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302B1 -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302B1
KR101538302B1 KR1020130114241A KR20130114241A KR101538302B1 KR 101538302 B1 KR101538302 B1 KR 101538302B1 KR 1020130114241 A KR1020130114241 A KR 1020130114241A KR 20130114241 A KR20130114241 A KR 20130114241A KR 101538302 B1 KR101538302 B1 KR 10153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temperature sensor
changing devic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874A (ko
Inventor
조영민
박덕신
권순박
정우성
김태욱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14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3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승강장의 상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상부 덕트, 상기 열차 승강장의 하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하부 덕트,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열차 승강강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 상기 급기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팬을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하는 제1 유로변경장치, 상기 배기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을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하는 제2 유로변경장치 및 상기 급기팬, 상기 배기팬,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 또는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AIR COOLING AND HEATING VENTILATION DEVICE OF SUBWAY PLATFORM}
본 발명은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 승강장 내의 공기를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순환시킬 수 있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차 승강장에는 온도 조절을 위한 냉난방 장치와, 실내 공기의 쾌적화를 위한 환기장치를 포함하는 냉난방 환기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는 일반적으로 상부에 배기덕트와 급기덕트를 나란히 구비한다.
이러한 냉난방 환기장치와 관련된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8-0049904호(특허문헌)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냉난방 환기장치는 급기 덕트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열차 승강장 내부로 유입시키고, 배기 덕트를 통해 열차 승강장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동절기에는 급기 덕트를 통해 열차 승강장 내부로 따뜻한 공기를 유입시켜, 열차 승강장 내부를 일반적으로 18℃이상으로 유지하게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열차 승강장으로 공급되는 따뜻한 공기는 열차 승강장 내부의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기 때문에 열차 승강장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게된다. 따라서, 급기 덕트를 통해 열차 승강장으로 공급되는 따뜻한 공기의 열기가 열차 승강장의 하부까지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하게 되고, 배기 덕트롤 통해 따뜻한 공기가 배기된다. 이에 따라, 열차 승강장 내부 온도를 18℃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난방 에너지가 과도하게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하절기에는 급기 덕트를 통해 열차 승강장 내부로 차가운 공기를 유입시켜, 열차 승강장 내부를 일반적으로 26℃이하로 유지하게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열차 승강장으로 공급되는 차가운 공기는 열차 승강장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통과하며 온도가 상승하여 열차 승강장의 하부까지 원활한 냉방이 이뤄지지 않게 되어 냉방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차가운 공기는 열차 승강장 하부까지 순환되지 못하고 배기 덕트로 배기되어 냉방 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차가운 공기가 열차 승강장의 하부로 순환되지 못하고 배기 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기량을 감소하거나 배기팬을 가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열차 승강장 내부 공기의 순환량이 감소되어 공기질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한편, 일부 역에서는 열차 선로 측에 별도의 배기 덕트를 구비하여 선로 부근에 있는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고, 급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승강장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열차 선로 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배기 덕트의 경우, 승객의 안전문제로 설치된 스크린 도어로 인하여 열차 승강장을 환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49904호(2010.05.1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가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열차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덕트와,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덕트를 통해 각각 급기와 배기를 하여 열차 승강장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난방 또는 냉방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 승강장의 상부, 하부 및 탑승구 측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각각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의 차이에 따라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를 급기 또는 배기 덕트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 승강장의 상부, 하부 및 탑승구 측에 공기질 측정센서를 설치하여 각각의 공기질 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공기질의 차이에 따라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를 급기 또는 배기 덕트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를 급기 또는 배기 덕트로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난방 또는 냉방 효율을 증대하고, 열차 승강장의 환기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열차 승강장의 상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상부 덕트, 상기 열차 승강장의 하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하부 덕트,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열차 승강강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 상기 급기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팬을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하는 제1 유로변경장치, 상기 배기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을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하는 제2 유로변경장치 및 상기 급기팬, 상기 배기팬,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 또는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열차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온도센서, 상기 열차 승강장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열차 승강장의 탑승구 측에 설치되는 탑승구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온도값을 수신하여 상기 온도값에 따라 상기 급기팬, 상기 배기팬,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 및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하부 온도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급기팬에 연결된 별도의 냉방기에서 생성되는 차가운 공기를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급기팬에 연결된 별도의 냉방기에서 생성되는 차가운 공기를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상부 온도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급기팬에 연결된 별도의 난방기에서 생성되는 따뜻한 공기를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급기팬에 연결된 별도의 난방기에서 생성되는 따뜻한 공기를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온도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급기팬 또는 상기 배기팬의 출력을 가변 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하부 온도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상부 온도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한다.
