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347B1 -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347B1
KR101542347B1 KR1020130116080A KR20130116080A KR101542347B1 KR 101542347 B1 KR101542347 B1 KR 101542347B1 KR 1020130116080 A KR1020130116080 A KR 1020130116080A KR 20130116080 A KR20130116080 A KR 20130116080A KR 101542347 B1 KR101542347 B1 KR 10154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ainfall
feed pump
sidewalk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6974A (ko
Inventor
이문기
Original Assignee
씨에스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이(주) filed Critical 씨에스이(주)
Priority to KR1020130116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3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3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관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우 시작시 빗물저류부에 빗물을 저장하였다가 강우감지부에서 강우종료 감지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면 지정기간이 경과한 후 일정주기마다 빗물저류부에서 빗물을 녹지가드레일에 설치된 각각의 화분으로 관수하도록 제어하고, 설치된 화분은 변경가능하여 다양한 도시경관을 조성하고, 도로의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분인 도로변에 매립 설치되고, 일측면에 빗물을 유입하는 유입관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유입된 빗물을 유출하는 유출관이 형성되는 빗물저류부;와 상기 빗물저류부에서 저류된 빗물 수면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재를 구비하여 저류된 빗물 수위에 따라 상ㆍ하로 움직이며 저류된 빗물을 이송하는 이송펌프;와 상기 이송펌프와 관수수단으로 연결되고,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며 화분을 구비하여 식생식물을 식재하는 녹지가드레일;과 상기 녹지가드레일의 식생식물로 관수여부를 신호하기 위해 지상에 설치되고 강우여부를 감지하는 강우감지부;와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펌프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Afforestation automatic irrigation system for reducing rainwater outflow and Formation of Urban Landscape}
본 발명은 자동 관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우 시작시 빗물저류부에 빗물을 저장하였다가 강우감지부에서 강우종료 감지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면 지정기간이 경과한 후 일정주기마다 빗물저류부에서 빗물을 녹지가드레일에 설치된 각각의 화분으로 관수하도록 제어하고, 설치된 화분은 변경가능하여 다양한 도시경관을 조성하고, 도로의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의 발생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하는데,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은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점오염원은 생활하수나 공장폐수와 같이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한 장소에서 배출되는 오염원을 말하고, 비점오염원은 도시의 도로나 농지, 산지, 공사장 등에서 강우시 빗물과 함께 오염물질이 불특정하게 유출되는 오염원을 말한다.
비점오염원(nonpoint source) 중에서 도시비점오염물질로는 도로 노면의 퇴적물과 대기오염물질 등이 머물러 있어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건강까지 해치고 있다.
또한, 최근 우기시 집중호우 발생이 잦지만 도시화로 인한 지역의 불투수성 재질을 갖는 설비(예를 들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가 증가하여 강우시 토양으로 흡수되거나 증발하지 않고 머물러 도시홍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쾌적한 도시 형성을 위하여 도시 녹지 확층이 매우 절실하게 되었다. 도시 녹지 확층을 위해 도로 양쪽 측면에 식생식물이 심어진 화분을 설치하여 도로경관 조성, 공해감소 및 환경보호 하고 있지만 식생식물은 불규칙한 자연 강우에 의한 수분공급만으로 생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129724호(2009년12월17일)에는 녹화 시공물 급수 시스템에 있어서, 토양에 식물을 식재하여서 된 재배용기와, 재배용기의 하방에 설치된 급수조와, 재배용기의 저면을 관통하여 재배용기의 토양과 급수조 사이가 연결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심지와, 급수조 상방에 고정 설치된 부구를 갖는 플로팅 밸브와, 다수의 급수조에 설치된 플로팅 밸브를 연결하는 하나의 연결관과, 연결관의 일단과 이동 급수조의 물공급관 사이를 연결하는 커플러와 개폐밸브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시공물 관수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녹화 시공믈 관수시스템은 1회의 급수 작업만으로 다수의 재배용기에 물을 채워 녹화시공물에 급수하지만 관리자가 강우시기를 고려하지 않고 급수할 경우 재배용기에 물이 넘쳐 도로 및 인도로 재배용기의 흙이 흘러내려 도로 및 인도가 더렵혀질 수 있어 도시미관이 좋지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강우시기를 고려한다 하더라도 강우량에 따라 급수시기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관리자는 강우시기 및 강우량을 일일이 체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관리자가 재배용기가 설치된 도로를 찾아다니며 식물을 관리하고 급수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소비인력이 발생하며 그로 인해 많은 비용이 소모되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한계점이 발생한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04814호(2013년01월14일)에는 녹화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지면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지면에 매설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토양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그 상단이 상기 지지대의 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면이 개구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에 토양을 채우고 식물을 심어서 생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녹화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은 레일과 레일사이에 빗물을 유입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매설 저수조를 구비한다. 