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364B1 -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364B1
KR101537364B1 KR1020130119209A KR20130119209A KR101537364B1 KR 101537364 B1 KR101537364 B1 KR 101537364B1 KR 1020130119209 A KR1020130119209 A KR 1020130119209A KR 20130119209 A KR20130119209 A KR 20130119209A KR 101537364 B1 KR101537364 B1 KR 101537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node
electromagnetic contactor
side terminal
fus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555A (ko
Inventor
신현균
Original Assignee
중앙제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제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제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3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mechanical injury, e.g. rupture of line, breakage of earth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접촉기의 접점 사이에 다이오드, 저항 및 포토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융착감지회로를 삽입하여, 전자접촉기의 접점에 발생할 수 있는 융착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전장치{Electrical 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전기자동차의 보급에 따라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보급도 증가 추세에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급속충전기, 준급속충전기 및 완속충전기 등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자동차에 인가되는 전기의 종류에 따라 교류충전기 및 직류충전기로 구분된다.
완속충전기는 교류전원을 받아서 차단기, 전자접촉기를 거쳐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차단기는 누전 및 과전류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자접촉기는 충전 조건에 따라 전원을 단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완속충전기는 전기자동차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하여 정해진 시퀀스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자동차는 완속충전기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충전기("On Board Charger" 혹은 "On Vehicle Charger" 라고 함)를 통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완속충전기는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므로 안전이 매우 중요하다. 본 고안은 완속충전기에 사용되는 전자접촉기가 고장을 일으켜 전자접촉기의 접점이 융착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자접촉기의 접점이 융착되면 충전이 완료된 후 전원을 차단하려고 하더라도 충전기에 전원이 계속 인가되어 자동차를 취급하는 사람이 위험해질 수 있고 또한 전기자동차의 주요 부품들이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접촉기의 접점에 융착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즉시 차단해 주어야 한다. 전자접촉기의 접점융착은 오랜 시간 사용으로 인한 마모나 과전류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접촉기의 접점 사이에 다이오드, 저항 및 포토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융착감지회로를 삽입하여, 전자접촉기의 접점에 발생할 수 있는 융착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단기 및 전자접촉기를 구비하고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접촉기에 구비된 각 접점의 융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융착감지회로를 상기 각 접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포함하는 융착감지부;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기를 강제로 차단하기 위한 강제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융착감지회로 각각의 양단이 상기 각 접점의 상기 전원부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의 인접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제각기 연결되되,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경우에는, 상기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전원부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융착감지회로 각각의 양단이 상기 각 접점의 상기 전원부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의 인접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제각기 연결되되,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경우에는, 상기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전원부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융착감지회로는, 저항, 다이오드 및 광복합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 상기 다이오드 및 상기 광복합소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융착감지회로는, 상기 광복합소자에 역병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적어도 하나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렬은, 모든 상기 다이오드 및 모든 상기 광복합소자의 애노드가 상기 전원부 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직렬은, 모든 상기 다이오드 및 모든 상기 광복합소자의 애노드가 상기 부하 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강제차단부는, 전자계전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은, 직류전원 또는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교류전원은,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감지된 결과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결과를 근거로 상기 차단기를 강제로 차단하도록 하는 강제차단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강제차단명령신호를 상기 강제차단부로 전송하기 위한 중앙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전자접촉기; 및 상기 전자접촉기에 구비된 각 접점의 융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융착감지회로를 