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331B1 - 분리가능한 연료 공급원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한 연료 공급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331B1
KR101536331B1 KR1020087001446A KR20087001446A KR101536331B1 KR 101536331 B1 KR101536331 B1 KR 101536331B1 KR 1020087001446 A KR1020087001446 A KR 1020087001446A KR 20087001446 A KR20087001446 A KR 20087001446A KR 101536331 B1 KR101536331 B1 KR 101536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cell
delete delete
source
fue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7852A (ko
Inventor
폴 아담스
앤드류 제이 큐렐로
콘스탄스 알 스테판
헝 티 탄
Original Assignee
인텔리전트 에너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리전트 에너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텔리전트 에너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2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08Cartridges, cryogenic media or cryogenic reservo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1624Destructible or deformable element controlled
    • Y10T137/1632Destructible element
    • Y10T137/1654Separable valve coupling or conduit

Abstract

연료 공급원(10)은 연료전지장치(12)에 부착가능하다. 상기 연료 공급원은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연료 공급원 커넥터(14)를 포함한다. 연료 공급원 커넥터는 만일 분리 부하에 노출되면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연료 공급원을 상기 연료전지장치로부터 자동으로 분리한다. 밸브(24, 26) 또는 충전재 물질(23a-23d)은 상기 연료 공급원 커넥터를 통한 연료의 유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데 사용된다. 또는, 상기 연료 공급원 커넥터는 이 내부에 배설되는 가요성 튜브(114)와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의 가요성은 분리 부하의 경우에 상기 커넥터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료공급원, 연료전지, 연료카트리지, 충격부하

Description

분리가능한 연료 공급원 {SEPARABLE FUEL SUPPLY}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연료 공급원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일회용 및 재충전 연료 공급원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 및 산화제와 같은 반응물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직류(DC) 전기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연료전지는 리튬 이온전지와 같은 휴대용 전력저장장치보다도 더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연소와 같은 통상적인 전력발전보다도 더 효율적이어서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기술은 알칼리 연료전지,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인산형 연료전지,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및 효소 연료전지 등 다양한 종류의 연료전지를 포함한다. 오늘날 매우 중요한 연료전지로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즉 (i) 압축수소(H2)를 연료로서 사용하는 연료전지와, (ii) 메탄올(CH3OH) 등의 알콜,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등의 금속 수소화물(metal hydride), 탄화수소(hydrocarbon), 또는 수소연료로 변환된 기타 연료를 사용하는 양자교환 막(Proton Exchange Membrane: PEM, 이하 "PEM") 연료전지와, (iii) 비수소 연료를 직접 소비할 수 있는 PEM 연료전지 또는 직접 산화형 연 료전지(direct oxidation fuel cell), 그리고 (iv) 고온에서 탄화수소 연료를 직접 전기로 변환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s: SOFC)가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수소는 고압 하에 보관되므로 다루기가 어렵다. 또한, 커다란 저장탱크가 일반적으로 요구되어 가전분야 기기에 사용될 만큼 작게 만들 수도 없다. 통상적인 개질 연료전지(reformat fuel cell)는 연료전지 내부에서 연료를 산화제와 반응하는 수소로 변환하기 위하여 개질기(reformer)와 기타 기화 및 부대 장치들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개질기나 개질 연료전지가 더 발전되어 가전분야 기기에 유망해졌다. 가장 일반적인 직접 산화형 연료전지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또는 DMFC이다. 기타 직접 산화형 연료전지는 직접형 에탄올 연료전지(direct ethanol fuel cell)와 직접형 테트라메틸 오소카보네이트 연료전지(direct tetramethyl orthocarbonate fuel cell)를 포함한다. DMFC는 연료전지 내부에서 메탄올이 직접 산화제와 반응하므로, 가장 단순하면서도 가장 소형화가능한 연료전지로서 가장 유망하게 가전분야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SOFC)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높은 열에서 부탄과 같은 탄화수소 연료를 변환한다. SOFC는 연료전지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1000℃ 범위의 비교적 고온을 필요로 한다.
연료전지 각각의 종류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화학반응은 다르다. DMFC에 있어서, 각 전극에서의 화학-전기 반응 및 직접형 메탄올 연료전지에 대한 전체 반응은 다음과 같다:
애노드에서의 반쪽 반응:
CH3OH + H2O → CO2 + 6H+ + 6e-
캐소드에서의 반쪽 반응:
1.5O2 + 6H+ + 6e- → 3H2O
전체 연료전지 반응:
CH3OH + 1.5O2 → CO2 + 2H2O
수소이온(H+)은 PEM을 거쳐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이동하고 자유전자(e-)는 PEM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전자들은 외부회로로 흐르게 되고, 결국 외부회로를 통하여 전류가 발생한다. 이 외부회로로서는 이동전화 또는 휴대전화, 계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 전동공구 등과 같은 많은 유용한 가전분야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MFC는 미국특허 제5,992,008호 및 제5,945,231호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PEM은 듀퐁사의 Nafion
Figure 112008004246806-pct00001
과 같은 폴리머로 제조되며, 이는 대략 0.05mm 내지 0.50mm 두께범위의 과플루오르화 술폰산 폴리머(perfluorinated sulfonic acid polymer) 또는 기타 적절한 막으로 제조된다. 애노드는 일반적으로 백금-루테늄과 같은 촉매 박막층이 표면에 도포된 촉매 박막층을 지닌 테플론화 카본 페이퍼 지지체(Teflonized carbon paper support)로 제조된다. 캐소드는 일반적으로 백금입자가 상기 막의 일 측면에 부착된 가스 확산 전극으로 된다.
수소화붕소나트륨과 같은 금속 수소화물 개질기 연료전지에 대한 다른 연료전지 반응은 다음과 같다:
NaBH4 + 2H2O → (열 또는 촉매) → 4(H2) + NaBO2
애노드에서의 반쪽 반응:
H2 → 2H+ + 2e-
캐소드에서의 반쪽 반응:
2(2H+ + 2e-) + O2 → 2H2O
이러한 반응에 적합한 촉매로는 백금과 루테늄 및 기타 금속이 있다. 수소화붕소나트륨을 개질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소연료는 O2와 같은 산화제와 연료전지 내부에서 반응하여 전기(또는 전자의 흐름) 및 물 부산물을 만들어낸다. 또한, 붕산나트륨(NaBO2) 부산물은 개질처리 과정에서 얻어진다. 수소화붕소나트륨 연료전지는 미국특허 제4,261,956호에 기술되어 있다.