매설 저수조는 강우시 빗물을 유입하였다가 비 강우시 삼투압 작용에 의하여 토양으로 수분을 공급하지만, 식물에 따라 관수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수분을 다량으로 공급할 수 있어 식물의 뿌리가 썩을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토양으로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건기시에는 식물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 식물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우 시작시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분에 매립설치된 빗물저류부로 초기우수를 유입하여 저류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고, 강우유출수를 줄여 도시 홍수 등의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강우감지부에서 강우 종료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감시신호가 입력되면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 지정주기마다 빗물저류부에서 이송펌프를 가동하여 녹지가드레일에 설치된 관수수단을 따라 빗물을 화분의 식생식물에 관수하여, 도시경관을 조성하고 유지할 수 있는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녹지가드레일에 구비된 화분은 탈부착이 가능하여 녹지가드레일에서 화분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식생식물의 종도 변경가능하여 다양한 도시경관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한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분인 도로변에 매립 설치되고, 일측면에 빗물을 유입하는 유입관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유입된 빗물을 유출하는 유출관이 형성된 빗물저류부;와 상기 빗물저류부 내부에서 저류된 빗물의 수면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재를 구비하여 저류된 빗물 수위에 따라 상ㆍ하로 움직이며 저류된 빗물을 이송하는 이송펌프;와 상기 이송펌프와 관수수단으로 연결되고,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분에서 보도 내측에 설치되며 화분을 구비하여 식생식물을 식재하는 녹지가드레일;과 상기 녹지가드레일의 식생식물로 관수여부를 신호하기 위해 지상에 설치되고 강우여부를 감지하는 강우감지부;와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펌프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빗물저류부는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하단에 토출관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관은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제어부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침전물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펌프는 빗물저류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제하고 빗물만을 이송하도록 하단에 침전물감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녹지가드레일은 화분 형태 및 식생식물 종을 교체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를 형성하여 화분은 가드레일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조작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녹지가드레일 화분에서 생장하는 식생식물의 종에 따라 관수 주기 및 관수 양을 조작수단으로 설정입력하여 강우종료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설정된 주기 및 관수 양에 따라 이송펌프에 가동 및 가동중지 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강우감지부로부터 강우종료를 알리는 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지정기간이 경과된 후 이송펌프가 가동하여 가드레일의 식생식물에 관수하는 중에 강우감지부로부터 강우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펌프에 가동중지 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에 의하면,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분에 빗물저류부를 매립하여 강우가 시작되면 빗물을 유입하여 빗물을 저류함으로써 강우유출수를 줄여 홍수 등의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비점오염물질이 다량으로 포함된 초기우수를 저류시킴으로써 비점오염물질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녹지가드레일에 구비된 화분은 도시경관을 조성하며, 녹지가드레일에서 화분을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분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식생식물의 종도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도시경관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드레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본 발명은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에 있어서,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분인 도로변에 매립 설치되고, 일측면에 빗물을 유입하는 유입관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유입된 빗물을 유출하는 유출관이 형성된 빗물저류부;와 상기 빗물저류부 내부에서 저류된 빗물의 수면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재를 구비하여 저류된 빗물 수위에 따라 상ㆍ하로 움직이며 저류된 빗물을 이송하는 이송펌프;와 상기 이송펌프와 관수수단으로 연결되고,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분에서 보도 내측에 설치되며 화분을 구비하여 식생식물을 식재하는 녹지가드레일;과 상기 녹지가드레일의 식생식물로 관수여부를 신호하기 위해 지상에 설치되고 강우여부를 감지하는 강우감지부;와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펌프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저류부는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하단에 