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032B1 -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032B1
KR101539032B1 KR1020140149572A KR20140149572A KR101539032B1 KR 101539032 B1 KR101539032 B1 KR 101539032B1 KR 1020140149572 A KR1020140149572 A KR 1020140149572A KR 20140149572 A KR20140149572 A KR 20140149572A KR 101539032 B1 KR101539032 B1 KR 10153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information
matching code
anonymous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897A (ko
Inventor
김동선
박기봉
연준희
김승열
Original Assignee
이디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디비(주) filed Critical 이디비(주)
Priority to KR102014014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0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0Blood pressure recor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은, 전자처방전에서 개인정보를 제외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며, 종이처방전의 출력 시에 종이처방전 상에 매칭코드가 인쇄되도록 동작하는 의료기관 서버, 종이처방전으로부터 환자회원의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획득하고, 매칭코드를 이용하여 중계 서버로부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하며,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처방전을 복원하는 조제기관용 단말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저장하며, 조제기관용 단말기로부터 매칭코드와 함께 무기명 처방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매칭코드는 무기명 처방정보와 개인정보를 유일하게 대응시키도록 생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LECTRONIC PRESCRIPTION NOTE BASED ON MATCHING CODE PRINTED ON PRESCRIPTION SLIP}
본 발명은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종이처방전과 전자처방전을 함께 이용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법 및 그 시행규칙의 규정에 따라 의사는 처방전을 환자에게 교부하여야 하는데, 환자의 요청이 있으면 처방전 사본을 환자가 원하는 조제기관, 즉 약국에 팩스 등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처방전은 통상적으로 종이에 인쇄된 종이 처방전을 의미하지만, 전자서명법에 따른 공인인증서로 전자서명한 전자처방전의 형태로도 발행될 수 있다.
전자처방전도 통상적인 종이 처방전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개인정보, 처방을 한 의료인의 정보, 처방정보와 처방일자를 포함하여야 하고 환자에게 2부가 교부되어야 한다. 의사는 환자가 요청하면 처방전을 발행한 의사가 전자처방전을 추가 발급하여 약국 등에 전자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처방전에 관련한 의료법의 규정들 중에서 특히 문제되는 규정은 누구든지 정당한 사유 없이 전자처방전에서 개인정보를 탐지하거나 누출, 변조 또는 훼손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규정이다. 여기서 정당한 사유라 함은 통상적으로 본인의 명시적 요청이나 법원의 영장 정도의 엄격한 사유로 해석된다.
종래의 전자처방전 전송 기법은, 수많은 의료기관들이 수많은 조제기관들에 연결되는 통신망을 자체적으로 구축 및 운영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제3자가 운영하는 중계 서버가 의료기관들과 조제기관들 사이를 중계하는 방식에 기반하여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 기법에서는, 전자처방전 자체가 중계 서버에 일시 또는 장기간 저장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민감한 개인정보와 처방정보가 담겨있는 전자처방전을 의료기관이나 조제기관이 아닌 제3자의 중계 서버에 저장하는 것은 의료법의 비밀누설 금지 및 기록열람규정에 위배될 소지가 있다.
또한, 대량의 개인정보와 처방정보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유의미한 통계 자료는 의약품 업계에 상업적으로 상당히 가치 있는 정보이므로 중계 서버의 운영자가 전자처방전의 개인정보와 처방정보를 몰래 악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법규정에 의존하여 사후적 적발과 처벌을 통해 전자처방전의 전송 시에 개인정보의 탐지, 누출, 변조 또는 훼손을 금지할 것이 아니라, 기술적으로 그러한 가능성을 사전에 배제할 수 있는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2-0041225 "전자처방전 전달 시스템 및 그 방법"(2002.06.01 공개)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11-0085309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2011.07.27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처방전의 전송 시에 개인정보의 탐지, 누출, 변조 또는 훼손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의료법 규정을 준수하면서도 환자에게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을 주지 않은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이처방전에 의존하는 현실과 조화를 이루면서 편리하게 전자처방전을 이용할 수 있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기관 서버와 조제기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중계 서버로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전자처방전에서 개인정보를 제외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무기명 처방정보 DB에 저장하는 무기명 처방정보 수신부;
환자회원에게 교부된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개인정보 및 매칭코드를 획득한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칭코드에 기초하여 요청되는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무기명 처방정보 DB로부터 상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검색하는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무기명 처방정보를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코드는 무기명 처방정보와 개인정보를 유일하게 대응시키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는 문자 또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optical machine-readable code)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는 상기 개인정보와 함께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계독출코드는 바코드 또는 2차원 매트릭스 코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는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서 광학적으로 스캐닝되거나,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의해 복제되어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매칭코드의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서 광학적으로 스캐닝되어, 매칭코드 단독으로 또는 개인정보와 함께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가 획득하는 매칭코드는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종이처방전 상의 매칭코드의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매칭코드 단독으로 또는 개인정보와 함께 획득되어, 환자회원이 선택한 조제기관을 특정하는 조제기관 선택정보 및 개인정보와 함께 상기 중계 서버에 제공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조제기관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기명 처방정보 수신부는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무기명 처방정보 및 매칭코드와 함께,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를 환자회원 알림부에 전달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식별된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전자처방전의 발행 사실을 통지하는 환자회원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환자회원 알림부는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전자처방전 발행 사실의 통지 시에, 조제 절차 또는 종이처방전으로부터 매칭코드를 획득하는 절차에 대한 안내를 함께 통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환자회원 알림부는, 상기 전자처방전 발행 사실의 통지에 따라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가 상기 종이처방전 상의 매칭코드의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로부터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은,
