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739B1 -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739B1
KR101541739B1 KR1020150037351A KR20150037351A KR101541739B1 KR 101541739 B1 KR101541739 B1 KR 101541739B1 KR 1020150037351 A KR1020150037351 A KR 1020150037351A KR 20150037351 A KR20150037351 A KR 20150037351A KR 101541739 B1 KR101541739 B1 KR 10154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tire
rotation angle
vehic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3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60C11/243Tread wear sensors, e.g. electronic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5Automatically identifying wheel mounted units, e.g. after replacement or exchange of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가 코너링을 수행할 때 차체가 밀려나는 정도를 감지하여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감지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차량의 목표회전각도값을 감지하는 스티어링 센서; 상기 타이어에 내측에 장착되어 차량의 밀림 현상에 따른 응력 변화값을 감지하는 미끄러짐 센서; 상기 미끄러짐 센서로부터 수신한 응력 변환값으로부터 차량의 실질회전각도값을 계산하고 상기 목표회전각도값으로부터 상기 실질회전각도값을 감산하여 얻어진 결과값을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 교체시기로 판단되면 이를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타이어의 코너링 시의 자체의 밀림 현상을 감지함으로써 타이어의 마모에 따른 타이어 교체시기를 예측하여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TIRE WEAR}
본 발명은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가 코너링을 수행할 때 차체가 밀려나는 정도를 감지하여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감지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1993호(인용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에 따라 노면에 마찰력에 의해 타이어에 변동 요인이 발생한다. 이 변동요인은 타이어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이며, 마찰력이 증가하면 내부 압력과 내부 온도가 상승한다.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내부 온도가 온도 기준값 이상인 경우 교체시기로 판단한다. 인용발명은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 기준값과 비교하여 내부 압력이 압력 기준값 이상이면 교체시기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에 있어서, 타이어는 계절 및 주위 환경에 따라 내부 압력 및 내부 온도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부정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여름인 경우면, 타이어 내부의 온도는 증가하고 압력도 증가하므로 절대적인 압력 및 온도 정보를 이용하게 되면 차량 사용자에게 부적절한 정보를 알려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겨울인 경우면, 타이어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은 급격히 감소하므로 마찬가지로 차량 사용자에게 부적절한 정보를 알려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코너링 시의 자체의 밀림 현상을 감지함으로써 타이어의 마모에 따른 타이어 교체시기를 예측하여 알려줄 수 있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는, 차량의 목표회전각도값을 감지하는 스티어링 센서; 상기 타이어에 내측에 장착되어 차량의 밀림 현상에 따른 응력 변화값을 감지하는 미끄러짐 센서; 상기 미끄러짐 센서로부터 수신한 응력 변환값으로부터 차량의 실질회전각도값을 계산하고 상기 목표회전각도값으로부터 상기 실질회전각도값을 감산하여 얻어진 결과값을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 교체시기로 판단되면 이를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끄러짐 센서는 응력 변화값을 감지하는 박막형 압력센서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끄러짐 센서가 감지한 응력 변화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전압값으로 변환된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 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과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결과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타이어 교체시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음향 및 점멸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어 마모 감지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차량의 목표회전각도값을 감지하는 제1 감지과정;
차량의 밀림 현상에 따른 응력 변화값을 감지하는 제2 감지과정;
상기 제1 감지과정에 따른 차량의 실질회전각도값과 상기 제2 감지과정에 따른 응력 변화값을 계산하여 결과값을 계산하는 과정;
상기 결과값과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하는 과정에의 판단 결과 교체시기로 판단되면 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끄러짐 센서는 미끄러짐을 감지하는 박막형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과값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하는 과정에서의 마찰력을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변환하는 과정에서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 하는 과정;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
상기 증폭된 전압값을 실질회전각도값으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목표회전각도값으로부터 상기 실질회전각도값을 감산하여 결과값을 획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결과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결과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타이어 교체시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디스플레이, 음향 및 점멸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여 상기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는 타이어의 코너링 시의 자체의 밀림 현상을 감지함으로써 타이어의 마모에 따른 타이어 교체시기를 예측하여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를 감지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를 감지하기 위한 스티어링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에 따른 미끄러짐과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하여 이를 알려주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를 감지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를 감지하기 위한 스티어링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는 미끄러짐 센서(110), 스티어링 센서(120), 제어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미끄러짐 센서(110)는 차량에 설치되며, 특히 타이어에 장착된다. 미그러짐 센서(110)는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고 이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송하기 위하여 미끄러짐 센서(110)와 제어부(130)가 연결되어 있다. 미끄러짐 센서(110)는 박막형 압력센서를 이용한다. 박막형 압력센서는 차량의 방향과 회전 속도가 인식되면 검출요소의 응력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 정보를 조향 핸들의 움직임 및 휠의 실제 회전과 비교하여 회전각도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각도 값으로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미끄러짐 센서(110)는 응력의 변화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한다.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전압변환기는 미도시되어 있다. 전압값으로 변환된 값은 매우 작은 값으로 잡음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압값으로 변환된 신호를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한다. 이 때, 필터링은 잡음이 발생하는 저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로우패스 필터일 수 있다. 잡음이 제거된 상태의 신호는 매우 낮은 전압값이므로 증폭기를 이용하여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시킨다. 이와 같이 증폭된 신호가 제어부(130)에 제공된다. 한편, 전술한 전압 변환부, 필터 및 증폭기는 미도시되어 되어 있다.