토출관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관은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제어부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침전물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펌프는 빗물저류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제하고 빗물만을 이송하도록 하단에 침전물감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녹지가드레일은 화분 형태 및 식생식물 종을 교체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를 형성하여 화분은 가드레일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조작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녹지가드레일 화분에서 생장하는 식생식물의 종에 따라 관수 주기 및 관수 양을 조작수단으로 설정입력하여 강우종료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설정된 주기 및 관수 양에 따라 이송펌프에 가동 및 가동중지 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강우감지부로부터 강우종료를 알리는 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지정기간이 경과된 후 이송펌프가 가동하여 가드레일의 식생식물에 관수하는 중에 강우감지부로부터 강우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펌프에 가동중지 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물저류부(10), 이송펌프(20), 녹지가드레일(30), 강우감지부(40) 및 제어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빗물저류부(10)는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도(2)와 보도(3)의 경계부분인 도로변에 매립설치되고, 일측면에 유입관(12)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유출관(14)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개폐밸브(18)를 설치한 토출관(17)이 형성된다. 빗물저류부(10)는 청소 등의 유지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녹지가드레일(30) 측면에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빗물저류부(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변에 매립설치되되, 차도(2)와 녹지가드레일(30)에 걸쳐 매립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빗물저류부(10)는 차도(2)에 접하는 일측면의 상단에 유입관(12)을 형성하여 빗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빗물은 빗물저류부(10) 내부에 저류한다. 빗물저류부(10) 내부에서 빗물을 저류시킴으로서 집중호우시 강우유출수를 줄여 도시 홍수 등의 재해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빗물저류부(10)는 내부수용양보다 많은 빗물이 다량으로 유입될 때에는 타측면의 상단에 형성된 유출관(14)으로 빗물이 유출된다. 초기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포함된 빗물은 빗물저류부(10)에 내부에 수용되고 강우가 지속되어 오염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빗물은 유출관(14)을 통해 인근 하천 등으로 유출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빗물저류부(10)는 강우가 종료되면 저류된 빗물에서 오염물질은 침전되고 상부에는 비교적 깨끗한 빗물이 형성된다. 빗물저류부(10)는 침전된 침전물(P)배출하기 위하여 하단에 토출관(17)을 형성하고 토출관(17)은 개폐밸브(18)가 설치된다. 개폐밸브(18)는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개방하여 침전물(P)을 배출한다.
상기 이송펌프(20)는 빗물저류부(10) 내부에 저류된 빗물을 이송하며, 빗물저류부(10)에 저류되는 빗물 수면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재(23)를 구비한다. 이송펌프(20)는 제어부(50)의 가동신호에 따라 빗물저류부(10) 내부에서 상ㆍ하로 움직이며 빗물을 이송한다. 단, 부력재(23)는 수면에서 부유하되 이송펌프(20)는 빗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수중에 위치하도록 한다. 부력재(23)는 부력성능이 우수한 스티로폼이나 파이프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펌프(20)는 빗물저류부(10) 하단에 침전된 침전물(P)을 배제하고 빗물만을 이송하도록 하단에는 침전물감지부재(25)를 구비한다. 침전물감지부재(25)는 이송펌프(20)의 무게를 침전물(P) 표면에서 지탱할 수 있도록 유동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전물감지부재(25)는 침전물(P)이 닿는 하부면적을 소정의 넓이로 형성하여 침전물감지부재(25)가 침전물(P)속으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펌프(20)는 가동시 빗물저류부(10) 내부의 수위를 낮추면서 하강하다가 침전물감지부재(25)가 침전물(P)과 맞닿으면 더이상 하강하지 않고 빗물을 이송한다.
상기 녹지가드레일(3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도(3)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차도(2)와 보도(3)의 경계부분에서 보도 내측에 설치되며, 도시경관 조성을 위하여 화분(32)을 구비하여 식생식물(34)을 식재한다. 녹지가드레일(30)은 하부 일부분이 매립설치되어 고정된다. 녹지가드레일(30)은 강한 충격을 견딜 수 있는 철 또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지가드레일(30)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지가드레일(30) 사이사이에 나무를 식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개의 녹지가드레일(30)을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녹지가드레일(30)은 환경오염물질 저감 및 도시경관 조성을 위하여 화분(32)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33)를 형성한다. 녹지가드레일(30)과 화분(32)은 체결부재(33)로 체결하여 간단하게 녹지가드레일(30)에서 화분(32) 탈부착이 가능하여 화분(32)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식재된 식생식물(34)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녹지가드레일(30)은 화분(32)에 식재된 식생식물(34)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관수수단(35)을 구비한다. 관수수단(35)은 이송펌프(20)와 연결되어 이송펌프(20)가 가동하여 관수수단(35)으로 이송되는 빗물을 식생식물(34)에 공급한다. 관수수단(35)은 녹지가드레일(30) 측면벽을 따라 형성되며 화분(32)의 위치마다 관수수단(35)에는 홈이 형성되어 화분(32)에 식재된 식생식물(34)에 수분을 공급한다.