전자처방전에서 개인정보를 제외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며, 종이처방전의 출력 시에 종이처방전 상에 매칭코드가 인쇄되도록 동작하는 의료기관 서버;
종이처방전으로부터 환자회원의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획득하고, 매칭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하며,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처방전을 복원하는 조제기관용 단말기;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저장하며,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로부터 매칭코드와 함께 무기명 처방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코드는 무기명 처방정보와 개인정보를 유일하게 대응시키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는 문자 또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는 상기 개인정보와 함께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계독출코드는 바코드 또는 2차원 매트릭스 코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는
상기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를 광학적으로 스캐닝하거나, 또는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의해 복제되어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매칭코드의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스캐닝하여, 매칭코드를 단독으로 또는 매칭코드와 개인정보를 함께 획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종이처방전 상의 매칭코드의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매칭코드를 단독으로 또는 매칭코드와 개인정보를 함께 획득하고, 환자회원이 선택한 조제기관을 특정하는 조제기관 선택정보,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함께 상기 중계 서버에 제공하는 환자회원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은,
의료기관 서버, 중계 서버 및 조제기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의료기관 서버에서 생성된 전자처방전에 포함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개인정보를 서로 유일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매칭코드 및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서 매칭코드가 인쇄된 종이처방전으로부터 매칭코드가 단독으로 또는 매칭코드와 개인정보가 함께 획득된 경우에,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로부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서버가 전송 요청을 한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매칭코드로 서로 대응하는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가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서 전자처방전으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은,
의료기관 서버, 중계 서버, 조제기관용 단말기 및 환자회원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의료기관 서버에서 생성된 전자처방전에 포함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개인정보를 서로 유일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매칭코드 및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에 기초한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optical machine-readable code)가 인쇄된 종이처방전으로부터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의 이미지를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 것을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가 스캔함으로써 매칭코드가 단독으로 또는 매칭코드와 개인정보가 함께 획득된 경우에,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로부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서버가 전송 요청을 한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매칭코드로 서로 대응하는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가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서 전자처방전으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은,
의료기관 서버, 중계 서버, 조제기관용 단말기 및 환자회원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의료기관 서버에서 생성된 전자처방전에 포함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개인정보를 서로 유일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매칭코드 및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서 매칭코드가 인쇄된 종이처방전으로부터 매칭코드가 획득되고, 환자회원이 개인정보를 입력하며 조제기관을 선택하면,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로부터 조제기관 선택정보, 개인정보 및 매칭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조제기관 선택정보에 상응하는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서 제공된 개인정보 및 매칭코드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매칭코드로 서로 대응하는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가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서 전자처방전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계 서버가 개인정보 및 매칭코드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조제기관 선택정보에 상응하는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서 제공된 개인정보 및 매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로부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서버가 전송 요청을 한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환자들은 의사 또는 의료기관에 대해 간단히 적극적 요청 또는 소극적 동의를 하여 전자처방전을 약국 또는 조제기관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환자들은 종래와 같이 종이처방전을 교부받으면서, 개인정보의 탐지, 누출, 변조 또는 훼손의 염려없이 전자처방전을 의사 또는 의료기관이 약국 또는 조제기관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개인정보는 무기명 처방정보와 별도의 경로로 취급되므로, 중계 서버에 의한 전자처방전의 탐지, 누출, 변조 또는 훼손 가능성을 봉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처방전이 전송되는 제1 경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경로를 통해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처방전이 전송되는 제2 경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경로를 통해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처방전이 전송되는 제3 경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3 경로를 통해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명 처방전 문서는 의료법 규정에 따라 처방을 받은 환자의 개인정보 및 처방정보와, 의사의 서명을 증빙하는 전자서명정보 및 그 밖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온전한 처방전으로 발행될 수 있는 문서를 의미하며, 다만 의사가 수기로 작성하는 처방전은 아니고, 의료기관에서 운영하는 진료 관리 시스템 내에서 전산적으로 생성되고 처리되며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전자 문서를 의미한다.
기명 처방전 문서는 개인정보, 처방정보 및 기타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전 서식을 준수하여 작성된 전자 문서이므로, 이러한 기명 처방전 문서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의사의 직인이나 서명이 보이도록 종이에 출력한 출력물, 즉 하드 카피(hard copy)는 곧 종이처방전이고, 이러한 기명 처방전 전자 문서와 동일한 해시값을 가지는 전자적 전송 문서, 즉 소프트 카피(soft copy)는 곧 전자처방전이다.
무기명 처방정보(anonymous prescription information)는 기명 처방전 문서에서 개인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로서, 예를 들어, 의료법 규정에 의해 포함되어야 하는 의료기관의 명칭 및 전화번호, 질병분류기호, 의료인의 성명, 면허종류 및 번호, 처방 의약품의 명칭, 분량, 용법 및 용량, 처방전 발급 연월일 및 사용기간, 기타 참고사항과, 전자서명정보 등을 의미한다.
무기명 처방정보는 의료법에 따라 탐지나 누출, 변조 또는 훼손 금지 규정이 강제되지 않는 정보이다. 법 규정에는 명시되지 않지만, 전자서명정보는 전자처방전이 진본과 동일한지 알기 위해서는 당연히 공개되어야 하는 정보이므로, 논리적으로, 탐지 등의 금지 규정이 강제되지 않는 정보라 말할 수 있다.
