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845B1 -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845B1
KR101542845B1 KR1020140112465A KR20140112465A KR101542845B1 KR 101542845 B1 KR101542845 B1 KR 101542845B1 KR 1020140112465 A KR1020140112465 A KR 1020140112465A KR 20140112465 A KR20140112465 A KR 20140112465A KR 101542845 B1 KR101542845 B1 KR 101542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luidized bed
biomass
combustion furn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식
Original Assignee
이보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보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2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fluidis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3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comminuting or cr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면 일측에 연료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동매체가 수용되며, 내부 일측에 요소수 공급수단이 설치되는 기포유동층 연소로 및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된 연료 저장부 및 상기 연료 저장부와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 간에 설치되고,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상기 연료투입구로 이송하는 연료 이송부 및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연소공기 공급수단 및 일측이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의 측방에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회수 보일러 및 일측이 상기 폐열회수 보일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폐열회수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부 및 일측이 상기 열교환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부 일측에 액상소석회 공급수단이 설치된 반건식 반응탑 및 일측이 상기 반건식 반응탑 타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에 분말활성탄 공급부가 연결되며, 또 다른 일측에 분말소석회 공급부가 연결되는 건식반응기 및 일측이 상기 건식반응기 타측에 연결되는 여과집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연료 저장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료 저장부의 내부공기를 연소공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에 적합한 크기의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보다 확실하게 선별하여 정량 투입함으로써, 연소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연소설비의 운영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연소설비 운영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소 시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정화하여 배출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Bubbling fluidized bed combustor system}
본 발명은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정화하고, 연소에 적합한 크기의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선별하여 정량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동층 연소로는 연료에 대한 수용폭이 넓고, 노내 탈황 및 탈할로겐 등의 편의성을 가지며 노내 온도제어가 용이하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소각이 이루어져 질소생성물이 작고 연소로 내에서 연료의 혼합효과가 뛰어난 점과 타연료와 혼소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석탄 등의 화석연료와 폐목재, 바이오가스 및 건조 하폐수슬러지와 같은 바이오매스 등 “신재생 에너지”를 연소하여 얻은 고온의 여열을 이용하여 발전용, 공장용, 지역난방용 증기를 생산하는 열병합 및 발전용 보일러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산화탄소 배출저감을 위한 탄소중립의 일환으로 유동층 연소로에 사용되는 연료로서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의 경우 입자 크기가 불규칙하고 함수량 및 조성이 균일하지 못하여 순간적인 투입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고체입자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고 연소로 내부로의 연료공급 변동에 따른 국부적인 온도편차, 연료 공급관의 막힘 현상, 연료 공급관 내에서의 연료 정체에 의한 국부과열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함수량이 많은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투입하여 연소하는 경우, 불완전 연소로 인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 Nox, Sox, 중금속, 다이옥신 및 분진 등의 입자상 물질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별도의 선별작업을 통해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에 포함된 이물질 및 오바사이즈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분리하여 연소에 적합한 크기의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정확하게 선별하고, 이를 정량 공급할 수 있는 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Nox, Sox, 중금속, 다이옥신 및 분진 등의 입자상 물질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하여 배출할 수 있는 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364068호 “유동층 연소형 보일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Nox, Sox, 중금속, 다이옥신 및 분진 등의 입자상 물질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한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에 적합한 크기의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선별하여 정량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면 일측에 연료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동매체가 수용되며, 내부 일측에 요소수 공급수단이 설치되는 기포유동층 연소로 및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된 연료 저장부 및 상기 연료 저장부와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 간에 설치되고,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상기 연료투입구로 이송하는 연료 이송부 및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연소공기 공급수단 및 일측이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의 측방에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회수 보일러 및 일측이 상기 폐열회수 보일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폐열회수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부 및 일측이 상기 열교환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부 일측에 액상소석회 공급수단이 설치된 반건식 