직접형 수소화붕소 연료전지(direct borohydride fuel cell: DBFC)에서 반응은 다음과 같다:
애노드에서의 반쪽반응:
BH4- + 8OH- → BO2 - + 6H2O + 8e-
캐소드에서의 반쪽반응:
2O2 + 4H2O + 8e- → 8OH-
연료전지 응용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연료 저장이다.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전지로의 연료 이송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업적으로 유용하기 위해서는, DMFC 시스템과 같은 연료전지는 소비자들의 일상적인 사용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이동전화 또는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및 PDA를 위해서는 연료전지는 현재 배터리만큼 오랫동안, 바람직하게는 더 길게 이들 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연료전지는 오늘날의 재충전 배터리에 요구되는 긴 충전시간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쉽게 교체가능하거나 재충전가능한 연료 탱크를 구비하여야 한다.
연료전지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많은 기기들의 휴대성을 고려할 때, 기기나 연료 카트리지는 예기치못한 충격부하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료는 누설되어 민감한 전자기기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료 공급원이 뜻하지 않은 사고시 연료전지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방법을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연료 공급원은 연료전지장치에 부착가능하다. 연료 공급원은 연료 공급원을 연료전지장치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연료 공급원 커넥터와, 연료 공급원을 연료전지장치로부터 자동으로 분리하기 위한 수단과, 연료 공급원 커넥터를 통한 연료의 유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연료 공급원 커넥터의 분리부분은 연료 공급원 커넥터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쉽게 충격에 파열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연료 공급원 방출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연료전지장치의 슬롯(slot)은 연료 공급원을 활동적으로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가 연료 공급원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요홈부가 슬롯의 벽 상에 형성되어, 상기 요홈부는 상기 돌출부를 분리가능하게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클립이 그 내부의 돌출부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요홈부 내에 배설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연료 공급원은 가요성 연료 공급원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내부에 배설된 밸브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은 본원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어 이와 연계되어 이해되어야하며, 여기서 도면부호는 다양한 도면에서의 각 부분들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장치와 연료 공급원의 개략도.
도 2a는 도 1의 커넥터의 제1구현예의 횡단면도.
도 2b는 도 1의 커넥터의 제2구현예의 횡단면도.
도 2c는 제3구현예의 횡단면도.
도 2d(i)-2d(ii)는 제4구현예의 횡단면도.
도 3a는 도 2a 및 2b의 커넥터들에 사용되는 밸브들의 횡단면도.
도 3b는 도 2a 및 2b의 커넥터들에 사용되는 분리형 차단 밸브의 횡단면도.
도 4 및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 공급원의 다른 구현예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 공급원의 다른 제2구현예의 개략도.
도 5a는 도 5의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 공급원의 연결영역의 부분확대도.
도 5b는 본 구현예의 취약부의 확대도.
도 6은 다른 연결기구를 나타내는, 선 A-A에 따른 도 5의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 공급원의 연결영역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 공급원의 다른 제3구현예의 개략도.
도 7a는 도 7의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 공급원의 연결영역의 부분확대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연결영역의 다른 구현예의 부분확대도.
이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 공급원(fuel supply)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료 공급원은 메탄올과 물, 메탄올/물 혼합물, 다양한 농도의 메탄올/물 혼합물 또는 순수 메탄올과 같은 연료전지 연료를 저장한다. 메탄올은 예를 들어 DMFC, 효소 연료전지(enzyme fuel cell), 개질 연료전지(reformat fuel cell) 등 많은 종류의 연료전지에서 사용가능하다. 연료 공급원은 에탄올이나 기타 알콜, 수소로 개질될 수 있는 화학물질, 또는 연료전지의 성능 또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타 화학물질과 같은 다른 종류의 연료전지 연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료는 금속 연료전지 또는 알칼리 연료전지에 사용될 수 있고 연료 공급원에 저장될 수 있는 수산화칼륨(KOH) 전해질을 포함한다. 금속 연료전지용으로서, 연료는 KOH 전해질 반응용액에 담근 유체부유 아연입자의 형태로 되고, 전지 캐비티(cavity) 내부의 양극은 아연입자 형태의 미립자 양극으로 된다. KOH 전해질 용액은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3/0077493호(2003. 4. 24 공개) "Method of Using Fuel Cell System Configured to Provide Power to One or more Loads"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연료는 메탄올과 과산화수소 및 황산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실리콘 칩 상에 형성된 촉매를 지나쳐 흘러 연료전지 반응을 일으킨다. 또한, 연료는 미국특허 제6,554,877호, 제6,562,497호 및 제6,758,87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메탄올, 수소화붕소나트륨, 전해질 및 기타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연료는 미국특허 제6,773,47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용제에 부분적으로 용해되고 용제에 부분적으로 현탁된 조성들과,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2/07660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액체 연료 및 고체 연료 모두를 포함하는 조성들을 포함한다.
또한, 연료는 앞서 기술하였듯이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과 같은 금속 수소화물과 물을 포함한다. 또한, 연료는 탄화수소 연료, 즉 부탄, 등유, 알콜 및 천연가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는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3/0096150호(2003. 5. 22 공개) "Liquid Hereto-Interface Fuel Cell Device"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연료는 연료와 반응하는 액상 산화제를 포함한다. 또한, 연료는 포름산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 공급원에 수용되거나, 아니면 연료전지장치에 의하여 사용되는 연료, 전해질 용액, 산화제 용액 또는 액체 또는 고체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연료"라는 용어는 연료전지나 연료 공급원 내에서 반응할 수 있는 연료 모두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모든 적합한 연료, 전해질 용액, 산화제 용액, 기체, 액체, 고체 및/또는 화학물질과 그 혼합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 공급원은 연료전지에 사용되지 않는 연료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응용은 The Industrial Physicist에 공표된 "Here Come the Microengines"(pp. 20-25, 2001.12/2002.1)에 기술된 바 있는 실리콘 칩 상에 장착된 마이크로 가스 터빈 엔진(micro gas-turbin engine)용 탄화수소 및 수소연료를 저장하는 것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기타 용도로서 개인휴대형 발열기기용 화학연료뿐만 아니라, 내부 연소 엔진용 기존 연료와, 포켓 및 다용도 라이터용 부탄, 액화 프로판과 같은 탄화수소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연료전지"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가 사용될 수 있는 기타 기계뿐만 아니라 연료전지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인 "연료 공급원"은 일회용 카트리지, 재충전/재사용 가능한 카트리지, 용기, 전자기기 내부에 상주하는 카트리지, 분리가능한 카트리지, 전자기기 외부에 구비되는 카트리지, 연료 탱크, 연료 저장기, 연료 재충전 탱크, 연료를 수용하는 기타 용기, 상기 연료 탱크 및 용기에 연결되는 배관을 포함 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카트리지가 본 발명의 예시적 구현예들과 연계되어 하술되나, 이들 구현예들은 다른 연료 공급원들에게도 적용가능하며 본 발명은 어떤 특정 형태의 연료 공급원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예시적 구현예들은 연료 카트리지에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하듯이 모든 연료 공급원과의 사용에 적합하다. 또한, 여기 사용되는 "연료전지"는 연료전지가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적 요소 내에 상주할 수 있는 임의의 펌프를 포함한다. 이 펌프 또한 연료 공급원에 부착가능하다.