반면에 개인정보(private information)는 의료법에 따라 탐지나 누출, 변조 또는 훼손 금지 규정이 강제되는 정보인데, 의료법의 하위 규정에 따르면 처방전에 포함되어야 하는 개인정보는 환자의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로 한정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10)은 처방전 발행처인 의료기관 서버(11), 중계 서버(12), 조제기관용 단말기(13) 및 환자회원용 단말기(14)를 포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의료기관 서버(11)는 처방전 생성부(111), 매칭코드 생성부(112), 종이처방전 출력부(113),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부(114) 및 환자정보 DB(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서버(12)는 무기명 처방정보 수신부(121), 환자회원 알림부(122), 조제기관 알림부(123),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부(124), 무기명 처방정보 송신부(125), 무기명 처방정보 DB(126) 및 회원정보 DB(127)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처방전 스캔부(131),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32), 전자처방전 복원부(133) 및 알림 수신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회원용 단말기(14)는 처방전 스캔부(141),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42), 전자처방전 복원부(143), 알림 수신부(144), 조제기관 선택부(145) 및 정보 검색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의료기관은 의사가 환자에게 수행하는 일련의 진찰, 처방, 치료, 경과 관찰 등의 진료 행위를 전산적으로 보조하기 위한 시스템, 즉 흔히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 또는 HMIS(Hospital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 등으로 불리는 일련의 시스템을 운영한다. 이러한 HIS 시스템이 본 발명에서 의료기관 서버(11)에 상응한다.
의료기관 서버(11)는 의사가 입력하는 처방정보를 현재 진찰 중인 환자정보와 결합하여 기명 처방전 문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명 처방전 문서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매칭코드를 생성하며, 매칭코드와 기명 처방전 문서를 결합한 종이처방전 출력물을 생성하고, 기명 처방전 문서 중에서 개인정보를 제외한 무기명 처방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중계 서버(12)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관 서버(11)는 처방전 생성부(111)에서, 의사가 입력하는 처방정보를 현재 진찰 중인 환자정보와 결합하여 기명 처방전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기명 처방전 문서를 도장 또는 서명이 표시되도록 인쇄하면 종이처방전이 만들어지고, 전자서명된 기명 처방전 문서를 전자적으로 송수신하면 전자처방전의 송수신으로 취급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1)는 처방전 생성부(111)가 생성한 기명 처방전 문서를 환자정보 DB(115)에 저장할 수 있다.
의사가 의료기관 서버(11)에 환자에게 처방전을 교부할 것을 지시하면, 매칭코드 생성부(112)가 생성된 기명 처방전 문서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매칭코드를 생성하고, 종이처방전 출력부(113)는 매칭코드와 기명 처방전 문서를 결합한 종이처방전 출력물을 생성한다. 매칭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매칭코드 생성부(112)는 의료기관 서버(11)의 일부로 예시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중계 서버(12)의 일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환자회원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종이처방전을 발급받는데, 종이처방전에 개인정보와 처방정보에 관한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들뿐 아니라 매칭코드가 인쇄된다. 매칭코드가 문자 또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 매칭코드는 통상적인 광학 스캐너를 통해 독출되거나 또는 통상적인 카메라에 의해 시각 이미지화된 후 적절한 해석 알고리즘을 통해 독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칭코드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숫자, 문자 내지 특수기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종이처방전 출력부(113)는 매칭코드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또는 매칭코드로부터 생성되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optical machine-readable code)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계독출코드는 예를 들어 바코드(barcode) 또는 2차원 매트릭스 코드(2D matrix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차원 매트릭스 코드는 QR 코드, SPARQ코드, Aztec코드,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EZ코드, 컬러코드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이처방전 출력부(113)가 출력한 종이처방전은 종이에 개인정보와 처방정보 및 매칭코드가 인쇄되어 있거나, 또는 개인정보와 처방정보 및 매칭코드의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가 인쇄되어 있다.
이때,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는 매칭코드만 포함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는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코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약 20 바이트 정도의 정보량에 제한되므로 매칭코드만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2차원 매트릭스 코드를 이용하면 통상적으로 1000자 정도의 정보량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와 매칭코드, 나아가 처방전 내의 대부분의 문자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가 개인정보, 처방정보 및 매칭코드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는데, 다만, 이 경우에 환자나, 의사 또는 약사가 아닌 제3자도 적절한 해석 알고리즘 모듈만 구비하면 누구나 2차원 매트릭스 코드의 이미지 파일로부터 개인정보 내지 처방정보를 쉽게 추출할 위험이 있으므로,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 내에 개인정보 내지 처방정보는 허용된 기기에서만 복원될 수 있도록 적절히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환자는 의사에게 전자처방전을 전자적으로 발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현행 의료법은 전자처방전의 발행 시에 조제기관을 정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으므로, 의사는 환자의 요청에 따라 조제기관을 정하거나, 또는 정하지 않은 채로 전자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다.
만약 환자가 전자처방전의 발행 시에 조제기관을 정한다면 의사는 곧바로 전자처방전을 조제기관의 지배 하에 있는 전자 통신 수단, 즉 컴퓨터통신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렇지만 설령 환자가 전자처방전의 발행 시에 조제기관을 정했더라도, 의료기관과 조제기관 사이에 적절한 통신 수단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에는, 의사가 발행한 전자처방전이 최종적으로 조제기관용 단말기(13)에 전달되려면 중계 서버(12)를 거칠 필요가 있다.