상기 각 접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포함하는 융착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융착감지회로는, 저항, 다이오드 및 광복합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 상기 다이오드 및 상기 광복합소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융착 감지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접점융착 감지회로는, 상기 융착감지회로 각각의 양단이 상기 각 접점의 상기 전원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의 인접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제각기 연결되되,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경우에는, 상기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전원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점융착 감지회로는, 상기 융착감지회로 각각의 양단이 상기 각 접점의 상기 전원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의 인접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제각기 연결되되,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경우에는, 상기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전원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융착감지회로는, 상기 광복합소자에 역병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적어도 하나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충전장치를 취급하는 사람에 가해질 수 있는 위험 및 과열로 인해 충전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의 손상을 막아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에서 전원으로 단상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에서 전원으로 3상3선식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에서 전원으로 3상4선식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에서 전원으로 직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는 전원부(10), 차단기(20), 전자접촉기(30), 부하(40), 융착감지부(50) 및 강제차단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0)는 충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은 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일 수 있다. 만약,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교류전원인 경우 단상 또는 3상 이상의 교류전원일 수 있으며, 만약, 3상 교류전원일 경우 3상3선식 또는 3상4선식 교류전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단기(20)는 충전장치(100)에 발생할 수 있는 누전 또는 과전류로 인한 위험 상황에서 충전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누전차단기(Earth Leakage Breaker, ELB) 또는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기(20)에 구비되는 접점의 개수는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 및 충전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접촉기(30)는 충전 조건에 따라 부하(4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자접촉기(30)에 구비되는 접점의 개수는 전원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전원부(10)에 의해 3상3선식의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전자접촉기(30)에 구비되는 접점의 개수가 3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이 3상4선식의 교류전원인 경우에는 전자접촉기(30)에 구비되는 접점의 개수기 4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10)에 의해 직류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전자접촉기(30)에 구비되는 접점의 개수가 2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하(40)는 전기자동차(미도시)에 내장되는 온 보드 차저(On Borad Charger)(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융착감지부(50)는 전자접촉기(30)에 구비된 각 접점에 융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융착감지부(50)는 전자접촉기(30)에 구비된 각각의 접점에 발생한 융착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융착감지회로(후술 예정임)를 전자접촉기(30)에 구비된 접점의 개수만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강제차단부(60)는 융착감지부(50)에 의해 전자접촉기(30)의 각 접점에 발생한 융착이 감지되었을 경우, 차단기(20)를 강제로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강제차단부(60)는 릴레이(Re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각 전원방식별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에서 전원으로 단상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단상 교류전원이 노드(L20) 및 노드(N20)에 인가된다.(여기서, "노드"는 "Node"를 지칭함)
또한, 노드(N20)에는 차단기(220)의 접점(ELB21)의 일단이 연결되고, 노드(L20)에는 차단기(220)의 접점(ELB22)의 일단이 연결된다.
한편, 차단기(220)의 접점(ELB21)의 타단에는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1)의 일단이 연결되고, 차단기(220)의 접점(ELB22)의 타단에는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2)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후의 설명에서, 차단기(220)의 접점(ELB21)의 타단과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1)의 일단이 연결되는 점을 노드(N21)로 칭하고, 차단기(220)의 접점(ELB22)의 타단과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2)의 일단이 연결되는 점을 노드(L21)로 칭하기로 한다.
이후,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1)의 타단에 부하(40)의 일단이 연결되고,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2)의 타단에 부하(40)의 타단이 연결된다. 이후의 설명에서,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1)의 타단과 부하(40)의 일단이 연결되는 점을 노드(N22)로 칭하고,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2)의 타단과 부하(40)의 타단이 연결되는 점을 노드(L22)로 칭하기로 한다.