또한, 여기 기술하는 차단 밸브(shut-off valve) 또는 연결 밸브(connecting valve)는 연료 공급원으로부터 연료전지로 소통하는데, 그리고 연료전지 내에서 생성된 액체 및/또는 가스 부산물을 다시 폐기용기로 소통시키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밸브들은 유체, 즉 액체 또는 가스를 연료 공급원으로, 및/또는 연료전지로 양방향 이송하는데 적합하다. 연료전지 카트리지 및 연료전지는 본 출원인의 현재 진행 중인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4/0151962호(2003. 1. 31 출원), "Fuel Cartridge for Fuel Cells"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되듯이, 연료 공급원(10)은 연료전지장치(12)에 연결된다. 연결요소(14)는 연료 공급원(10)을 연료전지장치(12)에 작동적으로 부착함으로써, 연료 공급원(10) 내에 수용된 연료는 공급원측 밸브요소(24)와 장치측 밸브요소(26)를 통하여 연료 공급원(10)과 연료전지장치(12) 간에 이송될 수 있다. 밸브요소들(24, 26)은 일방향 밸브(one-way valve), 포핏 밸브(poppet valve) 또는 덕빌 밸브(duckbill valve)와 같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려 진 모든 밸브로 될 수 있다. 또한, 밸브요소들(24, 26)은 본 출원인의 현재 진행 중인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6/0071088호(2004. 11. 1 출원), "Valves for Fuel Cartridges" 및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5/0022883호(2003. 7. 29 출원), "Fuel Cartridge With Connecting Valve"에 기술된 바와 같은 분리가능한 차단밸브로 될 수 있다.
연결요소(14)는 중공의 관상 단편(tubular segment)으로 됨이 바람직하다. 연결요소(14)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모든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나, 플라스틱이나 수지계 물질, 세라믹 물질 또는 금속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연결요소(14)의 물질은 연료 공급원(12) 내에 저장된 연료에 대해 불활성일 수 있거나, 또는 연결요소(14)가 연료 공급원(12) 내에 저장된 연료에 대해 불활성인 내부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요소(14)는 만일 연료 공급원(10) 및/또는 연료전지장치(12)가 어떤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가 비틀리는 경우와 같이 부하를 받기 쉬운 경우, 또는 연료 공급원(10) 및 연료전지장치(12)를 떨어뜨리는 경우, 연료 공급원(10)이 연료전지장치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어 연료손실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예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요소(14)는 제1박벽(thin-walled)부(20)와 제2박벽부(22)를 포함한다. 이들 취약부들(20, 22)은 만일 부하를 받으면 구조적으로 더 약한 벽들로 인해 연결요소(14)가 도 2a의 박벽부들(20, 22) 또는 노치(들)에서 더 쉽게 파열되도록 구성된다. 박벽부들(20, 22)이 파열되는 부하는 이들 부분(20, 22)에서 벽들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박벽부들(20, 22)은 비슷한 두께를 갖는 것 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다른 두께들을 갖는 벽들로 되어 하나는 더 작은 충격으로 파열되거나 아니면 모두 더 큰 충격으로 파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인식하겠듯이, 단 하나의 박벽부(20, 22)만이 연결요소(14)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박벽부들(20, 22)은 연결요소(14)의 나머지 부분과는 다른 물질, 예를 들어 더 부서지기 쉬운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는, 연료 공급원(10)과 연료전지장치(12)의 분리는 영구적이다. 즉, 연료 공급원(10)은 박벽부들(20, 22)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 때문에 재부착될 수는 없다.
연료전지장치로부터의 연료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결요소(14)는 여러 위치에서 연료정지요소 또는 연료흡수요소 (23a-23d)를 포함한다. 연료정지요소(23a, 23b, 23c, 23d)는 연료의 유동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섬유물질이나 충전재 또는 밸브(도 2c 참조)로 될 수 있다. 충전재나 개포형 폼(open-cell foam)과 같은 연료정지요소(23a-23d)는 투과성을 조절하기 위해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홀(hole)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적합한 물질은 미국특허출원 제10/356,793호에 개시된 흡수(wicking) 물질 또는 모세관(capillary) 물질을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정지요소(23a, 23b, 23c, 23d)용으로서 적합한 밸브들의 예로는 덕빌 밸브와 같은 일방향 밸브(53a)를 포함하며, 여기서 연료 유동으로부터의 힘은 보통 밸브 개방을 유지한다. 만일 상기 유동이 차단되면, 밸브는 폐쇄된다. 모든 일방향 밸브가 사용가능하다. 또한, 도 3a에 체크 밸브(check valve: 53b)가도시되듯이, 밸브의 제1반할체(53b) 상의 핀(55)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는 밸브의 제2반할체(53b) 상의 밀봉체(56)를 밀어 밸브를 통해 연료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밸브가 분리되면, 밀봉체(56)는 전진하도록 되어 상기 유체 유동을 차단한다. 또는, 만일 상기 유체 유동의 힘이 밀봉체(56) 개방을 유지할 만큼 충분하다면, 체크 밸브(53b)는 핀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유체는 밀봉체(56)를 향하여 체크밸브(53b)를 통해 흐를 것이다. 도 3b에 도시되듯이, 연료정지수단(23a, 23b, 23c, 23d)용으로 적합한 밸브의 다른 예는 '949 출원에 기술된 분리가능한 밸브(53c)이다. 이 밸브는 일반적으로 2개의 반할체를 포함하며, 제1반할체(54a)는 제1박벽부(20) 내에 또는 제2박벽부(2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단 하나의 박벽부만이 필수적이다. 분리가능 밸브의 제2반할체(54b)는 박벽부(20 또는 22)에 근접한 연결요소(14)의 더 두꺼운 벽부에 위치될 수 있다. 분리가능 밸브의 이들 2개 반할체들이 분리될 때, 연료는 더 이상 이를 통해 흐를 수 없게 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도 2b에 도시되듯이, 연결요소(14)는 조인트(17)에 연결된 공급원측부(14a) 및 장치측부(14b)를 포함한다. 조인트(17)는 도시되듯이 계지구 장치(detent system)와 같은 억지끼워맞춤 조인트(press-fit joint)로 됨이 바람직하나, 해당 업계에서 공지된 비영구적 조인트라면 모두 될 수 있다. 또한, 공급원측부(14a) 및 장치측부(14b) 간의 밀봉된 유동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O링과 같은 개스킷(gasket: 7)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공급원측부(14a) 및 장치측부(14b)의 중복되는 양이 분리를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양을 나타낸다. 본 구현예에 있어서, 많은 경우 공급원측부(14a) 및 장치측부(14b)는 단순히 계지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리는 영구적일 필요가 없다. 그러나, 만일 더 가혹한 충격을 받는다면, 조인트(17)는 이러한 부하의 형태와 종류에 따라 수리할 수 없을 만큼 손상될 수 있다.