또한 만약 환자가 전자처방전의 발행 시에 조제기관을 정하지 않거나, 환자가 특정한 조제기관을 의료기관에 통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결국 의료기관과 조제기관 사이에는 중계 서버(12)와 같은 데이터의 일시 저장 및 중계 통신을 수행할 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환자의 전자처방전 발행 요청에 따라 의사가 의료기관 서버(11)에 전자처방전의 발행을 지시하면,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부(114)는 기명 처방전 문서 중에서 개인정보를 제외한 무기명 처방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중계 서버(12)로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라,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부(114)는 기명 처방전 문서 중에서 개인정보를 제외한 무기명 처방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무기명 처방정보 및 매칭코드를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와 함께 중계 서버(12)로 전송한다.
의료기관 서버(11)에서 중계 서버(12)에 전달되는 정보는 무기명의 처방정보와 매칭코드 뿐이므로, 데이터가 전송 중에 탈취되거나, 무기명 처방정보 DB(126)가 해킹되거나, 또는 내부자가 몰래 무기명 처방정보 DB(126)를 조회하더라도, 처방정보가 누구의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적어도 개인의 민감한 처방 내용은 안전하다.
이를 위해, 환자가 미리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를 의료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는 의료기관 서버(11)의 환자정보 DB(115)에 환자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는 중계 서버(12)가 환자회원용 단말기(14)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로서, 예를 들어 IP 주소, MAC 주소, 단말기 고유번호, 이동통신번호, 환자회원 ID 등에 기초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는 의료법 상의 처방전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개인정보에 속하지 않으므로, 법적으로 탐지나 누출, 변조 또는 훼손 금지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중계 서버(12)도 본 발명의 전자처방전 중계 서비스에 가입한 환자회원의 회원정보를 회원정보 DB(127)에 저장할 수 있다. 회원정보는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원정보는 무기명 처방정보와 별개의 회원정보 DB(127)에 저장된다.
중계 서버(12)는 의료기관 서버(11)로부터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저장하며, 조제기관용 단말기(13)로부터 매칭코드와 함께 무기명 처방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조제기관용 단말기(13)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중계 서버(12)의 무기명 처방정보 수신부(121)는 의료기관 서버(11)의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부(114)로부터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무기명 처방정보 DB(126)에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무기명 처방정보 수신부(121)는 무기명 처방정보 및 매칭코드와 함께,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고, 수신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무기명 처방정보 DB(126)에 저장하는 한편, 수신된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를 환자회원 알림부(122)에 전달한다.
중계 서버(12)의 환자회원 알림부(122)는 전달된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회원정보 DB(127)를 검색하여 환자회원용 단말기(14)를 식별하고, 식별된 환자회원용 단말기(14)에 전자처방전의 발행 사실을 통지하고, 나아가 조제 절차에 관하여 안내하며, 환자회원용 단말기(14)로부터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조제 절차에 관한 안내는, 예를 들어, 당해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에 가입된 조제기관의 마크를 소개한다거나, 환자회원이 원하는 조제기관에 직접 가서 매칭코드를 약사에게 제시하고 조제를 받는 절차에 관한 안내, 환자회원이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를 촬영하여 매칭코드를 획득하고 매칭코드와 개인정보를 조제기관 선택정보와 함께 중계 서버(12)로 전송하는 절차에 관한 안내 등일 수 있다.
중계 서버(12)의 조제기관 알림부(123)는 환자회원용 단말기(14)로부터 수신된 조제기관 선택정보에 상응하는 조제기관의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알림 수신부(134)에 서버 푸쉬(server push) 기법을 이용하여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와 함께 전자처방전 전송 요청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중계 서버(12)의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부(124)는 조제기관용 단말기(13) 또는 환자회원용 단말기(14)로부터 매칭코드의 전송에 따른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무기명 처방정보 DB(126)를 검색하여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추출한다.
무기명 처방정보 송신부(125)는 추출된 무기명 처방정보를 매칭코드를 전송한 조제기관용 단말기(13) 또는 환자회원용 단말기(14)에 전송한다.
무기명 처방정보 DB(126)는 의료기관 서버(11)로부터 수신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저장한다.
회원정보 DB(127)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서버를 통한 전자처방전 중계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의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 및 조제기관들을 식별할 수 있는 조제기관 선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처방전 스캔부(131),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32), 전자처방전 복원부(133) 및 알림 수신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종이처방전으로부터 환자회원의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획득하고, 매칭코드를 이용하여 중계 서버(12)로부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하며,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처방전을 복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처방전 스캔부(131)는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또는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 또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광학적으로 매칭코드를 또는 매칭코드와 개인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처방전 스캔부(131)가 문자 또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광학적으로 매칭코드만 획득하는 경우에, 개인정보는 조제기관용 단말기(13)에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32)는 처방전 스캔부(131) 또는 알림 수신부(134)가 획득한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조회 및 전송해줄 것을 중계 서버(12)에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중계 서버(12)로부터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처방전 복원부(133)는 매칭코드에 의해 서로 매칭되는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처방전을 복원할 수 있다.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알림 수신부(134)는 중계 서버(12)로부터 환자회원의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와 함께 전자처방전 전송 요청 사실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알림 수신부(134)가 전자처방전의 전송 요청 사실 및 그에 따른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알게 되면,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32)는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중계 서버(12)에 요청할 수 있다.