반면에, 상기 열차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 상기 열차 승강장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 및 상기 열차 승강장의 탑승구 측에 설치되는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공기질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공기질 상태에 따라 상기 급기팬, 상기 배기팬,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 및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 및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상태의 차이에 따라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의 출력을 가변 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에 의하면, 열차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덕트와,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덕트를 통해 각각 급기와 배기를 하여 열차 승강장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난방 또는 냉방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차 승강장의 상부, 하부 및 탑승구 측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각각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의 차이에 따라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를 급기 또는 배기 덕트로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난방 또는 냉방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차 승강장의 상부, 하부 및 탑승구 측에 공기질 측정센서를 설치하여 각각의 공기질 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공기질의 차이에 따라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를 급기 또는 배기 덕트로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환기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를 급기 또는 배기 덕트로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난방 또는 냉방 효율을 증대하고, 열차 승강장의 환기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의 하절기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의 동절기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덕트가 승객 대기용 의자 하단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인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는 열차 승강장(100) 상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상부 덕트(200)와, 열차 승강장(100) 하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하부 덕트(300)와, 상부 덕트(200) 및 하부 덕트(300)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급기팬(400) 및 배기팬(500), 상부 덕트(200) 및 하부 덕트(300)와 급기팬(400) 및 배기팬(500)을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작동하는 제1 유로변경장치(600) 및 제2 유로변경장치(700)와, 급기팬(400), 배기팬(500), 제1 유로변경장치(600) 및 제2 유로변경장치(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상부 덕트(200)는 열차 승강장(100)의 상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도록 형성된다. 상부 덕트(200)는 열차 승강장(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출입시키는 상부 공기 출입구(210)와, 상부 공기 출입구(210)로부터 연장되어 제1 분기부(240)를 형성하고 급기팬(40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결 덕트(220)와, 배기팬(50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 덕트(230) 및 제1 연결 덕트(220)의 급기팬(400)측 단부에서 후술되는 하부 덕트(300)의 제3 연결 덕트(320)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25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연결 덕트(230)는 배기팬(500)측 단부에서 후술되는 하부 덕트(300)의 제4 연결 덕트(330)와 결합되어 제2 결합부(350)를 형성한다.
하부 덕트(300)는 열차 승강장(100)의 하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도록 형성된다. 하부 덕트(300)는 열차 승강장(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출입시키는 하부 공기 출입구(310)와, 하부 공기 출입구(310)로부터 연장되어 제2 분기부(340)를 형성하고 급기팬(40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연결 덕트(320)와, 배기팬(50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연결 덕트(330) 및 제3 연결 덕트(320)의 급기팬(400)측 단부에서 제1 연결 덕트(220)와 결합되어 제1 결합부(250)를 형성한다. 이때, 하부 덕트(300)는 제4 연결 덕트(330)의 배기팬(500)측 단부에서 제4 연결 덕트(330)와 제2 연결 덕트(230)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350)를 포함한다.
급기팬(400)은 상부 덕트(200) 또는 하부 덕트(3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열차 승강장(100)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급기팬(400)은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통해 상부 덕트(200) 또는 하부 덕트(300)에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제1 유로변경장치(600)는 급기팬(400)의 전방에 구비되어 급기팬(400)을 상부 덕트(200) 또는 하부 덕트(3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한다. 즉, 제1 유로변경장치(600)는 제1 결합부(250)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연결 덕트(220) 또는 제3 연결 덕트(3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때, 제1 유로변경장치(600)는 제1 연결 덕트(220)를 개방하고 제3 연결 덕트(320)를 폐쇄함으로써 급기팬(400)과 상부 덕트(200)가 연통되게 한다. 반면에, 제1 유로변경장치(600)는 제1 연결 덕트(220)를 폐쇄하고, 제3 연결 덕트(320)를 개방함으로써 급기팬(400)과 하부 덕트(300)가 연통되게 한다.