상기 강우감지부(40)는 녹지가드레일(30)이 설치된 지상 한쪽에 설치되고 강우여부를 감지하여 이송펌프(20) 작동여부를 결정토록 제어부(50)에 신호한다. 강우감지부(40)는 강우량계나 강우감지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우감지부(4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송펌프(20)의 가동 유무를 자동으로 설정가능하게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제어부(50)는 강우감지부(40)를 통하여 강우의 시작과 종료를 알리는 감지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제어부(50)는 강우감지부(40)에서 강우종료를 알리는 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이송펌프(20)를 작동하는 신호를 이송펌프(20)에 인가한다. 제어부(50)는 강우종료를 알리는 감지신호가 입력된 이후부터 이송펌프(20)를 작동하는 신호를 이송펌프(20)에 인가하기까지의 경과시간을 설정입력할 수 있도록 조작수단(55)을 구비한다.
또한, 조작수단(55)은 식생식물(34)이 생장할 수 있도록 식생식물(34)의 종에 따라 관수 주기 및 관수 양이 다르기 때문에 화분(32)에 식재된 식생식물(34)의 종에 따라 조작수단(55)으로 관수 주기 및 관수 양에 따라 이송펌프(20)에 가동 및 가동중단 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부(50)는 지정기간이 경과된 후 이송펌프(20)를 가동시킬 뿐만 아니라 식생식물(34)에 필요한 수분만큼 빗물을 이송한다. 따라서, 조작수단(55)으로 식재된 식생식물(34)의 종에 따라 생장에 필요한 수분공급양을 기준으로 이송펌프(20) 가동시간을 지정설정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식생식물(34) 관수 주기를 설정하여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아도 식생식물(34)의 관수주기마다 관수할 수 있도록 이송펌프(20)를 가동한다. 제어부(50)에서 식생식물(34)의 관수주기마다 이송펌프(20) 가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수주기가 긴 식생식물(34)부터 관수주기가 짧은 식생식물(34)까지 생장할 수 있어 다양한 식생식물(34)을 식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50)는 강우감지부(40)로부터 강우종료를 알리는 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지정기간이 경과된 후 이송펌프(20)가 가동하여 녹지가드레일(30)의 식생식물(34)에 관수하는 중에 강우감지부(40)로부터 강우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이송펌프(20)에 가동중단 신호를 인가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50)는 강우감지부(40)로부터 강우종료를 알리는 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지정기간이 경과된 후 빗물저류부(10)에 침전된 침전물(P)을 토출하기 위하여 조작수단(55)으로 지정기간을 설정한 후 개폐밸브(18)를 개방하는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50)의 조작수단(55)으로 빗물저류부(10)가 매립된 지역에 따라 개폐밸브(18)를 개방하는 지정기간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비점오염저감물질 발생이 적은 산악지대 및 시골은 침전물(P)이 많이 발생하지 않아 지정기간을 길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점오염저감물질 발생이 많은 산업지역 및 도시는 침전물(P) 발생량이 많아 지정기간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50)는 침전물(P)을 토출하여 빗물저류부(10)에 침전물(P)이 오랫동안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며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차도 3 : 보도 10 : 빗물저류부
12 : 유입관 14 : 유출관 17 : 토출관
18 : 개폐밸브 20 : 이송펌프 23 : 부력재
25 : 침전물감지부재 30 : 녹지가드레일 32 : 화분
33 : 체결부재 34 : 식생식물 35 : 관수수단
40 : 강우감지부 50 : 제어부 55 : 조작수단

Claims (6)

  1.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분인 도로변에 매립 설치되고, 일측면에 빗물을 유입하는 유입관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유입된 빗물을 유출하는 유출관이 형성된 빗물저류부;와
    상기 빗물저류부 내부에서 저류된 빗물의 수면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재를 구비하여 저류된 빗물 수위에 따라 상ㆍ하로 움직이며 저류된 빗물을 이송하는 이송펌프;와
    상기 이송펌프와 관수수단으로 연결되고,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분에서 보도 내측에 설치되며 화분을 구비하여 식생식물을 식재하는 녹지가드레일;과
    상기 녹지가드레일의 식생식물로 관수여부를 신호하기 위해 지상에 설치되고 강우여부를 감지하는 강우감지부;와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펌프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빗물저류부는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하단에 토출관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관은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제어부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침전물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펌프는 빗물저류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제하고 빗물만을 이송하도록 하단에 