한편, 환자회원용 단말기(14)는 처방전 스캔부(141),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42), 전자처방전 복원부(143), 알림 수신부(144), 조제기관 선택부(145) 및 정보 검색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처방전 스캔부(141)는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문자 또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광학적으로 매칭코드를, 또는 매칭코드와 개인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처방전 스캔부(141)가 문자 또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광학적으로 매칭코드만 획득하는 경우에, 개인정보는 환자회원용 단말기(14)에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물론 매칭코드도 환자회원용 단말기(14)에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42)는, 환자회원이 개인적인 활용을 위해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처방 내역과 동일한 처방정보를 확보하고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때에, 처방전 스캔부(141)가 획득하거나 입력된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조회 및 전송해줄 것을 중계 서버(12)에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중계 서버(12)로부터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전자처방전 복원부(143)는 매칭코드에 의해 서로 매칭되는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처방전을 복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환자회원용 단말기(14)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환자가 개인적 활용을 위해 보유하는 전자처방전은 의료법에 따르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단순히 처방정보만 저장하더라도 충분하다.
환자회원은 정보 검색부(146)를 통해, 인터넷 또는 보건 당국에서 제공하는, 기명 처방전 문서 또는 무기명 처방정보에 포함된 약품에 관한 다양한 약리 정보, 복약 정보, 부작용 정보, 대체약, 보험 여부, 예상 처방 비용 등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알림 수신부(144)는 중계 서버(12)로부터 전자처방전 발행 사실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알림 수신부(144)는 환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장소 주변의 조제기관들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조제기관 선택부(145)는 환자회원이 선택한 조제기관에 관한 조제기관 선택정보를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와 함께 중계 서버(12)로 전송한다.
조제기관 선택부(145)는 자체적으로 제공되는 지리 정보에 기초하거나, 또는 중계 서버(12)로부터 수신한 조제기관들의 위치정보를 환자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조제기관 선택부(145)는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조제기관들의 위치정보를 환자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처방전의 전송 방식은 조제기관용 단말기(13)가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조제기관용 단말기(13)가 종이처방전에 기초하여 중계 서버(12)로부터 환자회원의 개인정보 및 매칭코드를 획득하는 경로는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경로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경로에서,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종이처방전을 처방전 스캔부(131)로 스캔하여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획득한다.
이 실시예들은 환자회원이 전자처방전의 발행을 요청할 당시에 조제기관을 정하지 않았거나 또는 의사에게 알리지 않고, 추후에 선호하는 조제기관을 직접 방문하였을 때에 조제를 요청하는 시나리오에 적합하다. 조제약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환자회원이 결국 조제기관을 방문하여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가장 흔히 발생할 시나리오이다.
반면에, 제3 경로에서,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환자회원용 단말기(14)로부터 중계 서버(12)를 거쳐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획득한다.
이 실시예는 환자회원이 전자처방전의 발행을 요청할 당시에 조제기관을 정하지 않았거나 또는 의사에게 알리지 않고, 추후에 선호하는 조제기관을 선정하여 원격으로 조제를 요청하고, 조제기관을 방문하여 조제약을 수령하는 시나리오에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조제기관용 단말기(13)가 환자회원의 개인정보, 무기명 처방정보 및 이들을 결합할 수 있는 매칭코드를 획득하는 제1 경로를 예시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처방전이 전송되는 제1 경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의 시나리오는 통신 기술에 능숙하지 않은 환자회원이 조제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조제기관에서 약사에게 종이처방전을 제시하는 시나리오이다.
약사는 조제기관용 단말기(13)에 부착된 바코드 스캐너, 광학 스캐너 또는 카메라에 연동하는 처방전 스캔부(131)를 이용하여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매칭코드를 습득하고, 주지의 광학 문자 인식(OCR) 기술을 이용하여 종이처방전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제기관용 단말기(13)가 처방전 스캔부(131)를 이용하여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습득할 수 있다.
이렇게 처방전 스캔부(131)가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습득한 후에,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32)가 매칭코드와 개인정보를 가지고 중계 서버(12)에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의 조회 및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의 요청에 따라, 중계 서버(12)는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부(124)에서 매칭코드를 이용하여 무기명 처방정보 DB(126)를 검색하여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추출한다.
이어서, 중계 서버(12)의 무기명 처방정보 송신부(125)는 추출된 무기명 처방정보를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32)에 응신한다.
한편, 무기명 처방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 완료에 관한 기록이 무기명 처방정보 DB(126) 및 회원정보 DB(127)에 저장될 수 있고, 전송 완료에 관한 알림이 환자회원 알림부(122)에 의해 환자회원용 단말기(14)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경로를 이용하는 시나리오에서는, 환자회원이 약국에 방문하여 종이처방전 또는 기계독출코드의 이미지파일을 약사에게 제시한 후에야 조제가 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와 같은 제1 경로를 통해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31)에서, 의료기관 서버(11)의 매칭코드 생성부(112)가 전자처방전에 포함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개인정보를 서로 유일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매칭코드를 생성한다.
이어서, 단계(S32)에서, 중계 서버(12)가 매칭코드 및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단계(S33)에서, 조제기관용 단말기(13)가 매칭코드가 인쇄된 종이처방전으로부터 매칭코드를 획득한다.
