (ko) * 2015-01-13 2015-04-2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물 형상 망 및 이를 이용하는 방충망
WO2021051036A1 (en) * 2019-09-13 2021-03-18 Spotless Materials Inc. Formulations and processes to generate repellent surfaces
US11485863B2 (en) 2016-11-18 2022-11-01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Liquids and viscoelastic material repellent and anti-biofouling coatings
WO2024064882A1 (en) * 2022-09-23 2024-03-28 Spotless Materials Inc. Repellent coating formulation with low volatile organic compoun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4917A (ja) * 2005-11-30 2007-06-14 Asahi Glass Co Ltd 超撥水性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超撥水性自動車窓、超撥水性帖着フィルムおよびこの製造方法、超撥水性透明基板の製造方法ならびに自動車窓の超撥水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4917A (ja) * 2005-11-30 2007-06-14 Asahi Glass Co Ltd 超撥水性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超撥水性自動車窓、超撥水性帖着フィルムおよびこの製造方法、超撥水性透明基板の製造方法ならびに自動車窓の超撥水処理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752A (ko) * 2015-01-13 2015-04-2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물 형상 망 및 이를 이용하는 방충망
KR101993210B1 (ko) 2015-01-13 2019-06-28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물 형상 망 및 이를 이용하는 방충망
US11485863B2 (en) 2016-11-18 2022-11-01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Liquids and viscoelastic material repellent and anti-biofouling coatings
WO2021051036A1 (en) * 2019-09-13 2021-03-18 Spotless Materials Inc. Formulations and processes to generate repellent surfaces
US11883558B2 (en) 2019-09-13 2024-01-30 Spotless Materials Inc. Formulations and processes to generate repellent surfaces on medical devices
WO2024064882A1 (en) * 2022-09-23 2024-03-28 Spotless Materials Inc. Repellent coating formulation with low volatile organic compoun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313B1 (ko) 발수 코팅막 형성방법
Boban et al. Smooth, all-solid, low-hysteresis, omniphobic surfaces with enhanced mechanical durability
Shirtcliffe et al. The superhydrophobicity of polymer surfaces: recent developments
Yoo et al. A stacked polymer film for robust superhydrophobic fabrics
Wang et al. Self-healing superhydrophobic materials showing quick damage recovery and long-term durability
CN108431107B (zh) 有机硅发泡片材及其制造方法
JP5597766B2 (ja) 防水通気性ファブリ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78516B2 (ja) シリコーン系粘着テープ
ATE434014T1 (de) Laminierter artikel mit ausgezeichneter fleckenbeständigkeit und zwischenschichthaftung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Xiu et al. Robust superhydrophobic surfaces prepared with epoxy resin and silica nanoparticles
JP2014186075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1046688A (ja) シリコーン化合物用溶剤組成物
Özek Silicone-based water repellents
KR101723890B1 (ko) 슬립성 및 방오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JPWO2012115132A1 (ja) 転写フィルム
JP2017170672A (ja) 離型フィルム、それに用いる樹脂組成物および塗料組成物
JP6279222B2 (ja) 摩擦係数の低い表面を有するポリマーを含む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91232A (ja) シリコーン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
Psarski et al. Hydrophobic and superhydrophobic surfaces fabricated by plasma polymerization of perfluorohexane, perfluoro (2-methylpent-2-ene), and perfluoro (4-methylpent-2-ene)
TWI781160B (zh) 吸附暫固定片及其製造方法
JP2008162191A (ja) 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5830000B2 (ja) 接着性シリコーン組成物シート及びそのシート状硬化物
JP2573537B2 (ja) 含フッ素樹脂成形品の表面処理方法
JP2009215366A (ja) フッ素含有ゴム被覆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51912B1 (ko)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