반응탑 및 일측이 상기 반건식 반응탑 타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에 분말활성탄 공급부가 연결되며, 또 다른 일측에 분말소석회 공급부가 연결되는 건식반응기 및 일측이 상기 건식반응기 타측에 연결되는 여과집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연료 저장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료 저장부의 내부공기를 연소공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유동매체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매체 배출부는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 하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진동배출관 및 상기 진동배출관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스크린 및 상기 진동스크린 하부에 설치되는 분리콘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료 이송부는 상기 연료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제 1 호퍼 및 상기 제 1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부 및 상기 제 1 이송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오버사이즈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선별하는 제 1 선별부 및 상기 제 1 선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2 이송부 및 상기 제 2 이송부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 중에 포함된 금속성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제 2 선별부 및 상기 제 2 선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제 2 호퍼 및 상기 제 2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양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3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이송부는 상기 제 1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제 1 벨트 컨베이어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피치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1 스크류를 통해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스크류 컨베이어 및 상기 제 1 스크류 컨베이어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제 1 격벽에 의해 상호 구획되는 다수개의 제 1 수용영역이 형성되는 제 1 버킷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호퍼는 내부 일측에 상기 제 1 벨트 컨베이어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제 1 돌기부가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레벨드럼 및 상기 제 1 레벨드럼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제 2 돌기부가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레벨드럼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이송부는 상기 제 1 선별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선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2 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제 2 벨트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제 2 격벽에 의해 상호 구획되는 다수개의 제 2 수용영역이 형성되는 제 2 버킷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이송부는 상기 제 2 호퍼의 하부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피치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2 스크류를 통해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양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 2 스크류 컨베이어 및 각각의 상기 제 2 스크류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피치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3 스크류를 통해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양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 3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선별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일측에 제 1 배출로가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제 2 배출로가 형성되는 선별몸체부 및 상기 제 1 배출로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배출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봉과 각각의 상기 회전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회전봉 간에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선별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에 적합한 크기의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보다 확실하게 선별하여 정량 투입함으로써, 연소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연소설비의 운영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연소설비 운영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소 시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정화하여 배출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매체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 3b 및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선별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의 배기가스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1)은 기포유동층 연소로(10), 연소공기 공급수단(20), 폐열회수 보일러(30), 제 2 폐열회수부(40), 열교환부(50), 반건식 반응탑(60), 건식반응기(70), 여과집진부(80), 연료 저장부(90) 및 연료 이송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포유동층 연소로(10)는 메인 연소로(11)와 제 2 연소로(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 연소로(11)는 외면 일측에 연료투입구(11a)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공간 하부에 유동매체(11b)가 수용되며, 내면 타측에 제 1 연소버너(11c)가 설치된다.