배기팬(500)은 상부 덕트(200) 또는 하부 덕트(3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열차 승강장(100)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배기팬(500)은 제2 유로변경장치(700)를 통해 상부 덕트(200) 또는 하부 덕트(300)에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제2 유로변경장치(700)는 배기팬(500)의 전방에 구비되어 배기팬(500)을 상부 덕트(200) 또는 하부 덕트(3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한다. 즉, 제2 유로변경장치(700)는 제2 결합부(350) 내부에 설치되어 제2 연결 덕트(230) 또는 제4 연결 덕트(3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때, 제2 유로변경장치(700)는 제2 연결 덕트(230)를 개방하고 제4 연결 덕트(330)를 폐쇄함으로써 배기팬(500)과 상부 덕트(200)가 연통되게 한다. 반면에, 제2 유로변경장치(700)는 제2 연결 덕트(230)를 폐쇄하고, 제4 연결 덕트(330)를 개방함으로써 배기팬(500)과 하부 덕트(300)가 연통되게 한다.
제어부(800)는 급기팬(400), 배기팬(500), 제1 유로변경장치(600) 및 제2 유로변경장치(700)를 작동시킨다. 제어부(800)는 후술되는 센서부(900)를 통해 수신하는 열차 승강장의 온도값 또는 공기질 상태에 따라 급기팬(400), 배기팬(500), 제1 유로변경장치(600) 및 제2 유로변경장치(7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는 열차 승강장(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온도센서(910), 열차 승강장(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온도센서(920) 및 열차 승강장(100)의 탑승구 측에 설치되는 탑승구 온도센서(9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부(800)는 상부 온도센서(910), 하부 온도센서(920) 및 탑승구 온도센서(9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열차 승강장(100)의 온도값을 수신하여 온도값에 따라 급기팬(400), 배기팬(500), 제1 유로변경장치(600) 및 제2 유로변경장치(700)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800)는 상부 온도센서(910)의 온도값이 하부 온도센서(920) 또는 탑승구 온도센서(930)의 온도값보다 높은 경우, 급기팬(400)과 상부 덕트(20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한다. 제어부(800)는 급기팬(400)에 연결된 별도의 냉방기(미도시)에서 생성되는 차가운 공기를 상부 덕트(200)의 상부 공기 출입구(2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으로 급기하고, 배기팬(500)과 하부 덕트(300)가 연통되도록 제2 유로변경장치(700)를 작동하여 하부 덕트(300)의 하부 공기 출입구(3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의 공기를 배기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상부 온도센서(910),하부 온도센서(920) 및 탑승구 온도센서(930)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 급기팬(400)과 상부 덕트(200)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한다. 제어부(800)는 급기팬(400)에 연결된 별도의 냉방기에서 생성되는 차가운 공기를 상부 덕트(200)의 상부 공기 출입구(2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으로 급기하고, 배기팬(500)과 하부 덕트(300)가 연통되도록 제2 유로변경장치(700)를 작동하여 하부 덕트(300)의 하부 공기 출입구(3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의 공기를 배기한다. 이때, 기준값은 하절기 실내 권장 온도인 26℃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800)는 하부 온도센서(920)의 온도값이 상부 온도센서(910) 또는 탑승구 온도센서(930)의 온도값보다 낮은 경우, 급기팬(400)과 하부 덕트(30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한다. 제어부(800)는 급기팬(400)에 연결된 별도의 난방기(미도시)에서 생성되는 따뜻한 공기를 하부 덕트(300)의 하부 공기 출입구(3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으로 급기하고, 배기팬(500)과 상부 덕트(200)가 연통되도록 제2 유로변경장치(700)를 작동하여 상부 덕트(200)의 상부 공기 출입구(2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의 공기를 배기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상부 온도센서(910), 하부 온도센서(920) 및 탑승구 온도센서(930)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급기팬(400)과 하부 덕트(30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한다. 제어부(800)는 급기팬(400)에 연결된 별도의 난방기에서 생성되는 따뜻한 공기를 하부 덕트(30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으로 급기하고, 배기팬(500)과 상부 덕트(200)가 연통되도록 제2 유로변경장치(700)를 작동하여 상부 덕트(200)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100)의 공기를 배기한다. 이때, 기준값은 동절기 실내 권장 온도인 18℃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상부 온도센서(910), 하부 온도센서(920) 및 탑승구 온도센서(930)로부터 수신한 온도값의 차이에 따라 급기팬(400) 또는 배기팬(500)의 출력을 가변 시킨다.
