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358B1 -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 구비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 구비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358B1
KR101536358B1 KR1020080121441A KR20080121441A KR101536358B1 KR 101536358 B1 KR101536358 B1 KR 101536358B1 KR 1020080121441 A KR1020080121441 A KR 1020080121441A KR 20080121441 A KR20080121441 A KR 20080121441A KR 101536358 B1 KR101536358 B1 KR 10153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leaning
rotated
unit
til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694A (ko
Inventor
이완희
이정연
문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12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3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Abstract

벨트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한 수송물을 제거하며 동시에 벨트의 이상 유무에 따라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설비를 정지시킬 수 있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한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는 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게 벨트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회동되는 클리닝부, 및 상기 클리닝부가 상기 벨트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될 때 상기 클리닝부에 의해 가압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에 의하면, 벨트의 손상부 또는 벨트와 구동롤러 사이에 끼인 수송물에 의해 발생되는 벨트의 굴곡부가 클리닝부를 가압하면 클리닝부은 회동되어 컨베이어 벨트 설비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어 클리닝부에 의한 벨트의 확대손상 및 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회동되는 클리닝부를 통해 벨트의 손상부 또는 벨트의 굴곡부에 의해 클리닝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벨트의 클리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벨트 컨베이어, 벨트, 클리닝, 벨트 손상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 구비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of belt included in a belt conveyor equipment}
본 발명은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송물을 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설비의 벨트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벨트 설비는 벨트의 구동을 통해 운송물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송시키는 설비로서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 설비는 제철소에서 원료, 연료 등을 운송하는 설비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 설비는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를 구비하며, 운송물은 벨트 상에 적재되어 필요한 위치까지 운송된다.
그런데, 벨트 상에 적재되는 운송물이 전부 내려지지 못하고, 일부가 벨트 상에 잔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트 상에 잔류된 수송물은 벨트의 표면에 고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 설비의 운송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운송물이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철광석과 같은 원료일 경우에는 잔류된 다른 수송물로 인하여 원료의 순도를 떨어뜨려 철광석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트 클리너(10)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벨트 클리너(10)는 지지대(12) 등에 고정 설치되어 벨트 컨베이어 설비(1)의 벨트(20) 상에 잔류한 수송물 등을 제거하는 블레이드(14)를 구비한다. 즉, 블레이드(14)에 의해 벨트(20) 상에 잔류한 수송물 등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런데, 벨트(20)가 손상된 상태로 블레이드(14)를 통과하는 경우 고정 설치된 블레이드(14)에 의해 벨트(20)의 손상된 영역이 확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벨트(20)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40)와 벨트(20) 사이에 수송물이 유입되면 벨트(20)에 굴곡된 영역이 발생된다. 즉 벨트(20)와 구동롤러(40) 사이에 수송물이 끼여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벨트(20)에 굴곡된 영역이 발생된 상태로 벨트(20)가 블레이드(14)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블레이드(14)에 의해 벨트(20)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벨트(20)가 손상된 상태로, 또는 벨트에 굴곡된 영역이 발생된 상태로 블레이드(14)를 통과하면, 블레이드(14)가 벨트(20)에 의해 휘어지고, 이에 따라 주행하는 벨트(20)를 휘어진 블레이드(14)가 계속해서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벨트(20)가 계속해서 주행되어 블레이드(14)를 가압하면, 블레이드(14)가 지지대(1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벨트(20)의 클리닝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탈된 블레이드(14)가 벨트(20)에 꽂혀서 벨트(20)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벨트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한 수송물을 제거하며. 동시에 벨트의 이상 유무에 따라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설비를 정지시킬 수 있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는 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게 벨트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회동되는 클리닝부, 및 상기 클리닝부가 상기 벨트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될 때 상기 클리닝부에 의해 가압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벨트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벨트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와, 상기 클리닝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클리닝부재와 연동되어 회동하는 회동유닛, 및 상기 회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유닛의 회동시 가압되어 회동력을 증가시키는 보조가동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클리닝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클리닝부재의 회동시 연동되어 회동되어 회동력을 전달하는 제1 회동부재, 및 상기 제1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동부재와 연동되어 회동하여 상기 보조 가동유닛을 가압하는 제2 회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회동부재의 회동각보다 큰 회동각으로 상기 제2 회동부재가 회동토록 상기 제1 기어부의 반지름은 상기 제2 기어부의 반지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보조 가동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2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동하면서 승강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타단에 연결되며 신축되어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회동하는 장착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의 손상부 또는 벨트와 구동롤러 사이에 끼인 수송물에 의해 발생되는 벨트의 굴곡부가 클리닝부를 가압하면 클리닝부은 회동되어 컨베이어 벨트 설비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어 클리닝부에 의한 벨트의 확대손상 및 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동되는 클리닝부를 통해 벨트의 손상부 또는 벨트의 굴곡부에 의해 클리닝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벨트의 클리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100)는 일예로서, 프레임(120), 클리닝부(140), 및 신호발생부재(160)를 포함한다.