융착감지회로(251)는 노드(N21)과 노드(L22) 사이에 연결되고, 융착감지회로(252)는 단자(L21)과 단자(N22)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융착감지회로(251)는 다이오드(D21), 저항(R21), 포토커플러(PC21)의 발광부및 역병렬다이오드(RD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이오드(D21)의 애노드(Anode) 단자가 노드(N21)에 연결되고 다이오드(D21)의 캐소드(Cathode) 단자에 저항(R21)의 일단이 연결되며, 저항(R21)의 타단은 포토커플러(PC21)의 발광부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포토커플러(PC21)의 발광부의 캐소드는 노드(L2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이오드(D21), 저항(R21) 및 포토커플러(PC21)의 발광부의 연결 순서는 위에 설명한 것과 다른 순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위의 연결과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역병렬다이오드(RD21)는 포토커플러(PC21)의 발광부에 역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융착감지회로(252)는 다이오드(D22), 저항(R22), 포토커플러(PC22)의 발광부 및 역병렬다이오드(RD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이오드(D22)의 애노드 단자가 노드(L21)에 연결되고 다이오드(D22)의 캐소드 단자에 저항(R22)의 일단이 연결되며, 저항(R22)의 타단은 포토커플러(PC22) 발광부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포토커플러(PC22)의 발광부의 캐소드는 노드(N2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이오드(D22), 저항(R22) 및 포토커플러(PC22)의 발광부의 연결 순서는 위에 설명한 것과 다른 순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위의 연결과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역병렬다이오드(RD22)는 포토커플러(PC22)의 발광부에 역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토커플러(PC21) 및 포토커플러(PC22) 각각의 수광부가 중앙처리장치(CPU21)에 각기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CPU21)에는 차단기(220)를 강제로 차단하기 위한 릴레이(RY21)의 구동부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릴레이(RY21)의 개폐부는 노드(L21)과 노드(N20) 사이에 저항(R23)을 거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에서 전원으로 단상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충전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원부(10)로부터 60 Hz의 주파수를 갖는 상용의 단상 교류 전원인 AC 220 V가 노드(L20)과 노드(N20)에 인가된다. 여기서, 60 Hz 주파수에 전압 AC 220 V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단기(220)가 온("ON") 상태일 경우, 노드(L21) 및 노드(N21) 사이에 AC 220 V가 인가된다. 이후, 정상적인 상태에서 부하(40)에 충전이 시작되어 전자접촉기(230)가 ON 되면 노드(L22)와 노드(N22) 사이에도 AC 220 V가 인가되어 부하(40)의 양단에 AC 220 V가 인가된다. 이때, 노드(N21)와 노드(L22) 사이에도 AC 220 V가 인가되므로, 이 전압은 다이오드(D21) 및 저항(R21)을 거쳐 포토커플러(PC21)의 발광부를 ON 시킨다. 하지만, 다이오드(D21)로 인하여 60 Hz의 반 사이클 동안에만 포토커플러(PC21)의 발광부가 ON 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노드(L21)와 노드(N22) 사이에도 AC 220 V가 인가되고, 이 전압은 다이오드(D22) 및 저항(R22)을 거쳐 포토커플러(PC22)의 발광부를 ON 시킨다. 하지만, 다이오드(D22)로 인하여 포토커플러(PC21)의 발광부가 OFF 되는 60 Hz의 반 사이클 동안에만 포토커플러(PC22)의 발광부가 ON 되게 된다.
중앙처리장치(CPU21)는 전자접촉기(230)가 ON 되어 있는 동안 포토커플러(PC21) 및 포토커플러(PC22) 각각의 발광부의 ON 또는 OFF 상태를 감지하여 각 융착감지회로(251, 252)에 이상이 없는지 판단한다.