이 경우, 개인정보는 약사에 의해 조제기관용 단말기(13)에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34)에서, 중계 서버(12)가 조제기관용 단말기(13)로부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S35)에서, 중계 서버(12)가 전송 요청이 있은 조제기관용 단말기(13)에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전송한다.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매칭코드로써 서로 대응하는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처방전을 복원할 수 있다.
이어서, 조제기관용 단말기(13)가 환자회원의 개인정보, 무기명 처방정보 및 이들을 결합할 수 있는 매칭코드를 획득하는 제2 경로를 예시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처방전이 전송되는 제2 경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4의 시나리오는 통신 기술에 다소 능숙한 환자회원이 일단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를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의 이미지 파일을 환자회원용 단말기(14)에 저장하였다가, 나중에 종이처방전 없이 조제기관에 방문하였을 때에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의 이미지 파일을 단말기(14) 화면에 표시하여 종이처방전 대신에 약사에게 제시하는 시나리오이다.
이 경우에,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종이처방전의 매칭코드를, 또는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스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는 매칭코드를 포함하고,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부착된 바코드 스캐너, 광학 스캐너 또는 카메라에 연동하는 처방전 스캔부(131)를 이용하여,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화면에 표시된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매칭코드를 습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개인정보를 별도로 환자회원으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는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포함하고, 조제기관용 단말기(13)가 처방전 스캔부(131)를 이용하여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습득할 수 있다.
이렇게 처방전 스캔부(131)가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습득한 후에,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32)가 매칭코드와 개인정보를 가지고 중계 서버(12)에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의 조회 및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의 요청에 따라, 중계 서버(12)는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부(124)에서 매칭코드를 이용하여 무기명 처방정보 DB(126)를 검색하여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추출한다.
이어서, 중계 서버(12)의 무기명 처방정보 송신부(125)는 추출된 무기명 처방정보를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32)에 응신한다.
한편, 무기명 처방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 완료에 관한 기록이 무기명 처방정보 DB(126) 및 회원정보 DB(127)에 저장될 수 있고, 전송 완료에 관한 알림이 환자회원 알림부(122)에 의해 환자회원용 단말기(14)에 전송될 수 있다.
제2 경로를 이용하는 시나리오에서는, 환자회원이 약국에 방문하여 종이처방전 또는 기계독출코드의 이미지파일을 약사에게 제시한 후에야 조제가 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경로를 통해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51)에서, 의료기관 서버(11)의 매칭코드 생성부(112)가 전자처방전에 포함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개인정보를 서로 유일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매칭코드를 생성한다.
이어서, 단계(S52)에서, 중계 서버(12)가 매칭코드 및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단계(S53)에서, 환자회원용 단말기(14)가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에 기초한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가 인쇄된 종이처방전으로부터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S54)에서, 조제기관용 단말기(13)가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화면에 표시된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매칭코드를 획득한다.
이 경우, 개인정보는 약사에 의해 조제기관용 단말기(13)에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화면에 표시된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55)에서, 중계 서버(12)가 조제기관용 단말기(13)로부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S56)에서, 중계 서버(12)가 전송 요청이 있은 조제기관용 단말기(13)에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전송한다.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매칭코드로써 서로 대응하는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처방전을 복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제기관용 단말기(13)가 환자회원의 개인정보, 무기명 처방정보 및 이들을 결합할 수 있는 매칭코드를 획득하는 제3 경로를 예시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처방전이 전송되는 제3 경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의 시나리오는 통신 기술에 상당히 능숙한 환자회원이 일단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를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면, 환자회원용 단말기(14)가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의 이미지로부터 매칭코드와 개인정보를 추출하고, 환자회원이 원하는 조제기관에 관한 조제기관 선택정보,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중계 서버(12)를 통해 조제기관용 단말기(13)에 전달하는 시나리오이다.
이에 따라, 환자회원은 조제기관에 방문하기에 앞서,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를 환자회원용 단말기(14)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및 스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회원용 단말기(14)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매칭코드만을 습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환자회원용 단말기(14)는 개인정보를 별도로 환자회원으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환자회원용 단말기(14)가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습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환자회원용 단말기(14)가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부터 개인정보, 처방정보 및 매칭코드를 모두 습득할 수 있다.
일단 개인정보와 매칭코드, 조제기관 선택정보를 습득한 후에, 환자회원용 단말기(14)는 중계 서버(12)에 조제기관 선택정보, 개인정보 및 매칭코드를 전달하고, 나아가 중계 서버(12)로 하여금 선택된 조제기관의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알림 수신부(134)에 매칭코드와 개인정보를 전달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알림 수신부(134)를 통해 전자처방전의 존재 및 그에 따른 개인정보와 매칭코드를 알게 되고,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32)는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중계 서버(12)에 요청한다.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의 요청에 따라, 중계 서버(12)는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부(124)에서 매칭코드를 이용하여 무기명 처방정보 DB(126)를 검색하여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추출한다.
이어서, 중계 서버(12)의 무기명 처방정보 송신부(125)는 추출된 무기명 처방정보를 조제기관용 단말기(13)의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132)에 응신한다.
한편, 무기명 처방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 완료에 관한 기록이 무기명 처방정보 DB(126) 및 회원정보 DB(127)에 저장될 수 있고, 전송 완료에 관한 알림이 환자회원 알림부(122)에 의해 환자회원용 단말기(14)에 전송될 수 있다.