프레임(120)은 벨트 컨베이어 설비(1)의 벨트(20)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4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20)은 클리닝부(140)가 회동토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122)을 구비할 수 있다.
회동축(122)은 벨트(20)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4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즉 구동롤러(40)의 길이방향으로 구동롤러(40)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프레임(120)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동축(122)은 프레임(120)의 지지대(12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클리닝부(140)는 벨트(20)와 접촉되도록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벨트(20)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즉, 클리닝부(140)는 벨트(20)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벨트(20)에 접촉되며, 벨트(20)의 손상부 또는 벨트(20)와 구동롤러(40)의 사이에 수송물이 끼여서 벨트(20)에 발생되는 굴곡부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하여 회동되도록 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클리닝부(140)는 일예로서, 클리닝부재(142), 회동유닛(144), 및 보조 가동유닛(148)를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부재(142)는 벨트(20)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일단에 벨트(20)에 잔류한 수송물을 벨트(20)로부터 제거하는 블레이드(142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42a)가 벨트(20)의 표면에 접촉되고, 벨트(20)에 잔류한 수송물은 블레이드(142a)에 의해 벨트(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한편, 클리닝부재(142)는 프레임(120)의 회동축(12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클리닝부재(142)는 설치홀(142b)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벨트(20)의 손상부 또는 벨트(20)와 구동롤러(40)의 사이에 수송물이 끼여서 벨트(20)에 발생되는 굴곡부에 의해 벨트(20)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블레이드(142a)에 외력이 가해지면, 클리닝부재(142)는 벨트(20)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리닝부재(142)에 외력이 가해지면, 클리닝부재(142)는 회동축(122)을 중심으로 벨트(20)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리닝부재(142)가 벨트(20)의 손상부와 굴곡부 등에 의해 가압되어 휘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부재(142)는 구동롤러(4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클리닝부재(142)는 회동축(122)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회동유닛(144)은 클리닝부재(142)에 연결되어 클리닝부재(142)와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동유닛(144)은 제1 회동부재(145)와 제2 회동부재(14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동부재(145)는 클리닝부재(142)에 연결되어 클리닝부재(142)의 회동시 연동되어 회동되어 회동력을 제2 회동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회동부재(145)는 회동축(122)에 설치되어 클리닝부재(142)의 회동시 함께 회동하는 회동축(122)과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회동부재(145)는 회동축(122)이 결합되는 결합홀(145a)을 구 비할 수 있다. 즉, 제1 회동부재(145)는 결합홀(145a)을 통해 회동축(122)에 결합되어 회동축(122)에 연동되어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동부재(145)는 일단부에 회전력을 제2 회동부재(146)에 전달하기 위한 제1 기어부(145b)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동부재(145)가 회동될 때, 회전력을 제2 회동부재(146)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회동부재(146)는 제1 회동부재(145)에 연결되어 제1 회동부재(145)와 연동되어 회동하여 보조 가동유닛(148)을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제2 회동부재(146)는 일단부에 제1 회동부재(145)와 연동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제1 기어부(145b)에 결합되는 제2 기어부(146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회동부재(145)가 회동되면, 제1 기어부(145b)를 통해 제2 기어부(146a)에 회동력이 전달되고, 결국 제2 회동부재(146)가 제1 회동부재(145)와 연동되어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동부재(146)는 타단부에 보조 가동유닛(148)에 결합되는 결합홀(146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회동부재(145)의 회동에 의해 제2 회동부재(146)가 제1 회동부재(145)보다 더 큰 회동각으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해 제1 기어부(145b)는 제2 기어부(146a)의 반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동부재(145)가 벨트(20)에 의해 미세하게 회동되더라도, 제1 회동부재(145)의 회동에 따라 제2 회동부재(146)는 보다 큰 회동각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보조 가동유닛(148)은 회동유닛(144)에 연결되어 회동유닛의 회동시 가압되어 회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 가동유닛(148)은 일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바(149), 탄성부재(150), 및 장착구(151)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바(149)는 일단이 제2 회동부재(146)에 연결되어 제2 회동부재(146)와 연동하여 회동되며, 또한 회동시 연장바(149)는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바(149)는 일단에 제2 회동부재(146)의 결합홀(146b)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49a)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바(149)는 제2 회동부재(146)의 회동시 제2 회동부재(146)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연장바(149)는 타단이 탄성부재(150)에 연결되어 회동시 탄성부재(150)를 가압하고 신축되는 탄성부재(150)에 의해 연장바(149)는 승강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50)는 일단이 연장바(149)에 연결되어 연장바(149)의 회동에 따라 신축될 수 있으며, 연장바(149)에 의해 압축되면 복원력에 의해 연장바(149)를 회동시키는 회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A-A 선과 제2 회동부재(146)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선이 겹쳐지는 경우, 다시 말해 제2 회동부재(146)의 회동에 따라 연장바(149)가 회동되어 제2 회동부재(146), 연장바(149), 및 장착구(151)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50)가 A-A 선 상에 배치되는 경우, 탄성부재(150)는 연장바(149)에 의해 가압된다.