부하(40)에 대한 충전이 종료되어 전자접촉기(230)를 차단하게 되면, 전자접촉기(230)에 구비된 각 접점(MC21, MC22)이 OPEN 되어 노드(N21)와 노드(L22) 및 노드(L21)와 노드(N22) 사이에는 더 이상 AC 220 V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포토커플러(PC21) 및 포토커플러(PC22)의 발광부도 더 이상 ON 되지 않게 된다. 중앙처리장치(CPU21)는 이를 감지하여 전자접촉기(230)의 각 접점(MC21, MC22)이 정상적으로 OPEN 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만일,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1)이 융착된 경우에는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1)이 OPEN 되도록 신호를 주어 접점(MC21)을 OPEN 시키려 해도 접점(MC21)이 정상적으로 OPEN 되지 않게 되므로, 결국 포토커플러(PC22)의 발광부가 60 Hz의 반 사이클 동안 ON 되게 되고 중앙처리장치(CPU21)는 이를 감지하여 즉시 릴레이(RY21)를 이용하여 차단기(220)를 강제로 차단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2)이 융착된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접점(MC21)이 융착된 경우와 유사하게, 포토커플러(PC21)의 발광부가 60 Hz의 나머지 반 사이클 동안 ON 되게 되므로 중앙처리장치(CPU21)는 이를 감지하여 차단기(220)를 강제로 차단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포토커플러(PC21, PC22)에 각각 역병렬로 연결되는 역병렬다이오드(RD21, RD22)는 포토커플러(PC21, PC22)에 인가될 수 있는 역전압으로부터 포토커플러(PC21, PC22)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다이오드(D21) 및 다이오드(D22)는 전자접촉기(230)가 정상적으로 OPEN 되어 있는 경우 포토커플러(PC21) 및 포토커플러(PC22)의 발광부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다이오드(D21, D22)가 없다면 전자접촉기(230)의 접점(MC21, MC22)이 모두 OPEN 되어 있다 하더라도 부하(40)가 완전히 OPEN 되어 있지 않다면, 노드(N21) 측이 포지티브(Positive) 전압일 경우에 노드(N21)의 전압이 저항(R21), 포토커플러(PC21)의 발광부, 부하(40), 역병렬다이오드(RD22) 및 저항(R22)을 거쳐 노드(L21)로 차례로 인가되어 포토커플러(PC21)의 발광부가 ON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노드(L21) 측이 포지티브 전압일 경우에는 노드(L21)의 전압이 저항(R22), 포토커플러(PC22)의 발광부, 부하(40), 역병렬다이오드(RD21) 및 저항(R21)을 거쳐 노드(N21)로 차례로 인가되어 포토커플러(PC22)의 발광부가 ON 될 수 있다.
그러나, 다이오드(D21, D22)가 있음으로 해서 부하(40)가 완전하게 OPEN 되어 있지 않다고 해도 노드(N21) 측이 포지티브 전압일 경우 다이오드(D22)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저지되고, 노드(L21) 측이 포지티브 전압일 경우에는 다이오드(D21)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저지되어 포토커플러(PC21, PC22)가 오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에서와 같이 전자접촉기의 접점 사이에 다이오드, 저항 및 포토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융착감지회로를 삽입하여, 전자접촉기의 장시간 사용 등으로 인한 마모 또는 과전류로 인해 전자접촉기의 접점에 발생할 수 있는 융착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충전장치를 취급하는 사람에 가해질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하고 과열로 인해 충전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충전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의 손상을 막아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에서 전원으로 3상3선식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3상3선식 교류전원이 차단기(20)를 경유하여 노드(U31), 노드(V31) 및 노드(W31)에 인가된다. 노드(U31)에 전자접촉기(330)의 접점(MC31)의 일단이 연결되고, 노드(V31)에 전자접촉기(330)의 접점(MC32)의 일단이 연결되며, 노드(W31)에는 전자접촉기(330)의 접점(MC33)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후, 전자접촉기(330)의 접점(MC31)의 타단, 전자접촉기(330)의 접점(MC32)의 타단 및 전자접촉기(330)의 접점(MC33)의 타단에 부하(40)가 연결된다. 이후의 설명에서, 전자접촉기(330)의 접점(MC31)의 타단을 노드(U32)라 칭하고, 전자접촉기(330)의 접점(MC32)의 타단은 노드(V32)라 칭하며, 전자접촉기(330)의 접점(MC33)의 타단은 노드(W32)라 칭하기로 한다.