여기서, 연료투입구(11a)는 투입되는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가 일방향으로 투입됨으로 인해 메인 연소로(11) 내부에서 국부연소나 국부 열뭉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매체(11b)는 후술하는 제 1 연소공기 공급수단(21)을 통해 기포유동층 연소로(10) 상부로 부상하여 투입되는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와 혼합되어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가 균일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산화알루미나 또는 모래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연소버너(11c)는 경유 또는 바이오가스 등을 연소시켜 메인 연소로(11) 내부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 연소로(12)는 메인 연소로(11) 상부에 수직 연장형성되고, 내면 일측에 제 2 연소버너(12a)가 설치되며, 내면 타측에 요소수 공급수단(12b)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 2 연소버너(12a)는 바이오가스 등을 연소시켜 제 2 연소로(12) 내부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요소수 공급수단(12b)은 제 2 연소로(12) 내부에 요소수를 분사함으로써, 고형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연소공기 공급수단(20)은 제 1 연소공기 공급수단(21), 제 2 연소공기 공급수단(22) 및 제 3 연소공기 공급수단(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연소공기 공급수단(21)은 메인연소로의 내저부에 설치되고, 외부에 설치된 제 1 송풍수단(120)을 통해 메인 연소로(11) 내부로 연소공기를 공급함과 아울러 유동매체(11b)를 유동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1 연소공기 공급수단(21)을 통해 공급되는 연소공기는 투입되는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 등과 같은 고발열량의 신재생에너지를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공기랑의 55~65%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연소공기 공급수단(22)은 메인 연소로(11) 내부 일측 중 제 1 연소공기 공급수단(21) 상부에 설치되고, 외부에 설치된 제 2 송풍수단(130)을 통해 메인 연소로(11) 내부에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2 연소공기 공급수단(22)은 연료투입구(11a)의 바로 아래, 즉 메인 연소로(11)가 끝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입되는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 등과 같은 고발열량의 신재생에너지를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공기량의 25~35%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연소공기 공급수단(23)은 제 2 연소로(12)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에 설치된 제 2 송풍수단(130)을 통해 제 2 연소로(12) 내부에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3 연소공기 공급수단(23)은 연료투입구(11a)의 바로 위, 즉 제 2 연소로(12)가 시작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입되는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 등과 같은 고발열량의 신재생에너지를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공기량의 20~25%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제 1 연소공기 공급수단(21), 제 2 연소공기 공급수단(22) 및 제 3 연소공기 공급수단(23)을 통해 메인 연소로(11) 및 제 2 연소로(12) 내부로 연소공기를 분할하여 주입함으로써, 연소효율이 보다 향상되고, 일산화탄소 및 Thermal Nox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 연소공기 공급수단(21), 제 2 연소공기 공급수단(22) 및 제 3 연소공기 공급수단(23)과 연결된 제 1 송풍수단(120) 및 제 2 송풍수단(130)을 연료 저장부(90)와 연통되도록 설치하여 연료 저장부(90) 내부의 공기를 연소공기로 공급함으로써, 연료 저장부(90)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 및 악취 등의 냄새를 연소공기와 함께 메인 연소로(11) 및 제 2 연소로(12)에 주입하여 연소시킴으로 인해 연료 저장부(90) 내부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폐열회수 보일러(30)는 제 2 연소로(12) 측방에 일체로 연결형성되는 것으로서, 가스챔버실(31)과 제 1 폐열회수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스챔버실(31)은 수직격벽(31a)에 의해 제 1 폐열회수부(32)와 분할되고, 제 2 연소로(12)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가스챔버실(31)을 충분한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제 2 연소로(12)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가스챔버실(31)로 유입되면서 속도가 감소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 등의 입자상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가스챔버실(31)의 하부로 낙하하여 상당부분 제거됨으로 인해 제 1 폐열회수부(32)로 배기가스와 함께 분진 등의 입자상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제 1 폐열회수부(32)의 제 1 수관(32c)이 분진 등의 입자상 이물질로 인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제 1 폐열회수부(32)는 가스챔버실(31)의 측방에 설치되고, 상부스팀드럼(32a), 하부워터드럼(32b) 및 상부스팀드럼(32a)과 하부워터드럼(32b) 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 1 수관(3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물을 증기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하부워터드럼(32b)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제 1 수관(32c)은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부스팀드럼(32a)은 생성된 스팀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스팀드럼(32a)에 저장된 스팀은 별도의 스팀공급처로 공급된다.
또한, 제 1 폐열회수부(32)는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챔버실(31)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 1 수관(32c)의 일측에 보호커버(32d)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보호커버(32d)는 제 1 폐열회수부(32)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분진 등의 입자상 이물질이 제 1 수관(32c)에 반복적으로 부딪힘으로 인해 제 1 수관(32c)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폐열회수부(40)는 제 1 폐열회수부(32)와 연결되고, 제 2 연소로(12) 및 폐열회수 보일러(30)의 내벽에 매립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 2 수관(41)을 포함하며, 제 2 수관(41)은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제 2 수관(41)의 막힘 또는 파손에 의해 제 2 폐열회수부(40)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 2 수관(41)은 제 1 폐열회수부(32)의 상부스팀드럼(32a)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부(50)는 폐열회수보일러의 측방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1 폐열회수부(32)와 연결되는 제 3 수관(51)이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제 3 수관(51)은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3 수관(51)은 외부에 설치된 물공급탱크와 연결되고, 물공급탱크는 열교환부(50)의 제 3 수관(51)을 통해 제 1 폐열회수부(32) 및 제 2 폐열회수부(40)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반건식 반응탑(60)은 일측이 열교환부(50)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부 일측에 액상소석회 공급수단(61)이 설치되며, 액상소석회 공급수단(61)을 통해 내부에 액상소석회를 분사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황산화물 및 염화수소를 제거함과 아울러 비산분진도 일부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건식반응기(70)는 일측이 반건식 반응탑(60)의 타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에 분말활성탄 공급부(71)와 연결되며, 또 다른 일측이 분말소석회 공급부(72)와 연결된다.