이후 제2 회동부재(146)가 A-A 선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되면, 압축된 탄 성부재(150)로부터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해 연장바(149)는 A-A 선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보다 이격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50)에 의해 제2 회동부재(146)를 회동시키는 회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동부재(146)에 연결된 제1 회동부재(145)는 벨트(20)로부터 보다 더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50)의 타단은 장착구(151)의 내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장착구(151)는 탄성부재(150)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회동 가능하도록 프레임(120)의 힌지체결구(124, 도 2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신호발생부재(160)는 클리닝부(140)가 벨트(20)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될 때 클리닝부(140)에 의해 가압되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신호발생부재(160)는 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회동부재(146)의 의해 온/오프될 수 있는 스위치일 수 있다.
즉, 제1 회동부재(145)가 벨트(20)에 의한 외력으로 회동하면, 제2 회동부재(146)가 회동되고, 회동되는 제2 회동부재(146)는 신호발생부(160), 예를 들어 스위치를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신호발생부재(160)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고, 신호발생부재(16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부는 벨트 컨베이어 설비(1)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신호발생부재(160)는 벨트 컨베이어 설비(1)의 전원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부를 온/오프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벨트(20)의 손상부 또는 벨트(20)와 구동롤러(40)의 사이에 수송물 이 끼여서 벨트(20)에 발생되는 굴곡부가 클리닝부재(142)에 외력을 가하면, 클리닝부재(142)가 벨트(20)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제2 회동부재(146)에 의해 벨트(20)의 주행이 정지되므로, 클리닝부재(142)에 의한 벨트(20)의 확대손상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벨트(20)의 손상부가 클리닝부재(142)를 통과하면, 클리닝부재(142)는 벨트(20)로부터 이격되고, 이에 따라 제2 회동부재(146)는 신호발생부재(160)를 가압하여 벨트(20)의 주행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벨트(20) 손상부의 확대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벨트(20)의 굴곡부가 클리닝부재(142)를 통과하면, 클리닝부재(142)가 벨트(20)로부터 이격되고, 이에 따라 제2 회동부재(144)가 신호발생부재(160)를 가압하여 벨트(20)의 주행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벨트(20)가 찢어지는 등 벨트(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다시 말해, 도 4는 벨트에 형성된 굴곡부가 클리닝 장치를 통과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5는 제2 회동부재가 회동되어 탄성부재를 가압하 여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은 제2 회동부재가 회동되어 신호발생부재를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벨트(20)의 굴곡부가 클리닝부재(142)에 외력을 가하기 전에, 즉 클리리닝부재(142)가 회동되기 전에는 탄성부재(150)는 신장되거나 압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벨트(20)의 굴곡부가 클리닝부재(142)의 블레이드(142a)로 진입되면, 벨트(20)의 굴곡부에 의해 클리닝부재(142), 즉 블레이드(142a)에 외력이 가해진다.
다시 말해, 벨트(20)의 굴곡부에 의해 클리닝부재(142)는 벨트(20)로부터 소정 각도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클리닝부재(142)가 회동되면 이와 연동되어 회동유닛(144), 즉 제1 회동부재(145)와 제2 회동부재(146)는 회동된다. 제2 회동부재(146)가 회동을 시작하면 보조 가동유닛(148)은 제2 회동부재(144)에 의해 회동되면서 동시에 가압되기 시작한다.
다시 말해, 보조 가동유닛(148)의 연장바(149)는 제2 회동부재(144)에 의해 회동되기 시작하고, 이때 탄성부재(150)는 회동되는 연장바(149)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기 시작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동부재(146)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A-A'선에 일치될 때까지 제2 회동부재(146)가 회동되면 탄성부재(150)는 최대로 압축된다. 즉, 제2 회동부재(146), 연장바(149), 및 탄성부재(150)가 A-A'선에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되면, 탄성부재(150)는 최대로 압축된다.