융착감지회로(351)는 노드(U32)와 노드(V31) 사이에 연결되고, 융착감지회로(352)는 노드(V32)와 노드(W31) 사이에 연결되며, 융착감지회로(353)는 노드(W32)와 노드(U31)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융착감지회로(351)는 다이오드(D31), 저항(R31), 포토커플러(PC31)의 발광부및 역병렬다이오드(RD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이오드(D31)의 애노드 단자가 노드(U32)에 연결되고 다이오드(D31)의 캐소드 단자에 저항(R31)의 일단이 연결되며, 저항(R31)의 타단은 포토커플러(PC31)의 발광부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포토커플러(PC31)의 발광부의 캐소드는 노드(V31)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이오드(D31), 저항(R31) 및 포토커플러(PC31)의 발광부의 연결 순서는 위에 설명한 것과 다른 순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위의 연결과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역병렬다이오드(RD31)는 포토커플러(PC31)의 발광부에 역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융착감지회로(352)는 다이오드(D32), 저항(R32), 포토커플러(PC32)의 발광부및 역병렬다이오드(RD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이오드(D32)의 애노드 단자가 노드(V32)에 연결되고 다이오드(D32)의 캐소드 단자에 저항(R32)의 일단이 연결되며, 저항(R32)의 타단은 포토커플러(PC32)의 발광부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포토커플러(PC32)의 발광부의 캐소드는 노드(W31)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역병렬다이오드(RD32)는 포토커플러(PC32)의 발광부에 역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융착감지회로(353)는 다이오드(D33), 저항(R33), 포토커플러(PC33)의 발광부및 역병렬다이오드(RD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이오드(D33)의 애노드 단자가 노드(W32)에 연결되고 다이오드(D33)의 캐소드 단자에 저항(R33)의 일단이 연결되며, 저항(R33)의 타단은 포토커플러(PC33)의 발광부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포토커플러(PC33)의 발광부의 캐소드는 노드(U31)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역병렬다이오드(RD33)는 포토커플러(PC33)의 발광부에 역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에서 전원으로 3상3선식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충전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차단기(20) 및 강제차단부(60)에 대한 내용은 앞에서 설명한 단상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 내용과 대부분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에서 전원으로 3상3선식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충전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원부(10)로부터 상용의 3상3선식 교류전원이 노드(U31), 노드(V31) 및 노드(W31)에 차단기(20)를 경유하여 인가된다. 여기서, 상용의 3상3선식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단기(20)가 ON 상태일 경우, 노드(U31), 노드(V31) 및 노드(W31)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후, 정상적인 상태에서 부하(40)에 충전이 시작되어 전자접촉기(330)가 ON 되면 노드(U32), 노드(V32) 및 노드(W3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노드(U32)와 노드(V31) 사이에도 전압이 인가되므로, 이 전압은 다이오드(D31) 및 저항(R31)을 거쳐 포토커플러(PC31)의 발광부를 ON 시킨다. 하지만, 다이오드(D31)로 인하여 노드(R32)의 전압이 노드(S31)의 전압보다 높은 동안에만 포토커플러(PC31)의 발광부가 ON 되게 된다.
또한, 노드(V32)와 노드(W31) 사이에도 전압이 인가되고, 노드(W32)와 노드(U31) 사이에도 전압이 인가되어 각각 포토커플러(PC32)와 포토커플러(PC33)의 발광부가 앞서 설명된 포토커플러(PC31)의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ON 되게 된다.
만일, 전자접촉기(330)의 접점(MC31, MC32, MC33) 중 어느 하나라도 융착이 된 경우에는 전자접촉기(330)의 접점(MC31, MC32, MC33)이 모두 OPEN 되도록 하려고 해도 융착된 접점(MC31, MC32, MC33)이 OPEN 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해 융착된 접점(MC31, MC32, MC33)에 대응하는 포토커플러(PC31, PC32, PC33)의 발광부가 ON 되게 되므로 강제차단부(60)는 이를 감지하여 차단기(20)를 강제로 차단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포토커플러(PC31, PC32, PC33)의 발광부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D31, D32, D33) 및 포토커플러(PC31, PC32, PC33)의 발광부를 역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역병렬다이오드(RD31, RD32, RD33)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에서 전원으로 3상4선식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3상4선식 교류전원이 차단기(20)를 경유하여 노드(U41), 노드(V41), 노드(W41) 및 노드(N41)에 인가된다.