이러한 건식반응기(70)는 분말활성탄 공급부(71)로부터 분말 활성탄을 공급받아 유입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중금속 및 다이옥신을 제거하고, 분말소석회 공급부(72)로 부터 분말소석회를 공급받아 유입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황산화물 및 염화수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여과집진부(80)는 일측이 건식반응기(70) 타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구비된 백필터(Bag filter)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 등의 입자상 이물질과 중금속 및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여과집진부(8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별도로 설치된 유인송풍기(150)를 통해 외부에 설치된 연돌(160)로 안내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기술한 기포유동층 연소로(10), 가스챔버실(31), 제 1 폐열회수부(32), 열교환부(50), 반건식 반응탑(60) 및 여과집진부(80)의 하부에는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 등의 입자상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40)가 각각 형성된다.
특히 기포유동층 연소로(10)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40)는 연소시 발생되어 낙하하는 불연물과 유동매체(11b)가 상호 응집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 유동매체(11b)를 하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연료 저장부(90)는 기포유동층 연소로(10)의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통해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연료 이송부(100)는 연료 저장부(90)와 기포유동층 연소로(10) 간에 설치되고, 기포유동층 연소로(10)의 연료투입구(11a)에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 즉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이송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료 이송부(100)는 연소에 적합한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선별하여 기포유동층 연소로(10)에 정량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1)은 기포유동층 연소로(10)에 설치된 요소수 공급수단(12b)을 통해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오염물질 1차 정화단계, 반건식 반응탑(60)의 액상소석회 공급수단(61)을 통해 배기가스에 중에 포함된 황산화물 및 염화수소를 제거함과 아울러 비산분진의 일부를 제거하는 오염물질 2차 정화단계, 분말활성탄 공급부(71)를 통해 건식반응기(70)에 분말활성탄을 공급하여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중금속 및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오염물질 3차 정화단계, 분말소석회 공급부(72)를 통해 건식반응기(70)에 분말소석회를 공급하여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황산화물 및 염화수소를 재차 제거하는 오염물질 4차 정화단계 및 백필터(Bag filter)가 구비된 여과집진부(80)를 통해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 등의 입자상 이물질과 다이옥신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 오염물질 5차 정화단계를 포함하는 5단계 정화과정을 거쳐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 인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보다 확실하게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매체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1)은 기포유동층 연소로(10)는 하부에 설치되는 유동매체 배출부(110)를 더 포함한다.
유동매체 배출부(110)는 진동배출관(111), 진동스크린(112) 및 분리 컨베이어(113)를 포함한다.
진동배출관(111)은 한 쌍이 기포유동층 연소로(10) 하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일측에 별도의 진동수단(114)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동매체(11b)를 경사를 따라 자연스럽게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스크린(112)은 진동배출관(1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별도의 진동수단(114)이 설치되어 진동을 통해 불연물과 응집되지 않은 유동매체(11b)는 하부로 배출하고, 불연물과 응집된 유동매체(11b) 및 유동매체(11b) 중에 포함된 못, 철사, 철편 등과 같은 이물질은 측방으로 이동시켜 별도의 저장부로 배출함으로써, 불연물과 응집되지 않은 유동매체(11b)와 불연물과 응집된 유동매체(11b) 및 유동매체(11b) 중에 포함된 못, 철사, 철편 등과 같은 이물질을 상호 분리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분리 컨베이어(113)는 진동스크린(112)을 통과한 불연물과 응집되지 않은 유동매체(11b)를 별도의 저장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스크류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별도의 기계적인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기포유동층 연소로(10) 하부로 배출되는 불연물과 응집되지 않은 유동매체(11b)와 불연물과 응집된 유동매체(11b) 및 유동매체(11b) 중에 포함된 못, 철사, 철편 등과 같은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 배출하고, 불연물과 응집되지 않은 유동매체(11b)는 기포유동층 연소로(10) 내부로 재공급함으로 인해 기포유동층 연소로(10)의 가동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저 전력사용으로 인해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3a, 3b 및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선별부의 평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연료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이 사용되며, 이하에서는 고형연료란 용어를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으로 대체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3c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 이송부(100)는 제 1 호퍼(101), 제 1 이송부(102), 제 1 선별부(103), 제 2 이송부(104), 제 2 선별부(105), 제 2 호퍼(106) 및 제 3 이송부(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호퍼(101)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통해 투입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이송부(102)는 제 1 호퍼(101)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되고, 제 1 호퍼(101)에 저장된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의 적정량을 일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벨트 컨베이어(102a), 제 1 스크류 컨베이어(102b), 제 1 버킷 컨베이어(102c)를 포함한다.