부하를 받는 경우, 조인트(17)는 분리점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따라서 상술했듯이 충전재 또는 밸브로 될 수 있는 연료정지요소(23a, 23b)로 하여금 연료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구현예에 있어서 연료정지요소(23a, 23b)는 이를 관통하는 홀(21)을 포함한다. 홀(21)은 연료 공급원이 아직 손상되지 않았을 때 연료정지요소(23a, 23b)를 통하여 연료가 더 잘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흡수통로(19)가 포함된다. 흡수통로(19)는 연료정지요소(23a, 23b)용 물질로 되는 부분이며 유로로부터 유로 외부영역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수통로(19)는 밸브(26)의 하우징을 통하는 유로로부터 연장되어 다시 연료 공급원(10)으로 연장된다. 흡수통로(19)를 통하여 흡수된 연료는 연료 공급원 내부의 모든 지점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구현예에서 연료 공급원(10)은 경질의 외부 케이싱과, 연료를 수용하는 내부 가요성 블래더(bladder)와, 이들 간의 간극 또는 공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통로(19)는 연료를 상기 유로로부터 상기 간극이나 상기 블래더로 전환할 수 있다.
연결요소(14)의 다른 구현예가 도 2c에 도시된다. 여기서, 연결요소(14)는 그 내부에 형성된 임의의 노치를 지닌 단일의 취약부(20)를 포함한다. 밸브요소들(24, 26) 모두는 이들 간의 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서로 근접하게 위치된다. 밸브요소들(24, 26)은 가능한 한 서로 밀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요 소(14) 내부 및 이들 두 밸브요소 간의 공간은 23a와 같이 흡수성 재료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요소(14)의 다른 구현예는 도 2d(i)-2d(ii)에 도시되며, 밸브요소들(24, 26)은 그 내부에 일방향 체크 밸브를 각각 수용한다. 연결요소(14)는 상기 밸브요소들의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관상 슬리브로 된다. 다른 밸브요소는 상기 관상 슬리브/연결요소(14) 상의 후크(32)를 연결하도록 된 직립후크(30)를 구비한다. 체결되면, 후크들(30, 32)은 도 2d(ii)에 도시되듯이 상기 밸브요소들을 서로에게 고정시켜 유로 F를 형성한다. 관상 슬리브/연결요소(14)는 충격에 파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취약부(예를 들어, 노치(34))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로, 후크(30) 또한 충격에 파열될 수 있는 취약부(예를 들어, 노치(34))를 가질 수 있다. 본 구현예의 이점은 연결요소(14, 또는 후크(30))가 파열됨에 따라 상기 각 밸브요소들 내에 수용된 체크 밸브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 밀봉이 연료의 유동을 밀봉한다는 것이다. 도시되듯이, 연료흡수재(38)가 잔류 연료를 흡수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연결요소(14)를 선택함에 있어 절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더 긴 연결요소는 비교적 더 큰 연료수용 체적을 갖는다.반면에, 상기 취약부들은 잘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2c에 도시되듯이 더 짧은 연결요소는 비교적 더 작은 체적을 가지나, 취약부들은 더 적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되듯이, 연료 공급원(10)은 가요성 연결요소(114)를 통해 연료전지장치(12)에 작동적으로 부착된다. 가요성 연결요 소(114)는 연료 공급원(10)을 연료전지장치(12)에 작동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도 1에 대해 기술한 바와 유사하게 연료 공급원(10) 내에 수용된 연료가 공급원측 밸브요소(24) 및 장치측 밸브요소(26)를 통해 연료 공급원(10)과 연료전지장치(12) 간에 이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연결요소(114)는 가요성의 관상 요소로 되며, 이는 러버(rubber), 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평탄 벽이나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요철 벽을 지닌 박벽(thin-walled)의 금속 및 플라스틱과 같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가요성 물질로 제조된다. 본 구현예에 있어서, 연결요소(114)는 연료전지장치(12)에 대해 연료 공급원(10)이 비틀리거나 연료 공급원(10) 및/또는 연료전지장치(12)를 떨어뜨리는 경우와 같은 부하에 견딜 수 있도록 제조된다. 또한, 연결요소(114)는 복수의 주름을 포함하는 연장가능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에 응답하여, 연장가능부(115)는 상기 주름들을 펼침으로써 신장된다. 연장가능부(115)의 이점은 유체 밀봉을 유지하면서 충격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연결요소(114)는 연료 공급원의 일부나, 연료전지의 일부, 또는 연료전지가 구비된 기기의 일부로 될 수 있다. 연결요소는 별도의 부분으로 될 수 있으며 연료 카트리지 및 연료전지/기기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료 공급원(10)의 연료전지장치(12)로의 안정된 부착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2의 경질 연결부(105)가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경질 연결부(105)는 억지끼워진 분리형 래치(press-fit, releasable latch) 등과 같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종류의 부착으로 될 수 있다. 경질 연결부(105)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인식하겠듯이 경질 연결부(105)가 가요성 연결부(114) 또는 도 1 및 도 2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파열성 경질연결부(14)에 대칭되도록 제조될 수 있더라도, 경질 연결부(105)를 통해 연료가 연료 공급원(10)과 연료전지장치(12) 간에 이송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또는, 경질 연결부(105)는 또한 센서(107) 및 제어기(118)를 연결하는 전기 리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18)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칩과 같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종류의 제어기로 될 수 있다. 센서(107)는 가속도계(accelerometer)와 같이 연료 공급원(10)이 충격을 받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해당 기술에서 공지된 모든 종류의 센서로 될 수 있다. 적절한 가속도계의 한 종류는 압전센서로서, 이는 충격에 노출되면 전기 전하를 생성하는 고체(solid state) 소자이다. 