침전물감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지가드레일은 화분 형태 및 식생식물 종을 교체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를 형성하여 화분은 가드레일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조작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녹지가드레일 화분에서 생장하는 식생식물의 종에 따라 관수 주기 및 관수 양을 조작수단으로 설정입력하여 강우종료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설정된 주기 및 관수 양에 따라 이송펌프에 가동 및 가동중지 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강우감지부로부터 강우종료를 알리는 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지정기간이 경과된 후 이송펌프가 가동하여 가드레일의 식생식물에 관수하는 중에 강우감지부로부터 강우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펌프에 가동중지 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 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KR1020130116080A 2013-09-30 2013-09-30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KR10154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080A KR101542347B1 (ko) 2013-09-30 2013-09-30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080A KR101542347B1 (ko) 2013-09-30 2013-09-30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74A KR20150036974A (ko) 2015-04-08
KR101542347B1 true KR101542347B1 (ko) 2015-08-06

Family

ID=5303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080A KR101542347B1 (ko) 2013-09-30 2013-09-30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3571B (zh) * 2015-09-11 2016-10-05 杭州市园林绿化股份有限公司 一种屋顶绿化无动力雨水收集和定时灌溉装置
KR102018059B1 (ko) * 2018-12-27 2019-10-21 씨에스이(주) 도로 미세먼지 및 지면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06B1 (ko) * 2010-09-02 2011-06-27 주식회사 비앤지 도로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빗물을 이용한 식생구조
KR101129701B1 (ko) * 2009-04-02 2012-03-28 조흥열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701B1 (ko) * 2009-04-02 2012-03-28 조흥열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 및 그 방법
KR101039806B1 (ko) * 2010-09-02 2011-06-27 주식회사 비앤지 도로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빗물을 이용한 식생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74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059B1 (ko) 도로 미세먼지 및 지면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ES2371695B2 (es) Estación hidráulica de recuperación, de gestión y de distribución de las aguas pluviales.
KR101874386B1 (ko) 도로변 빗물을 이용한 스마트 화분
CN105442442A (zh) 高架桥下绿化带的自流式雨水收集和灌溉系统
KR101724155B1 (ko)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KR101503523B1 (ko)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CN110820662A (zh) 一种收集道路雨水二次利用的降尘喷雾循环系统及方法
CN104903520A (zh) 用于使用来自降雨的水以形成永久或季节性水源或给水点的系统
KR101070783B1 (ko) 도시열섬현상 저감 기능을 구비한 도로
KR200289980Y1 (ko)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CN110952640B (zh) 海绵城市渗排结构及海绵城市水循环系统
CN116096973A (zh) 灌溉和排水设备和/或储水设备,优选用于管理水,尤其灌溉(绿)地和/或植物
ES2238084T3 (es) Sistema de acumulacion, de conduccion y de tratamiento del agua integrado a la superficie del suelo, con dispositivo de proteccion del suelo y de aguas integrable.
KR101904147B1 (ko) 에코 도시 조경시스템
KR101370481B1 (ko) 인공함양용 필터링 시스템 및 인공함양용 필터링 시스템 세척방법
KR101542347B1 (ko)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CN109958099A (zh) 一种城市河道雨洪资源调控系统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CN207828737U (zh) 一种绿化带
CN207794243U (zh) 一种海绵城市中下沉式绿地反渗层自动冲洗装置
KR101750413B1 (ko) 우수맨홀을 이용한 초기빗물처리 시스템
CN206591600U (zh) 一种弃流池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CN205382409U (zh) 高架桥下绿化带的自流式雨水收集和灌溉系统
CN108517737A (zh) 一种地下雨水处理收集再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