제 1 벨트 컨베이어(102a)는 제 1 호퍼(101)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되고, 제 1 호퍼(101)의 저장된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 1 호퍼(101)는 내부 일측에 제 1 벨트 컨베이어(102a) 상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제 1 돌기부(101aa)가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제 1 벨트 컨베이어(102a)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레벨드럼(101a)과 제 1 레벨드럼(101a)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제 2 돌기부(101ba)가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제 1 벨트 컨베이어(102a)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레벨드럼(101b)이 구비된다.
위와 같은 제 1 레벨드럼(101a) 및 제 2 레벨드럼(101b)은 제 1 벨트 컨베이어(102a)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 1 벨트 컨베이어(102a)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호퍼(101)의 하부에 설치된 제 1 벨트 컨베이어(102a)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일정한 높이로 펼쳐 제 1 스크류 컨베이어(102b)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스크류 컨베이어(102b)는 제 1 벨트 컨베이어(102a)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피치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1 스크류(102ba)를 통해 제 1 벨트 컨베이어(102a)로부터 공급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제 1 버킷 컨베이어(102c)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가변피치가 적용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제 1 스크류 컨베이어(102b)를 통해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이송함으로써, 이송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의 과부하에 의한 적체현상 및 브릿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많은 양의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이 공급되더라도 적정량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 1 버킷 컨베이어(102c)는 제 1 스크류 컨베이어(102b)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제 1 격벽(102ca)에 의해 상호 구획되는 다수개의 제 1 수용영역(102cb)이 형성된다.
위와 같이, 제 1 버킷 컨베이어(102c)의 다수개의 제 1 수용영역(102cb)에 공급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을 수납하여 공급함으로써, 높이가 높은 지역에 용이하게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 1 선별부(103)는 제 1 이송부(102)로부터 공급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오버사이즈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선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선별몸체부(103a) 및 선별이송부(103b)를 포함한다.
선별몸체부(103a)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일측에 제 1 배출로(103aa)가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제 2 배출로(103ab)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배출로(103aa)는 연소에 적합한 크기의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배출로(103ab)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오버사이즈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선별이송부(103b)는 제 1 배출로(103aa)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 2 배출로(103ab)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봉(103ba)과, 각 회전봉(103b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웃하는 회전봉(103ba) 간에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디스크(103bb)를 포함한다.
이러한 선별이송부(103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디스크(103bb) 간의 이격된 공간(S)을 통해 연소에 적합한 크기의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제 1 배출로(103aa)를 통해 배출하여 후술하는 제 2 이송부(104)로 이송하고,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오버사이즈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은 선별이송부(103b)를 통해 이송되어 제 2 배출로(103ab)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제 2 이송부(104)는 제 1 선별부(103)를 통해 선별된 적합한 크기의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후술하는 제 2 호퍼(106)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 벨트 컨베이어(104a) 및 제 2 버킷 컨베이어(104b)를 포함한다.
제 2 벨트 컨베이어(104a)는 제 1 선별부(103)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 1 선별부(103)를 통해 공급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일방향으로 이송하여 제 2 버킷 컨베이어(104b)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버킷 컨베이어(104b)는 제 2 벨트 컨베이어(104a)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제 2 격벽(104ba)에 의해 상호 구획되는 다수개의 제 2 수용영역(104bb)이 형성된다.