또한, 압전센서는 연료 공급원이나 연료전지장치상에 작용하는 힘 또는 힘들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연료 공급원(10)을 떨어뜨리면, 센서(107)는 그 가속도 신호를 인식하여 제어기(118)는 연료 공급원(10)으로부터 연료전지장치(12) 내로 연료를 공급하는 펌프(103)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연료 공급원이나 연료전지장치 내의 유동 밸브들을 폐쇄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적절한 압전센서들은 PCB Piezotronics를 포함한 많은 제조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또는, 전기 리드선(113)은 펌프(103)를 동작시키는 회로를 단순히 완성할 수 있다. 만일 전기 리드선(113)이 개방되면, 즉 경질 연결부(105)가 충격력으로 인해 파열된다면, 상기 리드선(113)에 의해 완성되었던 회로 역시 파괴되어 펌프(103)를 정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본 구현예에서, 연료 공급 원(210)은 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연료전지장치(212)의 하우징(217)의 연결영역(214) 내로 삽입함으로써 연료전지장치(212)에 부착된다. 하우징(217)은 랩탑 컴퓨터나 PDA와 같이 기기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하우징으로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17)은 연료전지 스택(stack: 미도시)과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료전지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5a에 나타내듯이, 연결영역(214)은 얕은 슬롯(slot)과 같은 하우징(217)의 개구부로 됨이 바람직하다. 연결영역(214)은 연료 공급원(210)과 연료전지장치(212) 간에 연료를 이송하기 위해 연료 공급원(210) 상의 공급원측 밸브(224)를 수납하기 위한 장치측 밸브 포트(226)를 포함한다. 포트(226)는 단지 밸브(224)를 수납하는 포트로 되거나, 또는 상술하였고 '949 출원에 기술된 바처럼 분리가능 밸브의 공급원측 반할체로 될 수 있다. O링과 같은 개스킷(240)은 유체 밀봉(fluid-tight seal)을 형성하도록 포트(226)와 밸브(224) 간에 위치된다. 또한, 밸브(224)는 삽입공정 동안 용이한 자기정렬을 위하여, 그리고 측면 부하로부터의 충격 흡수를 위하여 부동부(floating portion)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연료 공급원(210)은 활동(sliding) 등에 의하여 연결영역(214)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그 내부에서 지지된다. 연결영역(214)은 그 내부에 배설된 클립(262)을 갖는 두개의 요홈부(260)를 포함한다. 클립(262)은 스프링 클립(spring clip), 사이드 클립(side clip), 에어 피팅(air fitting), 변형부를 갖는 칼라(collar with a deformable portion), 약한 자석(weak magnet) 등과 같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적절한 자기해방형(self-releasing) 클립으로 될 수 있다. 요홈부(260) 는 연료 공급원(210) 상의 축(250)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캡(252)을 포함함으로써 더 확실한 고정을 위해 스프링 클립(262)이 캡(252)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캡(252)은 제 위치로 더 용이하게 축(250)을 인도하도록 테이퍼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연결영역(214)은 비교적 얕기 때문에, 연료 공급원(210)은 연결영역(214)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연결영역(214)과 연료 공급원(210)의 비교적 작은 중복으로 인하여, 어떠한 비틀림이나 토크가 발생하더라도, 연결영역(214)의 벽들은 연료 공급원(210)의 분리를 방해하거나 연료 공급원(210)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임의로, 축(250)은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하는 노치나 압인구에 의하여 캡(252) 부근에서 취약하게 될 수 있고, 이로써 측면 부하력에 노출되는 경우 축(250)이 파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클립(262)의 용수철상수는 만일 연료 공급원(210)이 부하를 받으면 연료 공급원(210)이 연결영역(214)에의 최소한 손상으로 연결영역(214)으로부터 방출됨으로써 연료 공급원(210)이 재삽입될 수 있거나 새 연료 공급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축(250)의 넥(neck)이 취약하게 되면, 축(250)의 얇은 넥은 파열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축(250)의 일부가 아직 연료전지 내에 있기 때문에 다른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없다. 또한, 축(250)을 클립(252)으로부터 분리하려는 힘은 밸브(224)나 연료전지(212)를 손상하지 않을 정도의 특정 힘으로 분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힘 이상인 경우, 축(250)은 파열됨으로써 다른 카트리지(210)가 클립(252) 내부로 삽입될 수 없게 한다.
또한, 연료 공급원(210)의 분리로 인해 연료 공급원(210)과 연료전지장 치(212) 간에 더 이상의 연료 이송을 방지하는 식으로 공급원측 밸브(224)가 포트(226)로부터 분리된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 있어서, 밸브(224)는 도 3a에 도시되듯이 체크 밸브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는, 포트(226)는 밸브(224)의 밀봉부재를 밀어 개방함으로써 연료가 밸브(224)를 거쳐 포트(226) 내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중공 돌출부, 핀 또는 니들(227)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시, 돌출부(227)는 밸브(224)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밸브(224)를 폐쇄함으로써 연료의 유동을 차단한다. 연결영역(214)이 얕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돌출부(227)의 길이는 밸브(224) 내의 밀봉부재가 조작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는 '949 출원 및 '006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분리가능한 차단 밸브가 사용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핀(227)은 밸브(224)의 중심에 또는 그 부근에 리브들(ribs) 또는 기타 지지체들에 의해 밸브(22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밸브(224)는 핀(227)이 상기 지지체들에 의해 결정된 정확한 위치에서 머무르는 동안 개방되어있기만 한다. 만일 핀(227)이 상기 지지체들의 하나를 파열하는 충격으로 인해 상기 정확한 위치로부터 이동되면, 핀(227)은 더 이상 밸브(224)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게 된다.