제3 경로에 따른 시나리오는 제1 및 제2 경로와 달리 환자회원이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특정 약국에 미리 보내는 행위와 함께 약국에 조제를 요청할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약국에 방문하면 즉시 조제약을 수령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경로를 통해 매칭코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71)에서, 의료기관 서버(11)의 매칭코드 생성부(112)가 전자처방전에 포함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개인정보를 서로 유일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매칭코드를 생성한다.
이어서, 단계(S72)에서, 중계 서버(12)가 매칭코드 및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단계(S73)에서, 환자회원용 단말기(14)가 매칭코드와 기명 처방전 문서가 인쇄된 종이처방전으로부터 매칭코드를 획득한다.
실시예에 따라, 매칭코드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 종이처방전에 인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개인정보는 환자회원용 단말기(14)가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매번 환자회원이 환자회원용 단말기(14)에 입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매칭코드와 개인정보가 함께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에 포함되어 종이처방전에 인쇄될 수 있다.
단계(S74)에서, 중계 서버(12)가 환자회원용 단말기(14)로부터 조제기관 선택정보, 개인정보 및 매칭코드를 수신한다.
단계(S75)에서, 중계 서버(12)가 조제기관 선택정보에 상응하는 조제기관용 단말기(13)에 전자처방전 전송 사실을 알린다.
단계(S76)에서, 중계 서버(12)가 조제기관 선택정보에 상응하는 조제기관용 단말기(13)에 환자회원용 단말기(14)에서 제공된 개인정보 및 매칭코드와, 나아가 저장된 무기명 처방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조제기관용 단말기(13)는 매칭코드로써 서로 대응하는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처방전을 복원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하는 본 발명의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은 중계 서버(12)에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처방전이 저장되지 않으면서 각각 별도의 경로를 통해 안전하게 전달된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매칭코드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전자처방전을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먼저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가 교부된 후에 환자회원용 단말기에서 조제기관을 지정하면서 매칭코드와 개인정보를 중계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중계 서버를 거쳐 매칭코드와 개인정보가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전달되는 실시예에서는, 개인정보는 중계 서버를 일시적으로 거칠 뿐 중계 서버에 저장되지 않으므로 무기명 처방정보와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종이처방전을 조제기관에 직접 제시하거나 또는 종치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를 환자회원용 단말기에서 스캔하여 조제기관에 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개인정보는 중계 서버를 아예 거치지 않으므로, 중계 서버에서 전자처방전으로부터 개인정보가 탐지,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될 가능성이 없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11 처방전 발행처인 의료기관 서버
111 처방전 생성부
112 매칭코드 생성부
113 종이처방전 출력부
114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부
115 환자정보 DB
12 중계 서버
121 무기명 처방정보 수신부
122 환자회원 알림부
123 조제기관 알림부
124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부
125 무기명 처방정보 송신부
126 무기명 처방정보 DB
127 회원정보 DB
13 조제기관용 단말기
131 처방전 스캔부
132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
133 전자처방전 복원부
134 알림 수신부
14 환자회원용 단말기
141 처방전 스캔부
142 무기명 처방정보 요청부
143 전자처방전 복원부
144 알림 수신부
145 조제기관 선택부
146 정보 검색부

Claims (20)

  1. 환자회원용 단말기, 의료기관 서버와 조제기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중계 서버로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전자처방전에서 개인정보를 제외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무기명 처방정보 DB에 저장하는 무기명 처방정보 수신부;
    매칭코드가 인쇄된 종이처방전으로부터 획득된 매칭코드, 환자회원의 개인 정보 및 환자회원이 선택한 조제기관을 특정하는 조제기관 선택정보를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환자회원 알림부;
    상기 조제기관 선택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상기 매칭코드 및 개인 정보를 전송하는 조제기관 알림부;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칭코드에 기초하여 요청되는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무기명 처방정보 DB로부터 상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검색하는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무기명 처방정보를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기명 처방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명 처방정보와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매칭코드에 의해 유일하게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중계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는 문자 또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optical machine-readable code)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중계 서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는 상기 개인정보와 함께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중계 서버.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계독출코드는 바코드 또는 2차원 매트릭스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중계 서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매칭코드는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상태로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 또는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의해 광학적으로 스캐닝되거나,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의해 복제되어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로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의해 광학적으로 스캐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중계 서버.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명 처방정보 수신부는,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무기명 처방정보 및 매칭코드와 함께,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를 상기 환자회원 알림부에 전달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환자회원 알림부는,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식별된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전자처방전의 발행 사실을 통지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중계 서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환자회원 알림부는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전자처방전 발행 사실의 통지 시에, 조제 절차 또는 종이처방전으로부터 매칭코드를 획득하는 절차에 대한 안내를 함께 통지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중계 서버.