위와 같이, 제 2 버킷 컨베이어(104b)의 다수개의 제 2 수용영역(104bb)에 공급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수납하여 공급함으로써, 높이가 높은 지역에 용이하게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 2 선별부(105)는 자성체로서 제 2 벨트 컨베이어(104a)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 2 벨트 컨베이어(104a)를 통해 공급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 중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흡인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호퍼(106)는 제 2 이송부(104)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상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에 제 2 이송부(104)를 통해 공급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제 2 이송부(104)의 하부에 공급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저장할 수 있는 제 2 호퍼(106)가 구비되어 있어, 제 1 이송부(102) 및 제 2 이송부(104)의 고장이 발생되어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기포유동층 연소로(10)에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 3 이송부(107)는 일측이 제 2 호퍼(106)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제 2 호퍼(106)에 저장된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의 적정량을 양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 스크류 컨베이어(107a), 제 3 스크류 컨베이어(107b) 및 로터리 밸브(107c)를 포함한다.
제 2 스크류 컨베이어(107a)는 일측이 제 2 호퍼(106)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한 쌍이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며, 이송방향을 따라 피치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2 스크류(107aa)를 통해 제 3 스크류 컨베이어(107b)로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제 3 스크류 컨베이어(107b)는 각각의 제 2 스크류 컨베이어(107a)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피치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3 스크류(107ba)를 통해 기포유동층 연소로(10)의 연료투입구(11a)로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로터리 밸브(107c)는 제 3 스크류 컨베이어(107b)와 기포유동층 연소로(10)의 연료투입구(11a) 간에 설치되어 제 3 스크류 컨베이어(107b)로부터 공급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의 적정량을 연료투입구(11a)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로터리밸브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가변피치가 적용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제 2 스크류 컨베이어(107a) 및 제 3 스크류 컨베이어(107b)를 통해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이송함으로써, 이송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의 과부하에 의한 적체현상 및 브릿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많은 양의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이 공급되더라도 적정량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 이송부(100)는 가변피치가 적용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제 1 스크류 컨베이어(102b), 제 2 스크류 컨베이어(107a) 및 제 3 스크류 컨베이어(107b)를 통해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이송함으로써, 이송되는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의 과부하에 의한 적체현상 및 브릿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많은 양의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이 공급되더라도 적정량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연소설비의 운영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선별부(103)를 통해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오바사이즈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을 선별하고, 제 2 선별부(105)를 통해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 중에 포함된 금속성의 이물질을 자력으로 흡인하여 제거함으로써, 연소에 적합한 폐목재 우드칩(Wood Chip) 또는 우드팰릿(Wood Pallet)만을 보다 확실하게 선별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의 배기가스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1)의 배기가스 흐름을 살펴보면, 기포유동층 연소로(10) 내부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는 제 2 연소로(12) 일측에 설치된 요소수 공급수단(12b)을 통해 요소수를 공급받아 질소산화물이 제거되는 1단계 정화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연소로(12)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폐열회수 보일러(30)를 거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재차 열교환이 이루어진 다음, 반건식 반응탑(60)으로 유입된다.
반건식 반응탑(60)으로 공급된 배기가스는 반건식 반응탑(60)의 일측에 설치된 액상소석회 공급수단(61)을 통해 액상소석회를 공급받아 황산화물 및 염화수소가 제거되는 2단계 정화과정이 이루어진 후 건식반응기(70)로 유입된다.
건식반응기(70)로 공급된 배기가스는 분말활성탄 공급부(71)로부터 분말 활성탄을 공급받아 중금속 및 다이옥신이 제거되는 3단계 정화과정이 이루어진 후, 분말소석회 공급부(72)로부터 분말소석회를 공급받아 황산화물 및 염화수소가 제거되는 4단계 정화과정이 이루어진 후 여과집진부(80)로 유입된다.