노드(U41)에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1)의 일단이 연결되고, 노드(V41)에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2)의 일단이 연결되며, 노드(W41)에는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3)의 일단이 연결되고, 노드(N41)에는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4)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후,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1)의 타단,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2)의 타단,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3)의 타단 및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4)의 타단에 부하(40)가 연결된다. 이후의 설명에서,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1)의 타단을 노드(U42)라 칭하고,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2)의 타단은 노드(V42)라 칭하며,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3)의 타단은 노드(W42)라 칭하고, 전자접촉기(430)의 접점(MC44)의 타단은 노드(N42)라 칭하기로 한다.
융착감지회로(451)는 노드(U42)와 노드(V41) 사이에 연결되고, 융착감지회로(452)는 노드(V42)와 노드(W41) 사이에 연결되며, 융착감지회로(453)은 노드(W42)와 노드(N41) 사이에 연결되고, 융착감지회로(454)는 노드(N42)와 노드(U41)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융착감지회로(451)는 다이오드(D41), 저항(R41), 포토커플러(PC41)의 발광부및 역병렬다이오드(RD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이오드(D41)의 애노드 단자가 노드(U42)에 연결되고 다이오드(D41)의 캐소드 단자에 저항(R41)의 일단이 연결되며, 저항(R41)의 타단은 포토커플러(PC41)의 발광부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포토커플러(PC41)의 발광부의 캐소드는 노드(V41)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이오드(D41), 저항(R41) 및 포토커플러(PC41)의 발광부의 연결 순서는 위에 설명한 것과 다른 순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위의 연결과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역병렬다이오드(RD41)는 포토커플러(PC41)의 발광부에 역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융착감지회로(452), 융착감지회로(453) 및 융착감지회로(454)의 구성은 융착감지회로(451)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에서 전원으로 3상4선식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충전장치(100)의 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3상3선식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 내용과 대부분 중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에서 전원으로 직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포지티브 단자가 노드(D50)에 네가티브(Negative) 단자가 노드(G50)에 각각 연결된다. 이후, 노드(D50)에는 차단기(520)의 접점(ELB51)의 일단이 연결되고, 노드(G50)에는 차단기(520)의 접점(ELB52)의 일단이 연결된다.
차단기(520)의 접점(ELB51)의 타단에는 전자접촉기(530)의 접점(MC51)의 일단이 연결되고, 차단기(520)의 접점(ELB52)의 타단에는 전자접촉기(530)의 접점(MC52)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후의 설명에서, 차단기(520)의 접점(ELB51)의 타단과 전자접촉기(530)의 접점(MC51)의 일단이 연결되는 점을 노드(D51)라 칭하고, 차단기(520)의 접점(ELB52)의 타단과 전자접촉기(530)의 접점(MC52)의 일단이 연결되는 점을 노드(G51)라 칭하기로 한다.
이후, 전자접촉기(530)의 접점(MC51)의 타단에 부하(40)의 일단이 연결되고, 전자접촉기(530)의 접점(MC52)의 타단에 부하(40)의 타단이 연결된다. 이후의 설명에서, 전자접촉기(530)의 접점(MC51)의 타단과 부하(40)의 일단이 연결되는 점을 노드(D52)라 칭하고, 전자접촉기(530)의 접점(MC52)의 타단과 부하(40)의 타단이 연결되는 점을 노드(G52)라 칭하기로 한다.