여기서, 제어부(800)는 상부 온도센서(910)의 온도값이 하부 온도센서(920) 또는 탑승구 온도센서(930)의 온도값보다 높은 경우, 급기팬(400)과 상부 덕트(20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하고, 급기팬(400)의 출력을 증대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상부 온도센서(910), 하부 온도센서(920) 및 탑승구 온도센서(930)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 급기팬(400)과 상부 덕트(20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하고, 급기팬(400)의 출력을 증대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하부 온도센서(920)의 온도값이 상부 온도센서(910) 또는 탑승구 온도센서(930)의 온도값보다 낮은 경우, 급기팬(400)과 하부 덕트(30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하고, 급기팬(400)의 출력을 증대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상부 온도센서(910),하부 온도센서(920) 및 탑승구 온도센서(930)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급기팬(400)과 하부 덕트(30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하고, 급기팬(400)의 출력을 증대한다.
또한,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는 열차 승강장(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940), 열차 승강장(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950) 및 열차 승강장(100)의 탑승구 측에 설치되는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96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부(800)는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940),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950) 및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9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열차 승강장(100)의 공기질 상태를 수신하여 공기질 상태에 따라 급기팬(400), 배기팬(500), 제1 유로변경장치(600) 및 제2 유로변경장치(700)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각각의 공기질 측정센서(940, 950, 960)는 먼지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또는 기타 유해물질(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에틸렌 등)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00)는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940)의 공기질 상태가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950) 또는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960)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급기팬(400)과 상부 덕트(20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하여 상부 덕트(200)의 상부 공기 출입구(210)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열차 승강장(100)으로 급기하고, 배기팬(500)과 하부 덕트(300)가 연통되도록 제2 유로변경장치(700)를 작동하여 하부 덕트(300)의 하부 공기 출입구(3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의 공기를 배기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950)의 공기질 상태가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940) 또는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960)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급기팬(400)과 하부 덕트(30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하여 하부 덕트(300)의 하부 공기 출입구(310)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열차 승강장(100)으로 급기하고, 배기팬(500)과 상부 덕트(200)가 연통되도록 제2 유로변경장치(700)를 작동하여 상부 덕트(200)의 상부 공기 출입구(2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의 공기를 배기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940),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950) 및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960)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상태의 차이에 따라 급기팬(400) 및 배기팬(500)의 출력을 가변 시킨다.
여기서, 제어부(800)는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940)의 공기질 상태가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950) 또는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960)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급기팬(400)과 상부 덕트(20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하고, 급기팬(400)의 출력을 증대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950)의 공기질 상태가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940) 또는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960)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급기팬(400)과 하부 덕트(30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를 작동하고, 급기팬(400)의 출력을 증대한다.
이러한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는 일반적으로 냉방 또는 난방을 하지 않는 봄 또는 가을의 경우, 상부 덕트(200)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급기하고, 하부 덕트(300)를 통해 배기한다. 일반적으로, 열차 승강장(100) 바닥부에는 입자가 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다량으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는 하부 덕트(300)를 통해 급기함으로써 이물질이 부유하여 열차 승강장(100)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는 하절기에는 급기팬(400)의 출력을 강하게 하고, 동절기에는 급기팬(400)의 출력을 하절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해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의 하절기 작동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의 하절기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절기 시,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는 상부 덕트(200)에 급기팬(400)이 연통되고, 하부 덕트(300)에 배기팬(500)이 연통된다. 즉, 하절기 시, 열차 승강장(100)에는 상부 덕트(200)를 통해 급기가 되고, 하부 덕트(300)를 통해 배기가 된다.
이때, 급기팬(400)의 후방에는 냉방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열차 승강장(100)으로 차가운 공기가 급기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급기팬(400)과 제1 연결 덕트(22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가 제3 연결 덕트(320)를 폐쇄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배기팬(500)과 제4 연결 덕트(330)가 연통되도록 제2 유로변경장치(700)까 제2 연결 덕트(230)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때, 냉방기는 열차 승강장(100) 온도가 26℃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26℃에 근접한 온도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덕트(200)는 급기팬(400)을 통해 송풍되는 차가운 공기를 제1 연결 덕트(220)를 거쳐 상부 공기 출입구(2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으로 급기되게 한다. 이때, 상부 공기 출입구(2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으로 송풍되는 차가운 공기는 하부로 내려오면서 열차 승강장(100)을 냉방하게 된다.