여과집진부(80)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여과집진부(80)의 내부에 구비된 백필터(Bag filter)를 통과하면서 분진 등의 입자상 이물질과 중금속 및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5단계 정화과정이 이루어진 후, 유인송풍기(150)를 통해 외부에 설치된 연돌(160)로 안내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1)은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5단계에 걸쳐 정화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함으로 인해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10 : 기포유동층 연소로
11 : 메인 연소로 11a : 연료투입구
11b : 유동매체 11c : 제 1 연소버너
12 : 제 2 연소로 12a : 제 2 연소버너
12b : 요소수 공급수단 20 : 연소공기 공급수단
21 : 제 1 연소공기 공급수단 22 : 제 2 연소공기 공급수단
23 : 제 3 연소공기 공급수단 30 : 폐열회수 보일러
31 : 가스챔버실 31a : 수직격벽
32 : 제 1 폐열회수부 32a : 상부스팀드럼
32b : 하부워터드럼 32c : 제 1 수관
32d : 보호커버 40 : 제 2 폐열회수부
41 : 제 2 수관 50 : 열교환부
51 : 제 3 수관 60 : 반건식 반응탑
61 : 액상소석회 공급수단 70 : 건식반응기
71 : 분말활성탄 공급부 72 : 분말소석회 공급부
80 : 여과집진부 90 : 연료 저장부
100 : 연료 이송부 101 : 제 1 호퍼
101a : 제 1 레벨드럼 101aa : 제 1 돌기부
101b : 제 2 레벨드럼 101ba : 제 2 돌기부
102 : 제 1 이송부 102a : 제 1 벨트 컨베이어
102b : 제 1 스크류 컨베이어 102ba : 제 1 스크류
102c : 제 1 버킷 컨베이어 102ca : 제 1 격벽
102cb : 제 1 수용영역 103 : 제 1 선별부
103a : 선별몸체부 103aa : 제 1 배출로
103ab : 제 2 배출로 103b : 선별이송부
103ba : 회전봉 103bb : 디스크
104 : 제 2 이송부 104a : 제 2 벨트 컨베이어
104b : 제 2 버킷 컨베이어 104ba : 제 2 격벽
104bb : 제 2 수용영역 105 : 제 2 선별부
106 : 제 2 호퍼 107 : 제 3 이송부
107a : 제 2 스크류 컨베이어 107aa : 제 2 스크류
107b : 제 3 스크류 컨베이어 107ba : 제 3 스크류
107c : 로터리 밸브 110 : 유동매체 배출부
111 : 진동배출관 112 : 진동스크린
113 : 분리 컨베이어 114 : 진동수단
120 : 제 1 송풍수단 130 : 제 2 송풍수단
140 : 배출구 150 : 유인송풍기
160 : 연돌

Claims (7)

  1. 외면 일측에 연료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동매체가 수용되며, 내부 일측에 요소수 공급수단이 설치되는 기포유동층 연소로와;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된 연료 저장부와;
    상기 연료 저장부와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 간에 설치되고,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상기 연료투입구로 이송하는 연료 이송부와;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연소공기 공급수단과;
    일측이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의 측방에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회수 보일러와;
    일측이 상기 폐열회수 보일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폐열회수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부와;
    일측이 상기 열교환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부 일측에 액상소석회 공급수단이 설치된 반건식 반응탑과;
    일측이 상기 반건식 반응탑 타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에 분말활성탄 공급부가 연결되며, 또 다른 일측에 분말소석회 공급부가 연결되는 건식반응기와;
    일측이 상기 건식반응기 타측에 연결되는 여과집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연료 저장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료 저장부의 내부공기를 연소공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연료 이송부는
    상기 연료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제 1 호퍼와;
    상기 제 1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부와;
    상기 제 1 이송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오버사이즈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선별하는 제 1 선별부와;
    상기 제 1 선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2 이송부와;
    상기 제 2 이송부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 중에 포함된 금속성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제 2 선별부와;
    상기 제 2 선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제 2 호퍼와;
    상기 제 2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양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3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유동매체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매체 배출부는
    상기 기포유동층 연소로 하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진동배출관과;
    상기 진동배출관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스크린과;
    상기 진동스크린 하부에 설치되는 분리콘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부는
    상기 제 1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제 1 벨트 컨베이어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피치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1 스크류를 통해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제 1 스크류 컨베이어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제 1 격벽에 의해 상호 구획되는 다수개의 제 1 수용영역이 형성되는 제 1 버킷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호퍼는
    내부 일측에 상기 제 1 벨트 컨베이어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제 1 돌기부가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레벨드럼과;
    상기 제 1 레벨드럼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제 2 돌기부가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레벨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이송부는