제어부(130)는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여 각도값 테이블(미도시됨)을 이용하여 해당 스티어링 센서가 감지한 각도에 대응하여 증폭된 신호의 값에 대응하는 값을 실질회전각도값으로 변환한다. 예컨대, 동일한 시간동안 핸들에 의해 회전한 각도를 스티어링 센서(120)가 감지한 각도가 25도이고, 25도에 대응하는 증폭된 신호가 0.5V인 경우면, 각도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5도가 가산될 수 있다. 스티어링 센서(120)가 감지한 각도가 20도이고, 증폭된 신호가 1V인 경우면, 각도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2도가 가산될 수 있다.
스티어링 센서(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차량의 목표 회전 각도를 감지한다. 스티어링 센서(120)는 차량의 핸들에 설치되어 차량의 핸들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스티어링 센서(120)의 일정한 간격의 각도 마다 설치된 홀센서(122)를 이용하여 해당 홀 센서(122)의 위치를 감지하면 이를 목표 회전각도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홀센서(122)는 등간격으로 배치할 수도 있으며, 비등간격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0도 내지 20도의 간격은 회전시에 타이어가 밀리는 각도가 크기 않아 성기게 설치하며, 20도 내지 50도 간격에서 밀집되게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미끄러짐 센서(110)에서 감지된 차량, 즉 타이어의 응력 변화값을 응력 변화값을 실질회전각도값으로 변환하고, 목표 회전각도값으로부터 실질회전각도값을 감산한 결과값을 획득한다. 한편, 차량의 타이어는 마모에 의해 측면으로 밀려나는 정도는 감소하며, 이는 타이어에 형성된 문양이 점차 마모되면서 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과값이 5도 내지 15도 범위 내에 있으며 정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도 범위를 초과하면 정상으로 간주하고 10도 범위이내면 교체시기로 판단한다.
제어부(130)의 판단결과 교체시기로 판단되면 교체시기를 알리는 정보를 표시부(140)로 전송하여 표시부(140)로 하여금 이를 표시하도록 한다.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교체시기를 문자로 알려주도록 디스플레이시켜주거나, 음향 및 점멸등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에 따른 미끄러짐과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트어링 센서(120)는 미끄러지지 않은 차량(10-1)이 스티어링 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목표회전각도값(α)을 감지한다. 스티어링 센서(120)는 핸들에 의해 회전한 각도만을 감지하므로 미끄러지지 않은 이상적인 상태의 회전각도, 즉, 목표회전각도값(α)을 감지한다.