다른 방출기구가 도 6에 도시되며, 이는 도 5의 A-A선을 따라 본 상기 방출기구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연료 공급원(210)은 도 5 및 도 5a에 대해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연료전지장치(212)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연료 공급원(210)이 연결영역(214) 내로 삽입되면, 축(250)은 이를 외부로 탄지하도록 된 스프링(272)을 밀게 된다. 축(250)은 캡(252) 위를 스프링 클립(26)이 고정하면 개구 부(260) 내에 고정된다. 연료 공급원(210)을 방출하기 위해, 연료 공급원(210)에 부착된 레버 아암(270)은 개구부(260) 내로 연장되는 여러 돌출부(271)를 포함한다. 돌출부(271)는 모든 적절한 형태로 될 수 있으며, 쐐기형으로 됨이 바람직하다. 만일 연료 공급원(210)이 레버 아암(270)을 누르도록 충격받는 경우, 돌출부(271)는 캡(252)과 스프링 클립(262) 간에서 개구부(260) 내로 강제삽입된다. 스프링 클립(262)이 분리됨에 따라, 탄지 스프링(272)은 축(250)을 아래로 밀고, 이로써 연료 공급원(210)을 방출하게 된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하듯이, 축(250) 및 클립(252) 조합의 개수는 상기 연결의 원하는 강도에 따라 하나로부터 어떠한 개수로도 될 수 있다. 또한, 만일 밸브(224)가 이의 연료전지장치(212)로의 연결부위에서 클립(252)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분리 축(250)이 필요하지 않다. 즉, 일 구현예에서 밸브(224)가 축(250)을 대체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하듯이, 연료 공급원(310)은 도 5에 도시된 구현예와 유사하게 연료전지장치 하우징(317) 상의 연결영역(314) 내로 연료 공급원(310)을 삽입함으로써 연료전지장치(312)에 부착된다. 본 구현예에서는, 연료 공급원(310)은 포트(326)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밸브(324)를 포함함으로써 연료는 연료 공급원(310)으로부터 연료전지 스택(309)으로 이송될 수 있다. 밸브(324) 및 포트(326)는 도 5에 대해 기술된 바와 유사하다.
연료 공급원(310)은 센서(370)를 포함한다. 센서(370)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와 같이 갑작스런 가속이나 충격을 나타내는 해당 기술에서 공지 된 모든 종류의 센서로 될 수 있으나 가속도계로 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센서(370)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압전 가속도계로 된다. 일반적으로 압전 가속도계는 중심지주(center post)와 진동매체(seismic mass) 간에 샌드위치된 쿼츠(quartz)와 같은 압전 크리스털(piezoelectric crystal)로 된다. 가속시, 상기 매체는 전단응력(shear stress)을 일으켜 이를 상기 크리스털에 인가한다. 크리스털 상에서 이러한 응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크기는 가속도의 양에 대응한다. 또한, 센서(370)는 단순한 질량 스프링 가속도계(spring-mass accelerometer)로 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370)는 연료전지장치(312)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연료전지장치(312)는 자동방출기구를 포함한다. 도 7a에 도시되듯이, 연료 공급원(310)이 하우징(317)의 연결영역(314) 내로 밀려 삽입되면, 이러한 활동작동은 걸림턱(365b)이 로드(372) 내에 배설된 대응 슬롯(365a) 내로 밀려 삽입될 때까지 정지구(375)를 향하여 탄지 스프링(368)에 연결된 로드(372)를 밀게 된다. 그 중립상태에서는, 스프링(368)은 하우징(317)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에너지는 압축된 스프링(368) 내에 저장된다.
걸림턱(365b)은 힌지(376)에 의해 정지구(375)에 부착된 이동 아암(374)의 종단에 위치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모두 가능한 힌지(376)는 제어기(318)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318)는 제어기(118)와 유사하게 컴퓨터 프로세서와 같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종류의 제어기로 될 수 있다. 제어기(318)는 링크(364)를 통해 이동 아암(374)과 소통한다. 또한, 제어기(318)는 전기접점(315a, 315b)을 통하여 연료 공급원(310) 상의 센서(379)와 소통한다. 제어 기(318)는 센서(37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로부터 연료 공급원(310)의 가속도 량을 계산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만일 가속도 량이 임계수준을 초과하면, 제어기(318)는 신호를 보내어, 예를 들어 전자석을 사용하여 이동 아암(374)을 당기는 힌지기구를 개시함에 의하여 아암(374)을 해제하고, 이로써 걸림턱(365b)은 슬롯(365a)으로부터 분리된다. 또는, 힌지(376)는 약할 수 있으며, 이로써 충격동작 또는 가속동작 자체는 걸림턱(365b)을 진동시켜 아암(365a)을 슬롯(365a)으로부터 해제한다. 이동 아암(374)이 회전하여 개방되면, 걸림턱(365b)은 로드(372)로부터 분리된다. 스프링(368)은 그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여 로드(372)를 외부로 밀며, 이로써 연료 공급원(310)을 연결영역(314)으로부터 방출하게 된다. 스프링(368)은 연료전지(312)로부터 연료 공급원(310)의 신속한 분리를 제공하기 위해 충분히 강력해야 한다. 밸브(324)는 포트(326)와 분리되고, 이로써 연료의 유동이 정지된다. 또는, 연료 공급원(310)은 제어기(318)가 아암(374)을 리셋할 때까지 재삽입할 수 없게 된다. 공지된 방출기구와 구성들 또한 사용되어 제어기(3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다른 방출기구에 있어서, 이동 아암(374)은 연료 공급원(3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아암(374)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방법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출기구의 다른 구현예를 도 7b에 도시한다. 본 구현예는 도 7에 도시된 구현예와 대부분 유사하지만, 로드(372)가 연료 공급원(310)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즉, 로드(372)는 연료 공급원(310)의 연장이 된다. 이동 아암(374)의 중앙부(373)는 접착제나 패스너(fastener) 등으로 고정적으 로 로드(372)에 부착된다.
이동 아암(374)의 자유 종단은 걸림턱(365b)을 가지며, 이는 연료전지 상의 정지구(375) 상에 위치된 대응 노치(365a) 내로 삽입가능하다. 걸림턱(365b)은 연료 공급원(310)이 연결영역(314) 내로 적절하게 삽입될 때 노치(365a) 내부 위치로 계지된다. 상술한 구현예에서와 같이, 스프링(368)은 정지구(375)에 부착된다. 중립상태에서는, 스프링(368)은 하우징(317)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연료 공급원(310)이 연결영역(314)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스프링(368)이 정지구(375)를 향해 압축됨에 따라 에너지는 스프링(368) 내에 저장된다. 금속이나 플라스틱 플레이트로 되는 플레이트(378)가 스프링(368)의 말단에 배설됨으로써 스프링(368)이 고르게 압축됨이 바람직하다. 이동 아암(374)이 활성화되면, 걸림턱(365b)은 노치(365a)로부터 분리되어 스프링(368)은 연료 공급원(310)을 연결영역(314) 외부로 밀게된다.