  9. 삭제
  10. 삭제
  11. 전자처방전에서 개인정보를 제외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며, 종이처방전의 출력 시에 종이처방전 상에 매칭코드가 인쇄되도록 동작하는 의료기관 서버;
    매칭 코드가 인쇄된 종이처방전으로부터 획득된 매칭코드, 환자회원의 개인 정보 및 환자회원이 선택한 조제기관을 특정하는 조제기관 선택정보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환자회원용 단말기;
    상기 조제기관 선택정보에 의해 특정되며,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매칭코드 및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매칭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하며,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처방전을 복원하는 조제기관용 단말기; 및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매칭코드를 저장하며,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조제기관 선택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상기 매칭코드 및 개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칭코드와 함께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명 처방정보와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매칭코드에 의해 유일하게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는 문자 또는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는 상기 개인정보와 함께 시각화된 기계독출코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기계독출코드는 바코드 또는 2차원 매트릭스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매칭코드는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상태로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 또는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의해 광학적으로 스캐닝되거나,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의해 복제되어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로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의해 광학적으로 스캐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의료기관 서버, 중계 서버, 조제기관용 단말기 및 환자회원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의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의료기관 서버에서 생성된 전자처방전에 포함된 무기명 처방정보와 개인정보를 서로 유일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매칭코드 및 무기명 처방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가, 매칭코드가 인쇄된 종이처방전으로부터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매칭코드, 환자회원의 개인정보 및 환자회원이 선택한 조제기관을 특정하는 조제기관 선정정보를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조제기관 선택정보에 상응하는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서 제공된 개인정보 및 매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칭코드에 기초하여 요청되는 무기명 처방정보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무기명 처방정보 DB로부터 상기 매칭코드에 상응하는 무기명 처방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무기명 처방정보를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명 처방정보와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매칭코드에 의해 유일하게 서로 대응되고,
    매칭코드로 서로 대응하는 개인정보와 무기명 처방정보가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서 전자처방전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매칭코드는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상태로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 또는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의해 광학적으로 스캐닝되거나,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에 의해 복제되어 상기 환자회원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로 상기 조제기관용 단말기에 의해 광학적으로 스캐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처방전 전송 방법.
KR1020140149572A 2014-10-30 2014-10-30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53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572A KR101539032B1 (ko) 2014-10-30 2014-10-30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572A KR101539032B1 (ko) 2014-10-30 2014-10-30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516 Division 2013-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97A KR20150068897A (ko) 2015-06-22
KR101539032B1 true KR101539032B1 (ko) 2015-07-24

Family

ID=5351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572A KR101539032B1 (ko) 2014-10-30 2014-10-30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071A (ko) 2020-03-17 2020-03-25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약국의 약 조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333B1 (ko) * 2019-02-19 2021-09-02 이복기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5652B1 (ko) * 2019-04-16 2021-07-12 온라인팜 주식회사 Qr 코드 생성 및 삽입 방법 및 장치
KR102309652B1 (ko) * 2019-09-06 2021-10-06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코드 정보를 이용한 송금 이체 거래의 멤버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처리하는 송금 이체 거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5700B2 (ja) * 2002-04-12 2008-11-26 株式会社メディカル・データ・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医療情報送信装置と医療情報受信装置、及び医療情報送信方法と医療情報受信方法
KR20120026194A (ko) * 2010-09-09 2012-03-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전자처방전 제어 관리 시스템, 병원단말장치, 및 전자처방전을 제어 관리하는 방법
KR20120046908A (ko) * 2010-11-01 2012-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장치, 단말기 및 방법
KR20120076663A (ko) * 2010-12-09 2012-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병원 장치, 중계 장치, 약국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5700B2 (ja) * 2002-04-12 2008-11-26 株式会社メディカル・データ・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医療情報送信装置と医療情報受信装置、及び医療情報送信方法と医療情報受信方法
KR20120026194A (ko) * 2010-09-09 2012-03-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전자처방전 제어 관리 시스템, 병원단말장치, 및 전자처방전을 제어 관리하는 방법
KR20120046908A (ko) * 2010-11-01 2012-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장치, 단말기 및 방법
KR20120076663A (ko) * 2010-12-09 2012-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병원 장치, 중계 장치, 약국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071A (ko) 2020-03-17 2020-03-25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약국의 약 조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97A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9126B2 (en) Decryption device, method for decrypting and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ata transmission
US20020049614A1 (en) Image signatures with unique watermark ID
KR101539032B1 (ko) 종이처방전에 인쇄된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86943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rescription
WO2005024645A1 (ja) 情報処理サーバ及び情報処理方法
JP6665916B2 (ja) 書類確認用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書類の確認方法、書類確認用プログラム、文字入力用装置、文字の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用プログラム
KR101496189B1 (ko) 매칭코드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6591147B2 (ja) 医用画像管理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観察装置
CN106375274A (zh) 消息加密
JP2007518184A (ja) 電子名品証サービス方法(methodforservicinganelectroniccertificateforabig−namebrand)
JP2008282238A (ja) 名刺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名刺情報取得方法
KR101496186B1 (ko) 개인정보 보호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539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multi-function device
JP6541311B2 (ja) 暗号情報コードを利用した復号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23157215A (ja) 真贋判定方法、真贋判定システム、及び真贋判定装置
JP202214273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63652B2 (ja) 真贋判断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読取装置、サーバ装置、真贋判断方法
KR20150044150A (ko) 문서 이미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3221969U (ja) 暗号化ギャラリー管理システム
JP5716113B1 (ja) 処方箋管理システム、調剤薬局の受付員用端末装置、処方箋管理方法、調剤薬局に配置されたコンピュータ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Yang et al. Secure medical image-sharing mechanism based on visual cryptography in EHR system
JP2004295507A (ja) 携帯機器を用いた身分証明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733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23056B2 (ja) 個人情報を収集するシステム、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6903102B2 (ja) 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医療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