열차 승강장(100)을 냉방하며 하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하부 덕트(30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상부 덕트(200)에서 급기되는 공기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함께 하부로 이동시키며 하부 덕트(300)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는 하절기에 상부 덕트(200)를 통해 차가운 공기를 급기하고, 하부 덕트(300)를 통해 배기함으로써 냉방 및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을 통해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의 동절기 작동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의 동절기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절기 시,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는 상부 덕트(200)에 배기팬(500)이 연통되고, 하부 덕트(300)에 급기팬(400)이 연통된다. 즉, 동절기 시, 열차 승강장(100)에는 상부 덕트(200)를 통해 배기가 되고, 하부 덕트(300)를 통해 급기가 된다.
이때, 급기팬(400)의 후방에는 난방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열차 승강장(100)으로 따뜻한 공기가 급기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급기팬(400)과 제3 연결 덕트(320)가 연통되도록 제1 유로변경장치(600)가 제1 연결 덕트(220)를 폐쇄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배기팬(500)과 제2 연결 덕트(230)가 연통되도록 제2 유로변경장치(700)까 제4 연결 덕트(330)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때, 난방기는 열차 승강장(100) 온도가 18℃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18℃에 근접한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덕트(300)는 급기팬(400)을 통해 송풍되는 따뜻한 공기를 제3 연결 덕트(320)를 거쳐 하부 공기 출입구(3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으로 급기되게 한다. 이때, 하부 공기 출입구(310)를 통해 열차 승강장(100)으로 송풍되는 따뜻한 공기는 상부로 올라가면서 열차 승강장(100)을 난방하게 된다.
열차 승강장(100)을 난방하며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상부 덕트(20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하부 덕트(300)에서 급기되는 공기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함께 상부로 이동시키며 상부 덕트(200)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10)는 동절기에 하부 덕트(300)를 통해 따뜻한 공기를 급기하고, 상부 덕트(200)를 통해 배기함으로써 난방 및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열차 승강장(100) 바닥부에 이물질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난방기를 가동하기 전에 하부 덕트(300)를 통해 배기를 하여 열차 승강장(100)을 환기 시킨 후, 난방기를 가동하며 하부 덕트(300)로 따뜻한 공기를 급기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덕트(300)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덕트가 승객 대기용 의자 하단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열차 승강장(100)에 설치되는 승객 대기용 의자(20)의 하부에 하부 덕트(3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승객 대기용 의자(20)는 하부 일측에 하부 공기 출입구(310)가 형성되고, 열차 승강장(100) 하측으로 연장되어 급기팬(400) 또는 배기팬(500)에 연통되는 하부 덕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객 대기용 의자(20)는 승객이 앉아서 대기할 수 있는 공간에 하부 덕트(300)를 설치함으로써 열차 승강장(100)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하부 덕트(300)는 하부 공기 출입구(310)가 열차 승강장(100)의 측면의 하부 벽면 또는 바닥면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10 :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비 100 : 열차 승강장
200 : 상부 덕트 210 : 상부 공기 출입구
220 : 제1 연결 덕트 230 : 제2 연결 덕트
240 : 제1 분기부 250 : 제1 결합부
300 : 하부 덕트 310 : 하부 공기 출입구
320 : 제3 연결 덕트 330 : 제4 연결 덕트
340 : 제2 분기부 350 : 제2 결합부
400 : 급기팬 500 : 배기팬
600 : 제1 유로변경장치 700 : 제2 유로변경장치
800 : 제어부 900 : 센서부
910 : 상부 온도센서 920 : 하부 온도센서
930 : 탑승구 온도센서 940 :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
950 :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 960 :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

Claims (17)

  1. 삭제
  2. 열차 승강장의 상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상부 덕트;
    상기 열차 승강장의 하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하부 덕트;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열차 승강강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
    상기 급기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팬을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하는 제1 유로변경장치;
    상기 배기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을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하는 제2 유로변경장치; 및
    상기 급기팬, 상기 배기팬,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 또는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열차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온도센서, 상기 열차 승강장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열차 승강장의 탑승구 측에 설치되는 탑승구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로부터 각각 수신된 온도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급기팬, 상기 배기팬,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 및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에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하부 온도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급기팬에 연결된 별도의 냉방기에서 생성되는 차가운 공기를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급기팬에 연결된 별도의 냉방기에서 생성되는 차가운 공기를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상부 온도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급기팬에 연결된 별도의 난방기에서 생성되는 따뜻한 공기를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급기팬에 연결된 별도의 난방기에서 생성되는 따뜻한 공기를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온도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급기팬 또는 상기 배기팬의 출력을 가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하부 온도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상부 온도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온도센서, 상기 하부 온도센서 및 상기 탑승구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12. 열차 승강장의 상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상부 덕트;