    상기 제 1 선별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선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2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제 2 벨트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제 2 격벽에 의해 상호 구획되는 다수개의 제 2 수용영역이 형성되는 제 2 버킷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이송부는
    상기 제 2 호퍼의 하부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피치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2 스크류를 통해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양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 2 스크류 컨베이어와;
    각각의 상기 제 2 스크류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피치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3 스크류를 통해 상기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를 양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 3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선별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일측에 제 1 배출로가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제 2 배출로가 형성되는 선별몸체부와;
    상기 제 1 배출로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배출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봉과 각각의 상기 회전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회전봉 간에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선별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KR1020140112465A 2014-08-27 2014-08-27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KR101542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465A KR101542845B1 (ko) 2014-08-27 2014-08-27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465A KR101542845B1 (ko) 2014-08-27 2014-08-27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845B1 true KR101542845B1 (ko) 2015-08-07

Family

ID=5388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465A KR101542845B1 (ko) 2014-08-27 2014-08-27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8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78B1 (ko) * 2017-03-31 2018-07-04 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홀딩스 주식회사 이중 건식 반응기를 이용한 연소가스 처리 장치
KR102206793B1 (ko) 2020-02-12 2021-01-25 주식회사 에버원이앤티 건조슬러지 혼소설비의 전처리 장치 및 전처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732B1 (ko) * 2005-03-25 2007-05-11 (주)메디코 감염성 폐기물 소각로
KR101224267B1 (ko) * 2012-02-22 2013-01-22 (주)에스지이에너지 소각로 수직 병합형 폐열 보일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732B1 (ko) * 2005-03-25 2007-05-11 (주)메디코 감염성 폐기물 소각로
KR101224267B1 (ko) * 2012-02-22 2013-01-22 (주)에스지이에너지 소각로 수직 병합형 폐열 보일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78B1 (ko) * 2017-03-31 2018-07-04 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홀딩스 주식회사 이중 건식 반응기를 이용한 연소가스 처리 장치
KR102206793B1 (ko) 2020-02-12 2021-01-25 주식회사 에버원이앤티 건조슬러지 혼소설비의 전처리 장치 및 전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6191B1 (en) Vibratory fluidized bed reactor
US38188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disposal in a fluid bed reactor
TWI620595B (zh) 煙道氣除硫系統及用於在煙道氣除硫系統中回收固體微粒之方法
EP1269077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ustion of solid fuel
US78333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ercury emissions in flue gas
CN102165255B (zh) 二段旋转流动层式焚烧炉对废弃物的焚烧处理方法
US8695516B2 (en) Pollution abatement process for fossil fuel-fired boilers
Moldenhauer et al. A scale-up project for operating a 115 MWth biomass-fired CFB boiler with oxygen carriers as bed material
EP0597458B1 (en) Fluidized-bed incinerator
CN207514894U (zh) 复杂混合燃料的气化燃烧系统
KR101542845B1 (ko) 기포유동층 연소로 시스템
CA1314766C (en) Acid gas control process and apparatus for waste fired incinerators
KR102169127B1 (ko) 바이콘형 폐기물 압축 및 분쇄 장치 및 폐기물 예비 건조장치가 구비된 스토커식 소각로
KR20160008283A (ko) 보일러 일체형 기포유동층 연소로
EP0763179B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ash products and energy from refuse waste
Pettersson et al. Combustion of wastes in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s
JP2651769B2 (ja) 熱回収燃焼設備
CN103292317A (zh) 煤粉-油气可置换中小型工业锅炉
JP4105864B2 (ja) 流動層ボイラにおける飛灰の再利用方法
CA2102160A1 (en) Remediation of low level radioactive mixed waste in a fluidized bed incinerator
JPH0739844B2 (ja) 流動床燃焼装置
Tame Energy recovery from waste by use of fluidised-bed technology
JP2002106819A (ja) 循環流動層燃焼装置及びその燃焼方法
JP2001311514A (ja) 灰溶融炉を設置したボイラプラントおよび該ボイラプラントから回収した灰の処理方法
Tame Energy recovery from waste by use of fluidized-bed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