본 구현예에 있어서, 이동 아암(374)은 전기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 EAP)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EAP는 전기자극에 대해 주목할만한 형상 또는 크기 변이를 나타냄으로써 반응한다: "인공근육(artificial muscle)"은 EAP의 이러한 면을 기술하는데 종종 쓰이는 용어이다. 강자성 폴리머(ferroelectric polymer), ESSP(electrostatically stricted polymer), 전왜 그래프트 엘라스토머(electrostrictive graft elastomer), 전기점탄성 엘라스토머(electro-viscoelastic elastomer), 아이오노머 폴리머-금속 복합체(ionomeric polymer-metal composite), 전도성 폴리머(conductive polymer) 및 카본 나노튜브(carbon nanotube)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 모든 종류의 EAP가 사용될 수 있다. 전기가 이동 아암(374)을 통과함에 따라, 이동 아암(374)은 변형한다. 상기 변형을 촉발하는 전기는 전류가 제어기(318)에 의해 제어되는 배터리(미도시)와 같은 모든 소스로부터 올 수 있다. 그러나, 이동 아암(374)을 활성화하는 전류는 이동 아암(374)과 접촉되어 배설되는 압전 크리스털(380)에 의해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압전 크리스털(380)이 가속도 또는 충격에서 오는 부하를 받으면, 크리스털(380)은 이동 아암(374)과 로드(372) 사이에서 압착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었듯이, 크리스털(380)과 같은 압전 크리스털을 압축하거나 이에 충격을 가하면, 이의 표면에 전류가 발생한다. 이 전류는 이동 아암(374)을 노치(365a)로부터 떨어지도록 활성화하여 스프링(368)으로 하여금 연료 공급원(310)을 방출하도록 한다. 또한,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인식하겠듯이, 힌지된 경질 아암 대신에 EAP로 제조된 이동 아암(374)이 도 7a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연료 공급원 삽입공정 동안, 아암(374)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류가 호스트 기기로부터 보내어질 수 있다. 아암(364)은 삽입 동안 굴곡되도록 충분히 유연할 수 있다.
또는, 키홀(keyhole) 연결이 정지구 장치(365)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로드(372)는 확실한 부착을 위해 소정의 통로를 따라야 한다. 로드(372) 또는 키홀부는 분리를 위해 회전되어야 한다. 또는, 상기 키홀부는 관통될 수 있고 이로써 그의 축은 충격에 파열된다. 또는,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겠듯이, 이러한 방출기구는 상기 연결들이 임계수준 이하의 힘에서 우발적 이전을 방지하기에 충분하게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홈(recess) 내에서 또는 단순히 연료전지장치(312) 표면에서의 사용에 적합할 수 있다.
또는, 밸브요소(324 및/또는 326)는 제어기(318)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솔레노이드 밸브(electrical solenoid valve)로 될 수 있다. 센서(370)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어기(318)는 전기신호 또는 전류를 보내어 밸브요소들(324, 326)의 하나 또는 모두를 정지시킨다. 또는, 밸브요소들(324, 326) 및 도 7a의 방출기구 모두는 함께 또는 소정 시퀀스로 활용될 수 있다. 임의로, 연료 공급원(310)으로부터 연료 스택(309)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미도시)가 제어기(318)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지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324, 326)의 개방을 유지하는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는 연료 공급원(310)이 연결영역(324) 내로 적절하게 삽입될 때에만 완성된다. 충격시, 연료 공급원(310)은 방출되고 솔레노이드 밸브(324, 326)를 제어하는 상기 회로는 파괴되어, 이로써 연료 유동은 차단된다. 임의로, 제어기(318)는 표시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가 새 연료 공급원(310)을 삽입하려하기 이전에 충격 후 모든 표면을 검사하도록 알릴 수 있다. 만일 가속도가 소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측정된 가속도 수준에 따라 제어기(318)는 모든 유동 밸브들을 계속 차단하거나 연료 공급원의 재삽입 또는 새 연료 공급원의 삽입을 거부할 수 있다.
기타 적절한 고정기기들은 미국 가특허출원 제60/699, 685호(2005. 7. 18 출원), "Fuel Supply With Improved Connecting Valve"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개시된 발명의 구현예들은 본원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며, 다수 의 변형 및 기타 구현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안출될 수 있음이 인정된다. 또한, 모든 구현예의 특징 및/또는 요소들은 단독으로 또는 기타 구현예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는 본원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 및 구현예들을 포함한다고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3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연료전지와 연료 공급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원은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부착가능하고, 상기 연료전지장치는 제어기와, 센서와, 상기 연료 공급원을 상기 연료전지장치로부터 방출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방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가속도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계의 출력은 상기 연료 공급원 또는 상기 연료전지의 부품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상기 연료 공급원 또는 상기 연료전지의 유동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5. 삭제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계의 출력은 상기 연료전지장치로부터 상기 연료 공급원을 방출하거나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7. 삭제
  38. 연료전지와 연료 공급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원은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부착가능하고, 상기 연료전지장치는 제어기와, 센서와, 상기 연료 공급원을 상기 연료전지장치로부터 방출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방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가속도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전지장치는 전기활성 폴리머로 제조된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연료 공급원을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고정하되 상기 가속도계의 출력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KR1020087001446A 2005-07-18 2006-07-14 분리가능한 연료 공급원 KR101536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985405P 2005-07-18 2005-07-18
US60/699,854 2005-07-18
PCT/US2006/027318 WO2007011704A2 (en) 2005-07-18 2006-07-14 Separable fuel cart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852A KR20080027852A (ko) 2008-03-28
KR101536331B1 true KR101536331B1 (ko) 2015-07-14

Family

ID=3766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446A KR101536331B1 (ko) 2005-07-18 2006-07-14 분리가능한 연료 공급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80199759A1 (ko)
EP (1) EP1904775A4 (ko)
JP (1) JP5855328B2 (ko)
KR (1) KR101536331B1 (ko)
CN (1) CN101223392B (ko)
AU (1) AU2006270218A1 (ko)
BR (1) BRPI0613411A2 (ko)
CA (1) CA2614290C (ko)
MX (1) MX2008000852A (ko)
RU (1) RU2419016C2 (ko)
WO (1) WO200701170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7173B2 (ja) * 2006-07-12 2013-01-23 株式会社東海 燃料電池用カートリッジのコネクタ
EP2089652B1 (en) * 2006-11-07 2015-02-25 Société BIC Magnetic fluid coupling assemblies and methods
US8986404B2 (en) * 2009-11-03 2015-03-24 Societe Bic Gas generator with starter mechanism and catalyst shield
US8703358B2 (en) * 2008-11-20 2014-04-22 Mti Microfuel Cells, Inc. Fuel cell feed systems
US20100124689A1 (en) * 2008-11-20 2010-05-20 Mti Microfuel Cells, Inc. System to reservoir connector
WO2012052833A2 (en) 2010-10-20 2012-04-26 Aerazur S.A. Flexible sump
US9876240B2 (en) * 2014-04-07 2018-01-23 Intelligent Energy Limited Multi-functional fuel cable