융착감지회로(551)는 노드(D51) 및 노드(G522) 사이에 연결되고, 융착감지회로(552)는 단자(D52) 및 단자(G51)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융착감지회로(551)는 저항(R51) 및 포토커플러(PC51)의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드(D51)에 저항(R51)의 일단이 연결되고, 저항(R51)의 타단은 포토커플러(PC51)의 발광부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포토커플러(PC51)의 발광부의 캐소드는 노드(G5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융착감지회로(552)는 저항(R52) 및 포토커플러(PC52)의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드(D52)에 저항(R52)의 일단이 연결되고, 저항(R52)의 타단은 포토커플러(PC52)의 발광부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포토커플러(PC52)의 발광부의 캐소드는 노드(G51)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토커플러(PC51) 및 포토커플러(PC52) 각각의 수광부가 중앙처리장치(CPU51)에 각기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CPU51)에는 차단기(520)를 강제로 차단하기 위한 릴레이(RY51)의 구동부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릴레이(RY51)의 개폐부는 노드(D51)과 노드(G50) 사이에 저항(R53)을 거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에서 전원으로 직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의 충전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이 노드(D50) 및 노드(G50) 사이에 인가된다. 차단기(520)가 ON 상태일 경우, 노드(D51)과 노드(G51)에 직류전압이 인가된다. 이후, 정상적인 상태에서 부하(40)에 충전이 시작되어 전자접촉기(530)가 ON 되면 노드(D52)와 노드(G52) 사이에도 직류전압이 인가되어 부하(40)의 양단에 직류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노드(D51)과 노드(G52) 사이에도 직류전압이 인가되므로, 이 전압은 저항(R51)을 거쳐 포토커플러(PC51)의 발광부를 ON 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노드(D52)와 노드(G51) 사이에도 직류전압이 인가되고, 이 전압은 저항(R52)을 거쳐 포토커플러(PC52)의 발광부를 ON 시킨다.
중앙처리장치(CPU51)는 전자접촉기(530)가 ON 되어 있는 동안 포토커플러(PC51) 및 포토커플러(PC52) 각각의 발광부의 ON 또는 OFF 상태를 감지하여 각 융착감지회로(551, 552)에 이상이 없는지 판단한다.
부하(40)에 대한 충전이 종료되어 전자접촉기(530)를 차단하게 되면, 전자접촉기(530)에 구비된 각 접점(MC51, MC52)이 OPEN 되어 노드(D51)와 노드(G52) 또는 노드(D52)와 노드(G51) 사이에는 더 이상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포토커플러(PC51) 및 포토커플러(PC52)의 발광부도 더 이상 ON 되지 않게 된다. 중앙처리장치(CPU51)는 이를 감지하여 전자접촉기(530)의 각 단자(MC51, MC52)가 정상적으로 OPEN 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전자접촉기(530)의 접점(MC51)이 융착된 경우, 전자접촉기(530)를 차단하려고 해도 접점(MC51)의 융착으로 인해 접점(MC51)이 OPEN 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해 포토커플러(PC52)의 발광부가 ON 되게 되고 중앙처리장치(CPU51)는 이를 감지하여 릴레이(RY51)를 이용하여 차단기(520)를 강제로 차단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만약, 전자접촉기(530)의 접점(MC52)이 융착된 경우에는 위와 유사하게 포토커플러(PC51)의 발광부가 ON 되게 되므로 중앙처리장치(CPU51)는 이를 감지하여 차단기(520)를 강제로 차단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에서 융착감지회로는 전자접촉기가 구비되는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되어 전자접촉기의 각 접점의 융착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충전장치
10: 전원부 20: 차단기
30: 전자접촉기 40: 부하
50: 융착감지부 60: 강제차단부

Claims (16)

  1. 차단기 및 전자접촉기를 구비하고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접촉기에 구비된 각 접점의 융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융착감지회로를 상기 각 접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포함하는 융착감지부;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기를 강제로 차단하기 위한 강제차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융착감지회로 각각의 양단이 상기 각 접점의 상기 전원부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의 인접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제각기 연결되되,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경우에는, 상기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전원부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2. 삭제
  3. 차단기 및 전자접촉기를 구비하고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접촉기에 구비된 각 접점의 융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융착감지회로를 상기 각 접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포함하는 융착감지부;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기를 강제로 차단하기 위한 강제차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융착감지회로 각각의 양단이 상기 각 접점의 상기 전원부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의 인접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제각기 연결되되,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경우에는, 상기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전원부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감지회로는, 저항, 다이오드 및 광복합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 상기 다이오드 및 상기 광복합소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감지회로는, 상기 광복합소자에 역병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적어도 하나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은, 모든 상기 다이오드 및 모든 상기 광복합소자의 애노드가 상기 전원부 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은, 모든 상기 다이오드 및 모든 상기 광복합소자의 애노드가 상기 부하 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차단부는, 전자계전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직류전원 또는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은,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감지된 결과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결과를 근거로 상기 차단기를 강제로 차단하도록 하는 강제차단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강제차단명령신호를 상기 강제차단부로 전송하기 위한 중앙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3.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전자접촉기; 및
    상기 전자접촉기에 구비된 각 접점의 융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융착감지회로를 상기 각 접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포함하는 융착감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융착감지회로 각각의 양단이 상기 각 접점의 상기 전원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의 인접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제각기 연결되되,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경우에는, 상기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전원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융착감지회로는,
    저항, 다이오드 및 광복합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 상기 다이오드 및 상기 광복합소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융착 감지회로.