그러나, 미끄러짐 센서(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력 변화값에 대응하는 회전각도값을 테이블에 의해 산출한다. 테이블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센서(120)에 의해 회전한 회전값과 이에 대응하는 응력 변화값을 대응시켜 생성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실질회적각도값(β)을 구할 수 있다. 즉, 스티어링 센서(120)에 의해 차량(10-1)이 목표 회전각도값(α)으로 회전하게 되면 미끄러짐이 없는 상태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동일한 시간 동안 미끄러짐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실제의 회전각도(β)는 목표 회전각도보다 더 작은 값을 나타낸다. 이때, 차량(10-1)의 원래 목표위치보다 S만큼 미끄러진 위치에 차량(10-2)이 위치하게 되며, 미끄러진 차량(10-2)이 위치한 각도가 실질회전각도값(β)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하여 이를 알려주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502과정에서 스티어링 센서(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차량의 목표회전각도값(α)을 감지한다. 차량의 목표회전각도값(α)은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회전 각도를 의미하며, 동일한 시간(t) 동안 회전한 이론적인 회전 각도를 나타낸다. 반대로 실질회전각도값(β)은 미끄러진 차량(10-2)이 위치한 각도를 측정한다.
S504과정에서 미끄러짐 센서(110)는 차량의 밀림 현상에 따른 응력변화값을 감지한다. S506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실질회전각도값(β)을 계산한다. 제어부(130)가 미끄러짐 센서(110)가 감지한 응력 변화값을 실질회전각도값(β)으로 계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508과정에서 제어부(130)는 목표회전각도값(α)으로부터 실질회전각도값(β)을 감산하여 결과값(α- β)을 산출하여 낸다.
S510과정에서 제어부(130)는 결과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 S510과정에서의 비교결과 상기 결과값(α- β)이 임계값 초과인 경우에는 타이어가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S512과정). 따라서, S512과정에서는 어떤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는다.
임계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10도 내외의 값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평균적인 교체시기보다 빠르게 교체시기를 알려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평균적인 교체시기보다 느리게 교체시기를 알려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임계값을 5도로 설정하면, 교체시기를 빨리 알려 줄수 있다. 그리고, 임계값을 15도로 설정하면, 교체시기를 늦게 알려주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준값으로는 임계값을 10도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S510과정에서의 비교결과 상기 결과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타이어를 교체할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한다(S514과정). S514과정에 의해 타이어의 교체시기로 판단되면 이를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를 감지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의 측면, 예컨대 2개 내지 4개의 차량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자이로 센서(210) 및 가속도 센서(220)를 함께 설치한다. 자이로 센서(210)와 가속도 센서(220)는 차량의 측면의 속도값 및 위치변화값을 감지하여 전술한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과정에 의해 측면으로 밀려나는 실질회전각도값(β)을 계산하고 이로부터 감산하여 결과값(α- β)을 구하여 차량 타이어의 마모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가속도 센서(210)만으로도 실질회전각도값(β)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가속도 센서(220)만으로 측면의 속도값 및 위치변화값을 감지하여 연산하는 경우 연산 과정에 의해 오차가 커질 수 있으므로 자이로 센서(210)와 함께 실질회전각도값(β)을 계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를 감지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은 자이로 센서(210), 가속도 센서(220), 스티어링센서(120) 및 제어부(130) 및 표시부(140)로 구성한다. 자이로 센서(210)와 가속도 센서(220)는 차량이 측면으로 밀리는 경우의 차량의 실질회전각도값(β)을 계산한다. 스티어링센서(120)는 목표회전각도값(α)을 계산하며, 계산한 이후의 연산 과정은 도 4 내지 도 5의 과정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도 5의 S504과정에서 응력 변화값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며 자이로 센서(210) 및 가속도 센서(220)는 속도값 및 위치변화값을 감지하는 과정과 S506과정에서 실질회전각도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상이하고 그 이외의 과정은 동일하므로 그 이외의 단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10 : 미끄러짐 센서 120 : 스티어링 센서
130 : 제어부 140 : 표시부
210 : 자이로 센서 220 : 가속도 센서

Claims (12)

  1. 차량의 목표회전각도값을 감지하는 스티어링 센서;
    타이어에 내측에 장착되어 차량의 밀림 현상에 따른 응력 변화값을 감지하는 미끄러짐 센서;
    상기 미끄러짐 센서로부터 수신한 응력 변화값으로부터 차량의 실질회전각도값을 계산하고 상기 목표회전각도값으로부터 상기 실질회전각도값을 감산하여 얻어진 결과값을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 교체시기로 판단되면 이를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러짐 센서는,
    응력 변화값을 감지하는 박막형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끄러짐 센서가 감지한 응력 변화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전압값으로 변환된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 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과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결과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타이어 교체시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음향 및 점멸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 사용자에게 상기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7.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차량의 목표회전각도값을 감지하는 제1 감지과정;
    차량의 밀림 현상에 따른 응력 변화값을 감지하는 제2 감지과정;
    상기 제1 감지과정에 따른 차량의 목표회전각도값과 상기 제2 감지과정에 따른 실질회전각도값을 계산하여 결과값을 계산하는 과정;
    상기 결과값과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하는 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교체시기로 판단되면 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과정은,
    응력변화값을 감지하는 박막형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값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감지과정에서의 응력 변화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변환하는 과정에서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 하는 과정;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
    상기 증폭된 전압값을 실질회전각도값으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목표회전각도값으로부터 상기 실질회전각도값을 감산하여 결과값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결과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결과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타이어 교체시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디스플레이, 음향 및 점멸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여 상기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방법.