    상기 열차 승강장의 하부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하부 덕트;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열차 승강강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
    상기 급기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팬을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하는 제1 유로변경장치;
    상기 배기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을 상기 상부 덕트 또는 상기 하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하는 제2 유로변경장치; 및
    상기 급기팬, 상기 배기팬,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 또는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열차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 상기 열차 승강장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 및 상기 열차 승강장의 탑승구 측에 설치되는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로부터 각각 수신된 공기질 상태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급기팬, 상기 배기팬,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 및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에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하부 덕트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상기 열차 승강장으로 급기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 덕트를 통해 상기 열차 승강장의 공기를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 및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상태의 차이에 따라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의 출력을 가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상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상부 공기질 측정센서 또는 상기 탑승구 공기질 측정센서의 공기질 상태보다 좋은 경우, 상기 급기팬과 상기 하부 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유로변경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급기팬의 출력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KR1020130114241A 2013-09-26 2013-09-26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KR10153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241A KR101538302B1 (ko) 2013-09-26 2013-09-26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241A KR101538302B1 (ko) 2013-09-26 2013-09-26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874A KR20150034874A (ko) 2015-04-06
KR101538302B1 true KR101538302B1 (ko) 2015-07-22

Family

ID=5302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241A KR101538302B1 (ko) 2013-09-26 2013-09-26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3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5515A1 (en) 2019-11-22 2021-05-26 Allswell Co., Ltd. Air ventilation system for subway platfor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582A (ja) * 1993-05-06 1994-11-08 Maeda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00117751A (ko) * 2009-04-27 2010-11-04 현영구 Snmp를 이용한 지하철 공기질 감시방법 및 시스템
KR20130091213A (ko) * 2012-02-07 2013-08-16 그린에코스 주식회사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공조장치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582A (ja) * 1993-05-06 1994-11-08 Maeda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00117751A (ko) * 2009-04-27 2010-11-04 현영구 Snmp를 이용한 지하철 공기질 감시방법 및 시스템
KR20130091213A (ko) * 2012-02-07 2013-08-16 그린에코스 주식회사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공조장치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5515A1 (en) 2019-11-22 2021-05-26 Allswell Co., Ltd. Air ventilation system for subway platform
KR20210063013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올스웰 지하철 승강장의 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874A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243B2 (en) Vehicular ventilation module for use with a vehicular HVAC system
US8302236B2 (en) Boarding bridge with air conditioner facility
US20110053484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KR10202888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CN103158500A (zh) 用于车辆的加热、通风和空气调节系统的排气系统
JP2006021572A (ja) シート用加熱冷却装置
JP5780717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CN103922212A (zh) 保持电梯恒温恒湿的方法及其系统
KR101538302B1 (ko)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JP6228087B2 (ja) 鉄道車両
JP4346429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06272949A (ja) 空調ダクト装置
KR100600559B1 (ko) 열차 실내의 오염공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214868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64549B1 (ko) 열차 객실 공기순환장치
JP2009012550A (ja) 自動車用シート空調装置
CN105082932B (zh) 双温度hvac系统
JP5468161B2 (ja) 鉄道車両
CN104641183B (zh) 旨在用于对轨道车辆的内部空间进行加热、冷却和/或通风的空调系统的操作方法
JP5530721B2 (ja) エアカーテン兼用空調システム
JP2010208378A (ja) 鉄道車両
KR10257970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23619B1 (ko) 철도차량용 냉방장치
KR100774412B1 (ko) 차량용 공조유닛의 샤우어덕트
KR20100027705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커튼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