KR102496179B1 (ko) * 2016-12-20 2023-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소공급밸브와 수소차단밸브 사이의 파단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366A (en) * 1996-01-16 1998-08-11 Preece Incorporated Frangible quick disconnect coupling
JP2005071713A (ja) * 2003-08-21 2005-03-17 Toshiba Corp 液体型燃料電池とこの電池で使用される燃料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1956A (en) 1979-06-13 1981-04-14 Engelhard Minerals & Chemicals Corporation Cartridge for gas generator
US4483359A (en) * 1982-09-27 1984-11-20 Railhead Corp. Pull away spill guard
JPS6262765A (ja) * 1985-09-14 1987-03-19 Canon Inc インクカ−トリツジ着脱装置
US4950914A (en) * 1987-03-30 1990-08-2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llision detection system for a vehicle
DE4126107C2 (de) * 1991-08-07 1993-12-16 Bosch Gmbh Robert Beschleunigungssens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5256335A (en) * 1992-11-09 1993-10-26 Shell Oil Company Conductive polyketone polymers
US5982573A (en) 1993-12-15 1999-11-09 Hewlett-Packard Company Disk drive and method for minimizing shock-induced damage
US5456027A (en) * 1994-04-08 1995-10-10 Vincent G. Tecchio Athletic shoe with a detachable sole having an electronic breakaway system
US5542445A (en) * 1995-04-20 1996-08-06 Adams; George R. Temperature and impact sensitive safety valve
US5945231A (en) 1996-03-26 1999-08-3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irect liquid-feed fuel cell with membrane electrolyte and manufacturing thereof
US6131445A (en) * 1997-10-10 2000-10-17 Ford Motor Company Fuel tank sensor assembly
US5992008A (en) 1998-02-10 1999-11-3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irect methanol feed fuel cell with reduced catalyst loading
JP4042273B2 (ja) * 1999-10-20 2008-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US6321769B2 (en) * 2000-01-21 2001-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Injection pressure sensor sealing mechanism
JP4271347B2 (ja) * 2000-06-12 2009-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の燃料遮断装置
US6577960B1 (en) 2000-07-13 2003-06-10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Liquid gauging apparatus using a time delay neural network
US6447945B1 (en) * 2000-12-12 2002-09-10 General Atomics Portable electronic device powered by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US20020076602A1 (en) 2000-12-18 2002-06-20 More Energy Ltd. Direct liquid fuel cell and a novel binary electrode therefor
US6554877B2 (en) 2001-01-03 2003-04-29 More Energy Ltd. Liquid fuel compositions for electrochemical fuel cells
US6773470B2 (en) 2001-01-03 2004-08-10 More Energy Ltd. Suspensions for use as fuel for electrochemical fuel cells
US6729703B2 (en) * 2001-02-28 2004-05-04 Accuride International, Inc. Snap-in latch
JP3551939B2 (ja) * 2001-06-14 2004-08-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4715056B2 (ja) * 2001-07-31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流体コネクタ
US20030035984A1 (en) 2001-08-15 2003-02-20 Colborn Jeffrey A. Metal fuel cell system for providing backup power to one or more loads
US6686077B2 (en) 2001-11-21 2004-02-03 The Boeing Company Liquid hetero-interface fuel cell device
US6808833B2 (en) * 2002-01-22 2004-10-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el supply for a fuel cell
JP2003211982A (ja) * 2002-01-23 2003-07-30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車両の水素配管構造
US20040076783A1 (en) * 2002-10-22 2004-04-22 Andrew Norman Corrugated liquid and vapor carrying fuel tubes and method
US6758871B2 (en) 2002-11-20 2004-07-06 More Energy Ltd. Liquid fuel compositions for electrochemical fuel cells
US7507491B2 (en) * 2003-03-11 2009-03-24 More Energy Ltd. Self-contained fuel cell and cartridge therefor
JP3713496B2 (ja) * 2003-03-25 2005-11-0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電源制御方法
US7537024B2 (en) * 2003-07-29 2009-05-26 Societe Bic Fuel cartridge with connecting valve
US7172825B2 (en) * 2003-07-29 2007-02-06 Societe Bic Fuel cartridge with flexible liner containing insert
US7762278B2 (en) * 2003-07-29 2010-07-27 Societe Bic Valves for fuel cartridges
JP4412939B2 (ja) * 2003-08-05 2010-02-10 三洋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7055640B2 (en) 2003-09-10 2006-06-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cut-off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7115335B2 (en) * 2003-10-31 2006-10-03 Entegris, Inc. Connector assembly for fluid transfer
US7156131B2 (en) * 2003-12-01 2007-01-02 Societe Bic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 fuel container
US7213400B2 (en) 2004-10-26 2007-05-08 Respironics In-X, Inc. Liquefying and storing a ga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366A (en) * 1996-01-16 1998-08-11 Preece Incorporated Frangible quick disconnect coupling
JP2005071713A (ja) * 2003-08-21 2005-03-17 Toshiba Corp 液体型燃料電池とこの電池で使用される燃料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99759A1 (en) 2008-08-21
EP1904775A2 (en) 2008-04-02
CN101223392B (zh) 2010-08-11
KR20080027852A (ko) 2008-03-28
RU2419016C2 (ru) 2011-05-20
WO2007011704B1 (en) 2007-06-28
RU2008101627A (ru) 2009-08-27
CA2614290A1 (en) 2007-01-25
WO2007011704A2 (en) 2007-01-25
US20130189601A1 (en) 2013-07-25
US9490491B2 (en) 2016-11-08
JP5855328B2 (ja) 2016-02-09
MX2008000852A (es) 2008-03-18
JP2009502022A (ja) 2009-01-22
CA2614290C (en) 2016-05-24
AU2006270218A1 (en) 2007-01-25
EP1904775A4 (en) 2009-09-09
BRPI0613411A2 (pt) 2011-01-11
CN101223392A (zh) 2008-07-16
WO2007011704A3 (en) 200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331B1 (ko) 분리가능한 연료 공급원
KR101432142B1 (ko) 연료 카트리지용 밸브
KR101536734B1 (ko) 연료 카트리지용 비호환성 연결밸브
JP4431577B2 (ja) 連結バルブ付き燃料カートリッジ
KR101155850B1 (ko) 연료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196894B2 (en) Check valves for fuel cartridges
TW200302596A (en) Fuel cartridge and reaction chamber
JP5587603B2 (ja) 燃料電池用燃料カートリッジを再充填する装置
WO2007040239A1 (ja) 燃料電池用カップラと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9

Year of fee payment: 5