KR1020150037351A 2015-03-18 2015-03-18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541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351A KR101541739B1 (ko) 2015-03-18 2015-03-18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351A KR101541739B1 (ko) 2015-03-18 2015-03-18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739B1 true KR101541739B1 (ko) 2015-08-12

Family

ID=5406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351A KR101541739B1 (ko) 2015-03-18 2015-03-18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485A (ko) * 2018-09-03 2020-03-11 소치재 미끄러운 도로에서 전기 자동차의 안전 주행장치
KR102104724B1 (ko) 2018-10-25 2020-04-24 백웅재 자동차의 타이어 마모도 검출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1281A (ja) 2004-11-30 2006-06-15 Toyota Motor Corp タイヤ状態判定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2007121274A (ja) 2005-09-27 2007-05-17 Yokohama Rubber Co Ltd:The 車輪の旋回安定性評価方法および車輪の旋回安定性評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1281A (ja) 2004-11-30 2006-06-15 Toyota Motor Corp タイヤ状態判定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2007121274A (ja) 2005-09-27 2007-05-17 Yokohama Rubber Co Ltd:The 車輪の旋回安定性評価方法および車輪の旋回安定性評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485A (ko) * 2018-09-03 2020-03-11 소치재 미끄러운 도로에서 전기 자동차의 안전 주행장치
KR102140109B1 (ko) * 2018-09-03 2020-07-31 소치재 미끄러운 도로에서 전기 자동차의 안전 주행장치
KR102104724B1 (ko) 2018-10-25 2020-04-24 백웅재 자동차의 타이어 마모도 검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2458B (zh) 用于确定车辆轮胎花纹深度的方法
JP2016034826A (ja) タイヤ摩耗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102022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wear control of vehicle tyres
US20100083747A1 (en) Method and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tire of a motor vehicle
JP5902473B2 (ja) タイヤ偏摩耗検知方法及びタイヤ偏摩耗検知装置
WO2007038451A3 (en) Selectable lane-departure warning system and method
KR101541739B1 (ko)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70074800A (ko) 차상 안정성 제어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타이어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1391195B1 (ko) 마찰 계수 추정 방법 및 장치
US20130342341A1 (en) Ti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2008143460A (ja) タイヤ摩耗量推定装置、及びタイヤ摩耗量推定装置を搭載した車両
WO2018003734A1 (ja) 加速度センサの脱落判定方法及び加速度センサの脱落判定装置
JP2007064880A (ja) 速度表示装置
CN113382883A (zh) 用于估计车辆的轮胎的压力的方法
JP2009255711A (ja) タイヤ空気圧低下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タイヤ減圧判定のプログラム
JP2005225428A (ja) タイヤ空気圧低下警報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タイヤ減圧判定のプログラム
KR101907689B1 (ko) 인텔리전트 타이어 수명예측 및 알림방법.
JP5265145B2 (ja) タイヤ内圧低下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タイヤ内圧低下検出プログラム
JP2012250629A (ja) タイヤ空気圧低下検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171297B2 (en)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ation apparatus
US20190023090A1 (en) Tire rotation speed correction apparatus
JP5251278B2 (ja) タイヤの摩耗状態推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4762123B2 (ja) タイヤ摩耗量推定装置、及びタイヤ摩耗量推定装置を搭載した車両
EP2142390A1 (en) Adaptive pressure thresholds in a ty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JP2005126013A (ja) タイヤ空気圧低下検出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タイヤ減圧判定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