이후 제2 회동부재(144)가 A-A' 선을 넘어서 회동되면, 이때부터는 탄성부재(150)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력이 발생되고 제2 회동부재(146)는 계속해서 회동된다. 이에 따라, 클리닝부재(142)는 벨트(20)로부터 더욱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동부재(146)의 회동에 의해, 제2 회동부재(146)는 신호발생부재(160)를 가압하여 신호발생부(160)로부터 온/오프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신호발생부재(16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 설비(1, 도 2 참조)는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클리닝 장치(100)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 설비(1)의 구동이 정지되면, 작업자는 벨트(2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벨트 컨베이어 설비(1)를 재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벨트(20)의 손상부 또는 벨트(20)와 구동롤러(40) 사이에 끼인 수송물에 의해 발생되는 벨트(20)의 굴곡부가 클리닝부(140)를 가압하면 클리닝부(140)는 회동되어 컨베이어 벨트 설비(1)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어 클리닝부(140)에 의한 벨트(20)의 확대손상 및 벨트(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되는 클리닝부(140)를 통해 벨트(20)의 손상부 또는 벨트(20)의 굴곡부에 의해 클리닝부(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벨트(20)의 클리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클리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
120 : 프레임
140 : 클리닝부
160 : 신호발생부재

Claims (6)

  1. 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벨트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회동되는 클리닝부; 및
    상기 클리닝부가 상기 벨트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될 때 상기 클리닝부에 의해 가압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벨트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벨트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와, 상기 클리닝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클리닝부재와 연동되어 회동하는 회동유닛, 그리고 상기 회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유닛의 회동시 가압되어 회동력을 증가시키는 보조 가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클리닝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클리닝부재의 회동시 연동하여 회동되어 회동력을 전달하는 제1 회동부재와, 상기 제1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동부재와 연동되어 회동하여 상기 보조 가동유닛을 가압하는 제2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부재는 일단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회동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제1 기어부에 결합되는 제2 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동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2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동하면서 승강되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타단에 연결되며 신축되어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회동하는 장착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
KR1020080121441A 2008-12-02 2008-12-02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 구비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 KR10153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441A KR101536358B1 (ko) 2008-12-02 2008-12-02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 구비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441A KR101536358B1 (ko) 2008-12-02 2008-12-02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 구비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694A KR20100062694A (ko) 2010-06-10
KR101536358B1 true KR101536358B1 (ko) 2015-07-14

Family

ID=42362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441A KR101536358B1 (ko) 2008-12-02 2008-12-02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 구비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000B1 (ko) * 2021-01-04 2022-04-20 이종안 벨트 컨베이어용 벨트 스크래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562B1 (ko) * 2011-11-29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클리너
KR101429638B1 (ko) * 2011-12-22 2014-08-14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클리닝 장치
KR101999003B1 (ko) * 2017-12-22 2019-07-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CN113232291B (zh) * 2021-05-08 2023-07-25 浙江师范大学 一种基于连续工作的快速3d打印鞋垫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216A (ja) * 1996-02-16 1997-08-26 Sintokogio Ltd ベルトコンベヤの安全装置
KR0113110Y1 (ko) * 1994-06-14 1998-04-14 김만제 벨트콘베이어 설비의 이물질 혼입 검출장치
KR20060074654A (ko) * 2004-12-28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의 벨트 표면 청소용 크리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110Y1 (ko) * 1994-06-14 1998-04-14 김만제 벨트콘베이어 설비의 이물질 혼입 검출장치
JPH09221216A (ja) * 1996-02-16 1997-08-26 Sintokogio Ltd ベルトコンベヤの安全装置
KR20060074654A (ko) * 2004-12-28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의 벨트 표면 청소용 크리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000B1 (ko) * 2021-01-04 2022-04-20 이종안 벨트 컨베이어용 벨트 스크래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694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358B1 (ko)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 구비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
KR101639340B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KR20090040824A (ko)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상품운반장치
KR101999003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6716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KR101962734B1 (ko) 회전형 슈트 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
KR101051201B1 (ko) 벨트 텐션용 웨이트 구조체
KR200390604Y1 (ko)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용 컨베이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060009A (ko) 벨트컨베이어의 커버장치
KR100503027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KR10126759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슬립방지장치
CN202953514U (zh) 旋转式可逆转高效清扫器
KR101228684B1 (ko) 잔류물 제거 장치
KR101526542B1 (ko) 컨베이어풀리 파손 감지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KR101640390B1 (ko) 벨트컨베이어용 벨트 턴오버 장치
KR10064724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권부각 조절 장치
KR101277575B1 (ko) 컨베이어벨트 손상감지장치
KR100762428B1 (ko) 이동식 크리너 제어장치
JP2000142956A (ja) 落粉清掃装置
KR20120121555A (ko) 컨베이어벨트 손상감지장치
US783771A (en) Conveyer.
KR102662274B1 (ko) 크러싱 플랜트용 컨베이어 벨트 슬립 센싱 시스템
KR20110047033A (ko) 벨트컨베이어용 부착광 제거장치
KR100718788B1 (ko) 벨트 부상 방지 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 벨트 장치
KR20010081358A (ko) 컨베이어 벨트의 파손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