  14. 삭제
  15.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전자접촉기; 및
    상기 전자접촉기에 구비된 각 접점의 융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융착감지회로를 상기 각 접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포함하는 융착감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융착감지회로 각각의 양단이 상기 각 접점의 상기 전원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의 인접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제각기 연결되되,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경우에는, 상기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전원 측 단자와 상기 각 접점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접점의 상기 부하 측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융착감지회로는,
    저항, 다이오드 및 광복합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 상기 다이오드 및 상기 광복합소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융착 감지회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감지회로는, 상기 광복합소자에 역병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적어도 하나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융착 감지회로.
KR1020130119209A 2013-10-07 2013-10-07 충전장치 KR101537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209A KR101537364B1 (ko) 2013-10-07 2013-10-07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209A KR101537364B1 (ko) 2013-10-07 2013-10-07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555A KR20150040555A (ko) 2015-04-15
KR101537364B1 true KR101537364B1 (ko) 2015-07-16

Family

ID=5303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209A KR101537364B1 (ko) 2013-10-07 2013-10-07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3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5751A (ja) * 2006-04-26 2007-11-08 Daihen Corp 非常停止装置
KR20130079843A (ko) * 2012-01-03 2013-07-11 국방과학연구소 포토커플러를 활용한 고전압 릴레이 접점 융착 확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차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5751A (ja) * 2006-04-26 2007-11-08 Daihen Corp 非常停止装置
KR20130079843A (ko) * 2012-01-03 2013-07-11 국방과학연구소 포토커플러를 활용한 고전압 릴레이 접점 융착 확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555A (ko)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2402B2 (en) Device for detecting welding of relay
KR20180019448A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US8970169B2 (en) Charging device for a high-voltage battery of a motor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charging system
US106400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direct-current fault current
US10601231B2 (en)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method for a high voltage battery of a motor vehicle
CN111801241B (zh) 用于机动车辆的交流充电装置及其运行方法
US8890477B2 (en) Charging device for a high-voltage battery of a motor vehicle, charging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arging assembly
US9300126B2 (en) Electrical apparatus for the short-circuit protection of a three-phase load in a three-phase system
JP6399442B2 (ja) 給電制御装置
KR101684840B1 (ko) 컨버터 유닛 시스템 및 컨버터 유닛
US20160264012A1 (en) Vehicle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internal circuit of the same
JP2015096018A (ja) 充放電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車両
CN103095262A (zh) 固态继电器和负载驱动电路
CN105075048B (zh) 系统保护装置、电路切换装置以及电力供给系统
JP5631173B2 (ja) 充電装置
KR101537364B1 (ko) 충전장치
US20070109696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 device
US20230178925A1 (en) Plug-in contact apparatus for preventing an arc when disconnecting a dc connection
KR101657228B1 (ko) 에어컨디셔너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CN104092281B (zh) 一种交流双电源切换方法
JP2004266894A (ja) 3相4線式欠相保護付き回路遮断器
JP6265264B2 (ja) 漏電保護装置および漏電保護システム
JP2015211547A (ja) 充電システム
JP5739014B1 (ja) バッテリ充電装置、および、バッテリ充電装置の制御方法
JP5936189B2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